KR20090013436A -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436A
KR20090013436A KR1020070077543A KR20070077543A KR20090013436A KR 20090013436 A KR20090013436 A KR 20090013436A KR 1020070077543 A KR1020070077543 A KR 1020070077543A KR 20070077543 A KR20070077543 A KR 20070077543A KR 20090013436 A KR20090013436 A KR 2009001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erminal
multimedia fil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436A/ko
Publication of KR2009001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일 표시 중에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기기로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을 흔드는 동작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근접한 기기로 재생 중이거나 선택된 파일, 예컨대 멀티미디어 파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흔들림, 지자기 센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멀티미디어 파일

Description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ILE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단말의 흔들림을 인지하면 근접한 기기에 파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개발은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한 기술이 커다란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무선 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 및 구현되고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라디오 기술에 기반을 둔 무선 통신 방식이다. 블루투스는 2.4㎓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반경 10m 거리에서 최대 1Mbps의 속도로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은 소비 전력이 매우 적기 때문에 그 활용의 범위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단말 사용자 간 프로그램 및 파일의 공유는 전술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구동, 기기 검색, 기기 선택, 전송을 원하는 파일의 선택 등의 입력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번거로운 입력 절차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공유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을 흔드는 동작만으로도 근접한 기기로 파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흔들림 인지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근접한 기기로 파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의 흔들림을 통해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파일을 근접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으로서, 파일 표시 중에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단말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단말의 흔들림을 인지하는 센서와, 파일 표시 중에 상기 센서로부터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검색된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을 흔드는 동작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근접한 기기로 재생 중이거나 선택된 파일, 예컨대 멀티미디어 파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단말의 흔들림을 인지할 수 있는 센서, 예컨대 지자기 센서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가 구비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전송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 표시부(103), 메모리부(105), 키입력부(107), 오디오 처리부(109), 제어부(111) 및 센 서(115)의 구성을 갖는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들 간 개인 무선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의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2.4G㎐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ISM 밴드 아래로 2M㎐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며, 초당 1600번 호핑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들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각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한다. 수신 신호 세기는 단 말 간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각 단말 사이의 경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신호의 세기이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한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표시부(103)는 단말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을 표시한다. 여기서, 파일은 텍스트 파일(text file), 멀티미디어 파일(multimedia file)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텍스트 파일은 문자로 이루어진 메시지나 메모 등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파일은 동영상 파일이나 음악 파일 등을 의미한다. 표시부(103)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메모리부(105)에 저장되어 선택된 파일을 표시한다.
메모리부(105)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을 저장한다.
키입력부(107)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파일 선택,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흔들림 횟수와 흔들림 시간 설정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9)는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1)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단말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흔들림에 따른 파일 전송 기능을 제어한다. 제 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기, 사진 파일을 표시하는 사진 뷰어(viewer),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센서(115)를 통한 단말의 흔들림(shaking) 인지 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11)는 센서(115)로부터 인지된 단말의 흔들림이 설정된 횟수인 지, 그리고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로부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를 통해 근접한 기기를 지정하고, 지정된 기기로 특정 파일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중인 경우, 제어부(111)는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파일을 지정된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에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파일을 일시 정지시킨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완료 시,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구동시켜, 재생이 일시 정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어서 재생시킨다. 제어부(111)는 설정 모드에서 단말의 흔들림 횟수와 흔들림 시간을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어부(111)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구분하여 파일 전송과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멀티미디어 파 일 재생기(113)를 구비하거나, 제어부(111)와 별도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가 단말에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파일 전송과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1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로서, 예컨대,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통상적으로 각속도 센서라고도 불리어지는데, 진동 등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는 동적 가속도의 측정뿐만 아니라 중력에 대한 정적 가속도의 검출도 가능하고, 정적 가속도는 가속도 센서의 축을 지면에 수평 하게 위치시켰을 때, 즉, 중력이 미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축이 지면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가에 대한 값으로 제공되어 지며, 기울기는 정지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여 작용하는 각 축의 중력 가속도치를 사인(sin) 연산하여 얻어진다.
지자기 센서는 감지된 동작에 따른 지자기 신호를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여기서, 지자기는 지구가 지니고 있는 자기로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어떤 지점의 지구 자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3 개의 독립된 성분이 필요한데, 보통 수평 분력과 방위각 및 복각을 사용한다. 여기서, 지구 자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x축 센서와 y축 센서와 z축 센서를 사용한다. 즉, x축 센서와 y축 센서는 단말의 좌, 우 방향을 감지하고, z축 센서는 단말의 상, 하 방향을 감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와 도 4의 근접한 기기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예컨대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를 확인한다(S201).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위하여 메뉴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 시,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구동시켜,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S203).
이어서, 제어부(111)는 센서(115)를 통해 단말의 흔들림 여부를 확인한다(S205).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에, 본 실시예에 따라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단말을 흔들 수 있다.
센서(115)를 통해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제어부(111)는 설정된 횟수의 흔들림이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7). 제어부(111)는 설정 모드(도 5 참조)에서 설정된 횟수의 흔들림이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설정된 횟수의 흔들림이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킨다(S209).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근접한 기기를 지정한다(S211). 본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1)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구동시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기기들로부터 신호 강도 세기를 측정한다(S305).
이어서,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측정된 신호 강도 세기를 이용하여, 단말과 각 기기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단말로부터 가장 근접한 기기를 지정한다(S307). 즉,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측정된 신호 강도 세기에서 가장 세기가 높은 기기를 지정한다.
그 후에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지정된 기기로 재생이 일시 정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S213). 그리고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S215).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완료 시, 제어부(111)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113)를 구동시켜 전술한 S209 과정에서 재생이 일시 정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어서 재생시킨다(S217). 그리고 제어부(111)는 재생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219), 해당 기능을 종료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예컨대 특정 멀티미디어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멀티미디어 파일 표시 모드를 확인 한다(S401).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선택을 위하여 메뉴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표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과정은 멀티미디어 파일 표시 모드의 경우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 등의 표시 모드인 경우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파일 표시 모드 시,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멀티미디어 파일을 선택받는다(S403).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401 과정이 텍스트 파일 표시 모드인 경우, 본 과정에서는 제어부(111)가 표시되는 텍스트 파일 중에서 특정 텍스트 파일을 선택받는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센서(115)를 통해 단말의 흔들림 여부를 확인한다(S405). 그리고 센서(115)를 통해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제어부(111)는 설정된 횟수의 흔들림이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7).
설정된 횟수의 흔들림이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구동시킨다(S409).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근접한 기기를 지정한다(S211). 본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그 후에, 제어부(11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지정된 기기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S411). 그리고 제어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의 전송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S413), 파일 전송 완료 시, 해당 기능을 종 료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을 위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을 위한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흔들림에 따른 파일 전송 기능의 설정 모드를 확인한다(S501). 사용자는 메뉴를 통해 제공되는 파일 전송을 위한 설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설정 모드 시, 제어부(111)는 단말의 흔들림 횟수와 흔들림의 시간이 설정됨을 인지한다(S503).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의 흔들림 횟수를 예컨대, 단말을 위아래 방향으로 3 번 흔드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흔들림 시간을 예컨대, 단말을 위아래 방향으로 3 번 흔드는 것이 3 초 이내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흔들림 시간은 단말의 흔들림 사이의 시간 간격이 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위아래 방향으로 한 번 씩 흔들리는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서, 사용자는 흔들림 사이의 시간 간격이 1 초 이내가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해당 기능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505), 해당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구동 시,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들을 검색하는 과정을 진행하지만, 이미 연결했던 기기들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구동 시, 제어부는 이미 연결했던 기기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기들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시도한다. 그 후에, 각 기기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근접 기기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구동 시,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파일을 일시 정지 시켰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파일을 계속 재생하면서,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지정된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전송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와 도 4의 근접한 기기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전송을 위한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파일 표시 중에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과정은,
    상기 검색된 기기들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여, 가장 근접한 기기를 지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지정된 근접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과정 이전에 상기 단말의 흔들림에 따른 파일 전송 기능의 설정 모드 선택 시, 상기 단말의 흔들림 횟수와 흔들림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과정은,
    상기 설정된 횟수의 상기 단말의 흔들림이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과정은,
    상기 파일이 멀티미디어 파일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구동 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완료 시, 상기 일시 정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어서 재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전송 방법.
  8.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단말의 흔들림을 인지하는 센서와,
    파일 표시 중에 상기 센서로부터 단말의 흔들림 인지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검색된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검색된 기기들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검색된 기기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통해 가장 근접한 기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근접 기기로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에 따른 파일 전송 기능의 설정 모드 선택 시, 상기 단말의 흔들림 횟수와 흔들림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횟수의 상기 단말의 흔들림이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지 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이 멀티미디어 파일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구동 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 완료 시, 상기 일시 정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어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70077543A 2007-08-01 2007-08-01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KR20090013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43A KR20090013436A (ko) 2007-08-01 2007-08-01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43A KR20090013436A (ko) 2007-08-01 2007-08-01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436A true KR20090013436A (ko) 2009-02-05

Family

ID=4068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543A KR20090013436A (ko) 2007-08-01 2007-08-01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4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725A (ko) * 2010-05-14 201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145528B1 (ko) * 2010-10-18 2012-05-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dlna 디바이스
KR20180017073A (ko) * 2016-03-22 2018-02-20 (주)잼투고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US11438510B2 (en) 2016-03-22 2022-09-06 Jung Yoon Chu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725A (ko) * 2010-05-14 201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145528B1 (ko) * 2010-10-18 2012-05-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dlna 디바이스
KR20180017073A (ko) * 2016-03-22 2018-02-20 (주)잼투고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US11438510B2 (en) 2016-03-22 2022-09-06 Jung Yoon Chu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2538B (zh) 音乐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271081B (zh) 滚动截屏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183737B1 (ko) 동작 인식이 가능한 멀티 이어폰 장치 및 이 장치의 동작 인식 방법
CN109756784B (zh) 音乐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200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audio data
EP3754476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erminal
CN104506649B (zh) 通知消息推送方法及装置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9371A (ko)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743461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902657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5406882A (zh) 终端设备控制方法及装置
EP3086221A2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13436A (ko)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CN110798327B (zh) 消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8668010A (zh) 移动终端控制方法、手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54209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694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14827069A (zh) 多媒体数据分享方法及装置
CN108966026B (zh) 制作视频文件的方法和装置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500897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0377208B (zh) 音频播放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67114B (zh) 视频文件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70005706A (ko) 숙련도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