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422A - 연삭기 - Google Patents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422A
KR20120039422A KR1020100101124A KR20100101124A KR20120039422A KR 20120039422 A KR20120039422 A KR 20120039422A KR 1020100101124 A KR1020100101124 A KR 1020100101124A KR 20100101124 A KR20100101124 A KR 20100101124A KR 20120039422 A KR20120039422 A KR 2012003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ain body
motor
unit
gr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진
박기석
김용권
Original Assignee
홍원진
김용권
박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원진, 김용권, 박기석 filed Critical 홍원진
Priority to KR102010010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422A/ko
Publication of KR2012003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연삭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삭기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되고 내부에 연삭날이 구비되는 연삭부와, 본체에 마련되어 연삭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본체에 마련되어 가공면에 대한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삭기{GR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모터를 적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가공면의 기울기에 따라 연삭날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건설현장의 벽면이나 바닥면의 클리닝작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나 콘트리트의 면 가공 또는 에폭시 코팅 제거작업, 도로공사 후 도로면의 평활하지 못한 부위를 강제로 평활하게 가공 처리하여 마무리 공정을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연삭기는 건물축조 공사 후 실내 바닥면에 타일공사나 도료, 도장 공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평탄하게 연마하거나, 또는 부식으로 인하여 표면에 녹이 생긴 철판의 표면을 연마할 때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연삭기 중 건물의 바닥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삭기는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회전을 통해 바닥을 연마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결합되는 연삭 휠로 구성되며, 연삭 휠이 회전판을 통해 구동부에 결합된다.
이때, 연삭 휠에는 바닥을 연마할 수 있는 연삭 팁이나 숫돌이 부착된다.
또한, 연삭기는 연마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판에 연삭 휠이 복수개 결합되며, 작업 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회전판이 하우징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 따른 연삭기에 의하면, 일반적인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기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연삭기의 이동에 의해 전선이 바닥에 끌려 피복이 벗겨짐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성을 지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삭 가공시 가공면의 단차가 심하거나, 연삭날의 마모가 발생하면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여 작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압모터를 적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가공면의 기울기와 연삭날의 마모상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삭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되고 내부에 연삭날이 구비되는 연삭부와, 본체에 마련되어 연삭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본체에 마련되어 가공면에 대한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삭부는 가공면의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산방지부는 연삭부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밀착패드 및 밀착패드가 가공면의 단차 또는 연삭날의 마모에 따라 대응되도록 유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본체에 구비되는 모터와, 모터에 축 연결되는 전동풀리와, 연삭날에 축 연결되는 종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전동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터는 공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벨트는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조절부는 모터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본체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가변브라켓 및 가변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과, 힌지브라켓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퀴 및 힌지브라켓을 회동시켜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는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작동부재 및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는 종래 발명과 달리 연삭날을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공압모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전기모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바퀴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공면의 기울기 및 연삭날의 마모에 따른 높이변경에 바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연삭부에는 확산방지부가 구비되어 연삭가공에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확산방지부는 상하 유동가능하므로 가공물의 단차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장력조절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확산방지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장력조절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기울기 조절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확산방지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100)는 크게, 본체(110), 연삭부(120), 구동부(140) 및 기울기 조절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측 하부에는 내부에 연삭날(115)이 구비되는 연삭부(120)가 형성되고, 후측에는 연삭부(120)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연삭부(120)는 내부에 연삭날(115)이 수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삭부(120)는 가공면의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부(130)를 포함한다.
확산방지부(130)는 연삭부(120)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밀착패드(132) 및 밀착패드(132)의 가공면의 단차 또는 연삭날(115)의 마모에 따라 대응되도록 유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밀착패드(132)는 연삭부(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34)는 연삭부(12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6) 및 가이드돌기(136)가 삽입되도록 밀착패드(132)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40)는 본체(110)에 마련되며, 연삭날(115)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 구비되는 모터(142)와, 모터(142)에 축 연결되는 전동풀리(144)와, 연삭날(115)에 축 연결되는 종동풀리(146) 및 종동풀리(146)와 전동풀리(144)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모터(142)는 공압모터로 이루어진다. 이는 기존의 전기모터를 배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공압모터는 외부에 구비된 콘프레셔에 의해 공기를 제공받아 가동된다.
그리고, 벨트(148)는 장력조절부(150)에 의해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장력조절부(150)는 모터(142)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본체(110)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가변브라켓(152)과, 가변브라켓(15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변브라켓(152)은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는데,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터(142)가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154)는 가변브라켓(15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장홀(156)과, 장홀(156)을 관통하여 본체(110)에 결속되는 체결부재(1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가변브라켓(152)은 보조고정부(16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조고정부(160)는 가변브라켓(152)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며,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돌기(162)와, 고정돌기(162)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64) 및 고정브라켓(164)의 양측에 구비되어 고정돌기(162)에 결합되는 너트부재(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울기 조절부(170)는 본체(110)에 마련되고, 가공면에 대한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172)과, 힌지브라켓(17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퀴(174) 및 힌지브라켓(172)을 회동시켜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작동부(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브라켓(172)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바퀴(174)는 힌지브라켓(17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작동부(175)는 힌지브라켓(172)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부재(176) 및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176)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가변부재(1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길이가변부재(178)는 베어링에 의해 본체(110)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변부재(178)와 작동부재(176)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길이가변부재(178)의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된 작동부재(176)가 이동됨으로, 힌지브라켓(172)을 회전시켜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 콘프레셔에서 모터(142)로 공기가 제공되면, 공압에 의해 모터(142)가 회전되고, 모터(142)의 회전에 의해 연삭부(120) 내에서 연삭날(115)이 회전된다.
연삭날(115)의 회전에 의해 가공면을 연삭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가공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기존의 전기모터가 아닌 공압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가공면의 가공에 있어서, 연삭날(115)의 마모 또는 가공면의 기울기에 의해 본체(110)가 가공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본체(110)의 후단부에 마련된 길이가변부재(178)를 회전시켜주면, 길이가변부재(178)에 나사결합된 작동부재(176)가 이동되면서, 힌지브라켓(172)을 회동시킨다.
힌지브라켓(172)의 회동에 의해 본체(110)의 기울기가 조절됨으로, 상기한 상황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삭부(120)에는 링 형상의 밀착패드(132)가 구비되어 연삭가공 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밀착패드(132)는 가이드부재(13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어 작업 시 가공면의 단차 또는 연삭날(115)의 마모에 대응하여 가공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모터(142)의 동력을 연삭날(115)에 전달하는 벨트(148)는 온도 또는 사용시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게 되어 회전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장력조절부(150)에 의해 벨트(148)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브라켓(152)의 장홀(156)에 고정된 체결부재(158)를 풀고, 고정돌기(162)의 체결된 너트부재(164)를 풀어준 후 모터(142)가 고정된 가변브라켓(15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조절하고, 다시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모터(142)의 회전을 연삭날(115)에 정확하게 전달함은 물론, 벨트(148)의 교체도 용이하다.
상기한 구성은, 공압모터를 적용함으로써, 전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가공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능이 향상되는 연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연삭기 110 : 본체
115 : 연삭날 120 : 연삭부
130 : 확산방지부 132 : 밀착패드
134 : 가이드부재 136 : 가이드돌기
138 : 가이드홀 140 : 구동부
142 : 모터 144 : 전동풀리
146 : 종동풀리 148 : 벨트
150 : 장력조절부 152 : 가변브라켓
154 : 고정부 156 : 장홀
158 : 체결부재 160 : 보조고정부
162 : 고정돌기 164 : 고정브라켓
164 : 너트부재 170 : 기울기 조절부
172 : 힌지브라켓 174 : 지지바퀴
175 : 작동부 176 : 작동부재
178 : 길이가변부재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내부에 연삭날이 구비되는 연삭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연삭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가공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는 가공면의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지부는 상기 연삭부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밀착패드; 및
    상기 밀착패드가 가공면의 단차 또는 상기 연삭날의 마모에 따라 대응되도록 유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축 연결되는 전동풀리;
    상기 연삭날에 축 연결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전동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공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모터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가변브라켓; 및
    상기 가변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퀴; 및
    상기 힌지브라켓을 회동시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KR1020100101124A 2010-10-15 2010-10-15 연삭기 KR20120039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24A KR20120039422A (ko) 2010-10-15 2010-10-15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24A KR20120039422A (ko) 2010-10-15 2010-10-15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22A true KR20120039422A (ko) 2012-04-25

Family

ID=4613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24A KR20120039422A (ko) 2010-10-15 2010-10-15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94A (ko) * 2018-06-12 2019-12-20 신영상 핸드그라인더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94A (ko) * 2018-06-12 2019-12-20 신영상 핸드그라인더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872B1 (en) Multi-wheel grinder tool
KR200451361Y1 (ko) 선체 외판 고소 작업용 로봇의 전처리 작업 모듈
WO2007093874A1 (en) Sanding disc,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04996A1 (en) Finishing machine
US6202775B1 (en) Rotary floor finisher for use with a power rider trailer
KR101410144B1 (ko) 칼 연마장치
KR20110056610A (ko) 이동식 연마장치
JPH11129159A (ja) 表面研き装置
KR20120039422A (ko) 연삭기
CN106976015B (zh) 一种卡接支撑式花岗岩打磨机
CN211867358U (zh) 一种自动打磨抛光设备
US1980491A (en) Terrazzo grinding apparatus
KR101602577B1 (ko) 에어 집진 스위핑 장치
CN113414673B (zh) 一种电动机端盖成型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209754744U (zh) 轴承内圈抛光装置
CN209737232U (zh) 一种双磨头外圆镜面抛光机
CN109746788B (zh) 一种实木加工用打磨机及其使用方法
CN104802056B (zh) 用于园林道路的路牙石且能降尘的修边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1138203A (ja) 表面研き装置
KR102532665B1 (ko) 연마폭의 조절이 용이한 연마기
KR102445917B1 (ko) 축 연마장치
CN210232466U (zh) 一种砂光机的导向轨道
CN208496618U (zh) 一种建筑施工用高效稳定的多用打磨机
CN219131826U (zh) 易操作砂带机
CN209737266U (zh) 一种小直径弯管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