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265A - 전자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265A
KR20120039265A KR1020100100875A KR20100100875A KR20120039265A KR 20120039265 A KR20120039265 A KR 20120039265A KR 1020100100875 A KR1020100100875 A KR 1020100100875A KR 20100100875 A KR20100100875 A KR 20100100875A KR 20120039265 A KR20120039265 A KR 2012003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re
fixed
contac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088B1 (ko
Inventor
최연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0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7/00Regulating magnetic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개폐장치의 구동부에 포함되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형상 변경을 통해 자력 분포를 균일화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개폐장치{Elect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개폐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자력 분포를 균일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개폐장치는 전자기력에 의해 접점을 개폐함으로써 부하에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서 사용된다.
전자개폐장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부가 가동접점을 전자기력을 이용해 구동시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본 발명자는 신뢰성 있는 전자개폐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전자개폐장치의 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 분포를 균일화하여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자력 분포를 균일화하여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전자개폐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개폐장치의 구동부에 포함되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형상 변경을 통해 자력 분포를 균일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개폐장치의 구동부에 포함되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형상 변경을 통해 자력 분포를 균일화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자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자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전자기력을 이용해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개폐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에 포함되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형상 변경을 통해 자력 분포를 균일화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단 일부가 절개되어 제1형상을 이루는 고정코어와, 자력 분포를 균일화하기 위해 상기 제1형상에 대향하는 일측단 일부가 절개되어 제2형상을 이루는 가동코어와,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가 고정코어와 이탈 또는 접근되도록 구동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1형상과 제2형상에 의해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대향면에서 자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이에 따라 자기력이 균일해져 자기력의 안정적인 전달이 이루어져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장치(100)는 고정접점(110)과, 가동접점(120)과, 구동부(130)와, 케이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접점(110)은 전원 입력에 연결되는 제1고정접점(111)과, 부하에 연결되는 제2고정접점(112)을 포함하며, 예컨대, 케이스(14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20)은 상기 고정접점(110)과 접촉 또는 이격된다.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에 접촉시에는 제1고정접점(111)과 제2고정접점(112)이 가동접점(1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접점(1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1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된다.
한편,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으로부터 이격시에는 제1고정접점(111)과 제2고정접점(112)간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제1고정접점(1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1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가동접점(120)을 전자기력을 이용해 구동시켜,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과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와, 샤프트(133) 및 코일(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코어(131)는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가동코어(132)를 끌어당긴다. 예컨대, 고정코어(131)는 케이스(140)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샤프트(133)를 통과시키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코어(132)는 상기 고정코어(131) 하부에 설치되며,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이동된다.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에 인력이 발생되면, 가동코어(132)가 고정코어(131)로 접근한다. 한편, 전자기력 발생이 중단되면, 중력에 의해 가동코어(132)가 고정코어(131)로부터 멀어진다.
상기 샤프트(133)는 일측은 상기 가동코어(13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접점(120)에 결합되어,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한 가동코어(132) 구동력을 가동접점(120)에 전달하여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과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전자기력 발생이 중단되면, 중력에 의해 가동코어(132)가 고정코어(131)로부터 멀어지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132)에 결합된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상기 코일(134)은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 주변에 설치되며, 전류 인가시 코일(134)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에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이 때,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는 자속(magnetic flux)을 통과시키는 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하며, 자속(magnetic flux)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에 인력이 발생된다.
상기 케이스(140)는 비자성 및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고정접점(110)과 가동접점(120)을 외부에서 감싸 밀폐하는 상부 케이스(141) 및 하부 케이스(142)와,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를 수납하여 밀폐하는 플런저 캡(143)과, 코일(134)을 수납하여 밀폐하는 코일 캡(1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부 케이스(141)에는 고정접점(110)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 케이스(142)에는 샤프트(133)를 통과시키는 홈을 구비한 고정코어(13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41)와 하부 케이스(142)가 결합되어 밀폐되는 공간에는 고정접점(110)으로부터 가동접점(120) 이탈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시키기 위한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개폐장치의 고정접점(110)과 가동접점(120) 접촉을 위한 동작을 알아본다. 먼저, 코일(134)에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에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이 때,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코일(134)을 권선한다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게 되어 인력이 발생되므로, 고정코어(131) 쪽으로 가동코어(132)가 이동된다. 이 때, 인력은 중력에 비해 커야한다.
그러면, 가동코어(132)에 일측이 결합된 샤프트(133)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샤프트(133)의 타측에 결합된 가동접점(120)이 이동하여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과 접촉된다.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에 접촉되면, 제1고정접점(111)과 제2고정접점(112)이 가동접점(1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접점(1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1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된다.
한편, 전자개폐장치의 고정접점(110)과 가동접점(120) 이격을 위한 동작을 알아본다. 고정접점(110)과 가동접점(120)이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134)에 전류를 더이상 인가하지 않으면, 코일 주변에 형성된 자기장이 사라지고, 이에 따라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에 발생된 자속(magnetic flux)도 사라진다.
그러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의 인력이 사라져 가동접점(120)에는 중력만 작용하므로, 가동접점(12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132)에 일측이 결합된 샤프트(133)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샤프트(133)의 타측에 결합된 가동접점(120) 역시 낙하하여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으로부터 이탈된다.
가동접점(120)이 고정접점(110)으로부터 이탈되면, 제1고정접점(111)과 제2고정접점(112)간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제1고정접점(1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1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는 고정코어(131) 일측단의 제1형상은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가동코어(132) 일측단의 제2형상은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1형상과,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2형상간에는 도 5 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자력 분포가 형성된다. 자속밀도는 자속의 방향과 수직한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자력선의 수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므로, 자속밀도는 자력선수에는 비례하고 면적에는 반비례하는 값이다.
고정코어(131) 일측단의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132) 일측단의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2형상에 의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자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자속 밀도가 높아지므로 자기력은 커진다.
따라서,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의 인력이 커지게 되어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져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 접촉시 접촉 소음이 감소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장치(200)는 고정접점(210)과, 가동접점(220)과, 구동부(230)와, 케이스(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접점(210)은 전원 입력에 연결되는 제1고정접점(211)과, 부하에 연결되는 제2고정접점(212)을 포함하며, 예컨대, 케이스(24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220)은 상기 고정접점(210)과 접촉 또는 이격된다.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에 접촉시에는 제1고정접점(211)과 제2고정접점(212)이 가동접점(2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접점(2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2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된다.
한편,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으로부터 이격시에는 제1고정접점(211)과 제2고정접점(212)간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제1고정접점(2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2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가동접점(220)을 전자기력을 이용해 구동시켜,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과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230)는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와, 코일(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코어(231)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 때, 도 1 에 도시한 전자개폐장치와는 달리 이 실시예에서의 고정코어(231)는 가동코어(232)에 비해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코어(232)는 하부는 상기 고정코어(231)에 대향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가동접점(220)과 결합된다. 즉, 가동코어(232)는 고정코어(231) 상부에 설치되며, 전자기력에 의한 척력에 의해 이동된다.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에 척력이 발생되면, 상부의 가동코어(232)가 하부의 고정코어(231)로부터 이탈한다. 한편, 전자기력 발생이 중단되면, 중력에 의해 가동코어(232)가 고정코어(231) 쪽으로 낙하한다.
상기 코일(232)은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에 척력을 발생시켜 상부의 가동코어(232)가 하부의 고정코어(231)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동하여 고정접점(210)에 가동접점(220)이 접촉되도록 한다.
즉,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 주변에 설치되는 코일(233)에 전류 인가시 코일(233)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에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이 때,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는 자속(magnetic flux)을 통과시키는 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하며, 자속(magnetic flux)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에 척력이 발생된다.
상기 케이스(240)는 비자성 및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고정접점(210)과 가동접점(220)을 외부에서 감싸 밀폐하는 상부 케이스(241) 및 하부 케이스(242)와,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를 수납하여 밀폐하는 플런저 캡(243)과, 코일(233)을 수납하여 밀폐하는 코일 캡(2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부 케이스(241)에는 고정접점(210)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 케이스(242)에는 가동접점(220)에 일단이 결합되는 가동코어(232)를 통과시키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41)와 하부 케이스(242)가 결합되어 밀폐되는 공간에는 고정접점(210)으로부터 가동접점(220) 이탈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시키기 위한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개폐장치의 고정접점(210)과 가동접점(220) 접촉을 위한 동작을 알아본다. 먼저, 코일(233)에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에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이 때,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이 서로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코일(233)을 권선한다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이 서로 같은 극성을 가지게 되어 척력이 발생되므로, 하부의 고정코어(231)로부터 상부의 가동코어(232)가 이탈된다. 이 때, 척력은 중력에 비해 커야한다.
그러면, 가동코어(232)에 타측에 결합된 가동접점(220)이 이동하여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과 접촉된다.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에 접촉되면, 제1고정접점(211)과 제2고정접점(212)이 가동접점(2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접점(2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2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된다.
한편, 전자개폐장치의 고정접점(210)과 가동접점(220) 이격을 위한 동작을 알아본다. 고정접점(210)과 가동접점(220)이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233)에 전류를 더이상 인가하지 않으면, 코일 주변에 형성된 자기장이 사라지고, 이에 따라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에 발생된 자속(magnetic flux)도 사라진다.
그러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의 척력이 사라져 가동접점(220)에는 중력만 작용하므로, 가동접점(22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232)의 일측에 결합된 가동접점(220) 역시 낙하하여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으로부터 이탈된다.
가동접점(220)이 고정접점(210)으로부터 이탈되면, 제1고정접점(211)과 제2고정접점(212)간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제1고정접점(21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2고정접점(212)을 통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는 고정코어(231) 일측단의 제1형상은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가동코어(232) 일측단의 제2형상은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정코어(231) 일측단의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232) 일측단의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의 제2형상에 의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자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자속 밀도가 높아지므로 자기력은 커진다.
따라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의 척력이 커지게 되어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져 중력에 의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 접촉시 접촉 소음이 감소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와 장치 구성은 동일하고, 고정코어(131)에 형성되는 제1형상과, 가동코어(132)에 형성되는 제2형상이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다르다.
도 3 에 도시한 실시예는 고정코어(131) 일측단의 제1형상은 양각으로 단턱된 형상으로, 가동코어(132) 일측단의 제2형상은 음각으로 단턱된 형상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양각으로 단턱된 제1형상과, 음각으로 단턱된 제2형상간에는 도 6 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자력 분포가 형성된다. 자속밀도는 자속의 방향과 수직한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자력선의 수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므로, 자속밀도는 자력선수에는 비례하고 면적에는 반비례하는 값이다.
고정코어(131) 일측단의 양각으로 단턱된 제1형상과, 가동코어(132) 일측단의 음각으로 단턱된 제2형상에 의해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자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자속 밀도가 높아지므로 자기력은 커진다.
따라서,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간의 인력이 커지게 되어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져 고정코어(131)와 가동코어(132) 접촉시 접촉 소음이 감소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와 장치 구성은 동일하고, 고정코어(231)에 형성되는 제1형상과, 가동코어(232)에 형성되는 제2형상이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다르다.
도 4 에 도시한 실시예는 고정코어(231) 일측단의 제1형상은 음각으로 단턱된 형상으로, 가동코어(232) 일측단의 제2형상은 양각으로 단턱된 형상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정코어(231) 일측단의 음각으로 단턱된 제1형상과, 가동코어(232) 일측단의 양각으로 단턱된 제2형상에 의해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자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자속 밀도가 높아지므로 자기력은 커진다.
따라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간의 척력이 커지게 되어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가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작아져 중력에 의한 고정코어(231)와 가동코어(232) 접촉시 접촉 소음이 감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형상과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을 적게하기 위해 제1형상 또는 제2형상의 접촉면 일부를 절개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제1형상과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이 적으면 적을수록 접촉에 의한 소음이 감소된다.
도 1 의 경우 가동코어(132)의 상단 일부분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있어 고정코어(131)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132)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이 절개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적음을 볼 수 있다.
도 2 의 경우 고정코어(231)의 상단 일부분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있어 고정코어(231)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232)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이 절개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적음을 볼 수 있다.
도 3 의 경우 가동코어(132)의 상단 외곽 일부분이 사선으로 절개되어 있어 고정코어(131)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132)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이 절개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적음을 볼 수 있다.
도 4 의 경우 고정코어(231)의 상단 외곽 일부분이 사선으로 절개되어 있어 고정코어(231)의 제1형상과 가동코어(232)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이 절개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적음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개폐장치의 구동부에 포함되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형상 변경을 통해 자력 분포를 균일화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전자개폐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200 : 전자개폐장치 110, 210 : 고정접점
120, 220 : 가동접점 130, 230 : 구동부
131, 231 : 고정코어 132, 232 : 가동코어
133 : 샤프트 134, 233 : 코일
140, 240 : 케이스 141, 241 : 상부 케이스
142, 242 : 하부 케이스 143, 243 : 플런저 캡
144, 244 : 코일 캡

Claims (6)

  1.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전자기력을 이용해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일측단 일부가 절개되어 제1형상을 이루는 고정코어와;
    자력 분포를 균일화하기 위해 상기 제1형상에 대향하는 일측단 일부가 절개되어 제2형상을 이루는 가동코어와;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가 고정코어와 이탈 또는 접근되도록 구동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은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이고, 제2형상은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은 음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이고, 제2형상은 양각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은 양각으로 단턱된 형상이고, 제2형상은 음각으로 단턱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은 음각으로 단턱된 형상이고, 제2형상은 양각으로 단턱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과 제2형상의 접촉 면적을 적게하기 위해 제1형상 또는 제2형상의 접촉면 일부를 절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KR20100100875A 2010-10-15 2010-10-15 전자개폐장치 KR10116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0875A KR101165088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0875A KR101165088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265A true KR20120039265A (ko) 2012-04-25
KR101165088B1 KR101165088B1 (ko) 2012-07-12

Family

ID=4613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0875A KR101165088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450A (en) 1981-12-21 1984-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d flux contactor
JPH10125196A (ja) * 1996-07-31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封止接点装置
JP2006310250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装置
JP4470843B2 (ja) 2005-03-28 2010-06-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088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015B1 (ko) 전자개폐장치
US8760247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869719B1 (ko) 전자접촉기
KR101846224B1 (ko) 전자 개폐기
US20140014622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7422370B2 (ja) アーク経路形成部及びそれを含む直流リレー
JP2013537712A (ja) 永久磁石と電磁石とを組み合わせた磁性体保持装置
KR20120039462A (ko) 전자 개폐장치
KR102324517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140028141A (ko) 전자계전기
KR20210025959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2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5710984B2 (ja) 電磁接触器
JP2013246873A (ja) 接点装置
JP2012199137A (ja) リレー装置
KR20200144271A (ko) 직류 릴레이
KR101165088B1 (ko) 전자개폐장치
KR20210025963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1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170000324U (ko)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KR102452356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2010216271A (ja) 運動状態維持装置ユニットおよび運動状態維持装置
KR102347030B1 (ko) 가상 현실 제공 시스템
KR102508800B1 (ko) 직류 차단기
JP2018107045A (ja) 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