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855A -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 Google Patents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55A
KR20120038855A KR1020100100539A KR20100100539A KR20120038855A KR 20120038855 A KR20120038855 A KR 20120038855A KR 1020100100539 A KR1020100100539 A KR 1020100100539A KR 20100100539 A KR20100100539 A KR 20100100539A KR 20120038855 A KR20120038855 A KR 2012003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tone
panel
functional
reinforc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창기
Original Assignee
민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창기 filed Critical 민창기
Priority to KR102010010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855A/ko
Publication of KR201200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은, 목재질을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목재질 부분판넬에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을 갖춘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석재기능성 부분판넬을 적어도 하나 이상 복합 적층하여 형성시킨, 기능성 판넬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질을 재료로 하여 가는 두께의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목재질 부분판넬부와; 다수의 기능을 가지는 외장 및 마감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에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재질과 기능성을 갖는 석재질을 사용하여 형성시킴으로써 환경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 내충격성, 내부식성이 높고,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성능의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건축자재, 내외장 마감재, 가구나 각종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Wooden complexed panel strengthen of functionality}
본 발명은 목재와 석재를 주재료로 하는 판넬에 관한 것으로, 목재질을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목재질 부분판넬에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을 갖춘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석재기능성 부분판넬을 적어도 하나 이상 복합 적층하여 형성시킴으로써 기능성을 높이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조화시킨,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을 제시한 것이다.
건물의 벽은 공간을 분할하여 실(室, 房)을 구성하거나 구조체의 역할을 하는 외에도 장식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오래 전부터 벽과 담의 마감공사에 흙반죽과 회반죽을 발라서 내구성과 청결성을 도모하였고,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여왔다.
건물에 있어 마감은 내장마감과 외장마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내장 마감은 다시 벽, 천정, 바닥으로 구분되어 마감되는데 일반적으로 벽과 천장은 주로 페인트나 벽지로 마감되며, 바닥은 온돌 마루와 장판재로 마감된다. 흔히, 화장실이나 욕실, 다용도실, 주방처럼 물을 사용하는 공간에는 타일로 마감되며 특히 욕실이나 다용도실은 방수 석고보드 바탕과 바닥면에 방수 작업이 요구되기도 한다.
건물 마감의 한 종류인 종래로 판넬(Panel)을 이용하는 건식벽체는 전원주택, 일반건물, 전원 음식점, 아파트 내벽체 등에 사용되며 내외벽체 또는 칸막이 벽은 물론, 지붕, 슬래브 등의 내력형구조체로서 사용되고, 일부 규격 표준화로 시공비 절감 및 공기 단축을 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자재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기초가 되는 기본벽체는 스티로폼을 바탕으로 철선으로 메쉬(mesh) 보강하고 현장에서 시멘트 몰탈마감으로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나무(목재)는 가벼우며 강도가 크고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건물의 마감재로서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기술이 수행되어 왔다.
나무(목재)를 마감재로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5855호 '우드 판넬'이 있으며, 도 4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5855호 '우드 판넬'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95855호 '우드 판넬'은 도 4와 같이, 판넬형틀 내부면에 판넬형틀 두께와 맞도록 잡목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잡목(20)과 잡목(20) 사이사이에 수용성 접착제와; 물과 방부제 그리고 점토, 톱밥, 사질토가 혼합된 충진물(10)로 채워져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나무(목재)를 마감재로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또다른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4227호 '목재판넬'이 있으며, 도 5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4227호 '목재판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434227호의 목재판넬'은, MDF 또는 PB 판넬(2)과; 상기 MDF 또는 PB 판넬(2)의 상면에 형성되며 함침종이가 함입된 LPM층(4)과; 상기 LPM층(4)의 상면에 형성되되 펄이 함입된 투명도료층(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목재계 판넬이 각각의 자체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의해결을 꾀하고 있지만, 벽체의 최종 마감재로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4의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5855호 '우드 판넬'은, 다수의 잡목을 이용하고 또 점토, 톱밥, 사질토 등을 이용하여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기는 하지만, 건물 벽체의 최종 마감재로 시공하는 것에는 문제점이 많다.
뿐만 아니라, 도 5의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4227호의 목재판넬' 역시, MDF 또는 PB 패널 상에 LPM층을 형성하고, LPM층의 상면에 펄이 첨가된 투명도료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려함을 향상시켜 최종 마감재로서 이용가능하도록 하고 있지만, 펄이 첨가된 투명도료층이 최종 마감재의 최외각 표면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건물의 마감재나 혹은 기타 설비들의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뿐만아니라 새롭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건물벽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재료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질을 재료로 하여 가는 두께의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목재질 부분판넬부와; 다수의 기능을 가지는 외장 및 마감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에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를; 포함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는, 실내나 인테리어 장식을 위한 벽지나 혹은 가공된 종이와; 천이나 직물과; 돌이나 자연석을 가공한 천연원석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에 접합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천연원석재료는, 천연상태의 자연석을 얇은 '박(slice)' 형태로 일정 두께와 크기를 갖도록 가공한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와; 기초가 되는 시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얇게 펼쳐 놓은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로 가공제작한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에 접합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는, 그 표면을 코팅하여 처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은, 상기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이 설치되거나 시공된 장소에 대한 방음(防音) 및 차음(遮音)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등 다수의 기능을 갖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은, 목재질과 기능성을 갖는 석재질을 사용하여 형성시킴으로써 환경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 내충격성, 내부식성이 높고,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성능의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장소에 대한 방음(防音) 및 차음(遮音)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뛰어나고, 부자재 시공량이 적어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운반도 편리하는 등, 다양한 건축자재나 마감재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5855호 '우드 판넬'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4227호 '목재판넬'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은, 크게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와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를 포함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에 있어, 목재질 부분판넬부(110)는 목재질을 재료로 하여 가는 두께의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구성부이다.
또한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는 다수의 기능을 가지는 외장 및 마감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에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구성부이다.
앞서도 살펴보았지만, 목재는 가벼우며 강도가 크고,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따뜻한 느낌을 주며 자연적인 재료로서 건강에도 이롭다. 또한 비교적 가공하기 쉽고,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으며, 소리의 울림을 부드럽게 하는 등 다양한 특성이 있다.
하지만 목재는 불에 타기 쉽고 재질이 고르지 못하며, 습기가 있으면서도 타기 쉽고, 건조되면서 수축하여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성질이 있다. 또한 힘을 받는 방향에 따라 쉽게 갈라지는 등 재료로서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목재를 건물의 마감 재료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장단점을 잘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에 있어, 목재질 부분판넬부(110)는 목재질을 재료로 하여 가는 두께의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구성부이며, 이를 위해 목재를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거나 혹은 필요한 상태로 새롭게 가공된 목재재료를 이용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 제작을 위해, 목재를 어느 정도의 두께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10mm 정도의 두께로 절단해 낸다. 이런 공정에 앞서 목재에 포함된 송진이나 기름기 등을 배출시키기 위해 목재를 일정기간 산도(Ph)와 염분이 조절된 물에 침지시키는 등의 과정도 좋다. 이 후, 건조시켜 그 표면을 매끄럽게 문지르고 원하는 모양으로 다듬어 준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에서는 위와 같은 원목형 목재판넬 이외에도 합판이나 가격이 저렴한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기타 PB(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 등 목재 재질을 가공한 가공 목재질판을 목재질 부분판넬부(110)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목재질 부분판넬부(110)는 필요에 따라 목재용 착색제나 오일로 처리한 후 준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용으로 결정한 목재를 처음부터 하나하나 가공하여 준비하든, 혹은 가공 목재질판을 이용하든 목재질 부분판넬부(110)를 준비한 후, 준비된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덧붙이기 위한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은 마감재나 외장 용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의 일측면에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를 접합시키는 형태로 완성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 특히 본 고안에서 중심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건물의 내벽에는, 실내나 인테리어 장식을 위한 벽지나 가공된 종이, 혹은 천이나 직물 등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감재로 마감을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연석인 돌을 얇은 형태 즉 '박(slice)' 형태로 가공하여 '스톤 슬라이스(stone slice)'를 준비하고, 이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앞서 준비한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접합 형성시켜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을 형성하여 완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시킨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로 건물의 벽면을 최종적으로 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를 구성하는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는 석재인 스톤(stone)의 자연무늬를 살릴수 있도록 거대한 바위 형태의 원석을 슬라이스(slice) 형태로 얇게 자르거나, 혹은 원석의 특성에 따라 '박(slice)' 형태로 얇게 떼어낸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의 일면에 나타난 무늬는 인공적인 것이 아니라 천연석의 스톤슬라이스에 의한 천연 상태의 자연석 무늬인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에 있어 스톤슬라이스 형태에 의한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를 형성한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과 공정이 뒤따른다. 즉 스톤슬라이스 가공은 원석을 수 십 혹은 수 백 mm와 같은 두께로 가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톤슬라이스 가공을 위해 최초 준비하는 큰 바위 형태의 원석도 가공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깨지거나 부셔지므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자연상태인 돌을 얇게 가공해 내는 것은 어려운 공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앞서와 같은 공정을 통해 스톤슬라이스를 가공해 낸 후에도, 이렇게 준비한 스톤슬라이스를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안전한 상태로 접합 형성하는 것 또한 어려운 작업이다. 즉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스톤슬라이스를 일반적인 본드나 접착제로 접합시키게 되면 오래가지 않아 대부분 떨어지게 된다.
물론 단단하게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스톤슬라이스 자체를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접합시켜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약 3mm 이상과 같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준비되는 경우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를 형성하지 않고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바로 접합시켜도 좋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톤슬라이스로 마분지와 같은 형태의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를 형성하고, 이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를 다시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접합시켜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을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는, 먼저 기초가 되는 시트지 상에, 앞서와 같이 미리 준비한 다수의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얇게 펼쳐 놓은 상태에서 열가압시키거나 접합부착시키는 형태로 가공제작하여 일정한 두께, 예컨대 2~3mm 정도나 또는 필요한 경우 그 이상의 두께가 되도록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를 형성한다.
이 후 준비된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나 혹은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에 가압 접합시켜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을 최종완성해 낸다. 이때에도 필요한 경우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나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의 한쪽에 특수 형태의 접착제(150) 예컨대 세라코트 계열의 접착제를 용도에 맞게 바른 후 접합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공정과 달리 열을 가한 상태에서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을 완성해 낼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완성시킨 본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에는 접합부착시킨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의 표면을 코팅처리(120c)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은 유광 혹은 무광 형태 등 모두 가능하고, 유광코팅의 경우 광택비율을 조정해 가면서 실시할 수 있어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조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이나 습기에도 문제가 없도록 함은 물론, 자체 강도와 제품의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물청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등 관리에도 많은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은 패브릭, 도장 마감 등 다양한 마감재 적용할 수 있고, 부자재 시공량이 적어 시공성 우수하면서도 시공비용이 저렴하다. 특히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수영장, 보일러실 등을 마감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에 따른 성능저하가 없으며, 효과가 뛰어나다. 아울러 건축시공시 부자재 시공량이 적어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운반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10)은 목재질 부분판넬부(110)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흡음 성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불연성 금속 흡음재로 화재에 강하며, 내구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친환경성 또한 우수하다.
뿐만아니라 본 실시예의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120)는 소리가 안팎으로 새어나가거나 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음(防音) 기능과, 소리에너지를 차단하는 차음(遮音) 기능을 증대시켜 좋아 설비 공간의 소음을 방지해 주는 등 그 기능성도 높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110 : 목재질 부분판넬부
120 : 석재기능성 부분판넬부 120c : 코팅처리
150 : 접착제

Claims (5)

  1. 목재와 석재를 주재료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넬에 있어서,
    목재질을 재료로 하여 가는 두께의 판넬형태로 형성시킨 목재질 부분판넬부와;
    다수의 기능을 가지는 외장 및 마감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에 석재 재료를 가공후 접합 형성시킨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는,
    실내나 인테리어 장식을 위한 벽지나 혹은 가공된 종이와;
    천이나 직물과;
    돌이나 자연석을 가공한 천연원석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에 접합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연원석재료는,
    천연상태의 자연석을 얇은 '박(slice)' 형태로 일정 두께와 크기를 갖도록 가공한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와;
    기초가 되는 시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스톤슬라이스(stone slice)를 얇게 펼쳐 놓은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로 가공제작한 스톤슬라이스시트(stone slice she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목재질 부분판넬부에 접합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기능성 부분판넬부는,
    그 표면을 코팅하여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은,
    상기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이 설치되거나 시공된 장소에 대한 방음(防音) 및 차음(遮音)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KR1020100100539A 2010-10-14 2010-10-14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KR20120038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39A KR20120038855A (ko) 2010-10-14 2010-10-14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39A KR20120038855A (ko) 2010-10-14 2010-10-14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55A true KR20120038855A (ko) 2012-04-24

Family

ID=4613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539A KR20120038855A (ko) 2010-10-14 2010-10-14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88B1 (ko) * 2018-10-23 2019-05-24 대림산업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방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88B1 (ko) * 2018-10-23 2019-05-24 대림산업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방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gger et al. Basics materials
RU2690989C2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плита osb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в стенах для систем постройки дома
US20180051469A1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RU141318U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лоист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и внутренний наполнитель для нее
KR100730089B1 (ko) 콘크리트 외벽체 무늬형 복합소재 외장패널 판재
CN201003255Y (zh) 墙面保温装饰复合板材
McMorrough The Architecture Reference & Specification Book: Everything Architects Need to Know Every Day
KR20120038855A (ko) 목재질 기능성강화 복합판넬
RU249487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го сло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варианты)
RU156288U1 (ru) Деревян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KR100389676B1 (ko) 온돌용 마루바닥판재
KR100605534B1 (ko) 한지 마루판
KR200341186Y1 (ko) 한지 마루판
RU2596236C1 (ru) Камерная деревя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CN216380362U (zh) 无机原木一体板及建筑结构
Balkan Assessment of wood laminated material for housing production
CN214575280U (zh) 一种吸音防潮板
KR101054335B1 (ko) 기능성강화 흡음복합 알루미늄 발포형 판넬
RU160106U1 (ru) Деревян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WO2017135917A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KR101054334B1 (ko) 기능성강화 하니콤 알루미늄 판넬
TR201809199T4 (tr) Modifiye osb plakası ve ev yapım sistemleri için duvarlarda kullanımı.
RU68031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130051261A (ko) 항균, 내화성 건축내장용 복합판넬
KR200420499Y1 (ko) 목재와 황토를 이용한 양면 인테리어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