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612A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8612A KR20120038612A KR1020100100151A KR20100100151A KR20120038612A KR 20120038612 A KR20120038612 A KR 20120038612A KR 1020100100151 A KR1020100100151 A KR 1020100100151A KR 20100100151 A KR20100100151 A KR 20100100151A KR 20120038612 A KR20120038612 A KR 201200386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composition
- preventing
- canc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신장암에 대한 항암 효과가 탁월하여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신장암에 대한 항암 효과가 탁월한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장암(신세포암)은 미국에서는 성인암의 3%를 차지하며, 연간 약 32000명 정도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약 12000명 정도가 신세포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매년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중앙암등록 자료에 따르면, 1,587명의 환자가 새로 등록되어 전체 암발생의 1.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데, 2002년에 남성에서 1104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남성암의 장기별 등록분율 2.0%로 열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신장암의 치료방법은 암의 진행정도와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동반된 다른 질환의 유무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아 현재로는 수술로 암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이나, 또한 출혈, 감염, 수술 후 통증과 함께 장폐색, 기흉, 색전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면역화학요법 시행시에도 면역억제제에 대한 과민반응, 오한 및 발열, 오심 및 구토, 전신 쇠약감, 식욕부진, 두통, 빈혈, 백혈구감소증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독성과 부작용이 적으면서 신장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을 찾아내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비교적 인체에 안전한 한약재를 이용한 항암 치료약 및 항암 치료보조제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실험적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장기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에는 carbontetrachoride(CCl4), chloroform, phophorus, DEN(diethylnitrosamine) 등이 있다. 특히 DEN(diethylnitrosamine)은 유전자 독성 발암물질(genotoxic carcinogen)으로 간암, 대장암 및 신장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400여 가지 약재에 대한 실험과정 중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생약 복합 추출물이 DEN의 지속적 경구투여에 의한 신장암 유발 자극에 대해 신장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 공진단 제조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1,3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고본, 천마, 시호, 도인, 계지, 대황, 감초, 천궁, 진피, 택사, 황련, 황금, 복령, 작약, 백출, 황백, 치자, 반하, 조구등, 지실, 인삼, 맥문동, 원지, 석창포, 창출, 감국, 방풍, 생강, 망초, 대조, 단삼, 목단피, 지황, 박하, 산약, 저령, 하수오, 구자, 결명자, 독활, 두충, 백화사설초, 삼백초, 인진, 지모, 홍화, 황기, 석송자, 은행잎, 황정, 연자육, 용골, 지골피, 우슬, 숙지황, 흑임자, 백자인, 맥아, 파극천 및 해송 등의 각 생약 추출물을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장세포 손상 억제를 통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므로, 신장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제제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환제 형태로 가공시 식감이 우수하여 신장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항암공진단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층 분획을 얻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ABST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측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신장암 유도된 랫트에 투여한 후 신장조직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이 신장암 유도된 랫트의 LDH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ABST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측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신장암 유도된 랫트에 투여한 후 신장조직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이 신장암 유도된 랫트의 LDH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홍삼(Ginseng radix)은 오갈피과(Araliaceae)에 속한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의 건조근이다. 홍삼은 인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성미는 달고 조금 쓰며 성질은 평 (平)하며 비 (脾)와 폐 (肺)로 들어가 작용하며 한의학에서 주로 이용되며 중추신경에 대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고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예방 효과가 있어 강심작용, 항산화작용, 항피로작용, 항방사능작용과 혈당강하작용 기능을 한다. 주요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 ginsenosides), 파낙시놀(panaxynol), 베타-엘레멘(β-elemene), 말톨(maltol) 등이 있다. 홍삼의 액상 추출액은 빈혈, 당뇨병, 불면증, 위염, 혈압이상, 소화불량, 과로, 그리고 피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기자는 가지과(茄科:Solanaceae)에 속한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성숙한 과실로, Carotene, vitamin B1, vitamin B2, nicotin acid, vitamin C을 주로 함유하고, β-sitosterol,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의학적으로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며 간장과 신장에 들어가 기능를 보강하고 정을 보충시키며 눈을 맑게 한다고 하였다. 이것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동시에 동맥경화증 예방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것의 뿌리 또한 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뿌리껍질의 약리 실험에 의하면 혈압강하, 혈당량 저하, 살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산수유는 층층나무과(山茶萸科:Cornaceae)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과육에는 cornin, 즉 verbenalin, saponin, tannin, ursolic acid 및 vitamin A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의 지방유에는 palmitin acid, olein acid, linol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위 성분 중 코르닌은 신진 대사에 활력을 향상시켜주며, 항당뇨 효과가 추정되는 물질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로는 산수유가 면역세포의 활성을 항진시켜 면역증강능력을 하고 또한 일정 정도의 항암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한의학적으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시거나 떫고 간장과 신장에 작용한다. 간장, 신장의 기능을 보충하고 정액이 흘러나가는 것을 붙잡아 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미자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에 속한 오미자(북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l. 또는 화중오미자(남오미자) S. sphenanthera Rehd. et Wils.의 완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정유 약 3%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 속에 다양의 sesquicarene, β2-bisabclene, β-chamigrene, α-ylang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된 과실은 citral 12%, 사과산 10% 및 소량의 주석산을 함유하고 그 밖에 과당,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을 시고 달다. 폐, 심, 신장으로 들어가 수렴하고 거두어 들이며 기를 보충하고 진액을 생산하며 신장의 기운을 보충하고 진액을 생성하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분자는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루부스 코리아넘(Rubus coreanus)의 덜 익은 열매, 즉 미성숙과실을 일컫는다. 복분자는 예로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이나 민간에서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및 강정제에 치료 목적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복분자는 보간신, 명목 및 이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부스 코리아넘의 줄기에서 탄닌 성분 (-)-에피카테킨, (+)-카테킨 및 프로안토시아니딘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잎에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토사자(兎絲子, Cuscuta japonica Choisy)는 넝쿨 뻗는 메꽃과의 한해살이 풀로서,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 실새삼(C. australis R.) 및 갯실새삼(C. chinensis Lam)의 종자이다. 토사자는 강정, 강장제로서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수지 배당체, 비타민 A을 비롯하여 β-카로틴-5(β-carotene-5), 6-에폭시드(6-epoxide), 타라산틴(taraxanthin) 및 루틴(lutein)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울금(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은 다년생 숙근성 초본식물로서 생강과 식물인 강황, 울금, 아출의 덩이뿌리(塊根)이다. 항약(생약)대사전에 의하면 지질대사작용(동물실험)에 영향을 주며, 주동맥 및 관상동맥의 내막 반괴의 형성, 지질의 침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함유된 정유는 담즙의 분비와 배설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어 담낭을 수축시킴으로써 이담작용을 가지며 사상결석을 용해하므로 담석증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중약대사전에 의하면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한하고 독이 없으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울결된 것을 풀며 혈을 량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흉복협륵의 제통, 실심전광, 열병신혼, 토혈, 비출혈, 혈뇨, 혈림, 여자의 대상월경, 황달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당귀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당귀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방향성분인 정유 및 데쿠신, 진정작용하는 베타시토스테롤, 자당, 니코틴산, 엽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종 여성 질환, 생리불순, 생리통, 빈혈, 자궁 발육 부진, 산후 혈액 부족, 갱년기 장애 등에 두루 효과가 있고 여성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도와주는 작용이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로는 당귀가 세포성 면역반응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적으로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심장, 간, 비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혈을 보충하고 조화롭게 하며 생리(월경)를 조절하고 변을 잘 통하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각 생약 재료들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상태 또는 자연 그대로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1,3 부틸렌 글리콜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1 내지 20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배이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각 생약의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및 시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통상의 정제과정을 통해 정제시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및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신장암에 대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은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플라보노이드와 탄닌이 주성분이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방향족 폴리페놀로서 크게 플라보놀(flavonol), 플라본(flavone), 플라바논(flavanone), 플라바놀(flavanol),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 이소플라본(isoflavone)등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phenol hydroxyl(OH)기를 가지기 때문에 단백질 및 기타 거대분자들과 쉽게 결합하며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장세포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신장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장기 손상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DEN(diethylnitrosamine)에 의한 신장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생약 추출물 외에 상기 생약 추출물의 약리적 항암 효과 증진을 위한 다양한 다른 종류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생약 추출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약으로서, 고본, 천마, 시호, 도인, 계지, 대황, 감초, 천궁, 진피, 택사, 황련, 황금, 복령, 작약, 백출, 황백, 치자, 반하, 조구등, 지실, 인삼, 맥문동, 원지, 석창포, 창출, 감국, 방풍, 생강, 망초, 대조, 단삼, 목단피, 지황, 박하, 산약, 저령, 하수오, 구자, 결명자, 독활, 두충, 백화사설초, 삼백초, 인진, 지모, 홍화, 황기, 석송자, 은행잎, 황정, 연자육, 용골, 지골피, 우슬, 숙지황, 흑임자, 백자인, 맥아, 파극천 및 해송 등이 가능하며, 각 성분의 생약 추출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생물체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상기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을 캡슐에 부형제 없이 충전하거나 미립화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또는 그 양자와 균일하게 충분히 접촉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생성물을 바람직한 제제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의 예로서 전분, 물, 식염수, 에탄올, 글리세롤, 링거액 및 덱스트로스 용액 등을 들 수 있으며,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Ed., 199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형은 구강(oral), 직장(rectal), 비강(nasal), 국소(topical; 볼 및 혀 밑을 포함), 피하, 질(vaginal) 또는 비경구(parenteral; 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를 포함) 투여에 적당한 것 또는 흡입(inhalation) 또는 주입(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당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제, 로렌지,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스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슐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등의 주사용 형태, 좌제 주입방식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제 등 스프레이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좌제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코코아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 등 통상의 좌약 베이스를 포함하는 좌약 또는 체료 관장제와 같은 직장투여용 조성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 등의 스프레이용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표적인 한의학 처방약인 공진단의 주요구성성분으로 알려진 산수유 및 당귀를 포함하고, 다른 생약들, 즉, 홍삼,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및 울금을 적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암 작용을 나타내므로,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암 공진단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특히 환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제 형태는 생약을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각 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극세말하여 추출물과 가루를 혼합하고, 약액과 혼합한 가루는 다시 분쇄기에 넣어 극세말을 하여 300 내지 500mesh의 체에 걸러내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꿀과 함께 환(丸) 또는 단(丹), 원(元)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환ㆍ단ㆍ원으로 만든 약재는 다시 식용 금박(또는 은박)을 사용하여 포장을 할 수 있다. 금 또는 은은 예로부터 환약을 만들 때 사용되어 마음을 안정시키고 방충 방부의 효과로 공진단이나 우황청심원 같은 처방에 보조재료로 이용하여 왔다. 또한, 다른 형태로는 환을 만드는 과정은 동일하게 하고 자초나 단삼 같은 한약재 중에서 과거부터 염료로 사용해왔고 방충 방부의 효과가 있는 약재를 추출하여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흡입, 안구 내 또는 피내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며,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01 내지 100mg/kg, 바람직하게는 0.01~10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은 신장암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에 적용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장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신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신장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생약 재료들은 추출물 형태 외에도 재료 자체를 분말화하여 추가로 첨가하는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최종 제품의 상품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따라 다른 식품소재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유효한 첨가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원료에 대하여 생약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제의 형태로는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0.01~10 g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재료 준비
<1-1> 생약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재료로서,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를 약재상에서 구입한 후 분쇄하였다. 분말화된 생약재들을 표 1의 조성으로 총 약재 중량이 1kg이 되도록 한 후, 이를 추출기를 이용하여 100% 메탄올 4L로 7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약재명 | 비율(%) |
홍삼 | 20 |
구기자 | 20 |
산수유 | 10 |
오미자 | 10 |
복분자 | 10 |
토사자 | 10 |
울금 | 10 |
당귀 | 10 |
계 | 100 |
<1-2> 생약 추출물 분획 제조
상기 <1-1> 과정에서 제조된 100% 메탄올 추출물은 도 1과 같은 과정으로 용매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로부터 극성 용매 순으로 분리하여 5가지 분획으로 준비하였다. 즉 메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n-hexane과 물을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분액깔대기에 넣고 n-hexane 분획층을 얻었다. 그 후 수층을 분액깔대기에 넣고 같은 방법으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수층(aqueous) 분획을 차례로 얻었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수층 분획의 추출물은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중량법으로 각 분획의 수율을 구하였다. 각 분획 추출물은 -70℃에 냉동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항암공진단 추출물'로 명명하였다.
<1-3> 실험동물의 준비
체중 180±10g 내외의 주령 흰쥐(Rat, Sprague Dawley)를 샘타코(오산, 한국)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동물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 (온도 : 21±2℃, 습도 : 50-60%, 12시간 명/암 주기)하에서 일반 고형사료(샘타코, 흰쥐 용)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원광대학교 동물 관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2.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암의 형성과 발전과정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발암물질인 DEN 자극의 주된 기전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생약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2-1> ABST radical 소거능 측정
ABST법은 항산화능 측정 방법 중 하나인 간접적인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ABTS free radical이 샘플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Van den Berg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7mM 2.2-azino-bis(3-r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ABTS)와 2.45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농도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radical을 형성시킨 후 732nm에서 흡광도 값이 0.9(±0.1)이 되게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radical 용액 950㎕에 각 분획의 생약 추출물(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에탄올 분획 및 헥산 분획) 50㎕(10mg/ml 농도)를 가하여 혼합 후 흡광도의 변화를 위해 10분 후에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서 Trolox를 동량 첨가하였다. ABST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수학식 1]
ABTS scavenging ability(%) = 1-(시료 처리구 흡광도/무처리구 흡광도)×100
도 2에서 보듯이, 메탄올 추출물의 ABST 항산화능은 약 81.17 ± 0.36%로 관찰되었고, chloroform 분획물은 72.40 ± 0.24%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은 약 65.13 ± 0.14%로 가장 낮은 ABST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hexan 분획물은 92.68 ± 0.24%로 가장 높은 ABST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항암공진단 추출물)에 천연 수용성 페놀성 물질이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n-hexan 분획층에 가장 많은 천연 수용성 페놀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2-2> 총 페놀 함량 측정
상기 생약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10)의 방법에 따라 Folin-ciacalteu rearent가 항암공진단의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각 분획의 생약 추출물(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에탄올 분획 및 헥산 분획) 100㎕에 Folin-Ciocalteau's phenol regent 100㎕을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간 정치한 뒤 2% Na2CO3 용액 100㎕을 가하여 혼합 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키고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추출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1-1>에서 메탄올 대신 증류수로 생약을 추출한 추출물을 함께 실험하였다. 총 페놀함량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증류수에 녹여 일정한 농도별로 조제하고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증류수 | MeOH | CHCl4 | EtoAc | Hexane | |
phenol (1mg/ml) | 1.19 ±0.03 |
1.19 ±0.01 |
1.05 ±0.008 |
1.17 ±0.004 |
1.32 ±0.01 |
flavonoid (50mg/ml) | 27.87 ±1.23 |
32.80 ±1.07 |
30.69 ±0.72 |
14.09 ±0.54 |
21.62 ±0.591 |
The values represent mean ± SE of triplicate independent experiments. |
표 2에서 보듯이, 생약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1.19 ± 0.03 mg/g이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약 1.19 ± 0.01 mg/g로 관찰되었다. Chloroform 분획물은 1.05 ± 0.01 mg/g의 총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약 1.17 ± 0.01 mg/g의 총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n-hexan 분획물은 1.32 ± 0.01 mg/g로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약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7.87 ± 1.23 mg/g이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32.80 ± 1.07 mg/g로 관찰되었다. Chloroform 분획물은 30.69 ± 0.72 mg/g의 총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약 14.09 ± 0.54 mg/g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n-hexan 분획물은 21.62 ± 0.59 mg/g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2-3>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측정
SOD는 superoxide를 정상 상태의 산소로 환원시킴으로서 superoxide가 관여하는 암 등의 각종 질병이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SOD 유사활성 반응에서 pyrogallol은 물에 존재하는 superoxide radical에 의해 자동 산화가 일어나 갈색 물질을 형성하여 이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하고, superoxide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 시 pyrogallol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superoxide 포착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SOD 유사활성은 Markund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분획의 생약 추출물(메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에탄올 분획 및 헥산 분획) 0.2㎖(1mg/ml 농도)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50mM tris amino-methane과 10mM EDTA) 2.6㎖과 7.2mM pyrogallol 0.2㎖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을 0.1㎖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은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 측정은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수학식 2]
SOD-like activity (%) = {1-(시료 처리구 흡광도 / 무처리구 흡광도)} × 100
도 3에서 보듯이,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약 20.93 ± 0.91%로 관찰되었고, chloroform 분획물은 7.67 ± 0.31%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은 약 26.52 ± 0.61%로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hexan 분획물은 26.52 ± 3.15%로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약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이 비교적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ethyl acetate 층과 n-hexan 층의 SOD 유사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hloroform 분획층은 SOD 유사활성이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생약 추출물이 신장암 유도된
랫트의
신장조직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상기 생약 추출물이 상기 실시예 1 <1-3>에서 준비된 랫트를 DEN으로 자극하여 신세포암을 유발시킨 후, 신장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신세포암 유도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난괴법에 의해 모두 5마리씩 3군으로 정상군(group 1), 대조군(DEN 주입, group 2), 식이섭취군(DEN+항암공진단 메탄올 추출물, group 3)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1주일간 예비사육한 후 대조군에 12주 동안 DEN 150ppm을 음수형태로 투여하였다. 식이섭취군(group 3)은 통상적인 사료와 DEN 150ppm + 100 mg/kg의 항암공진단 메탄올 추출물을 용해하여 음수로 공급하였다.
상기 각 군의 5마리 랫트로부터 전체 신장을 얻은 후, 콩팥소체, 토리, 발세포, 요세관공간 등을 문헌[Histology a text and Atlas. Michael H. Ross, Wojciech Pawlina. 김진정 외 5인. 원색 조직학도보. 고려의학]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신장조직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신장 조직을 NBF 용액으로 고정한 후 파라핀 포매 과정을 거쳐 마이크로톰으로 5㎛ 두께로 조직 절편을 제작한 다음,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을 수행하였다. 100 필드(field) 이상을 갖는 표본을 이용하여 신장 조직의 콩팥소체, 토리 발세포, 요세관공간 등을 현미경(X 40배)으로 관찰한 후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듯이, 콩팥소체는 둥근 구조물로 보이며 주변부는 좁고 맑게 보이는 공간인 주머니공간(*)을 둘러싸는 얇은 피막과 큰세포더미처럼 보이는 모세혈관 뭉치인 토리로 구성된다. 토리주머니오 알려진 콩팥소체의 피막은 실제로 벽쪽층(BC)와 내장쪽층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벽쪽층은 단순편평상피로 이루어진다. 내장쪽층은 발세포(Pod)라고 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지는데 토리모세혈관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요세관공간을 명확하게 덮고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발세포는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와 구분이 어렵다. 또한 혈관사이세포도 토리의 구성 성분이다.
정상군의 경우 콩판소체의 피막이 벽쪽층과 내장쪽층 두 부분인 요세관공간이 확실이 구분이 되는 반면, 대조군의 경우 요세관 공간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구체가 제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군의 경우 요세공간이 거의 없는 보우먼주머니도 관찰되었지만, 비교적 대조군에 비하여 사구체의 형태와 요세관 공간을 잘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생약 추출물은 신장 조직에서 DEN자극에 대한 방어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생약 추출물이 신장암 유도된
랫트의
LDH
활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상기 생약 추출물이 상기 실시예 1 <1-3>에서 준비된 랫트를 DEN으로 자극하여 신세포암을 유발시킨 후, 혈청 내 LDH 활성을 평가하였다. LDH(lactate dehydrogenase)는 비특이적 마커로서 장기의 세포 파괴시 혈중 농도가 증가하므로 주로 악성 종양의 존재 여부를 추정할 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신세포암 유도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난괴법에 의해 모두 5마리씩 3군으로 정상군(group 1), 대조군(DEN 주입, group 2), 식이섭취 실험군(DEN+항암공진단 메탄올 추출물, group 3)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1주일간 예비사육한 후 대조군에 12주 동안 DEN 150ppm을 음수형태로 투여하였다. 실험군(group 3)은 통상적인 사료와 DEN 150ppm + 100 mg/kg의 GJD을 용해하여 음수로 공급하였다.
약물 투여 12주 후 랫트를 urethane으로 마취한 후 다음 복부의 정중선을 따라 절개하고 상행정맥채혈을 시행하였다. 혈액은 시험관에 넣어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8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LDH 활성도는 자동분석기용 kit 시약(동성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듯이, LDH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유의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생약 추출물을 동시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Claims (6)
-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암 공진단 제조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1,3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본, 천마, 시호, 도인, 계지, 대황, 감초, 천궁, 진피, 택사, 황련, 황금, 복령, 작약, 백출, 황백, 치자, 반하, 조구등, 지실, 인삼, 맥문동, 원지, 석창포, 창출, 감국, 방풍, 생강, 망초, 대조, 단삼, 목단피, 지황, 박하, 산약, 저령, 하수오, 구자, 결명자, 독활, 두충, 백화사설초, 삼백초, 인진, 지모, 홍화, 황기, 석송자, 은행잎, 황정, 연자육, 용골, 지골피, 우슬, 숙지황, 흑임자, 백자인, 맥아, 파극천 및 해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토사자, 울금 및 당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0151A KR20120038612A (ko) | 2010-10-14 | 2010-10-14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PCT/KR2011/007675 WO2012050397A2 (ko) | 2010-10-14 | 2011-10-14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0151A KR20120038612A (ko) | 2010-10-14 | 2010-10-14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8612A true KR20120038612A (ko) | 2012-04-24 |
Family
ID=4593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0151A KR20120038612A (ko) | 2010-10-14 | 2010-10-14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8612A (ko) |
WO (1) | WO2012050397A2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9690A1 (ko) * | 2012-10-31 | 2014-05-08 |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KR101898187B1 (ko) * | 2017-05-11 | 2018-09-12 | 주식회사 비비씨 | 목단피, 구기자, 오미자를 원료로 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진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
WO2019124604A1 (ko) * | 2017-12-22 | 2019-06-27 | 경상대학교병원 |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평상피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3793A (zh) * | 2013-01-01 | 2013-04-24 | 吉林紫鑫药业股份有限公司 | 锁阳补肾胶囊的含量测定方法 |
EP4265266A1 (de) * | 2023-03-16 | 2023-10-25 | Patentpool Target GmbH | Kit of parts zur therapie von medulloblastomen und diffusen astrozytomen mittels alkoholischer und/oder w ssriger extrakte verschiedener cuscuta spp |
CN116832105B (zh) * | 2023-07-21 | 2024-05-14 | 山东惠民德赛克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保肾利尿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080A (ko) * | 2001-07-16 | 2003-01-24 | 김희숙 |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식품 |
KR100675269B1 (ko) * | 2005-07-06 | 2007-01-29 | 한국식품연구원 | 오미자 및/또는 산머루 추출물을 함유한 항암 치료의부작용 완화제 |
-
2010
- 2010-10-14 KR KR1020100100151A patent/KR201200386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10-14 WO PCT/KR2011/007675 patent/WO2012050397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9690A1 (ko) * | 2012-10-31 | 2014-05-08 |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KR101898187B1 (ko) * | 2017-05-11 | 2018-09-12 | 주식회사 비비씨 | 목단피, 구기자, 오미자를 원료로 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진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
WO2019124604A1 (ko) * | 2017-12-22 | 2019-06-27 | 경상대학교병원 |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평상피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50397A2 (ko) | 2012-04-19 |
WO2012050397A3 (ko) | 2012-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0231B1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120038611A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120038613A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Gasparrini et al. | The efficacy of berries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A review | |
KR20120038612A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1360232B1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1360233B1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McCalla et al. | Physiologic Effects of Hibiscus sabdariffa (Sorrel) on Biological Systems: Advances in Sorrel Research | |
KR20200066910A (ko) |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 |
KR20120111125A (ko) |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KR101752484B1 (ko) |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128245A (ko) |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 |
KR20120021283A (ko) | 육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 |
KR102617383B1 (ko) | 석류, 마 및 둥굴레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08561B1 (ko) |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
KR102214014B1 (ko) | 구골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 | |
KR102362903B1 (ko) |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20122410A (ko) |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KR20130022724A (ko) |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
KR102214765B1 (ko) |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081980A (ko) | 블랙커민씨 및 애기똥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또는 항암용 조성물 | |
KR101385658B1 (ko) |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 |
KR20120122404A (ko) | 괄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KR20120122415A (ko) |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KR20210157522A (ko) |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