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125A -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125A
KR20120038125A KR1020100099714A KR20100099714A KR20120038125A KR 20120038125 A KR20120038125 A KR 20120038125A KR 1020100099714 A KR1020100099714 A KR 1020100099714A KR 20100099714 A KR20100099714 A KR 20100099714A KR 20120038125 A KR20120038125 A KR 2012003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tension
rope
vesse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명섭 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Priority to KR102010009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125A/ko
Publication of KR2012003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4Sensing web t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01L5/10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using electro-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접안한 선박에 연결된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안벽에 설치된 다수의 텐션감지수단;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링컴퓨터;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접안한 선박별로 하나의 프로젝트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선박명저장부, 입출항일시저장부, 로프별텐션트렌드저장부 및 로프계류도저장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프로젝트저장부가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선박 계류로프의 텐션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안된 선박별로 계류로프의 연결 패턴, 연결 위치, 텐션의 트렌드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과거의 계류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계류로프의 파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분석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Tension and Integrity Monitoring utilizing Embedded Optical Sensor for Mooring & Tug Line}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접안을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계류내역의 검색, 과거 계류 상황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부두에 계류(mooring)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이 안벽(20)에 대해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계류로프(30)를 사용하여 선박(10)과 안벽(20)간을 연결시켜 둔다.
계류로프(30)의 일단은 안벽(20)에 설치된 로프고정용 돌핀(MD1 내지 MD6, BD7 내지 BD10)에 고정되며, 이때 MD1 내지 MD6에 연결된 계류로프(30)는 선박(10)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고, BD7 내지 BD10에 연결된 계류 로프(30)는 선박의 폭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계류로프(30)의 설치 개수는 선박(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대형 유조선 등에는 약 10~25개의 계류로프(30)가 연결된다. 그리고 각 계류로프(30)는 최고 약 125Ton의 텐션(tension)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선박(10)의 계류시간은 선종이나 기타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30시간 정도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에 이르기도 한다.
그런데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은 일정하지 않으며 화물적재량 또는 조류의 변동, 조수간만의 차이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계류기간 중에 선박(10)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하게 되면 화물 적재량의 변화에 따른 부력차이로 인해 선박(10)이 더 많이 잠기거나 덜 잠기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계류로프(30)에 인가되는 텐션도 지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경우 조수간만으로 인해 지역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약 5~15m씩 달라지므로 그로 인해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도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계류로프(30)의 텐션이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계류책임자는 특정 로프에 과도한 텐션이 걸리지 않도록 수시로 감시해야 하고, 텐션을 적절히 분배하기 위하여 계류로프(30)를 적절히 풀거나 감아주어야 한다.
또한 때에 따라서는 계류로프(30)의 연결위치를 변경시켜 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정도를 작업자의 경험이나 육안에 의존하여 판단했으나 최근에는 유조선, 가스운반선 등의 대형선박을 중심으로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수의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을 관제센터(40)에 설치된 모니터링 컴퓨터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종래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을 감지하는 다수의 로드셀(load cell)(51 내지 53)과, 로드셀(51 내지 53)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트렌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모니터링 컴퓨터(60)를 포함한다.
로드셀(51 내지 53)은 안벽(20)에 설치된 로프고정용 돌핀(MD1 내지 MD6, BD7 내지 BD10)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계류로프(30)의 일단을 걸 수 있는 후크(미도시)를 구비한다.
계류책임자는 모니터링 컴퓨터(60)의 화면을 통해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류로프(30)의 파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트렌드(trend)를 RTDB(real time database)에 연속적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언제 어떤 선박이 접안했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트렌드가 시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되고 저장될 뿐이다.
따라서 과거 특정 선박에 대한 텐션 트렌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장부나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접안시기를 확인한 후에, RTDB에서 해당 접안시기 동안의 트렌드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둘째, 각 계류로프(30)에 걸린 텐션의 트렌드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특정 계류로프가 해당 선박의 어떤 위치에 어떤 패턴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선박에서 계류로프(30)의 파단사고가 있었다면 동일 선박이 접안하는 경우에 계류책임자가 그 당시 계류로프의 전반적인 연결 패턴, 파단된 계류로프의 연결위치, 주변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의 정도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계류로프(30)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과거 정보를 확인하거나 현재의 계류상태와 비교 분석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안된 선박별로 계류로프의 연결 패턴, 연결 위치, 텐션의 트렌드 등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과거의 계류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류로프의 파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사고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안한 선박에 연결된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안벽에 설치된 다수의 텐션감지수단;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링컴퓨터;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접안한 선박별로 하나의 프로젝트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선박명저장부, 입출항일시저장부, 로프별텐션트렌드저장부 및 로프계류도저장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프로젝트저장부가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선박 계류로프의 텐션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포인트와 안벽에 설치된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과 통신하는 모니터링 컴퓨터에서 접안된 상기 선박의 유형이 선택되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선박의 형상과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로프계류도를 상기 모니터링컴퓨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의 실제연결상태와 일치하도록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로프계류도상에서 상기 다수의 연결포인트와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단계; (d) 모니터링 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된텐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컴퓨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한편, 상기 선박의 명칭과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의 각각에 걸리는 텐션에 관한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계류로프의 텐션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안된 선박별로 계류로프의 연결 패턴, 연결 위치, 텐션의 트렌드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과거의 계류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계류로프의 파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사고분석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접안된 선박의 계류로프 연결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각 로프의 텐션 트렌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력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정결과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smart계류 로프 모니터링 소프트개발도
도 8은 모니터링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텐션 트렌드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로드셀로부터 전송된 텐션 정보를 모니터링 컴퓨터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점에서는 종래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종래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2의 구성도에 사용된 명칭과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박의 접안이벤트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설정하고 한 선박이 접안한 기간 동안 획득한 데이터를 모니터링 컴퓨터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프로젝트단위로 저장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모듈(110)과 저장모듈(120)로 구분될 수 있고, 관리모듈(110)은 제어부(112), 저장부(114), 통신부(116) 등을 포함하며, 저장모듈(120)은 모니터링컴퓨터(6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관리모듈(110)과 저장모듈(120)은 적어도 일부가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는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명확히 구분된다.
관리모듈(110)의 제어부(112)는 데이터베이스(100)에 대한 접근, 기록, 검색, 백업 등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저장부(114)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기록, 검색 등에 관한 운영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ROM과 임시기
록매체인 RAM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16)는 모니터링 컴퓨터(60)와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저장모듈(120)에는 접안된 선박별로 선박명, 입출항일시, 로프별 텐션 트렌드, 로프계류도 등이 프로젝트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모듈(120)을 구성하는 기억매체에는 선박명저장부(121), 입출항일시저장부(122), 로프별텐션트렌드저장부(123), 로프계류도저장부(124)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젝트저장부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 방법은 도 5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거친다.
먼저 사용자는 모니터링컴퓨터(60)에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에 해당 선박의 접안이벤트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등록해야 한다.
프로젝트 등록과정은 프로젝트명과 선박명을 입력하는 과정(ST11), 선박의 유형 및 접안방향을 선택하는 과정(ST12), 계류로프의 실제 연결상태와 일치하도록 화면에 표시된 로프계류도에서 계류로프를 연결하는 과정(ST13) 등을 포함한다.
선박의 유형 및 방향선택(ST12)과 계류로프 연결(ST13)은 기 등록된 동일 선박의 로프계류도를 호출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ST11단계를 ST12단계 또는 ST13단계의 이후에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등록을 마친 이후에 모니터링 시작명령이 입력되면(ST14), 각 로드셀에서 전송된 텐션 정보를 모니터링컴퓨터(60)의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한편 해당 계류정보 - 프로젝트명, 선박명, 입출항일시, 로프별텐션트렌드, 로프계류도 등 - 를 프로젝트 단위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ST15)이어서 모니터링 종료명령이 입력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된다. (ST16)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텐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부에는 새프로젝트 메뉴(210), 모니터링시작메뉴(220),모니터링종료메뉴(230), 선박등록메뉴(240), 장치설정메뉴(250), 알람메뉴(260), 트렌드메뉴(270) 등을 포함하는 메뉴바(menu bar)가 표시된다.
여기서 새프로젝트메뉴(210)를 선택하면 프로젝트명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280)이 표시된다. 프로젝트명은 선박명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 기준에 따라 설정한 명칭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는 팝업창(280)을 통해 접안하는 선박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선박의 유형이란 해당 선박의 대략적인 길이, 폭,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만일 해당 선박이 과거에 접안했던 선박이면 이미 등록된 선박정보를 검색 및 선택하는 것이 간편하며, 이를 위해 팝업창(280)에는 선박등록정보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검색창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 등록되어 있는 선박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선박의 과거 로프계류도를 함께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로프 계류상태를 사용자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팝업창(280)에 표시된 '새템플릿' 메뉴는 접안하는 선박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선박의 정보를 새로이 등록하기 위한 창으로서 이를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박등록화면이 표시된다. 도 6의 상단메뉴바에서 선박등록메뉴(240)를 누른 경우에도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선박등록이란 선박명, 크기, 방향, 계류로프의 연결형태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선박등록화면에는 선박명 입력창(241), 선박유형 선택창(242), 방향선택창(243) 등이 표시된다.
선박유형 선택창(242)은 선박의 길이 및 폭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180~330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7종류의 선박 중에서 사용자가 해당하는 선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시되는 선박의 유형이 이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선박유형 선택창(242)에서 선박의 유형을 선택하고 방향 선택창(243)에서 선박의 방향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선박(10)의 윤곽을 나타낸 평면형상과 안벽(20)의 윤곽을 포함하는 로프계류도(201)가 화면 상반부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계류도(201)에 표시되는 선박의 평면형상을 비교적 실물에 가깝게 묘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상황과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로프계류도(201)에 묘사된 선박(10)에는 계류로프(30)를 걸 수 있는 볼라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연결포인트(310)가 표시되고, 안벽(20)에는 각 로드셀의 후크를 나타내는 다수의 후크포인트(320)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계류로프(30)의 실제 연결상태와 일치하도록 로프계류도에 표시된 연결포인트(310)와 후크포인트(320)를 연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후크포인트(320)와 연결포인트(310)를 개별적으로 클릭하면, 해당 후크포인트(320)와 연결포인트(310)를 연결하는 계류로프(30)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후크포인트(320)와 연결포인트(310)를 하나씩 클릭하면서 로프계류도(201)상에서 계류로프(30)를 연결시킬 수도 있으나, 사용편의를 위해서는 로프계류도(201)의 초기화면에 디폴트된 연결 패턴으로 전체 계류로프(30)를 한꺼번에 연결해주고 이후에 사용자가 연결위치를 수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화면상단부에 표시된 메뉴바는 이를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로프전체연결(301) 메뉴를 선택하면 로프계류도(201)에 표시된 후크포인트(320)와 연결포인트(310)가 디폴트된 패턴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로프삭제메뉴(302)를 선택하여 임의의 계류로프(30)를 삭제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계류로프(30)의 연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로프전체삭제메뉴(303)를 이용하여 표시된 계류로프(30)를 모두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선박등록화면의 하반부에는 각 로드셀의 후크포인트(채널 No.로 표시되어 있음)와, 그에 연결된 선박의 연결포인트(1 내지 17의 숫자로 표시되어 있음), 연결된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상한 및 하한 등을 표시하는 로프세팅창(202)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로프세팅창(202)에서 텐션의 상한 및 하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로프세팅창(202)에 표시된연결포인트(1 내지 17의 숫자로 표시됨)는 로프계류도(201)에 표시된 계류로프(30)의 연결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프계류도(201)를 통해 계류로프(30)의 연결을 완료하고 상단 메뉴바에서 저장메뉴(304)를 선택하면, 접안된 선박의 정보가 하나의 템플릿으로 저장된다. 도 7의 새템플릿메뉴(305)는 선박등록화면을 초기화하는 리셋메뉴이고, 템플릿삭제메뉴(306)는 과거에 저장해놓은 템플릿중에서 불필요한 템플릿을 삭제하는 메뉴이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접안된 선박의 정보를 하나의 템플릿으로 저장하면, 다시 도 6의 화면으로 복귀하고,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등록된 선박을 다시 검색하여 선택해야 한다.
접안하는 선박이 선택된 후에는 도 6의 상단 메뉴바에서 모니터링 시작메뉴(220)를 선택함으로써 각 계류로프에걸리는 텐션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화면의 상반부에는 기 설정한 로프계류도(201)가 표시되고, 화면하반부에는 각 로드셀에 걸리는 텐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창(203)이 표시된다. 모니터링창(203)은 각 계류로프(30)의 텐션의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실시간으로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계류로프의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간편한 확인을 위해서는 모니터링창(203)에 각 계류로프(30)에 걸리는 텐션의 상한선(206)과 하한선(207)을 표시하고, 예를 들어 그래프가 정상범위에 속하면 녹색으로 표시하고 상한선을 벗어나면 적색으로 표시하며 하한선을 벗어나면 청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계류로프(30)의 상태를 막대그래프의 색상으로 구분할 수 있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창(203)에 표시되는 상한선과 하한선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막대그래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창을 팝업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이 시작되면 각 로드셀에서 감지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예. 매 1초마다) 데이터베이스(100)의 해당 프로젝트저장부의 로프별텐션트렌드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도 8의 상단메뉴바에서 모니터링 종료메뉴(230)를 누르면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된다.
상단 메뉴바에서 선박등록메뉴(240)를 선택하면 도 7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등록할 선박명, 선박유형, 선박의 방향, 로프계류형태 등을 미리 등록해 둘 수 있다. 선박등록화면에서 미설명 부호244는 기존에 등록된 선박의 정보를 수정할 때 해당 선박을 선택하는 창을 표시한 것이다.
그밖에 상단메뉴바의 장치설정메뉴(250)는 컴퓨터의 연결포트 등을 설정하는 메뉴이고, 알람메뉴(260)는 텐션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알람을 발생시킬 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뉴이다.
상단 메뉴바의 트렌드메뉴(270)는 과거 또는 현재의 프로젝트를 검색하여 로프별 텐션 트렌드를 확인하는 메뉴로서, 이를 선택하면 도 9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는 선박명 입력란(271), 입항일 입력란(272), 검색결과표시창(273), 트렌드표시창(274) 등이 표시된다. 선박명 입력란(271)은 조회할 선박명을 입력하는 부분이고, 입항일 입력란(272)는 조회할 입항일을 지정하는 부분이다.
검색결과표시창(273)은 선박명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선박에 대한 모든 프로젝트 데이터를 표시하고, 입항일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입항일 또는 설정기간에 입항한 모든 선박에 대한 프로젝트 데이터를 표시한다.
트렌드표시창(274)은 검색결과표시창(273)에서 선택된 프로젝트의 모니터링기간 동안 저장된 각 로프별 텐션트렌드를 표시한다. 이때 각 계류로프별로 트렌드를 표시하는 그래프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드표시창(274)에는 연결된 모든 계류로프(30)에 대한 트렌드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계류로프(30)에 대한 트렌드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로프선택창(275)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계류로프(30)를 선택하도록 제공되는 메뉴이다.
텐션의 트렌드는 시간축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이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그래프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해상도 선택부(276)를 제공한다. 도 9에는 트렌드 표시간격을 1분, 5분, 30분, 1시간 또는 24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밖에 도 9의 하단부에는 보고서메뉴와 로프계류도메뉴가 제공되는데, 보고서메뉴는 현재 보여지는 그래프와 함께 과거 이력을 텍스트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로프계류도메뉴는 해당 선박의 정박 당시 계류상태를 별도의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데이터베이스 210: 새프로젝트메뉴
220: 모니터링시작메뉴 230: 모니터링종료메뉴
240: 선박등록메뉴 250: 장치설정메뉴
260: 알람메뉴 270: 트렌드메뉴

Claims (5)

  1. 접안한 선박에 연결된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안벽에 설치된 다수의 텐션감지수단;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링컴퓨터;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접안한 선박별로 하나의 프로젝트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선박명저장부, 입출항일시저장부, 로프별텐션트렌드저장부 및 로프계류도저장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프로젝트저장부가 설정된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2. 선박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포인트와 안벽에 설치된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계류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과 통신하는 모니터링컴퓨터에서 접안된 상기 선박의 유형이 선택되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선박의 형상과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로프계류도를 상기 모니터링컴퓨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의 실제 연결상태와 일치하도록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로프계류도상에서 상기 다수의 연결포인트와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단계;
    (d) 모니터링 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된 텐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컴퓨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한편, 상기 선박의 명칭과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의 각각에 걸리는 텐션에 관한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는 동일 선박의 과거 로프계류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선박등록과정 없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선박의 접안 방향이 선택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모니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텐션감지수단에서 전송한 텐션정보를 상기 다수의 계류로프의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되, 상기 다수의 막대그래프 중에서 설정된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벗어난 것은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099714A 2010-10-13 2010-10-13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20038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14A KR20120038125A (ko) 2010-10-13 2010-10-13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14A KR20120038125A (ko) 2010-10-13 2010-10-13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25A true KR20120038125A (ko) 2012-04-23

Family

ID=4613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14A KR20120038125A (ko) 2010-10-13 2010-10-13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1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02B1 (ko) * 2013-05-07 2014-12-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야간 또는 악천후 시 식별이 가능한 해상용 합성수지 예인 및 안전로프
CN105775055A (zh) * 2016-02-29 2016-07-20 湖北海洋工程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张力腿平台的张力自适应方法、装置以及张力腿平台
KR102163910B1 (ko) 2020-08-11 2020-10-12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해양플랫폼의 조류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 예측 및 위치정보 학습을 통한 계류라인의 장력 예측 시스템
KR20220065283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계류로프 파단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02B1 (ko) * 2013-05-07 2014-12-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야간 또는 악천후 시 식별이 가능한 해상용 합성수지 예인 및 안전로프
CN105775055A (zh) * 2016-02-29 2016-07-20 湖北海洋工程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张力腿平台的张力自适应方法、装置以及张力腿平台
KR102163910B1 (ko) 2020-08-11 2020-10-12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해양플랫폼의 조류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 예측 및 위치정보 학습을 통한 계류라인의 장력 예측 시스템
KR20220065283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계류로프 파단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4597A (ko) 선박 계류로프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1981522B (zh) 图形用户界面装置
KR20120038125A (ko) 광센서를 인입한 계류로프 인장력 측정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557243B1 (ko) 계선삭 감시 시스템, 계선 관리 시스템, 계선삭 감시 방법, 및 계선 관리 방법
EP1811354A1 (en) Plant monitoring apparatus and plant monitoring method
US10633225B2 (en) Cran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CN101393680A (zh) 设备警报装置及设备警报方法
US20130113700A1 (en) Operating and monitoring scree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JP6783006B1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941421B1 (ko)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피로도 계측 방법 및 장치
WO2014017422A1 (ja) 船舶監視装置
CN114037375A (zh) 码头船舶吃水深度监测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3847926A (zh) 一种船舶走锚评估及预警方法
KR20100012359A (ko) 가시설 구조물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CN107628545A (zh) 一种海上起重机的力矩限制系统
KR20130104325A (ko) 부양식 도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804580U (zh) 嵌入式河道水质监测多参数一体机
KR0153459B1 (ko) 기중기의 후크 양정 표시 장치
JP2008215962A (ja) 高架橋柱の最大応答部材角測定装置及び高架橋柱の損傷レベルの評価方法
CN113869783A (zh) 一种船舶运营效率评估系统及方法
RU2280608C2 (ru)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крановщика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безопасной работы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JPH10120360A (ja) 玉掛け支援装置と玉掛け方法
CN114057106A (zh) 一种双卷扬乱绳识别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42150A (zh) 一种履带式起重机安全监控管理系统的功能扩展
KR20210076798A (ko) 선박이벤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