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112A -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112A
KR20120038112A KR1020100099685A KR20100099685A KR20120038112A KR 20120038112 A KR20120038112 A KR 20120038112A KR 1020100099685 A KR1020100099685 A KR 1020100099685A KR 20100099685 A KR20100099685 A KR 20100099685A KR 20120038112 A KR20120038112 A KR 2012003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mage
secondary battery
information
image
over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692B1 (ko
Inventor
이상훈
강주현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9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장치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모듈;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상기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대용량으로 집적화되는 에너지 저장원 등으로 활용되는 이차전지 셀에 대한 과열 여부를 체계적이고 통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대한 후속 프로세싱이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with infrared imag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배터리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 또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이차전지의 과열 여부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후속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단위 셀(cell)이 복수 개 구성되는 어셈블리와 상기 어셈블리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은 양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알루미늄 박막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러한 기본적 구조에 더하여, 상기 배터리팩은 모터 등의 구동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 등의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이차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최근에는, 화석 연료에 의한 에너지 자원 고갈의 문제, 환경 오염에 대한 이슈, 에너지의 사용의 경제성 등에 대한 이슈가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전력 사용량과 전력 생산량의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전력 과잉 공급에 의한 낭비 및 전력 공급 부족에 의한 과부하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 통신 인프라와 연계되어 전력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라는 개념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는 전력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 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이와 같이 저장된 전력을 생산 전력과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는 인프라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매체가 활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이차전지 내지 배터리팩은 전력을 저장하는 주요한 요소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력 저장용 배터리 팩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도 많은 양의 전력을 저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기에도 전력 저장용 배터리 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용 배터리팩은 상당한 개수의 이차전지가 멀티 구조로 집합되어 대용량의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차전지는 내부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이러한 충방전 과정은 불가피하게 발열을 수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이차전지가 대형화된 구조에서는 상기 충방전에 따른 발열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열 현상은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이차전지에 내재적인 데미지(손상)을 미치게 되어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배터리의 수명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차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발열에 의한 폭발 현상 등 안전성에도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형 구조로 집합되는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이용되는 배터리는 발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냉각 공조 체계의 구동, 부품 교체 등과 같은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온도 센서를 배터리에 반드시 부착시켜야 실효성이 높으므로 전력 저장원에 이용되는 배터리(이차전지) 모두에 구비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적으로도 경제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수리 내지 점검 등을 수행할 때마다 부착된 온도 센서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과정이 복잡해 지고 또한 이 과정에서 단선되거나 배터리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져 전력 저장 장치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의 문제점 내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전지 셀 또는 이차전지 셀의 집합체인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이차전지 셀들의 과열 여부를 적외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이용하여 취득하고, 취득된 영상 정보와 기준 영상 내지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모듈;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상기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 개의 섹션으로 구분되며, 상기 영상모듈은 해당 섹션의 이차전지 셀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외선 영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과열된 이차전지 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가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본 발명의 제어부는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며, 이 때, 과열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알람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가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매체를 송풍시키는 냉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상기 냉각 매체가 송품되도록 상기 냉각모듈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은 영상모듈이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및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과열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전력 저장원으로 이용되는 대용량 이차전지에 대한 과열 여부 및 이에 대한 후속 조치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저장원으로 이용되는 대규모의 이차전지에 대한 영상을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전력 저장원 시스템의 구성에 더욱 체계적이고 개선된 형태의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싱함으로써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과열된 셀에 대한 후속 조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색상 정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셀들에 대한 적외선 영상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셀들에 대한 적외선 영상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이하 관리장치로 칭한다)(10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는 영상모듈(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위치정보 생성부(140), DB부(145), 화면표시수단(150), 알람수단(160) 및 냉각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의 상기 영상 모듈(110)은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를 대상으로 적외선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700).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배터리 또는 이차전지의 과열 여부에 대한 판단 및 이에 대한 후속 처리를 영상 처리를 통한 메커니즘을 적용하는데, 상기 적외선 영상 등은 일반 가시광선 영상과는 달리 객체(object)가 발산하는 열 내지 파장에 의하여 서로 다른 영상 내지 색상 정보를 가지는 영상에 해당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영상 정보의 정확성, 영상장치의 줌 또는 해상도 기능, 시스템 리소스 등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0)를 복 수개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개별 섹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 셀(10)에 대한 적외선 영상이 획득되도록 복 수개의 영상모듈(110-1, 110-2, 110-3)이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적외선 영상 등을 구성하는 각 픽셀은 Y, Cb, Cr 등의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색상 정보는 객체의 열에 의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되므로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을 대상으로 상호 비교 내지 매칭 프로세싱을 수행하면, 대상의 과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영상처리의 기본이 되는 영상의 색상공간은 색상 혼합의 관점, 인간의 시각 체계와의 유사성 등 색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RGB, CMYK, HS계열, CIE, Y계열 등 다양한 공간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종(異種)의 형태로 표현된 색공간의 다른 색공간으로의 변환은 간단한 수학적 변환식에 의하여 변환될 수 있다.
ROM 등의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저장부(120)는 상기와 같은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준 색상 정보는 당업자가 적용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 3과 같이 각 온도별 적외선 영상의 색상의 분포에 따른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영상은 객체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 특히 명도 정보를 가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각 온도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예로 6가지의 색상 정보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 3에서는 이해의 편의성과 설명의 효율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기준 색상 정보의 예로 색상 정보 자체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 온도에 따른 색상의 명도 내지 휘도 정보의 크기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25℃이하는 정상으로 판단되며 그 이상은 과열로 판단하는 예시적인 기준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모듈(110)로부터 적외선 영상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색상 정보를 독출하고(read)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상기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10).
예시적으로 도 4에는 영상모듈(110)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 영상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적외선 영상은 6개의 이차전지 셀을 대상으로 촬영한 적외선 영상이며,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이차전지 셀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예와 같이 최상단 좌측의 #1 이차전지 셀의 색상 정보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기준 색상 정보와 비교할 때 (1) 즉, 40℃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되므로 상기 #1 이차전지 셀은 과열된 상태로 판단된다.
이와 대응되는 관점에서 #4 이차전지 셀의 색상 정보는 (5)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과열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이차 전지 셀로 판단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에 대한 관점에서, 픽셀의 명도 정보는 0 ~ 255의 데이터 값을 가지고, 숫자가 커질수록 밝은 명도, 밝은 명도를 가질수록 높은 열을 가지는 대상을 의미하며, 기준이 되는 25℃에 해당되는 명도 정보가 100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100보다 큰 명도의 색상 정보를 가지는 이차전지는 과열된 상태이며, 그보다 작은 명도의 색상 정보를 가지는 이차전지는 과열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색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도 4에 예시된 6개의 이차전지 셀 중 #1, #2 및 #5 이차전지 셀은 과열된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 영상 정보의 색상 분석을 통하여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위치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과열로 판단된 해당 이차전지 셀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적외선 영상의 좌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첨부된 도 5와 같이 이미지 영상 데이터는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면 각 셀(도 5에는 4개의 셀을 예시하고 있음)의 좌표 정보 특히 과열로 판단된 이차전지 셀의 좌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면 과열된 이차전지 셀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도 5에서 #3 이차전지 셀이 과열로 판단된 이차전지 셀이라면 이에 대응되는 중심점 좌표(7,3)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720).
상기 영상을 촬영한 영상 모듈(110)의 위치 정보 또는 기준이 되는 위치 정보 등과 연계시키는 방법 등을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데이터적 처리를 위하여 관리자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생성된 위치정보는 과열된 시간 정보 등과 함께 이력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DB부(145)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40)가 과열된 이차전지 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면 앞선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등의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이를 인지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며 이차전지 셀을 상징하는 아이콘 등의 상징 체계를 화면표시수단(1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30). 이 때에도 과열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색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는 명도가 다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위험, 경고, 주의 등과 같은 수준별 상황 판단 및 이에 대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붉은 색상, 주황 색상, 노랑 색상 등으로 색상 자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할 만큼 과열된 이차전지와 주의나 예비적인 조치가 필요한 정도의 과열 이차전지가 구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 6과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인하여 관리자 등은 교체 내지 수리 등이 필요한 이차전지 셀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통일적인 시스템적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 셀이 과열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피커, LED 등과 같은 청각 또는 시각 매체를 이용한 알람 수단(160)을 구동하는 등의 알람 정보를 출력하여 경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S740).
이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준 색상 정보와의 차이를 이용하면 과열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기와 같이 알람 정보 등을 출력하되 과열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알람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 관리자 등으로 하여금 차등적인 후속 조치 내지 예비적인 조치가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원격지의 관리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이통사의 SMS서버 등과 네트워킹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 등으로 SMS 또는 MMS 등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S740).
또한, 본 발명은 이차전지 셀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170)은 팬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 등의 냉각매체가 이차전지 셀로 유입되도록 하여 이차전지 셀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모듈(170)과의 연계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냉각 공조 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140)으로부터 상기 과열된 이차전지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냉각 매체가 집중되어 송풍되도록 상기 냉각모듈(170)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75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등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관리장치(100)에 대한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100 : 관리장치 110 : 영상모듈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위치정보 생성부 145 : DB부
150 : 화면표시수단 160 : 알람수단
170 : 냉각모듈

Claims (16)

  1.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모듈;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상기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 개의 섹션으로 구분되며,
    상기 영상모듈은 해당 섹션의 이차전지 셀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영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과열된 이차전지 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가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열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가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냉각 매체를 송풍시키는 냉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상기 냉각 매체가 송품되도록 상기 냉각모듈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9. 영상모듈이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및
    상기 적외선 영상의 색상 정보와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색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과열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 개의 섹션으로 구분되며,
    상기 영상모듈은 해당 섹션의 이차전지 셀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영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과열된 이차전지 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단계는,
    과열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과열된 이차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모바일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단계의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냉각 매체가 송풍되도록 냉각 매체를 송풍시키는 냉각모듈의 방향을 제어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0100099685A 2010-10-13 2010-10-13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8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85A KR101583692B1 (ko) 2010-10-13 2010-10-13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85A KR101583692B1 (ko) 2010-10-13 2010-10-13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12A true KR20120038112A (ko) 2012-04-23
KR101583692B1 KR101583692B1 (ko) 2016-01-11

Family

ID=4613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685A KR101583692B1 (ko) 2010-10-13 2010-10-13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6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0255A (zh) * 2012-08-21 2014-03-1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对运行中的不间断电源的电容温度进行在线监测的系统
CN112848970A (zh) * 2021-02-20 2021-05-28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装置和车辆
KR102412835B1 (ko) * 2021-11-19 2022-06-24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장치의 화재 예측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51B1 (ko) 2020-11-16 2023-01-13 주식회사 티허브 Ir 카메라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이상상태 판단 장치
KR20230031060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위셀 검사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579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온도 제어 시스템
KR20080043433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열화상 패턴 인식을 이용한 전기설비 자동 감시 진단 방법및 시스템
KR100948309B1 (ko) * 2009-09-02 2010-03-17 주훈 다중 열상을 이용한 2차 전지 분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579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온도 제어 시스템
KR20080043433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열화상 패턴 인식을 이용한 전기설비 자동 감시 진단 방법및 시스템
KR100948309B1 (ko) * 2009-09-02 2010-03-17 주훈 다중 열상을 이용한 2차 전지 분류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0255A (zh) * 2012-08-21 2014-03-1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对运行中的不间断电源的电容温度进行在线监测的系统
CN112848970A (zh) * 2021-02-20 2021-05-28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装置和车辆
CN112848970B (zh) * 2021-02-20 2022-12-13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装置和车辆
KR102412835B1 (ko) * 2021-11-19 2022-06-24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장치의 화재 예측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692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85B1 (ko) 배터리 모듈의 온도 감지장치 및 배터리 팩 관리장치와 방법
US10572325B2 (en) Power storage management system
US8803477B2 (en) Battery module for high-current rapid charging
KR20120038112A (ko)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95524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072983A (zh) 用于双均衡电池和电池组性能管理的方法和系统
JP2010063259A (ja) 電池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池制御方法
WO2016185536A1 (ja) 蓄電装置及び接続制御方法
US20140239912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control system
US20210384565A1 (en) Energy storage device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230384392A1 (e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r fault of battery,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operating the same
Goutam et al. Surface temperature evolution and the location of maximum and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a lithium-ion pouch cell under variable load profiles
KR101200471B1 (ko) 가이드 바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A3003125C (en) Electric storage device, electric storage device assembly, electric and electronic apparatus, electric moving means and 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electric storage device assembly
US20230176635A1 (en) Electric vehicle supercapacitor thermal management
EP3869658A1 (en) Smart balancing energy charging control system
CN115794533A (zh) 电池包监控方法、监控装置和电子设备
WO2023102266A1 (en) A modular multi-type power pack charging apparatus
KR20200038005A (ko) 배터리 셀의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16699A1 (e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rechargeable battery
JP3224790U (ja) 蓄電池及び蓄電池システム
JP5515997B2 (ja) 電源監視制御装置
KR102185856B1 (ko) 가정용 연료전지 연계형 이차전지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
Pany A Novel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Series Parallel Connected Li-Io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
NL2028818B1 (en) A detachable energy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