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546A - 덕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덕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546A
KR20120035546A KR1020100097124A KR20100097124A KR20120035546A KR 20120035546 A KR20120035546 A KR 20120035546A KR 1020100097124 A KR1020100097124 A KR 1020100097124A KR 20100097124 A KR20100097124 A KR 20100097124A KR 20120035546 A KR20120035546 A KR 2012003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ll
main body
connecto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Priority to KR102010009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546A/ko
Publication of KR2012003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 시공되는 환기덕트의 연결구에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덕트와 덕트 연결구간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접속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의 단부와 맞닿게 되는 패킹; 탄성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리브가 상기 외벽에 끼워지되,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덕트의 외면과 상기 외벽의 외면을 구속하는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 연결구{DUCT CONNECTOR}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 시공되는 환기덕트의 연결구에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덕트와 덕트 연결구간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환기 덕트는 덕트간 연결을 위해 덕트 연결구들이 사용된다.
덕트 연결구들은 직선형태인 것도 있고 엘보우 형태인 것도 있으며, 2개의 덕트를 연결하거나 3개 이상의 덕트가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덕트 연결구는 공기조화기와 직결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그 형상도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 연결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특성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구에서 누설이 발생되면 악취나 실내 공기의 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91538호의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가 공지된 바 있었다.
첨부되는 도 1은 이에 따른 환기덕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환기덕트(3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100)가 마련되며,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멈춤 돌기테(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수직 단차지게 형성되는 덕트끼움루프(112)가 형성되어 환기덕트(30)의 단부가 멈춤 돌기테와 덕트끼움루프(11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여기에 공기 누설을 차단하기 위해 몸체부(100)에 끼워지는 러버(200)가 결합된다. 러버(200)는 연질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부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덕트와 덕트 연결구는 완전 정적인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한 진동으로 최종 결합상태가 헐거워질 가능성이 높고 연결 작업 중의 덕트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덕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러버가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양산을 위한 테스트 단계에서는 다양한 시험을 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덕트 연결구에 덕트를 결합한 후 덕트를 당겨서 덕트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덕트를 당기는 인장시험시 덕트 연결구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는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한 바 제조 단가가 비싸고 조립성도 나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91538호(2006.06.13 등록)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덕트 연결구로서 연결된 덕트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뜻하지 않게 덕트가 덕트 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도 줄일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높은 덕트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덕트 연결구는, 덕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접속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의 단부와 맞닿게 되는 패킹; 탄성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리브가 상기 외벽에 끼워지되,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덕트의 외면과 상기 외벽의 외면을 구속하는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클립은, 각 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의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외벽의 외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려 상기 덕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클립은, 금속성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리브의 단부에 벌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굽혀진 분리용 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구는 구조를 간결하게 하면서도 기밀 특성을 높일 수 있어 여러 측면에서 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덕트 연결구에 덕트가 일단 결합되면 웬만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도 덕트가 빠지지 않기 때문에 설치후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자보수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연결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구(100)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본체(110), 패킹(120) 및 연결클립(130)을 포함하며, 본체(110)의 접속홈에 끼워지는 덕트는 연결클립에 의해 본체와 구속되고, 덕트는 패킹과 밀착됨으로써 공기의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연결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덕트(10)가 끼워져 연결될 본체(110)가 마련되며, 덕트(10)가 대략 사각 단면이므로 이에 따라 본체(110)도 사각 단면 형태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덕트 연결구(100)의 본체(110)는 엘보우 형태와 같이 90도 각도로 덕트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예로 한다.
본체(110)의 양단부측에 접속홈(113)이 하나씩 형성되는데, 본체(110)를 이루는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 공간이 접속홈(113)이 된다. 접속홈(113)에 덕트(10)가 끼워지게 되며, 덕트(10)의 단부는 접속홈(113)에 미리 삽입된 패킹(120)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패킹(120)은 덕트(10)를 접속홈(113)에 끼우기 전에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링 형상이고, 바람직하게 고무 재질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덕트(10)의 단부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0)의 접속홈(113)에 끼워지는 덕트(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클립(130)이 사용되며, 연결클립(130)은 "⊂" 와 같은 형태로 두개의 리브(130a,130b)가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10)의 접속홈(113)에 패킹(120)을 끼운 후 연결클립(130)을 본체(110)의 외벽(112)에 끼워둔 상태에서 접속시킬 덕트(10)를 접속홈(113) 속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덕트(10)는 연결클립(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클립(130)의 각 리브(130a,130b)에 형성되는 스토퍼(131)가 덕트(10)의 외면과 본체(110) 외벽(112)의 외면을 구속시키게 됨으로써, 접속홈(113)에 끼워지는 덕트(1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체(110)의 접속홈(113)에 끼워진 덕트(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클립(130)은 덕트(1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당한 갯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10)의 일측 접속홈(113)에 끼워지는 덕트(10)를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연결클립(130)을 이용하도록 한다.
즉, 본체(110)의 접속홈(113)을 이루는 좌우측 외벽(112)에 하나씩의 연결클립(130)을 끼워서 덕트(10)를 구속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클립(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강판을 ⊂ 형태로 벤딩시켜서 두 개의 평행한 리브(130a,130b)가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각 리브(130a,130b)에는 돌출되는 스토퍼(131)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리브(130a,130b)에 3개의 스토퍼(131)를 두도록 하는데 스토퍼(131)는 리브(130a,130b)를 부분적으로 펀칭하여 하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돌출시킨 것이다.
연결클립(130)이 본체(110)의 외벽(112)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진 후 덕트(10)를 접속홈(113) 속으로 밀어넣게 되면 각 리브(130a,130b)에 형성되는 스토퍼(131)가 덕트(10)의 외면과 외벽(112)의 외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면서 덕트(10)를 고정 연결시키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클립(130)을 이루는 두 리브(130a,130b) 중 덕트(10)와 마주하는 안쪽을 내부 리브(130a)라 하고 외벽(112)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외부 리브(130b)라 한다.
연결클립(130)은 일단 본체(110)의 접속홈(113)에 끼워진 덕트(10)를 고정시키고 나면 쉽게 빠지지 않아야 한다. 연결클립(130)이 외벽(112)에 끼워진 후 내부 리브(130a)와 외부 리브(130b)에 형성되는 스토퍼(131)는 덕트(10) 외면과 외벽(112) 외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접속홈(113)에 끼워진 덕트(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연결클립(130)의 내부 리브(130a)와 외부 리브(130b)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131)는 그 돌출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는 것으로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리브(130a)의 스토퍼(131)는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돌출되나 외부 리브(130b)의 스토퍼(131)는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돌출되도록 한다.
연결클립(130)을 외벽(112)에 끼운 후 덕트(10)를 접속홈(113) 속으로 들어가게 밀어넣게 되면 탄성적인 연결클립(130)의 내부 리브(130a)에 형성되는 스토퍼(131)의 방향이 덕트(10)의 삽입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덕트(10)의 삽입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일단 덕트(10)가 접속홈(113)에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내부 리브(130a)의 스토퍼(131) 단부가 덕트(10) 외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덕트(10)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외부 리브(130b)의 스토퍼(131)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외벽(112)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덕트(10)와 구속되는 내부 리브(130a)의 스토퍼(131)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저항하여 연결클립(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내부 리브(130a)와 외부 리브(130b)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면서 접속홈(113)에 끼워진 덕트(10)가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최초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본체(110)의 외벽(112) 외면에는 연결클립(130)을 끼웠을 때 스토퍼(131)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P)이 형성되도록 한다.
걸림턱(P)은 연결클립(130)의 외부 리브(130b)에 형성되는 스토퍼(131)의 방향을 고려하여 연결클립(130)을 끼울 때에는 스토퍼(131)가 걸림턱(P)을 타고 넘을 수 있으나 끼워진 후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10)의 외벽(112) 외면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P)을 두는 것으로 하며, 연결된 연결클립(130)의 외부 리브(130b)에 형성되는 스토퍼(131)가 걸림턱(P)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연결클립(130) 및 덕트(10)가 빠지지 않는다.
더 나아가 연결클립(130)을 이루는 외부 리브(130b)의 단부에는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리용 레버(132)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분리용 레버(132)는 접속홈(113)에 연결된 덕트(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연결클립(130)을 빼내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용 레버(132)를 들어올림으로써 스토퍼(131)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연결구(100)는 덕트(10)와 덕트(10)간 연결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덕트 연결구(100)의 형상은 직선형뿐 아니라 엘보우 형, 3개 이상의 덕트가 동시에 연결되는 멀티형 등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덕트 연결구(100)는 일측에는 덕트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기조화기기와 바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구(100)는 공기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덕트 연결구에 결합된 덕트의 이탈이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후 하자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덕트(10)가 일단 덕트 연결구(100)에 결합이 되고 나면 연결클립(130)에 의해 덕트(10)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덕트의 결합강도를 체크할 때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당기는 인장 테스트에도 잘 견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구는 덕트의 재질이 합성수지재인 경우 뿐 아니라 그 외 공지의 다양한 재료이라 하더라도 적용되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구는 덕트의 연결시에 사용될 수 있다.
100 : 덕트 연결구 110 : 본체
111 : 내벽 112 : 외벽
113 : 접속홈 120 : 패킹
130 : 연결클립 130a: 내부 리브
130b: 외부 리브 131 : 스토퍼
132 : 분리용 레버 P : 걸림턱
10 : 덕트

Claims (4)

  1. 덕트 연결을 위한 덕트 연결구에 있어서,
    덕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접속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의 단부와 맞닿게 되는 패킹;
    탄성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리브가 상기 외벽에 끼워지되,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덕트의 외면과 상기 외벽의 외면을 구속하는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각 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의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려 상기 덕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금속성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리브의 단부에 벌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굽혀진 분리용 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구.
KR1020100097124A 2010-10-06 2010-10-06 덕트 연결구 KR20120035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24A KR20120035546A (ko) 2010-10-06 2010-10-06 덕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24A KR20120035546A (ko) 2010-10-06 2010-10-06 덕트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46A true KR20120035546A (ko) 2012-04-16

Family

ID=4613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24A KR20120035546A (ko) 2010-10-06 2010-10-06 덕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5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90123548A (ko) * 2018-04-24 2019-11-01 김진성 끼움 고정식 파이프 커넥터 장치
KR102018843B1 (ko) * 2018-12-08 2019-11-04 김태현 공조설비의 관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90123548A (ko) * 2018-04-24 2019-11-01 김진성 끼움 고정식 파이프 커넥터 장치
KR102018843B1 (ko) * 2018-12-08 2019-11-04 김태현 공조설비의 관 연결구조
WO2020116759A1 (ko) * 2018-12-08 2020-06-11 김태현 공조설비의 관 연결구조
CN113167499A (zh) * 2018-12-08 2021-07-23 金兑炫 空调设备的管连接结构
CN113167499B (zh) * 2018-12-08 2022-12-06 金兑炫 空调设备的管连接结构
US11913665B2 (en) 2018-12-08 2024-02-27 Tae Hyun Kim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7662B2 (ja) 金属シール
US9689108B2 (en) Dryer duct connector
WO2013099887A1 (ja) コネクタ
JP4757870B2 (ja) ホース留め具
KR20120035546A (ko) 덕트 연결구
US20080191465A1 (en) Clamping Ring for Connecting Thin-Walled Tubes
ES2748287T3 (es) Acoplamiento de conducto de ventilac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KR100556213B1 (ko) 환기덕트 연결구 및 연결구조
KR20060052024A (ko) 접속지관
WO2018159201A1 (ja) 配管継手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US20140209200A1 (en) Plug for connector
US20210246603A1 (en) Duct connector assembly
KR20060121029A (ko)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CN110735979B (zh) 管道连结件的安装确认件
JP2006200832A (ja) 配管温度センサー取り付け部品
KR20120086161A (ko) 호스클램프
JP6043714B2 (ja) シール部材
KR20060032619A (ko) 덕트 내부 삽입형 환기덕트 연결구
KR200447945Y1 (ko) 배관연결장치
CN219979886U (zh) 联接件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102440992B1 (ko) 보일러의 배연관 연결구조
JP5514414B2 (ja) 差込式管継手
JP2011038537A (ja) 管継手の接続確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