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954A - 포고핀 - Google Patents

포고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954A
KR20120034954A KR1020100096358A KR20100096358A KR20120034954A KR 20120034954 A KR20120034954 A KR 20120034954A KR 1020100096358 A KR1020100096358 A KR 1020100096358A KR 20100096358 A KR20100096358 A KR 20100096358A KR 20120034954 A KR20120034954 A KR 2012003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pring
edge
locking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0009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954A/ko
Publication of KR2012003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은 양단 관통의 바디와,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전술한 바디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리며 단부가 전술한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핀과, 전술한 바디에 내장되며 일단부가 전술한 핀과 접촉되며 전술한 핀의 출입에 따른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과,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 내주면에 고정되고 전술한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마감구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디, 핀, 스프링 및 마감구의 표면은 도금되어 상호 결합되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고핀{POGO PIN}
본 발명은 포고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표면 결함 및 구조적 변형이 거의 없고 내부식성이 우수한 포고핀에 관한 것이다.
포고핀(POGO PIN)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측정장비의 탐침용으로 사용되며, 구조적인 특성상 접촉 정확도가 높으므로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바, 충방전용의 전류 공급장치와 휴대용 단말기에 부설된 카메라 모듈이나 슬라이드 힌지 등에도 폭넓게 적용된다.
전술한 포고핀은 대략 관 형상의 실린더 내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핀이 출입하면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통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식성의 향상을 위하여 표면에 도금 처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포고핀은 실린더에 스프링을 수납하고 핀을 장착하면, 핀이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실린더의 단부 가장자리를 구부리는 포밍(forming)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실린더의 포밍 부위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면서 도금된 부분에도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부품을 조립한 후 도금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핀과 실린더의 결합부위가 도금된 금속으로 연결되어 버리는 현상이 일어나 핀의 원활한 출입 동작에 지장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최초의 출입 동작으로 인한 도금 부분의 결함 역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체결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포고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표면 결함 및 구조적 변형이 거의 없는 포고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통전성이 탁월한 포고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은 양단 관통의 바디와,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전술한 바디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리며 단부가 전술한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핀과, 전술한 바디에 내장되며 일단부가 전술한 핀과 접촉되며 전술한 핀의 출입에 따른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과,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전술한 바디의 타단부 내주면에 고정되고 전술한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마감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바디에 내장되는 스프링의 일단부를 수용하면서 출입하는 핀과, 스프링의 타단부를 수용하면서 바디에 걸림 고정되는 마감구의 구조에 따라 체결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견고한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디의 일단부에 핀의 이탈을 제한하는 구조를 미리 마련하고, 바디의 타단부에 마감구와의 체결력 유지를 위한 구조를 미리 마련하여 구조적 변형 및 결함이 거의 없는 우수한 제품의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핀과 마감구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 바디와, 핀과, 마감구 및 스프링에 미리 도금 처리를 한 후 상호 체결을 하더라도 기존 제품의 포밍시 발생하는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므로 도금 처리된 표면의 깨끗한 상태 유지가 가능하므로, 우수한 내부식성을 구현하면서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내장되는 스프링(300)의 양단부를 각각 핀(200)과 마감구(400)가 수용하며, 핀(200)은 바디(100)로부터 출입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바디(100)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며, 스프링(300)이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핀(200)과 마감구(4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핀(200)은 바디(100)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바디(100)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리며 단부가 바디(100)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며, 후술할 스프링(30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바디(100)로부터 출입 가능한 부재이다.
핀(200)은 스프링(300) 및 마감구(400)와 함께 전류 공급장치 또는 충방전 장치 등에서 대상물과 접촉되면 통전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의 연결 부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프링(300)은 바디(100)에 내장되며 일단부가 핀(100)과 접촉되며 핀(100)의 출입에 따른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재를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프링(300)은 핀(200)과 마감구(400) 각각에 상시 접촉 상태를 지속함으로써 통전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의 연결 부재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마감구(400)는 바디(100)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바디(100)의 타단부 내주면에 고정되고, 스프링(3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마감구(400)는 핀(200) 및 스프링(300)과 함께 통전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의 연결 부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디(100)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된 핀(200)의 단부에 대상물이 접촉되면 비로소 통전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양단부에 핀(200)과 마감구(400)를 걸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가 미리 형성된 구조이므로, 포밍(forming) 작업에 따른 제품의 왜곡이나 형상 변형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0), 핀(200), 스프링(300) 및 마감구(400)의 표면은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기 전에 도금 처리되므로, 표면 결함 등의 우려가 없음은 물론, 녹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바디(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300)이 내장되고 양단부에 핀(200)과 마감구(400)가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중간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제1 걸림링(120)과 걸림홈(130)이 각각 마련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중간체(110)는 스프링(300)이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양단 관통인 원형 관의 형상으로 된 부재이며, 제1 걸림링(120)은 핀(200)이 걸리도록 중간체(110)의 일단부 내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걸림홈(130)은 중간체(110)의 타단부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걸림홈(130)에 후술할 마감구(400)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다.
이때, 핀(200)의 외경(D)은 중간체(110) 내부를 왕복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중간체(110)의 내경(d)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핀(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에 출입 가능하게 내장되어 스프링(300)의 탄성 지지를 받는 것으로, 이동체(210)의 단부에 통전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체(220)가 돌출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동체(210)는 스프링(30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안착홈(212)이 마련되고 바디(100), 더욱 상세히는 중간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한다.
접촉체(220)는 이동체(210)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바디(100)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된다.
전술한 핀(200)의 외경(D)이라 함은 이동체(210)의 외경을 가리키는 것이다.
한편, 마감체(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스프링(300)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것으로, 바디(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2 걸림링(430)이 단부에, 그리고 외주면을 따라 슬리브(420)가 각각 형성된 본체(41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체(410)는 단부에 스프링(300)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 안착홈(412)이 마련되고 외주면이 중간체(110)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슬리브(420)는 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중간체(110)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것이며, 제2 걸림링(430)은 본체(410)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13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중간체(110) 내주면의 걸림홈(130)과 체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2 걸림링(430)으로부터 슬리브(420)까지의 거리(L)는 제2 걸림링(430)이 걸림홈(130)의 단부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걸리면서 안착되도록 중간체(110)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걸림홈(130)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ℓ)와 같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30)이 형성된 부분의 중간체(110) 내경(d')은 안착된 제2 걸림링(430)이 걸림홈(130)에 정확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걸림링(430)의 외경(D')과 같게 형성된다.
또한, 마감체(400)에는 제2 걸림링(4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리브(420)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삽입사면(43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체(110)는 삽입사면(432)이 접촉하여 제2 걸림링(430)이 걸림홈(130)에 안착될 때까지 중간체(110) 타단부의 직경이 확장되게 순간적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걸림홈(130)이 형성된 부분은 중간체(110)의 두께, 즉 중간체(110)의 외경과 내경의 차이보다 상대적으로 얇으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쉬우므로, 일종의 확관 현상을 허용하게 되고, 이때 마감체(400)의 삽입시 삽입사면(432)이 전술한 확관 현상을 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체결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표면 결함 및 구조적 변형이 거의 없으며,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통전성이 탁월한 포고핀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바디 110...중간체
120...제1 걸림링 130...걸림홈
200...핀 210...이동체
212...제1 안착홈 220...접촉체
300..스프링 400...마감구
410...본체 412...제2 안착홈
420...슬리브 430...제2 걸림링
432...삽입사면

Claims (5)

  1. 양단 관통의 바디;
    상기 바디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리며 단부가 상기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핀;
    상기 바디에 내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핀과 접촉되며 상기 핀의 출입에 따른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타단부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마감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핀, 스프링 및 마감구의 표면은 도금되어 상호 결합되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스프링이 내장되는 중간체와,
    상기 핀이 걸리도록 상기 중간체의 일단부 내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걸림링과,
    상기 중간체의 타단부 내주면을 따라 함몰되는 링 형상의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에 상기 마감구의 단부가 걸림 고정되고,
    상기 핀의 외경은 상기 중간체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접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단부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 안착홈이 마련되고 외주면이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중간체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본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홈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걸림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링으로부터 상기 슬리브까지의 거리는 상기 중간체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걸림홈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같고,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중간체 내경은 상기 제2 걸림링의 외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상기 제2 걸림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슬리브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사면이 더 포함되고, 상기 중간체는 상기 삽입사면이 접촉하여 상기 제2 걸림링이 상기 걸림홈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중간체 타단부의 직경이 확장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KR1020100096358A 2010-10-04 2010-10-04 포고핀 KR2012003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58A KR20120034954A (ko) 2010-10-04 2010-10-04 포고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58A KR20120034954A (ko) 2010-10-04 2010-10-04 포고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954A true KR20120034954A (ko) 2012-04-13

Family

ID=4613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58A KR20120034954A (ko) 2010-10-04 2010-10-04 포고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9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64B1 (ko) * 2012-08-23 2013-11-25 율고핀 주식회사 투 피스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프로브 핀
KR20170090586A (ko) * 2016-01-29 2017-08-08 최선영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64B1 (ko) * 2012-08-23 2013-11-25 율고핀 주식회사 투 피스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프로브 핀
KR20170090586A (ko) * 2016-01-29 2017-08-08 최선영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9945B2 (en) Test probe assembly and test socket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TW201111795A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9431200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629173B1 (ko)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TWI548879B (zh) Spring sleeve probe
US8414328B2 (en) Method of installing antenna and coaxial connector
US20180011127A1 (en) Kelvin probe and kelvin inspection unit provided with same
US8952283B2 (en) Slide switch
TW201006068A (en) Coaxial connector
US8952279B2 (en) Slide switch
KR20120034954A (ko) 포고핀
US20130175146A1 (en) Slide Switch
US9239587B2 (en) Shaft slip-off stopping structure and switch having the same
CN109716593A (zh) 具有基架和固定元件的保持框架组件以及用于装配其的方法
KR102513361B1 (ko) 와이어 프로브용 지그
KR101887994B1 (ko) 전류의 전송 시스템
US20150300870A1 (en) Liquid surface level sensor attachment structure and liquid surface level sensor
KR20130087885A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상부전극장치용 너트 클램프
US8905796B2 (en) Power supply plug structure
US8832956B2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with distance detecting mechanism
KR101317909B1 (ko) 설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로 절연애자
KR200446978Y1 (ko) 반도체칩 검사용 푸셔
CN109262176A (zh) 一种能够提升稳定度的l型钢焊接夹具
KR100605618B1 (ko) 통신단말기의 충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