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420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420A
KR20120034420A KR1020100095972A KR20100095972A KR20120034420A KR 20120034420 A KR20120034420 A KR 20120034420A KR 1020100095972 A KR1020100095972 A KR 1020100095972A KR 20100095972 A KR20100095972 A KR 20100095972A KR 20120034420 A KR20120034420 A KR 2012003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images
shutter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042B1 (ko
Inventor
박성하
홍성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42B1/ko
Priority to US13/238,407 priority patent/US8988545B2/en
Publication of KR2012003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sequentially 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제1 영상을 기초로 제2 영상을 보정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재생 모드에서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 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이 포함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시,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얼굴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시 스틸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눈이 감긴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눈이 감기지 않은 얼굴이 포함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시 스틸 이미지를 새로이 획득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S1 이후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프리 캡쳐 이미지들을 기초로 메인 캡쳐 이미지에서 존재하는 블링크된 부분을 보정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는 반 셔터 신호이고,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는 풀 셔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토 포커싱 완료 타이밍과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 사이에 N개(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개의 제1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제1 영상들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제1 영상들로부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긴 영상들을 제외하는 단계;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중 하나의 제1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선택한 제1 영상의 눈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을 각각 잘라내고,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에 상기 잘라낸 제1 영상의 눈 부분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중에서 상기 눈의 크기가 가장 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각각의 눈의 크기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눈의 크기가 가장 유사한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각각의 눈의 위치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눈의 위치가 가장 유사한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N개의 제1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1개의 제1 영상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반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에 대해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오토 포커싱의 완료 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복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복수의 제1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풀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고,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중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제1 영상의 눈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을 각각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상기 제1 영상의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풀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타이밍에 촬영된 영상인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들의 눈의 크기가 큰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와 유사한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와 유사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는 반 셔터 신호이고,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는 풀 셔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는 블링크 검출부; 및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블링크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오토 포커싱 완료 타이밍과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 사이에 N개(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타이밍에 촬영된 영상인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들의 눈의 크기가 큰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와 유사한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와 유사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N개의 제1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S1 이후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프리 캡쳐 이미지들을 기초로 메인 캡쳐 이미지에서 존재하는 블링크된 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S1 시점 이후의 프리 캡쳐 이미지들이 복수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메모리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영 제어부(210), 얼굴 검출부(220), 블링크 검출부(230) 및 블링크 보정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가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로 반드시 구현될 필요는 없고,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셔터 입력 신호와 제2 셔터 입력 신호 사이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프리 캡쳐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캡쳐된 영상에 존재하는 블링크된 얼굴을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촬영 타이밍인 S2에 가장 부합하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S1 이후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에 기초하여 S2에 촬영된 메인 영상의 흠결 또는 부적합을 보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S2에 촬영된 영상에 존재하는 움직임, 손 떨림 등으로 인한 S2에 획득된 영상의 흠결을 그 이전에, 즉 S1 이후의 타이밍에 획득된 프리 캡쳐 영상들, 또는 그들 중에서 최적으로 선택된 영상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그 일 실시 예로서 블링크 보정을 중심으로 본원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제1 영상을 기초로 제2 영상을 보정한다. 여기서, 제1 셔터 입력 신호는 반 셔터 신호이고, 제2 셔터 입력 신호는 풀 셔터 신호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프리뷰 영상에 대해 AF(Auto Focus, 이하 AF라 한다)를 수행한다. 여기서, AF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의한 AF 처리를 수행하지만, 다른 방식들, 예를 들면 팬포커스에 의한 AF 처리, 위상차 AF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의한 AF는 AF를 실행하기로 결정된 AF 영역, 즉, 검출된 얼굴 영역들의 콘트라스트 값이 가장 높아지는 포커스 렌즈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즉, 포커스 렌즈를 움직여 가고, 그때의 촬상 소자(115), 예를 들면 CCD의 콘트라스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그 파형을 해석해서 고주파성분이 가장 커지는 렌즈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맞추어 핀트를 맞추는 방식이다. AF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촬영 제어부(210)는 AF가 완료된 후, 촬상 소자 제어부(116)를 제어하여 입력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한다. 여기서, 시간 간격은 500ms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S1 이후부터 복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제1 영상 또는 복수의 제1 영상들은 임시 저장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버퍼 저장부(140) 또는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여기서, 하나의 제1 영상이 제2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제2 영상이 저장된 경우에는 제2 영상을 보정하는데 적합한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2 영상을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영상의 기본 전제 조건은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제2 영상을 보정할 제1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타이밍에 촬영된 영상, 복수의 제1 영상들의 눈의 크기가 큰 영상,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와 유사한 영상, 제2 영상의 눈의 위치와 유사한 영상인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촬영 제어부(210)는 제2 셔터 입력 신호, 즉 S2가 입력될 때까지, 제1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제2 셔터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 소자 제어부(116)를 제어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얼굴 검출부(220)는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전술한 반 셔터 신호 이후에 촬영된 영상(이하 제1 영상) 또는 풀 셔터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하 제2 영상)을 포함한다.
블링크 검출부(230)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블링크 검출부(230)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바, 눈은 얼굴 내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얼굴 검출부(220)가 얼굴을 검출한 경우에만 블링크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얼굴 검출과 관계없이 전체 영상에서 블링크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얼굴 검출부(220)는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내에 얼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포함되었다면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고,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그와 같은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블링크 판단부(2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얼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눈의 좌우 길이와 상하 폭의 비를 고려하여 좌우 길이에 대한 상하 폭의 비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작을 경우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링크 판단부(230)는 촬상소자(115)에서 획득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대해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영상은 복수일 수 있으며, 버퍼 저장부(140) 또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하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일 수 있다.
블링크 보정부(240)는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제2 영상에 합성한다. 여기서, 영상 합성은 제1 영상과 제2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잘라내고, 제1 영상에서 잘라낸 눈 부분을 제2 영상에 합성하는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에 수직 측은 시간 기준으로, S1, t-3, t-2, t-1, S2를 나타내고, 각각의 타이밍, 즉 t-3, t-2, t-1, S2에 촬영된 영상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t-3, t-2, t-1에 촬영된 3장의 제1 영상만(310 내지 330)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촬영된 영상에는 3명의 얼굴들(A 내지 C)이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얼굴 또는 그 이상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1 타이밍 이후에, 즉 반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AF가 수행되고 나서, t-3 시점에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제1 영상(330)을 획득하고 나서, t-2 시점에 다시 촬영하여 제1 영상(320)을 획득하고, t-1 시점에 제1 영상(310)을 획득한다. 그리고,
S2 타이밍, 즉 t 시점에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제2 영상(300)을 획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영상(300)에 존재하는 얼굴들(A 내지 C) 중 눈을 감은 얼굴이 있는 판단하는데, 여기서, C 얼굴(301)이 눈을 감은 경우, 이전 촬영된 제1 영상들(310 내지 330) 중에서 C 얼굴에 대해 눈을 감았는지 감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고, 감지 않은 제1 영상들(320 및 330)을 기준으로 제2 영상(300)에서 눈감은 얼굴을 보정한다. 그리고 C 얼굴이 눈을 감은 제1 영상(310)은 임시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제1 영상들(320 및 330)의 눈 부분(3321 및 331)을 기준으로 제2 영상(300)에서의 눈 부분(302)을 보정한다. 여기서, 제1 영상들(320 및 330) 중에서 제2 영상(300)의 눈 부분(302)을 보정할 영상의 선택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먼저, 메인 촬영 영상, 즉 제2 영상과의 촬영간격이 가장 짧은 것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t-1 시점이 메인 촬영 시점인 t와 가장 가깝지만, t-1 시점의 제1 영상(310)은 C 얼굴이 눈을 감았기 때문에 다음으로 가까운 t-2 시점에 촬영된 제1 영상(320)의 눈 부분(321)을 기준으로 제2 영상을 보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S2 버튼을 누른 그 시점이 가장 촬영하고자 했던 영상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최대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한 영상을 그대로 재현해 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장 원하는 타이밍의 이미지를 최대한 반영해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눈이 가장 큰 것. 해당 인물의 양쪽 눈의 사이즈가 유사한 것. 해당 인물의 얼굴 위치 또는 얼굴 좌표가 메인 이미지의 좌표와 유사한 것 등을 기준으로 제1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서는 전술한 기준들을 제시하였지만, 어느 하나 또는 여러 가지를 조합하여 제2 영상을 보정할 제1 영상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기준들 외에 다른 기준들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선택한 제1 영상, 예를 들면 S2 타이밍과 가장 가까운 시점인 t-2 시점에 촬영된 제1 영상(320)의 눈 부분(321)을 크롭하고, 제2 영상(300)의 눈 부분(302)을 크롭한다. 그리고 크롭된 제1 영상의 눈 부분(321)을 제2 영상(300)의 눈 위치에 합성하여 제2 영상(300)을 보정한다. 따라서, 저장 및 기록되는 제2 영상(300)에 존재하는 얼굴들에는 눈을 감은 얼굴이 존재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와 보존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미리 획득된 영상(Pre-Captured Image)은 오토 포커싱 이후 시점과 S2 사이의 구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S1과 S2의 누름 간격에 따라 미리 획득된 영상의 생성 숫자는 최소 0 개부터 수십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획득된 영상이 0개이거나, 일정 이상의 개수, 예를 들면 5개 이상이 생성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완 사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S1과 S2가 연속적, 즉 제1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간격이 500ms인데 S1과 S2 시간 간격이 그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영상이 생성될 시간이 부족하다. 이 경우에는 S2 이후에 추가로 일정 개수, 예를 들면 1 내지 2장의 영상을 더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제1 영상 생성 방법들 또는 선택 기준에 따라 제1 영상을 선택하여 제2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사용자가 S1을 상당 시간 동안 누르고 있어서 미리 획득한 제1 영상이 일정 개수, 예를 들면 5개 이상으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숫자로 제한하는 것은 너무 많은 제1 영상은 시스템 메모리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시간상으로 메인 영상과의 촬영 간격이 너무 길어져 촬영자의 의도와 맞지 않는 영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리 획득하는 영상의 제한을 5장으로 하는 경우, 제1 영상의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 임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을 때, 계속된 사용자의 S1 버튼 누름이 있을 경우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500ms가 지나면 여섯 번째 제1 영상이 저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여섯 번째 이미지를 저장시키면서, 첫 번째로 촬영된 제1 영상은 만약, 일곱 번째 영상이 저장되어야 할 경우, 두 번째의 이미지를 삭제한다. 이런 방식으로 가장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가 계속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블링크 보정 모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블링크 보정 모드에 따라 S1과 S2 타이밍 사이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모드 선택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단계 502에서,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단계 504에서, S1에 따라 AF를 수행한다. 단계 506에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하나 또는 복 수의 프리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하나 이상의 프리 캡쳐 영상을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단계 508 및 510에서, S2에 따라 메인 촬영을 수행한다.
단계 512에서, 메인 촬영된 영상에 존재하는 눈이 블링크되었는지 판단한다. 블링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18로 진행하여 메인 촬영 영상을 기록한다.
단계 512에서, 메인 촬영된 영상에 존재하는 눈이 블링크된 경우에는 단계 514에서, 단계 506에서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블링크되지 않은 눈을 포함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단계 510에서 촬영된 메인 영상을 보정한다.
단계 518에서, 보정된 메인 영상을 기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블링크 보정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602에서 프리 뷰 영상이 화면에 출력되고, 단계 604에서, S1에 따라 AF를 수행한다. 단계 608에서, 입력 영상을 프리 캡쳐한다. 단계 610에서, S1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S1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612에서, 임시 저장된 프리 캡쳐 이미지를 리셋하고, 단계 602로 되돌아 간다. 단계 610에서, S1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614에서, 프리 캡쳐를 계속한다.
단계 616 및 618에서, S2에 따라 메인 촬영을 한다. 단계 620에서, 메인 촬영된 영상에 블링크된 얼굴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단. 블링크된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624에서, 프리 캡쳐된 영상들 중 블링크된 얼굴에 대해 블링크되지 않은 영상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단계 626에서, 프리 캡쳐된 영상들 중에 블링크되지 않은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628에서, 블링크되지 않은 얼굴의 눈 부분을 크롭한다. 단계 630에서, 크롭된 눈 부분과 메인 캡쳐 이미지를 합성하고, 단계 632에서, 합성된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단계 620에서, 메인 촬영된 영상에 블링크된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622로 진행하여 메인 촬영된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단계 626에서, 프리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블링크되지 않은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계 622로 진행하여, 메인 촬영된 영상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디지털 카메라
110 : 렌즈부
20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 촬영 제어부
220 : 얼굴 검출부
230 : 블링크 검출부
240 : 블링크 보정부

Claims (20)

  1.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는 반 셔터 신호이고,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는 풀 셔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토 포커싱 완료 타이밍과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 사이에 N개(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1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제1 영상들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제1 영상들로부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긴 영상들을 제외하는 단계;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중 하나의 제1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선택한 제1 영상의 눈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을 각각 잘라내고,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에 상기 잘라낸 제1 영상의 눈 부분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중에서 상기 눈의 크기가 가장 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각각의 눈의 크기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눈의 크기가 가장 유사한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들 각각의 눈의 위치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눈의 위치가 가장 유사한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1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1개의 제1 영상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반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에 대해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오토 포커싱의 완료 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복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복수의 제1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풀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고,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중 눈이 감기지 않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제1 영상의 눈 부분 및 상기 제2 영상의 눈 부분을 각각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상기 제1 영상의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풀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타이밍에 촬영된 영상인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들의 눈의 크기가 큰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와 유사한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와 유사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는 반 셔터 신호이고,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는 풀 셔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판단하는 블링크 검출부; 및
    상기 눈이 감긴 경우, 상기 제1 영상에 존재하는 눈 부분을 상기 제2 영상에 합성하는 블링크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셔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오토 포커싱 완료 타이밍과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 사이에 N개(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셔터 입력 신호의 타이밍에 가까운 타이밍에 촬영된 영상인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들의 눈의 크기가 큰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크기와 유사한지, 상기 제2 영상의 눈의 위치와 유사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N개의 제1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00095972A 2010-10-01 2010-10-0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972A KR101728042B1 (ko) 2010-10-01 2010-10-0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238,407 US8988545B2 (en) 2010-10-01 2011-09-21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972A KR101728042B1 (ko) 2010-10-01 2010-10-0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20A true KR20120034420A (ko) 2012-04-12
KR101728042B1 KR101728042B1 (ko) 2017-04-18

Family

ID=4588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972A KR101728042B1 (ko) 2010-10-01 2010-10-0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8545B2 (ko)
KR (1) KR101728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3677B2 (en) * 2013-10-14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Refocusable images
US9549118B2 (en) 2014-03-10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Blink and averted gaze avoidance in photographic images
US9325876B1 (en) * 2014-09-08 2016-04-26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on of a preferred image from multiple captured images
CN107209345B (zh) * 2014-12-26 2018-10-16 富士胶片株式会社 对焦控制装置、摄像装置、对焦控制方法及介质
US9961258B2 (en) * 2015-02-23 2018-05-01 Facebook, Inc. Illumination system synchronized with image sensor
CN108521547A (zh) * 2018-04-24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10887525B2 (en) * 2019-03-05 2021-01-05 Sony Corporation Delivery of notifications for feedback over visual quality of images
US11430414B2 (en) * 2019-10-17 2022-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ye gaze control of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CN112036311A (zh) * 2020-08-31 2020-12-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眼部状态检测的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865B2 (en) * 1998-11-20 2006-08-08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age selection function,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selection function program
JP4043708B2 (ja) 1999-10-29 2008-02-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20030117505A1 (en) * 2001-12-20 2003-06-26 Sasaki Gary David Intermediate memory for a digital camera
US7792335B2 (en) 2006-02-24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disqualification of digital images
US8330831B2 (en) * 2003-08-05 2012-12-11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Method of gathering visual meta data using a reference image
JP4127296B2 (ja) * 2006-06-09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48536B1 (ko) 2008-03-21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88795B1 (ko) * 2008-03-25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23808B2 (en) * 2009-10-27 2014-09-02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Method for improved digital video image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560A1 (en) 2012-04-05
KR101728042B1 (ko) 2017-04-18
US8988545B2 (en)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5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513666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0305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300690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81514A (ko)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71062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896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30071794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60295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104069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37055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1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9704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569361B2 (ja) 撮像装置および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KR10177735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030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7104315A (ja) 撮影装置
KR1019231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393189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