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291A -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291A
KR20120034291A KR1020100095746A KR20100095746A KR20120034291A KR 20120034291 A KR20120034291 A KR 20120034291A KR 1020100095746 A KR1020100095746 A KR 1020100095746A KR 20100095746 A KR20100095746 A KR 20100095746A KR 20120034291 A KR20120034291 A KR 2012003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character
vowel
recognized
de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원
Original Assignee
서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원 filed Critical 서대원
Priority to KR102010009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291A/ko
Publication of KR2012003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는 조이스틱을 상,하 그리고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혹은 직선조작, 그리고 그 조작후 조이스틱 누름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자음을 인식하고, 그 자음을 초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 및 직선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모음을 인식하고, 그 모음을 중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이스틱의 누름조작 여부를 통해 종성문자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 한 음절 입력종료하거나 상기 초성문자 인식단계의 반복을 통해 종성문자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본 발명은 문자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간 통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들은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메세지 전송, 게임, 영상 전송, 영화 시청과 같은 부가 기능들이 부가되어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는 별도로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들로서 여러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들, 예를 들면 PMP, 테블릿 PC, 휴대형 게임기 등이 보급되고 있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들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문자입력 기능이다. 휴대형 단말기들의 일반적인 문자입력방식은 키패드 조작 혹은 키패드 자판의 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휴대형 단말기들 뿐만 아니라 일반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정해진 자판의 문자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다 보니 자판 혹은 키보드 조작에 낯설은 사용자들에게는 쉽게 익힐 수 없는 문자입력방식이다.
특히 비디오게임 콘솔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을 보고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해 가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시간면에서 문자 입력이 느리고, 조작면에서 많은 조작을 수반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두 개의 조이스틱을 구비하여 자음과 모음을 별도로 입력하는 기기들도 소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두 개의 조이스틱을 이용하므로 경박단소한 제품을 요구하는 시장 트랜드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입력이 요구되는 모든 전자기기들에서 하나의 조이스틱만을 이용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경박단소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좌,우 및 원 운동 가능한 하나의 조이스틱만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선택하여 모든 한글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자음 입력이 완료된 조이스틱의 그 위치에서 바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위치에 모음이 할당한 방식이 아니라 조이스틱의 회전 방향 및 각도, 그리고 이동경로의 조합만으로 모든 모음을 생성하여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문자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은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는 조이스틱을 상,하 그리고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혹은 직선조작, 그리고 그 조작후 조이스틱 누름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자음을 인식하고, 그 자음을 초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 및 직선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모음을 인식하고, 그 모음을 중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이스틱의 누름조작 여부를 통해 종성문자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한 음절 입력종료하거나 상기 초성문자 인식단계의 반복을 통해 종성문자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중 어느 하나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시 그 조작 이동방향에 맞는 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의 조작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각각에 맞는 자음과 모음을 할당하되, 그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별도의 영역상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조이스틱부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시계 혹은 반시계 조작 방향을 판독하여 그 이동방향의 조합에 맞는 자음 혹은 모음을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고 이를 표시부에 문자조합 표시하는 문자표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 혹은 문자입력방법은 하나의 조이스틱만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두 개의 조이스틱을 이용하는 장치 혹은 방법 보다 경박단소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판 혹은 키패드 사용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에게 문자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 완료하고 그 위치에서 바로 조이스틱을 직선 혹은 회전시켜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의 신속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방식이 아니라 조이스틱의 회전 방향 및 각도, 그리고 이동경로의 조합만으로 모든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시 그 어떤 문자 입력 방식 보다도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문자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조이스틱 조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조이스틱 조작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조이스틱부의 일반적인 구성 및 동작과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크게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중 어느 하나의 자소(ㄱ,ㄴ.ㅡ,ㅣ)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시 그 조작 이동방향에 맞는 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부(100)와, 상기 조이스틱부(100)의 조작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각각에 맞는 자음과 모음이 할당되어 있되, 그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별도의 영역상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조이스틱부(100)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시계 혹은 반시계 조작 방향을 판독하여 그 이동방향의 조합에 맞는 자음 혹은 모음을 상기 메모리(110)에서 독출하고 이를 표시부(130)에 문자조합 표시하는 문자표시 제어부(120)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예로서 문자표시 제어부(120)는 조이스틱부(100)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이 시계 방향 데이터를 포함할 때 자음이 저장된 영역만을 검색하여 자음 독출하고, 반시계 방향 데이터를 포함할 때 모음이 저장된 영역만을 검색하여 모음 독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문자표시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문자인식을 하나 예로 들면,
우선 문자표시 제어부(120)는 조이스틱부(100)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ㅡ + ㄴ" 일때 'ㄷ'으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ㅡ + ㄴ" 일때 'ㄹ'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ㄴ" 일때 'ㅁ'으로 인식 표시하고,
"ㅡ + ㄴ + ㅣ" 일때 'ㅂ'으로 인식 표시하며,
"ㅣ+ ㅡ" 일때 'ㅅ'으로 인식하고,
조이스틱이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ㅇ'으로 인식하고 표시하며,
"ㄱ + ㅡ" 일때 'ㅈ'으로 인식 표시하고,
"ㅈ,ㄱ,ㄷ,ㅁ,ㅇ"이 각각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두번 누름 조작될때 "ㅊ,ㅋ,ㅌ,ㅍ,ㅎ" 로 인식 표시하는 한편, "ㄱ,ㄷ,ㅂ,ㅅ,ㅈ"이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 조작될때 "ㄲ,ㄸ,ㅃ,ㅆ,ㅉ"으로 인식 표시한다.
또한 문자표시 제어부(120)는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ㄴ' 혹은 'ㄹ' 인식후 상기 조이스틱(100)이 두 번 누름 조작되면 각각 'ㄴ+ㅎ', 'ㄹ+ㅎ'을 종성문자로 표시한다.
더 나아가 문자표시 제어부(120)는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종성문자로 "ㄹ+ㄱ"이 인식된후 상기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 조작되면 "ㄹ+ㅁ"을 종성문자로 인식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래 1 혹은 도 3의 (a)와 같이 기본 모음 자소들( "ㅣ,ㅡ,?,ㅚ,ㅟ)의 결합으로 모든 모음을 입력하며, 상기 기본 모음 자소 "ㅣ,ㅡ,?,ㅚ,ㅟ" 각각의 이동방향 데이터는 아래 2와 같은 이동방향 데이터의 조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문자표시 제어부(120)가 이들 기본 모음 자소들을 나타내는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결합 인식을 통해 모음을 인식한다.
아래 1:
ㅏ: 기본 모음 자소 "ㅣ+?".
ㅑ: 기본 모음 자소 "ㅣ+?+?".
ㅓ: 기본 모음 자소 "?+ㅣ".
ㅕ: 기본 모음 자소 "?+?+ㅣ".
ㅗ: 기본 모음 자소 "?+ ㅡ"
ㅛ: 기본 모음 자소 "?+?+ㅡ".
ㅜ: 기본 모음 자소 "ㅡ +?".
ㅠ: 기본 모음 자소 "ㅡ +?+?".
ㅡ: 기본 모음 자소 "ㅡ".
ㅣ: 기본 모음 자소 "ㅣ".
ㅚ: 기본 모음 자소 "ㅚ".
ㅟ: 기본 모음 자소 "ㅟ".
ㅐ: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ㅒ: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ㅝ: 기본 모음 자소 "ㅟ+?".
아래 2:
ㅣ: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ㅡ: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마주 보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 조작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ㅚ: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ㅟ: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마지막으로 상술한 방식 이외에 문자표시 제어부(120)는 자음과 모음 입력후 상기 조이스틱부(100)의 누름 조작시 입력 문자가 완성된 것으로 인식한다.
참고적으로 도 1에서 미설명된 외부 I/F부(140)는 외부 기기와 문자표시 데이터 등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 혹은 방법이 탑재되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의 동작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조이스틱(100) 조작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도 2의 (a)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부(100)의 상,하,좌,우에는 기본자소 'ㄱ,ㄴ,ㅣ,ㅡ'가 할당되어 있다. 이에 '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틱부(100)를 12시 방향으로 조작하면 되고, 'ㄴ'은 조이스틱부(100)를 6시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입력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도 2의 (b)에서 화살표는 조이스틱 조작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b)와 같이 조작했을때 입력되는 문자는 (c)의 자음이 입력된다.
즉, 'ㄷ'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ㄷ'을 구성하는 기본자소 'ㅡ'와 'ㄴ'이 입력되도록 조이스틱부(100)를 3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시계 방향 회전 조작하면 되고, 'ㄹ'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ㄹ'을 구성하는 기본자소 'ㄱ'과 'ㅡ'와 'ㄴ'이 입력되도록 조이스틱부(100)를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시계 방향 회전 조작하면 된다. 'ㅁ'은 'ㄱ'과 'ㄴ'의 결합이므로 도 2의 (b)에서와 같이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혹은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하고, 'ㅂ'은 3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시계 방향 회전 조작한다.
그리고 'ㅅ'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틱부(100)를 9시 방향에서 3시 방향 혹은 3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하고, 'ㅇ'은 조이스틱부(100)를 시계방향으로 360 회전 조작하여 입력한다. 'ㅈ'은 직관적으로 'ㄱ'과 'ㅡ'의 결합 형태로 보여질 수 있으으로 조이스틱부(100)를 12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입력하고, 'ㄹ+ㄱ'은 'ㄹ'과 'ㄱ' 각각을 입력하는 것과 같이 12시 방향에서 6시 시계 방향으로 우선 회전(1)시킨 후 다시 12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2)하여 입력한다. 'ㅂ+ㅅ' 역시 'ㅂ'과 'ㅅ'을 각각 입력하는 것과 같이 3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우선 회전(1)시킨 후 다시 3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2)하여 입력한다.
한편 도 2의 (d)는 (c)에서와 같이 자음을 입력한 후 조이스틱부(100)를 한 번 누름 조작하는 경우에 입력 완료되는 자음을 나타낸 것이고, (d)의 자음은 (c)에서와 같이 자음을 입력한 후 조이스틱부(100)를 두 번 누름 조작하는 경우에 입력 완료되는 자음을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 혹은 문자입력방법은 모든 자음을 하나의 조이스틱부(100)만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키패드 혹은 자판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에게 문자(자음)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 혹은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들이 가지는 공통 부분을 찾아내어 이들을 기본자소(ㄱ,ㄴ,ㅣ,ㅡ)로서 조이스틱부(100)의 상,하,좌,우에 배치하고,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을 구성하는 기본자소를 찾아 그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조이스틱부(100)를 조작하면 되므로, 문자입력방법의 암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조이스틱 조작도를 예시한 것이다. (a)는 기본 모음 자소(ㅣ,ㅡ,?,ㅚ,ㅟ) 입력시 조이스틱부(100)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b)와 (d)는 각각 모음 (c)와 (e)에 기재된 모음 입력시 조이스틱부(100)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기본 모음 자소들( "ㅣ,ㅡ,?,ㅚ,ㅟ)을 정의하고, 이들의 결합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을 취한다.
기본 모음 자소는 "ㅣ,ㅡ,?,ㅚ,ㅟ 이며, 이들은 각각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방향을 갖는다. 즉, 모음 'ㅣ'는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조이스틱부(100)가 반시계 방향 회전 조작되는 경우에 입력 완료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모음 'ㅡ'는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 조작될 경우 입력 완료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기본 모음 자소 '?'는 조이스틱부(100)가 어느 한 위치(12시 혹은 3시 혹은 6시 혹은 9시)에서 마주 보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 조작될 경우 입력 완료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모음 'ㅚ'는 6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직각 조작될 경우 입력 완료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모음 'ㅟ'는 6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조이스틱부(100)가 직각 조작될 경우 입력 완료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기본 모음 자소들의 이동방향을 정의하고, 이들 기본 모음 자소들을 결합하여 모든 모음을 표현하면, 결과적으로 기본 모음 자소(ㅣ,ㅡ,?,ㅚ,ㅟ)들을 나타내는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결합 인식을 통해 모든 모음을 인식할 수 있다. 기본 모음 자소(ㅣ,ㅡ,?,ㅚ,ㅟ)들의 결합으로 입력 가능한 모음을 아래에 예시하였다.
ㅏ: 기본 모음 자소 "ㅣ+?".
ㅑ: 기본 모음 자소 "ㅣ+?+?".
ㅓ: 기본 모음 자소 "?+ㅣ".
ㅕ: 기본 모음 자소 "?+?+ㅣ".
ㅗ: 기본 모음 자소 "?+ ㅡ"
ㅛ: 기본 모음 자소 "?+?+ㅡ".
ㅜ: 기본 모음 자소 "ㅡ +?".
ㅠ: 기본 모음 자소 "ㅡ +?+?".
ㅡ: 기본 모음 자소 "ㅡ".
ㅣ: 기본 모음 자소 "ㅣ".
ㅚ: 기본 모음 자소 "ㅚ".
ㅟ: 기본 모음 자소 "ㅟ".
ㅐ: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ㅒ: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ㅝ: 기본 모음 자소 "ㅟ+?".
이하 도 3의 (b)와 (c)를 통해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음 'ㅏ'는 기본 모음 자소 'ㅣ'와 '?'의 결합이므로 (b)의 첫 번째에서와 같이 조이스틱부(100)를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우선 반시계 방향 회전 조작(1)한후 9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2)하는 경우에 입력 완료된다. 모음 'ㅑ'는 모음 'ㅏ'에 기본 모음 자소 '?'가 더 결합된 형태이므로 3시 방향에 있던 조이스틱부(100)를 다시 9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3)함으로써 입력 가능하다.
모음 'ㅗ'는 (b)의 다섯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조이스틱부(100)를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직진 조작(1)한 후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 조작(2)함으로써 입력 가능하다. 모음 'ㅖ'는 (b)의 마지막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조이스틱부(100)를 12시 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 조작(1,2)함으로써 입력 가능하다.
그리고 모음 'ㅒ'는 (d)의 네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우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1)하고 다시 3시 방향으로 직진(2)후 재차 9시 방향으로 직진(3)한 후에 6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4) 조작함으로써 입력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모음 역시 하나의 조이스틱부(100)만을 통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키패드 혹은 자판 상의 자소 위치를 암기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문자입력방법은 하나의 조이스틱만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두 개의 조이스틱을 이용하는 장치 혹은 방법 보다 경박단소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고,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판 혹은 키패드 사용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에게 문자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 완료하고 그 위치에서 바로 조이스틱을 직선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수단의 불필요한 이동이 필요 없어 결과적으로 문자 입력의 신속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방식이 아니라 조이스틱의 회전 방향 및 각도, 그리고 이동경로의 조합만으로 모든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시 그 어떤 문자 입력 방식 보다도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100 : 조이스틱부 110 : 메모리
120 : 문자표시 제어부 130 : 표시부
140 : 외부 인터페이스부(I/F)

Claims (12)

  1.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중 어느 하나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시 그 조작 이동방향에 맞는 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의 조작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각각에 맞는 자음과 모음을 할당하되, 그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별도의 영역상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조이스틱부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시계 혹은 반시계 조작 방향을 판독하여 그 이동방향의 조합에 맞는 자음 혹은 모음을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고 이를 표시부에 문자조합 표시하는 문자표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부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이 시계 방향 데이터를 포함할 때 자음이 저장된 영역만을 검색하여 자음 독출하고, 반시계 방향 데이터를 포함할 때 모음이 저장된 영역만을 검색하여 모음 독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부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이 각각,
    "ㅡ + ㄴ" 일때 'ㄷ'으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ㅡ + ㄴ" 일때 'ㄹ'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ㄴ" 일때 'ㅁ'으로 인식 표시하고,
    "ㅡ + ㄴ + ㅣ" 일때 'ㅂ'으로 인식 표시하며,
    "ㅣ+ ㅡ" 일때 'ㅅ'으로 인식하고,
    조이스틱이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ㅇ'으로 인식하고 표시하며,
    "ㄱ + ㅡ" 일때 'ㅈ'으로 인식 표시하고,
    "ㅈ,ㄱ,ㄷ,ㅁ,ㅇ"이 각각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두번 누름 조작될때 "ㅊ,ㅋ,ㅌ,ㅍ,ㅎ" 로 인식 표시하는 한편, "ㄱ,ㄷ,ㅂ,ㅅ,ㅈ"이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 조작될때 "ㄲ,ㄸ,ㅃ,ㅆ,ㅉ"으로 인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는,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ㄴ' 혹은 'ㄹ' 인식후 상기 조이스틱이 두 번 누름조작되면 각각 'ㄴ+ㅎ', 'ㄹ+ㅎ'을 종성문자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종성문자로 "ㄹ+ㄱ"이 인식된후 상기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조작되면 "ㄹ+ㅁ"을 종성문자로 인식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는,
    모음은 아래 1과 같이 기본 모음 자소들( "ㅣ,ㅡ,?,ㅚ,ㅟ)의 결합으로 입력되며, 상기 기본 모음 자소 "ㅣ,ㅡ,?,ㅚ,ㅟ" 각각의 이동방향 데이터는 아래 2와 같은 이동방향 데이터의 조합을 가짐으로써, 이들 기본 모음 자소들을 나타내는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결합 인식을 통해 모음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아래 1:
    ㅏ: 기본 모음 자소 "ㅣ+?".
    ㅑ: 기본 모음 자소 "ㅣ+?+?".
    ㅓ: 기본 모음 자소 "?+ㅣ".
    ㅕ: 기본 모음 자소 "?+?+ㅣ".
    ㅗ: 기본 모음 자소 "?+ ㅡ"
    ㅛ: 기본 모음 자소 "?+?+ㅡ".
    ㅜ: 기본 모음 자소 "ㅡ +?".
    ㅠ: 기본 모음 자소 "ㅡ +?+?".
    ㅡ: 기본 모음 자소 "ㅡ".
    ㅣ: 기본 모음 자소 "ㅣ".
    ㅚ: 기본 모음 자소 "ㅚ".
    ㅟ: 기본 모음 자소 "ㅟ".
    ㅐ: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ㅒ: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ㅝ: 기본 모음 자소 "ㅟ+?".
    아래 2:
    ㅣ: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ㅡ: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마주 보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 조작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ㅚ: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ㅟ: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 제어부는,
    자음과 모음 입력후 상기 조이스틱부의 누름 조작시 입력 문자가 완성되었음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및 누름 조작 가능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ㄱ,ㄴ,ㅣ,ㅡ 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는 조이스틱을 상,하 그리고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혹은 직선조작, 그리고 그 조작후 조이스틱 누름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자음을 인식하고, 그 자음을 초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하,좌,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 및 직선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을 검출하여 모든 모음을 인식하고, 그 모음을 중성문자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이스틱의 누름조작 여부를 통해 종성문자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한 음절 입력종료하거나 상기 초성문자 인식단계의 반복을 통해 종성문자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성문자 표시 단계의 조이스틱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이,
    "ㅡ + ㄴ" 일때 'ㄷ'으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ㅡ + ㄴ" 일때 'ㄹ'로 인식 표시하고,
    "ㄱ + ㄴ" 일때 'ㅁ'으로 인식 표시하고,
    "ㅡ + ㄴ + ㅣ" 일때 'ㅂ'으로 인식 표시하며,
    "ㅣ+ ㅡ" 일때 'ㅅ'으로 인식하고,
    조이스틱이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ㅇ'으로 인식하고 표시하며,
    "ㄱ + ㅡ" 일때 'ㅈ'으로 인식 표시하고,
    "ㅈ,ㄱ,ㄷ,ㅁ,ㅇ"이 각각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두번 누름 조작될때 "ㅊ,ㅋ,ㅌ,ㅍ,ㅎ" 로 인식 표시하는 한편, "ㄱ,ㄷ,ㅂ,ㅅ,ㅈ"이 인식된 상태에서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 조작될때 "ㄲ,ㄸ,ㅃ,ㅆ,ㅉ"으로 인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성문자 표시 단계의 모음 인식은,
    모든 모음은 아래 3과 같이 기본 모음 자소들( "ㅣ,ㅡ,?,ㅚ,ㅟ)의 결합으로 입력되며, 상기 기본 모음 자소 "ㅣ,ㅡ,?,ㅚ,ㅟ" 각각의 이동방향 데이터는 아래 4와 같은 이동방향 데이터의 조합을 가짐으로써, 이들 기본 모음 자소들을 나타내는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의 결합 인식을 통해 모음 인식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아래 3:
    ㅏ: 기본 모음 자소 "ㅣ+?".
    ㅑ: 기본 모음 자소 "ㅣ+?+?".
    ㅓ: 기본 모음 자소 "?+ㅣ".
    ㅕ: 기본 모음 자소 "?+?+ㅣ".
    ㅗ: 기본 모음 자소 "?+ ㅡ"
    ㅛ: 기본 모음 자소 "?+?+ㅡ".
    ㅜ: 기본 모음 자소 "ㅡ +?".
    ㅠ: 기본 모음 자소 "ㅡ +?+?".
    ㅡ: 기본 모음 자소 "ㅡ".
    ㅣ: 기본 모음 자소 "ㅣ".
    ㅚ: 기본 모음 자소 "ㅚ".
    ㅟ: 기본 모음 자소 "ㅟ".
    ㅐ: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ㅒ: 기본 모음 자소 "ㅣ+?+?+ㅣ".
    ㅝ: 기본 모음 자소 "ㅟ+?".
    아래 4:
    ㅣ: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ㅡ: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마주 보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 조작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ㅚ: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ㅟ: 조이스틱을 어느 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직각 이동한 이동방향 데이터 조합.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종성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ㄴ' 혹은 'ㄹ' 인식후 상기 조이스틱이 두 번 누름조작되면 각각 'ㄴ+ㅎ', 'ㄹ+ㅎ'으로 인식하여 종성문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종성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종성문자 입력단계에서 종성문자로 "ㄹ+ㄱ"이 인식된후 상기 조이스틱이 한 번 누름 조작되면 "ㄹ+ㅁ"을 종성 문자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KR1020100095746A 2010-10-01 2010-10-01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120034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46A KR20120034291A (ko) 2010-10-01 2010-10-01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46A KR20120034291A (ko) 2010-10-01 2010-10-01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291A true KR20120034291A (ko) 2012-04-12

Family

ID=4613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746A KR20120034291A (ko) 2010-10-01 2010-10-01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6178B1 (en) Breath-sensitive digital interface
US9298270B2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20090073136A1 (en) Inputting commands using relative coordinate-based touch input
US20130307781A1 (en) Data entry systems
US10238960B2 (en) Dual input multilayer keyboard
WO2014148358A1 (ja) 情報端末、操作領域制御方法及び操作領域制御プログラム
Pollmann et al. HoverZoom: making on-screen keyboards more accessible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20230009807A1 (en) Text entry method and mobile device
KR101439057B1 (ko)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US10747335B2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function of input and output in character output area
CN108572744B (zh) 文字输入方法及其系统与计算机可读取记录媒体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20120034291A (ko)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140007545A (ko)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EP2524283A1 (en) Virtual keyboard
EP2668554A2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JP62735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0609020B1 (ko)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TW413779B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input device
KR102116406B1 (ko) 디스플레이 유닛의 문자 입력 시스템
KR101339524B1 (ko)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입력방식을 달리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