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011A -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011A
KR20120030011A KR1020110092602A KR20110092602A KR20120030011A KR 20120030011 A KR20120030011 A KR 20120030011A KR 1020110092602 A KR1020110092602 A KR 1020110092602A KR 20110092602 A KR20110092602 A KR 20110092602A KR 20120030011 A KR20120030011 A KR 2012003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s
engagement
p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458B1 (ko
Inventor
류헤이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3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과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을 별도로 형성한 배기로에 접속시키지 않더라도, 각 모듈을 구성하는 축전체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소망하는 개소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축전체 셀을 케이스(Ma)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모듈(M)을 연결시켜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조이다.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J)를 통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과,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카(hybrid car)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축전(蓄電)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축전 시스템은 축전체 셀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모듈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모아진 모듈은 각 모듈에 볼트를 끼우는 등으로 하여 연결ㆍ고정된다. 또, 각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수납된 축전체 셀에서는 충ㆍ방전시에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각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각각 연통하는 배기로(排氣路)가 별도로 형성된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21673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5-32243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을 별도로 형성한 배기로에 접속시키지 않더라도, 각 모듈을 구성하는 축전체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소망하는 개소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조를, "축전체 셀을 케이스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모듈을 연결시켜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조로서, 인접하는 모듈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 중 일측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상기 인접하는 모듈 중 타측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은 인접하는 모듈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각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1개의 공간을 구성한다. 따라서, 축전체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각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각각 연통하는 배기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연결부재를, 인접하는 모듈 중 일측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와 인접하는 모듈 중 타측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연결부재를 인접하는 모듈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인접하는 묘듈끼리를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가, 다리부의 기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의 부착구멍으로의 다리부의 삽입에 수반하여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을 둘러싸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되는 주회(周回) 밀봉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두면, 상기 케이스의 부착구멍에 클립의 다리부를 삽입하여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주회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부착구멍과 외부를 기밀상태로 칸막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를,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에 대한 제 1 걸어맞춤부와 모듈의 케이스에 대한 제 2 걸어맞춤부를 각각 구비한 1쌍의 클립으로 구성하여, 제 1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1쌍의 클립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클립의 제 2 걸어맞춤부를 각각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에 걸어맞춰서 인접하는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1쌍의 클립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부를 각각 상기 케이스의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다리부에 형성하고, 연결시킨 모듈을 소정의 힘으로 이격(離隔) 조작을 하였을 때에, 1쌍의 클립이 각각 상기 다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된 1쌍의 클립에 의해서 인접하는 모듈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연결상태는 모듈을 이격 조작함에 의해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모듈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모듈의 케이스는 얇고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이격 조작에 의해서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먼저 해제되도록 하여 둠으로써, 모듈끼리의 연결을 해제할 때에 모듈의 케이스 측에 변형이나 파손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클립은 각각 머리부를 가지되 상기 머리부의 이면에서 다리부를 돌출시키는 것으로 하고, 상기 머리부의 표면을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의 머리부의 표면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서 제 1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타측 클립에 걸어맞춰지도록 하여 둠과 아울러, 1쌍의 클립은 각각 다리부와 머리부를 관통하는 통기부(通氣部)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기 머리부의 표면에 상기 통기부를 구성하는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클립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에 수반하여 상기 타측 클립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추가 주회 밀봉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케이스의 부착구멍에 클립의 다리부를 삽입하여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된 1쌍의 클립의 사이도 추가 주회 밀봉부에 의해서 외부와 기밀상태로 칸막이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1쌍의 클립은, 일측 클립의 제 1 걸어맞춤부와 타측 클립의 제 1 걸어맞춤부가 클립의 회동축선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서 걸어맞춰지도록 하여 둠과 아울러, 1쌍의 클립에 각각 상기 겹침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타측 클립을 탄지 가능하게 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에는, 상기 1쌍의 클립에 있어서의 제 1 걸어맞춤부가 각각 제 2 걸어맞춤부 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걸어맞춤상태에서 서로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인접하는 모듈을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적절하게 연결시키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걸어맞춤부의 형성개소를 가능한 한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변경함에 의해서 1쌍의 클립의 제 1 걸어맞춤부끼리의 걸어맞춤력, 즉 인접하는 모듈끼리의 연결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이격 조작시에는 서로 접하는 경사면에 의해서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클립을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클립의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 1 직선과 상기 회동중심에서 상기 제 1 직선에 교차하는 가상의 제 2 직선에 의해서 구분된 4개의 영역 중 대향하는 2개의 영역에, 상기 회동중심 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2개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직선을 따르는 가장자리부에 각각 제 1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2개의 돌출부 중 일측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을 따르는 가장자리부에서 탄지수단이 되는 탄성편을 돌출형성하고, 2개의 돌출부 중 타측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을 따르는 가장자리부가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의 탄성편에 대한 피맞닿음부로 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1쌍의 클립 중 일측 클립의 머리부의 표면과 타측 클립의 머리부의 표면을 마주 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편을 피맞닿음부에 맞닿게 하여 이것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일측 클립의 제 1 걸어맞춤부 하측으로 타측 클립의 제 1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그 후에 탄성편의 변형을 해제함에 의해서 서로의 클립을 약간 회동시켜서 각각의 제 1 걸어맞춤부를 이것에 대응하는 제 1 걸어맞춤부 하측에 삽입시켜서 걸어맞출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한 경우, 같은 치수 및 같은 형상의 2개의 클립을 조립함에 의해서 연결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을 별도로 형성한 배기로에 접속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각 모듈을 구성하는 축전체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소망하는 개소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인접하는 모듈과, 클립이 부착된 스페이서를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연결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3의 (a)는 제 1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지 않은 1쌍의 클립의 사시도, (b)는 (a)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의 (a)는 제 1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1쌍의 클립을 스페이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b)는 (a)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제 1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1쌍의 클립을 스페이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1쌍의 클립에 의해서 연결된 모듈을 이격 조작함으로써 제 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약간 회동된 1쌍의 클립을 스페이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클립의 평면도
도 8은 클립의 저면도
도 9는 클립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본 클립의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B-B선 단면도
이하, 도 1?도 1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는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축전 시스템('축전 유니트'라고도 함)을 구성하는 모듈(M)('축전 모듈'이라고도 함)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모듈(M)을 복수개 연결시킴에 의해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각각 본 연결구조에 의해서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모듈(M,M…)에 의해서 상기 축전 시스템이 구성된다. 각 모듈(M)은 케이스(Ma) 내에 도시하지 않은 축전체 셀을 수납하여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모듈(M)은 광폭의 표면(Mb) 및 이면(Mc)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한 편평한 케이스(Ma) 내에 축전체 셀을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Ma)의 표면(Mb) 및 이면(Mc)에는 그 네 귀퉁이에 큰 지름의 둥근 구멍(Md)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둥근 구멍(Md)의 형성 위치보다도 약간 내측에는 이것보다도 작은 지름의 부착구멍(M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인접하는 모듈(M,M)은 그 케이스(Ma)의 광폭의 면(Mb,Mc){즉, 표면(Mb)과 이면(Mc)}끼리를 마주 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광폭의 면(Mb,Mc)의 각 변(邊)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로 겹쳐진 형상으로 혹은 좌우로 병렬된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인접하는 모듈(M,M) 사이에는 스페이서(S)가 개재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S)는 케이스(Ma)의 광폭의 면(Mb,Mc)의 폭 내에 수납되는 길이를 구비한 세장(細長)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S)의 일면(一面)은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에 접하고, 타면(他面)은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에 접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페이서(S)의 두께만큼의 공극이 인접하는 모듈(M,M) 사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S)의 양 단부에는 스페이서(S)의 양면에서 스페이서(S)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보스부(S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모듈(M)의 양 단변(短邊) 측에는 상기 단변을 따라서 형성된 2개의 둥근 구멍(Md)에 상기 보스부(Sa)가 삽입되는 스페이서(S)가 각각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S)의 일면 측의 보스부(Sa)는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의 둥근 구멍(Md)에 삽입되고, 스페이서(S)의 타면 측의 보스부(Sa)는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의 둥근 구멍(Md)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된 복수의 모듈(M,M…)은 각각의 모듈(M)의 둥근 구멍(Md)과 각 스페이서(S)의 보스부(Sa)에 끼워지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볼트 고정에 앞서서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연결부재(J)에 의해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J)를 통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과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M,M…)은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J)에 의해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각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는 전체적으로 1개의 공간을 구성한다. 따라서, 축전체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각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에 각각 연통하는 배기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재(J)는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2)와,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재(J)는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에 대한 제 1 걸어맞춤부(3)와, 모듈(M)의 케이스(Ma)에 대한 제 2 걸어맞춤부(4)를 구비한 1쌍의 클립(C,C)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볼트 고정에 앞서서 1쌍의 클립(C,C)에 의해서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클립(C,C)은 인접하는 모듈(M,M)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스페이서(S)를 사이에 두고서 후술하는 제 1 걸어맞춤부(3)를 걸어맞추도록 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클립(C,C)은 제 1 걸어맞춤부(3)의 반대측에 상기 모듈(M)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는 다리부(2)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스페이서(S)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다리부(2)를 대응하는 모듈(M)의 부착구멍(Me)에 삽입하되 상기 다리부(2)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 2 걸어맞춤부(4)에 의해서 모듈(M) 측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인접하는 모듈(M,M)을 스페이서(S)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S)에 있어서의 1쌍의 보스부(Sa,Sa) 사이에는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의 형성개소가 끼워지는 관통구멍(Sb)이 형성되어 있으며, 1쌍의 클립(C,C)은 각각 상기 관통구멍(Sb) 내에서 제 1 걸어맞춤부(3)를 서로 걸어맞춤에 의해서 스페이서(S)를 협지(挾持)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립(C)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의 형성위치보다도 외측에는 상기 관통구멍(Sb) 내에 끼워지지 않는 협지부(1g)가 형성되어 있으며, 1쌍의 클립(C,C)의 상기 협지부(1g) 사이에서 스페이서(S)의 상기 협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1쌍의 클립(C,C)은,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에 대한 제 1 걸어맞춤부(3)와, 모듈(M)의 케이스(Ma)에 대한 제 2 걸어맞춤부(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걸어맞춤부(3)에 의해서 1쌍의 클립(C,C)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클립(C,C)의 제 2 걸어맞춤부(4)를 각각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Ma)에 걸어맞춤으로써 인접하는 모듈(M,M)을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된 모듈(M,M)을 소정의 힘으로 이격(離隔) 조작을 하였을 때에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에 의하면,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된 1쌍의 클립(C,C)에 의해서 인접하는 모듈(M,M)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연결상태는 모듈(M)을 이격 조작함에 의해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모듈(M)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모듈(M)의 케이스(Ma)는 얇고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한 이격 조작에 의해서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이 먼저 해제되도록 하여 둠으로써, 모듈(M)끼리의 연결을 해제할 때에 모듈(M)의 케이스(Ma) 측에 변형이나 파손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클립(C,C)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부(4)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는 다리부(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된 모듈(M,M)을 소정의 힘으로 이격 조작을 하였을 때에, 1쌍의 클립(C,C)이 각각 상기 다리부(2)를 중심으로 하여{환언하면, 상기 부착구멍(Me)을 축받이로 하여}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쌍의 클립(C,C)은,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와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가 클립(C)의 회동축선{다리부(2)의 중심축(x)과 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서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은 각각 상기 겹침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타측 클립(C)을 탄지 가능하게 하는 탄지수단(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1쌍의 클립(C,C)에 있어서의 제 1 걸어맞춤부(3)는 각각 제 2 걸어맞춤부(4) 측으로 향한 경사면(3a)을 구비하고 있으며, 걸어맞춤상태에서 서로의 경사면(3a)이 서로 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에서는, 인접하는 모듈(M,M)을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적절하게 연결시키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걸어맞춤부(3)의 형성개소를 가능한 한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지수단(5)의 탄지력을 변경함에 의해서 1쌍의 클립(C,C)의 제 1 걸어맞춤부(3)끼리의 걸어맞춤력, 즉 인접하는 모듈(M,M)끼리의 연결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이격 조작시에는 서로 접하는 경사면(3a)에 의해서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클립(C)을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클립(C,C)은 같은 치수 및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C)은 인접하는 모듈(M,M) 사이의 공극 내에 끼워지는 두께를 가지는 머리부(1)와 다리부(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1)에 제 1 걸어맞춤부(3)와 탄지수단(5)이 구비되어 있고, 다리부(2)에 제 2 걸어맞춤부(4)가 구비되어 있다.
다리부(2)는 머리부(1)의 이면(1b)의 중앙에 그 일단을 일체로 연접시키되 상기 이면(1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리부(2)는 상기 부착구멍(Me)에 삽입 가능한 굵기로 되어 있고, 머리부(1)는 상기 부착구멍(Me)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머리부(1)는 대략 판형상을 이루며, 그 판면이 다리부(2)의 중심축(x)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다리부(2)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부(2)의 중심축(x)을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는 제 2 걸어맞춤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걸어맞춤부(4)는 다리부(2)의 중심축(x)을 따르는 2개의 분할홈(2a,2a)에 의해서 구분된 탄성편(2b)의 외면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걸어맞춤부(4)는 머리부(1) 측으로 향하는 걸어맞춤면(4a)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편(2b)의 기단부와 그 정상부(4b)의 사이를 경사면(4c)으로 하고 있다. 1쌍의 제 2 걸어맞춤부(4,4)의 정상부(4b) 간의 거리는 부착구멍(Me)의 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면(4a)과 머리부(1)의 이면(1b)과의 사이의 거리는 모듈(M)의 케이스(Ma)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이것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으로의 클립(C)의 다리부(2)의 삽입이 상기 부착구멍(Me)과 상기 경사면(4c)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탄성편(2b)의 탄성변형(휘어짐)에 의해서 허용됨과 아울러, 제 2 걸어맞춤부(4)의 정상부(4b)가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을 통과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2b)의 탄성복원에 의해서 케이스(Ma)가 제 2 걸어맞춤부(4)와 머리부(1)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됨으로써, 클립(C)이 모듈(M)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클립(C)은 제 2 걸어맞춤부(4)의 탄성변형과 탄성복원을 통해서 모듈(M)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제 2 걸어맞춤부(4)가 탄성복원될 때까지는 부착구멍(Me)에 대한 다리부(2)의 삽입에 따른 저항이 있고, 이 저항이 없어졌을 때에 걸어맞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의 유무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머리부(1)는 가상의 제 1 원(도시생략) 내에 형성된 중심부(1c)와, 상기 중심부(1c)의 지름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d)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d)의 외연(外緣)(1e)은 상기 제 1 원보다 지름을 크게 한 가상의 제 2 원(r)의 원호를 따르고 있다. 또, 머리부(1)의 표면(1a)을 구성하는 돌출부(1d)의 표면부에는 상기 제 1 원의 지름보다는 크고 상기 제 2 원(r)의 지름보다는 작은 가상의 제 3 원(r')의 원호를 따르는 리브(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상의 제 3 원(r')은 스페이서(S)의 관통구멍(Sb)의 지름과 거의 같으며, 머리부(1)는 상기 리브(1f)를 포함한 이것보다도 내측 개소가 상기 관통구멍(Sb) 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도 7). 상기 돌출부(1d)에 있어서의 리브(1f)와 외연(1e)의 사이가 상기 협지부(1g)가 된다. 중심부(1c)에는 긴 구멍(1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긴 구멍(1h)은 그 중앙부에서 다리부(2)의 내부와 연통하여 있다.
상기 돌출부(1d)는 클립(C)의 회동중심{즉, 상기 중심부(1c)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 1 직선(L)과 상기 회동중심에서 상기 제 1 직선(L)에 교차하는 가상의 제 2 직선(L')에 의해서 구분된 4개의 영역 중 대향하는 2개의 영역에 상기 회동중심 측에서, 즉 상기 중심부(1c)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돌출부(1d,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i)에 각각 제 1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일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에서 탄지수단(5)이 되는 탄성편(5a)이 돌출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타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가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탄성편(5a)에 대한 피맞닿음부(6)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는 상기 가상의 제 3 원(r')의 원호를 따르도록 상기 가장자리부(1i)에서 돌출되는 돌조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는 상기 리브(1f)에 연속하여 있다. 제 1 걸어맞춤부(3)는 머리부(1)의 표면(1a)의 일부를 이루는 표면부의 반대측 면을 상기 경사면(3a)으로 하고 있으며, 그 돌출선단으로 향하여 갈수록 그 두께 치수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탄성편(5a)은 상기 가상의 제 2 원(r)의 원호를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부(1j)에서 돌출되는 외측 암부(5b)와, 상기 외측 암부(5b)의 단부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중심부(1c) 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암부(5c)와, 상기 내측 암부(5c)의 단부에 있어서의 표면부에서 상기 중심축(x)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봉형상의 맞닿음부(5d)를 구비하고 있다. 또, 탄성편(5a)은 상기 머리부(1)의 표면(1a)을 구성하는 표면부와 이면(1b)을 구성하는 이면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탄성편(5a)의 봉형상의 맞닿음부(5d)와 상기 탄성편(5a)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부(1i)와의 사이의 거리(d1)가, 상기 탄성편(5a)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의 돌출선단과 피맞닿음부(6)와의 사이의 거리(d2)가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탄성편(5a)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돌출부(1d)에 있어서의 피맞닿음부(6)와 탄성편(5a)을 구비하고 있는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부(1i)와의 사이의 거리(d3)가, 탄성편(5a)의 봉형상의 맞닿음부(5d)와 상기 탄성편(5a)을 구비하고 있는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의 돌출선단과의 사이의 거리(d4)가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8).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클립(C,C) 중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의 형성측과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의 형성측을 마주 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편(5a)을 피맞닿음부(6)에 맞닿게 하여 이것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 하측으로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가 삽입되도록 하고, 그 후에 탄성편(5a)의 변형을 해제함에 의해서 서로의 클립(C,C)을 약간 회동시켜서 각각의 제 1 걸어맞춤부(3)를 이것에 대응하는 제 1 걸어맞춤부(3) 하측에 삽입시켜서 걸어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4, 도 5),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치수 및 같은 형상의 2개의 클립(C,C)을 조립함에 의해서 연결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접하는 모듈(M,M)이 상기 1쌍의 클립(C,C)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5), 상기 이격 조작을 하면, 제 1 걸어맞춤부(3)의 서로 접하는 경사면(3a)에 의해서 탄성편(5a)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클립(C,C)이 회동된다(도 6).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격 조작을 하면, 각 클립(C,C)은 상기 부착구멍(Me) 내에 있는 다리부(2)의 기단부를 축으로 하고 상기 부착구멍(Me)을 축받이로 하여 타측 클립(C)과 역방향으로 회동한다. 2개의 클립(C,C) 중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 하측에서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가 빠져 나가는 회동위치까지 클립(C)이 회동되면,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2개의 클립(C,C)은 각각의 모듈(M,M)에 제 2 걸어맞춤부(4)가 걸어맞춰진 상태인 채로 분리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1쌍의 클립(C,C)은 상기 다리부(2)와 머리부(1)를 관통하는 통기부(通氣部)(7)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다리부(2)는 양단을 각각 개방시킨 통형상을 이루며, 머리부(1)의 중심부(1c)에 형성된 긴 구멍(1h)이 상기 다리부(2)의 내부에 연통하여 있다. 즉, 상기 머리부(1)는 그 표면(1a)에 상기 통기부(7)를 구성하는 개구부(7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1쌍의 클립(C,C) 중 일측 클립(C)의 머리부(1)의 표면(1a)을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머리부(1)의 표면(1a)에 마주 대하도록 하면서,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를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에 상기한 바와 같이 걸어맞추고,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일측 클립(C)의 통기부(7)와 타측 클립(C)의 통기부(7)를 연결하고, 이 연결에 의해서 인접하는 모듈(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과 상기 인접하는 모듈(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을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도 2).
1쌍의 클립(C,C)의 머리부(1)의 이면(1b)에는, 상기 머리부(1)에서 돌출되는 다리부(2)의 기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으로의 다리부(2)의 삽입에 수반하여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Me)을 둘러싸는 상기 케이스(Ma)의 외면에 밀착되는 주회(周回) 밀봉부(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주회 밀봉부(8)는,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1)의 상기 중심부(1c)의 외연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그 돌출선단 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상기 기단부로부터 멀어지는 경사형상으로 돌출된 스커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회 밀봉부(8)의 돌출선단은 상기 머리부(1)의 중심부(1c)의 외연의 직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클립(C)의 다리부(2)를 삽입하여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주회 밀봉부(8)는 그 돌출선단을 케이스(Ma)의 외면에 밀착시켜서 부착구멍(Me)과 외부를 기밀상태로 칸막이한다(도 2).
또, 1쌍의 클립(C,C)의 머리부(1)의 표면(1a)에는, 상기 개구부(7a)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클립(C)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에 수반하여 상기 타측 클립(C)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추가 주회 밀봉부(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추가 주회 밀봉부(9)도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1)의 상기 중심부(1c)의 외연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그 돌출선단 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상기 개구부(7a)로부터 멀어지는 경사형상으로 돌출된 스커트 형상{즉, 상기 주회 밀봉부(8)와는 역방향의 스커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 주회 밀봉부(9)의 돌출선단은 상기 머리부(1)의 중심부(1c)의 외연의 직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클립(C)의 다리부(2)를 삽입하여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된 1쌍의 클립(C,C)의 사이도 상기 추가 주회 밀봉부(8)에 의해서 외부와 기밀상태로 칸막이된다(도 2).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클립의 머리부(1)의 표면(1a)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7a){즉, 긴 구멍(1h)의 길이방향측 구멍 가장자리}와 추가 주회 밀봉부(8)의 사이에는 상기 추가 주회 밀봉부(8)보다도 약간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원기둥형상 돌기(10)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M - 모듈 Ma - 케이스
Mf - 공간 J - 연결부재

Claims (11)

  1. 축전체 셀을 케이스(Ma)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모듈(M)을 연결시켜서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조로서,
    인접하는 모듈(M,M)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J)를 통해서,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과 상기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Ma) 내의 공간(Mf)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재(J)는, 인접하는 모듈(M,M) 중 일측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2)와, 인접하는 모듈(M,M) 중 타측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어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다리부(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재(J)는, 다리부(2)의 기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으로의 다리부(2)의 삽입에 수반하여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Me)을 둘러싸는 상기 케이스(Ma)의 외면에 밀착되는 주회(周回) 밀봉부(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재(J)는,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에 대한 제 1 걸어맞춤부(3)와, 모듈(M)의 케이스(Ma)에 대한 제 2 걸어맞춤부(4)를 각각 구비한 1쌍의 클립(C,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걸어맞춤부(3)에 의해서 1쌍의 클립(C,C)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클립(C,C)의 제 2 걸어맞춤부(4)를 각각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Ma)에 걸어맞춰서 인접하는 모듈(M,M)을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부(4)는 각각 상기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는 다리부(2)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시킨 모듈(M,M)을 소정의 힘으로 이격(離隔) 조작을 하였을 때에, 1쌍의 클립(C,C)이 각각 상기 다리부(2)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연결부재(J)는,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에 대한 제 1 걸어맞춤부(3)와, 모듈(M)의 케이스(Ma)에 대한 제 2 걸어맞춤부(4)를 각각 구비한 1쌍의 클립(C,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걸어맞춤부(3)에 의해서 1쌍의 클립(C,C)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클립(C,C)의 제 2 걸어맞춤부(4)를 각각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Ma)에 걸어맞춰서 인접하는 모듈(M,M)을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부(4)는 각각 상기 케이스(Ma)의 부착구멍(Me)에 삽입되는 다리부(2)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시킨 모듈(M,M)을 소정의 힘으로 이격(離隔) 조작을 하였을 때에, 1쌍의 클립(C,C)이 각각 상기 다리부(2)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걸어맞춤부(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1쌍의 클립(C,C)은 각각 머리부(1)를 가지되 상기 머리부(1)의 이면(1b)에서 다리부(2)를 돌출시키고 있으며, 상기 머리부(1)의 표면(1a)을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머리부(1)의 표면(1a)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서 제 1 걸어맞춤부(3)에 의해서 타측 클립(C)에 걸어맞춰지게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은 각각 다리부(2)와 머리부(1)를 관통하는 통기부(通氣部)(7)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머리부(1)의 표면(1a)에, 상기 통기부(7)를 구성하는 개구부(7a)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클립(C)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에 수반하여 상기 타측 클립(C)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추가 주회 밀봉부(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1쌍의 클립(C,C)은 각각 머리부(1)를 가지되 상기 머리부(1)의 이면(1b)에서 다리부(2)를 돌출시키고 있으며, 상기 머리부(1)의 표면(1a)을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머리부(1)의 표면(1a)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서 제 1 걸어맞춤부(3)에 의해서 타측 클립(C)에 걸어맞춰지게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은 각각 다리부(2)와 머리부(1)를 관통하는 통기부(通氣部)(7)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머리부(1)의 표면(1a)에, 상기 통기부(7)를 구성하는 개구부(7a)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클립(C)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에 수반하여 상기 타측 클립(C)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추가 주회 밀봉부(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쌍의 클립(C,C)은, 일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와 타측 클립(C)의 제 1 걸어맞춤부(3)가 클립(C)의 회동축선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서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클립(C,C)은 각각 상기 겹침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타측 클립(C)을 탄지 가능하게 하는 탄지수단(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1쌍의 클립(C,C)에 있어서의 제 1 걸어맞춤부(3)는 각각 제 2 걸어맞춤부(4) 측으로 향한 경사면(3a)을 구비하고 있으며, 걸어맞춤상태에서 서로의 경사면(3a)이 서로 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클립(C)의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 1 직선(L)과 상기 회동중심에서 상기 제 1 직선(L)에 교차하는 가상의 제 2 직선(L')에 의해서 구분된 4개의 영역 중 대향하는 2개의 영역에, 상기 회동중심 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2개의 돌출부(1d,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i)에 각각 제 1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일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에서 탄지수단(5)이 되는 탄성편(5a)이 돌출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타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가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탄성편(5a)에 대한 피맞닿음부(6)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클립(C)의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 1 직선(L)과 상기 회동중심에서 상기 제 1 직선(L)에 교차하는 가상의 제 2 직선(L')에 의해서 구분된 4개의 영역 중 대향하는 2개의 영역에, 상기 회동중심 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2개의 돌출부(1d,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i)에 각각 제 1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일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에서 탄지수단(5)이 되는 탄성편(5a)이 돌출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d,1d) 중 타측 돌출부(1d)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직선(L')을 따르는 가장자리부(1j)가 쌍을 이루는 타측 클립(C)의 탄성편(5a)에 대한 피맞닿음부(6)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KR1020110092602A 2010-09-17 2011-09-14 축전체 셀의 연결구조 KR101284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8963A JP2012064492A (ja) 2010-09-17 2010-09-17 連結構造
JPJP-P-2010-208963 201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011A true KR20120030011A (ko) 2012-03-27
KR101284458B1 KR101284458B1 (ko) 2013-07-09

Family

ID=4583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02A KR101284458B1 (ko) 2010-09-17 2011-09-14 축전체 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064492A (ko)
KR (1) KR101284458B1 (ko)
WO (1) WO20120360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964A (ko) * 2013-11-25 2015-06-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및 전지팩
WO2018052189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5971B (zh) * 2013-05-24 2016-02-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池盖组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731A (ja) * 2001-01-23 2002-08-02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のガス排出構造
JP4182858B2 (ja) * 2003-10-30 2008-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組電池
JP4810797B2 (ja) * 2004-05-06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組電池
JP2006324353A (ja) * 2005-05-17 2006-11-30 Ykk Corp 蓄電セル、そのコネクタ、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装置
JP2010033789A (ja) * 2008-07-28 2010-02-12 Jm Energy Corp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2011134541A (ja) * 2009-12-24 2011-07-07 Nifco Inc 連結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964A (ko) * 2013-11-25 2015-06-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및 전지팩
WO2018052189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31203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608221B2 (en) 2016-09-19 2020-03-31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64492A (ja) 2012-03-29
KR101284458B1 (ko) 2013-07-09
WO2012036072A1 (ja)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2181B1 (en) Optimized battery module restraint system
KR102024002B1 (ko) 전지팩
JP6083824B2 (ja) 接続信頼性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セル・ホルダー、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EP3525255B1 (en) Battery module
EP2736097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KR102101429B1 (ko) 리드 용접 장치, 이러한 리드 용접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329337B2 (en) Energy storage device
US20130075242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a battery
EP2860787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venting guidance portion
KR101649135B1 (ko) 이차 전지
KR101264854B1 (ko)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전압센싱 커넥터모듈
KR20150031095A (ko) 배터리 팩
US11018329B2 (en) Traction battery spacer with retention element
JPWO2013146562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KR102580234B1 (ko) 이차 전지
KR20150123102A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조립체
JP741691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60070015A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
KR102671852B1 (ko) 차량 전지 팩의 유체 분배 시스템용 튜브 조립체 및 차량용 전지 팩
KR20150086802A (ko) 이차전지 팩
US20160301051A1 (en) Assembled battery
KR101284458B1 (ko) 축전체 셀의 연결구조
US9397328B2 (en) Flexible busbar holder for welded cells
US20140308569A1 (en) Battery pack
US20170237050A1 (en) Frame device for accommodating storage cells of an energy stora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