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827A -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827A
KR20120029827A KR1020100091907A KR20100091907A KR20120029827A KR 20120029827 A KR20120029827 A KR 20120029827A KR 1020100091907 A KR1020100091907 A KR 1020100091907A KR 20100091907 A KR20100091907 A KR 20100091907A KR 20120029827 A KR20120029827 A KR 20120029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fingerprint
driving environment
av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827A/ko
Publication of KR2012002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지않게 의자 형태 등과 같은 차량의 운전 환경이 바뀌어 있어도 자신의 고유 지문을 통해 미리 설정해 둔 값을 찾아서 쉽게 차량의 운전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모든 설정 값에 대한 정보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에 대한 환경 설정이 자연스럽게 자동화 설정을 유도하여, 미래 지향적으로 차량의 운전 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DRIVING ENVIRONMENT SETTING SYSTEM FOR VEHICLE USING FINGERPRINT}
본 발명은 지문을 이용한 자동차 환경 기억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의자의 각도 및 높이 그리고 룸 미러(room mirror)와 사이드 미러(side mirror)의 각도, 풋 브레이크 높이,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의 EQ, NAVI 환경 설정 등의 차량 환경을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의 높이 및 각도 등을 1, 2, 3, 4의 버튼 등으로 미리 지정하고, 버튼 선택에 따라 지정된 의자의 높이 및 각도를 맞추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 또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인해 새로 리셋(reset) 되기 쉬워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여전히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 등 새롭게 조작 운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 내부의 운전 환경(예컨대, 룸 미러의 각도, 사이드 미러의 각도, 풋 브레이크의 높이 등)을 새롭게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지문을 이용한 자동차 환경 기억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은, 차량 내의 특정위치에 부착된 지문 인지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차량 탑승 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 인지 시스템 및 상기 지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차량의 운전환경과 관련된 차량의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셋팅 값에 따라 상기 주변 시스템들을 조절하는 AVN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방법은, 사용자가 차량 탑승 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지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환경과 관련된 차량의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초기 셋팅 값에 따라 상기 주변 시스템들을 AVN 제어 시스템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운전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해 줌으로써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인간 친화적인 차량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승 후, 자신에게 적합한 의자, 브레이크 형태, EQ, NAVI환경, MIRROR 환경을 다시 맞추기 위해 상하 전후 좌우 조절하는 불편함이 없이, 지문 인식만으로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설정값을 쉽게 맞출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지문인식만으로 차량 내부 셋팅 및 AVN 환경을 자동 세팅하여 운전자의 동선이 단순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이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초 운전 환경을 셋팅 하기 위한 GUI 화면들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지않게 의자 형태 등과 같은 차량의 운전 환경이 바뀌어 있어도 자신의 고유 지문을 통해 미리 설정해 둔 값을 찾아서 쉽게 차량의 운전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모든 설정 값에 대한 정보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기존에는 다른 운전자의 조작으로 인해 자신의 차량 내부의 의자 셋팅(SETTING)이 새로 리셋(RESET) 되기가 쉬워 운전 환경의 셋팅 자체의 기능이 상실되고, 여전히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 EQ 설정, NAVI 지도 축척 및 환경 등과 같은 운전 환경을 새롭게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트리어링 휠에 지문 센서를 장착하여, 차량 운전에 대한 환경 설정이 자연스럽게 자동화 설정을 유도하여, 미래 지향적인 차량의 운전 환경을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은 크게 지문 인지 시스템(100)과 AVN 제어 시스템(200)을 포함하며, 차량의 운전 환경과 관련된 각종 차량의 주변 시스템들(300, 400, 500, 600, 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시스템(100)은 지문 인식 센서(110)와, 지문 기억 저장부(120) 및 사용자 정보 송신부(130)를 포함한다.
지문 인지 센서(11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예컨대,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감지한다. 이러한 지문 인지 센서(110)로 광학식 지문 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식 지문 인지 센서는 크게 지문을 스캔(scan)하여 스캔 된 데이터를 보관된 사용자의 data와 비교하는 스캔 방식과 지문 인지 센서의 지문 창에 초소형 ccd 소자가 구비되어, 지문을 촬영한 뒤 촬영된 이미지를 가지고 보관된 data와 비교하는 촬영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스캔 방식은 사용자의 지문 상에 있는 특별한 사항을 데이터화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비교적 memory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소형 인식기에 많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지문 인식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부착되어 사용된다는 점 즉, 사이즈 측면을 고려할 때, 스캔 방식의 지문 인식 센서가 바람직하다.
지문 기억 저장부(120)는 각종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지문 인지 센서(110)에 의해 광학적으로 센싱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서 이를 저장한다. 이때, 지문 기억 저장부(120)에서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지문 정보들(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4)이 각각의 스택 영역(STACK1, STACK2, STACK3, STACK4)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송신부(130)는 외부 요청에 응답하여 지문 기억 저장부(120)에서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요청한 해당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AVN 제어 시스템(200)은 지문 인지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CAN 네트워크 방식으로 따라 전송받고, 상기 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셋팅(SETTING) 정보에 따라 운전 환경과 관련된 각종 차량의 주변 장치를 셋팅 한다.
이를 위하여, AVN 제어 시스템(200)은 기존의 차량에 구비된 오디오 시스템, AVN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 다양한 기기를 응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AVN 제어 시스템(200)은 기본적으로 정보 수신부(210), 제어 시스템(220), 정보 송신부(230) 및 LCD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CAN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상기 지문 인지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 시스템(220)으로 전달한다.
제어 시스템(220)은 정보 인식 해석부(222), 제어부(224) 및 정보 표시부(226)을 포함한다. 정보 인식 해석부(222)는 정보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해석하고, 해석된 지문 정보를 제어부(224)로 전송한다. 제어부(224)는 AVN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블록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정보 인식 해석부(222)로부터 전송받은 해석된 지문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정보 송신부(2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어 신호는 상기 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표시부(226)는 사용자가 최초 셋팅 값을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드(USER SETTING MODE)에서 각종 사용자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정보 송신부(230)는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서 CAN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주변 장치들로 각각 전송한다.
상기 주변 장치들로는 미러 제어 시스템(300), AVN NAVI 시스템(400), AVN EQ 시스템(500), 의자 조절 시스템(600), 브레이크 조절 시스템(70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주변 장치들 중 미러 제어 시스템(300)은 크게 조절부(310), 사이드 미러 제어부(320), 룸 미러 제어부(330) 및 환경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조절부(310)는 AVN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중 사이드 미러 제어 신호와 룸 미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미러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후, 조절부(310)는 전달받은 미러 제어 신호에 따라 환경 저장부(360)에 기저장된 미러 셋팅 값들 중 사이드 미러 셋팅값과 룸미러 셋 팅값을 독출하여, 각각 사이드 미러 제어부(320)와 룸 미러 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사이드 미러 제어부(320)는 사이트 미러 셋팅 값에 따라 우측 사이드 모터부(342)와 좌측 사이드 모터부(344)를 각각 구동시켜, 최초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로 사이드 미러를 위치시킨다.
AVN NAVI 시스템(400)은 크게 NAVI 정보부(410)와 NAVI 제어부(420)로 이루어져, AVN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중 NAVI 시스템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따라 NAVI 정보부(410)가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한 NAVI 셋팅 값을 NAVI 제어부(420)로 전달하고, NAVI 제어부(420)는 NAVI 셋팅 값에 따라 AVN NAVI 시스템(400)을 셋팅한다.
AVN EQ 시스템(500)은 크게 EQ 정보부(510)와 EQ 제어부(520)로 이루어져, AVN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중 EQ 시스템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따라 EQ 정보부(410)가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한 EQ 셋팅 값을 NAVI 제어부(420)로 전달하고, NAVI 제어부(420)는 EQ 셋팅 값에 따라 AVN EQ 시스템을 셋팅한다.
의자 조절 시스템(600)은 정보 송/수신부(610, 620)와, 의자 조절부(630) 및 환경 저장부(640)를 포함한다. 정보 송/수신부(610, 620)는 AVN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중 의자 조절과 관련된 의자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서 이를 의자 조절부(630)로 전송한다. 의자 조절부(630)는 크게 입력부(632), 제어부(634) 및 조절부(636)로 구성되어, 전송받은 의자 제어 신호에 따라 환경 저장부(640)에 기저장된 사용자가 최초로 세팅한 의자 셋팅값을 독출하여 독출된 의자 셋팅 값에 따라 의자의 위치를 조절한다.
브레이크 조절 시스템(700)은 정보 송/수신부(710, 720), 제어부(730) 및 환경 저장부(740)를 포함한다. 정보 송/수신부(710, 720)는 AVN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중 브레이크 조절과 관련된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서 이를 브레이크 제어부(730)로 전송한다. 브레이크 제어부(730)는 전송받은 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따라 환경 저장부(740)에 기저장된 사용자가 최초로 세팅한 브레이크 셋팅값을 독출하여 독출된 브레이크 셋팅 값에 따라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이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초 운전 환경을 셋팅 하기 위한 GUI 화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LCD 표시부(240)를 통한 사용자 셋팅 모드(USER SETTING MODE) 시 보여주는 화면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버튼들(USER 1, USER 2, USER 3, USER 4)이 나타난다. 이중 사용자가 버튼 USER 1을 선택하는 경우, 버튼 USER 1을 클릭하게 되면, 도 2의 우측 도시되는 GUI 화면과 같은 키보드 자판 형상의 입력창이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는 키보드 자판 형상의 입력창을 통해 자신의 주민번호와 같은 비밀번호와 이름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의 셋팅 완료되면, 도 2의 좌측에 나타나는 화면이 다시 나타나는 데, 이때, 도 2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버튼 USER 1을 통해 자신의 이름을 '모비스'라 입력하게 되면, 도 3의 (a)와 같이 버튼 USER 1에는 모비스라는 이름으로 버튼 명칭이 나타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모비스라 표시된 버튼을 클릭하면, 도 3의 (b)와 같이, 차량의 주변장치들에 대한 복수의 셋팅 버튼들이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CHAIR SETTING 버튼, MIRROR SETTING 버튼, EQ SETTING 버튼, NAVI SETTING 버튼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의 의자를 셋팅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CHAIR SETTING 버튼을 클릭한 후, 운전석 높이 및 각도를 설정한다. 운전석 높이 및 각도 설정이 완료되면, 도 3의 (c)와 같이 CHAIR SETTING 버튼의 좌측에 표시된 동그라미 형상의 CHAIR SETTING 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가 차량의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를 셋팅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의 (d)와 같이 MIRROR SETTING 버튼을 클릭한 후, 사용자의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설정한다. 설정이 완료되면, 도 3의 (e)와 같이 MIRROR SETTING 버튼의 좌측에 표시된 MIRROR SETTING 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나머지 브레이크 시스템 및 NAVI 시스템의 셋팅 과정은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도 3의 (f), 도 4의 (g), (k), (l)). 다만, 사용자가 차량의 EQ 시스템을 셋팅 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h)와 같이, EQ SETTING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을 통해 도 4의 (i)와 같은 EQ 셋팅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즉, EQ 시스템의 경우, 화면상에서 셋팅 과정이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모든 셋팅 과정을 완료하면, 도 4의 (l)과 같이, 화면 우측 아래에 위치한 전체 셋팅 완료 버튼 'DONE'을 클릭한다.
그러면, 도 5의 (m)과 같이 "지문센서에 엄지 손가락을 데어 주세요!"와 같은 안내문구가 나타나며, 도 5의 (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부착된 지문 센서에 엄지 손가락을 접촉시킨 후, 도 5의 (o)와 같이 안내 문구 화면이 우측 아래에 나타나는 버튼 'DONE' 클릭한다.
이후,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도 1에 도시된 AVN 제어 시스템(200)의 정보 인식 해석부(222) 내의 메모리 또는 별도로 구비된 AVN 제어 시스템(200) 내의 메모리(도 1에서는 도시되지않음)에 저장된다.
이후, 도 5의 (g)와 같이 셋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가 표시되고, 도 5의 (r)과 같이, 셋팅 초기 화면으로 다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지않게 의자 형태 등과 같은 차량의 운전 환경이 바뀌어 있어도 자신의 고유 지문을 통해 미리 설정해 둔 값을 찾아서 쉽게 차량의 운전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모든 설정 값에 대한 정보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에 대한 환경 설정이 자연스럽게 자동화 설정을 유도하여, 미래 지향적으로 차량의 운전 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구성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항을 토대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량 내의 특정위치에 부착된 지문 인지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차량 탑승 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 인지 시스템; 및
    상기 지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차량의 운전환경과 관련된 차량의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셋팅 값에 따라 상기 주변 시스템들을 조절하는 AVN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VN 제어 시스템은,
    표시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사용자 셋팅 모드(USER SETTING MODE)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VN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초기 셋팅 상태를 완료하면, 완료된 초기 셋팅 상태를 상기 사용자 셋팅 모드 화면을 통해 상기 초기 셋팅 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초기 셋팅 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초기 지문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스템들은, 미러 제어시스템, AVN NAVI 시스템, AVN EQ 시스템, 브레이크 조절 시스템 및 의자 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6. 사용자가 차량 탑승 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지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환경과 관련된 차량의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초기 셋팅 값에 따라 상기 주변 시스템들을 AVN 제어 시스템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사용자 셋팅 모드(USER SETTING MODE)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셋팅 모드(USER SETTING MODE)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변 시스템들에 대한 초기 셋팅 상태를 완료하면, 완료된 초기 셋팅 상태를 상기 사용자 셋팅 모드 화면을 통해 상기 초기 셋팅 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셋팅 값과 연관시켜 상기 지문 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초기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방법.
KR1020100091907A 2010-09-17 2010-09-17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KR20120029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07A KR20120029827A (ko) 2010-09-17 2010-09-17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07A KR20120029827A (ko) 2010-09-17 2010-09-17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27A true KR20120029827A (ko) 2012-03-27

Family

ID=4613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07A KR20120029827A (ko) 2010-09-17 2010-09-17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8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10A (ko) * 2014-12-03 2016-06-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지문에 의한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42403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졸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506336A (zh) * 2022-01-25 2022-05-17 上海弘遥电子研究开发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车载设备参数调整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10A (ko) * 2014-12-03 2016-06-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지문에 의한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42403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졸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506336A (zh) * 2022-01-25 2022-05-17 上海弘遥电子研究开发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车载设备参数调整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4506336B (zh) * 2022-01-25 2024-01-09 上海弘遥电子研究开发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车载设备参数调整方法、装置及相关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978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0152115B2 (en)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employing an imager
CA2900250C (en) Wirelessly communicating configuration data for interactive display devices
US20150314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obile using eye gaze data
CN103294190A (zh) 通过手势识别与车辆控制交互的识别系统
KR101490908B1 (ko) 차량 내 손모양 궤적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시스템 및 방법
CN205121562U (zh) 基于远程用户生物计量配置电子设备的系统和电子设备
JP2009301094A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CN112399935B (zh) 使用运载工具内相机连同受信移动计算装置进行无缝驾驶员认证
US20180150133A1 (en)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173947B2 (en) Driving control device, vehicle and driving control method
US20090295595A1 (en) Method for control of a device
KR20120029827A (ko) 지문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조절 시스템
KR201501374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CN103995579B (zh) 具有使用者识别能力的多视角显示系统及其操作方法
US20190052745A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Mobile Device
US10588433B2 (en) Data setting method for body information analysis apparatus
CN111638786B (zh) 车载后排投影显示系统的显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425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1482B1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69952A1 (ja)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84489B2 (ja) 現在位置案内システム
KR101491648B1 (ko)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95213B1 (ko) 메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원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5843A1 (ja)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