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574A -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574A
KR20120029574A KR1020100091448A KR20100091448A KR20120029574A KR 20120029574 A KR20120029574 A KR 20120029574A KR 1020100091448 A KR1020100091448 A KR 1020100091448A KR 20100091448 A KR20100091448 A KR 20100091448A KR 20120029574 A KR20120029574 A KR 2012002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tic tank
air
odor
ultraviolet lamp
lam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기
곽신규
Original Assignee
문석기
곽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석기, 곽신규 filed Critical 문석기
Priority to KR102010009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574A/ko
Publication of KR2012002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는, 정화조의 굴뚝 또는 배기관(16)에 설치되며 정화조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14)를 구비하는 몸체(110), 몸체 내부의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 근방에 설치하여 정화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팬(130), 및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52)를 구비하는 자외선램프 모듈(150)을 포함한다. 정화조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악취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의 악취를 간편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septic tank}
본 발명은 정화조의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조 굴뚝 또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정화조 내부의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악취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화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가스는 약 20여종 정도로 대략 4가지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황 계열로서 황화수소,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Methyl Mercaptan 등이 있다. 두 번째로, 질소계열로서 암모니아, Methylamine, Putrescene, Cadaverine 등이 있다. 세 번째로, 휘발성 지방산으로서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lyric Acid, Valeric Acid 등이 있다. 네 번째로는, 페놀류로서 Phenol, p-Cresol, Indole, Skatol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악취유발 물질의 발생농도는 유입원수의 성상 및 정화조의 운전조건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악취의 주종을 이루게 된다.
상기 두 가지 악취 가스에 대하여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최소 감지값을 비교하여 보면, 황화수소는 0.06ppm, 암모니아는 2ppm으로서, 암모니아와 비교해서 황화수소가 적은 농도에서도 악취로 감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같은 농도의 악취가스라 해도 암모니아보다는 황화수소가 사람들에게 훨씬 더 큰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악취의 처리시설 또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퇴비시설, 공업지역내의 악취 발생시설, 하수처리장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약품 중화법, 토양처리법, 활성탄 흡착법, 연소법 등이 있다.
한편,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악취 성분의 악취강도와 양이 다른 악취 발생원(퇴비시설 등)에 비하여 그다지 심각한 상황은 아니나 정화조의 특성상 주거시설과 근접해 있어 잦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데, 상기의 악취처리 방법들은 대량의 악취를 처리하는데 적용되는 방법들로서, 그 처리시스템을 정화조 특히 단독정화조의 악취처리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화조의 악취처리를 위한 다른 해결방안으로 악취를 처리하기보다는 환기시설을 통해 건물 옥상 등으로 배출하여 대기중에 희석, 확산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가스를 옥상까지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용량의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문제와 기계의 부식문제 등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그 외에 정화조에 탈취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방법 역시 관리가 번거롭고 많은 비용을 발생시키면서도 임시방편적인 방법으로서,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되지 못하며, 때로는 탈취제로 쓰는 화학약품들이 오수를 더 심하게 오염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악취 제거를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과도한 환기시설 설치비, 공정의 복잡성, 유지관리의 난해함, 공사의 난이도 등의 문제점들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악취가스를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자외선이 유기물 분해에 따른 살균 및 탈취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기존에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악취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정화조의 악취제거를 위한 장치 또는 이와 같은 장치가 장착된 정화조가 제공된 예는 없으며, 정화조가 악취 발생가능 시설 중 우리 주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관리가 용이하여 기존의 고비용, 공정의 복잡성, 유지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정화조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는, 정화조(10) 내부의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굴뚝 또는 배기관(16)에 설치되며, 정화조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14)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 근방에 설치하여 정화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팬(130);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52)를 구비하는 자외선램프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렇게 정화조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의 악취를 간편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램프 모듈(150)은, 상기 자외선램프(152)가 고정 지지되며 내부에 제어 보드가 설치되는 보드 몸체(154)와, 상기 보드 몸체(154)가 지지되고 상기 몸체(110) 내부의 중간 부근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전원공급선이 수용되고 보조전원공급원인 변압기(157)가 수용되는 내장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 몸체(154) 및 내장부(156)는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에 의하면,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몸체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동시에 공기가 상기 복수의 구획을 순회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격벽(120)이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램프 유닛(150)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공기 이동 경로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램프 유닛(150)은 상기 가이드격벽(120) 또는 상기 몸체(110)의 적어도 일측벽에 설치된다. 이렇게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자외선에 조사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악취제거 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 유닛(150)이 설치되는 가이드격벽 또는 몸체의 일측벽에 대향하는 가이드격벽 또는 몸체의 타측벽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반사판(160)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저비용으로 악취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110)의 유입구(112)에는 메시망(140)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므로 장치의 수명이 증가하고 관리상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조 내부의 굴뚝 또는 배기관에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의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의 악취를 간편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몸체 내부에 가이드격벽을 복수 개 설치하여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악취제거 효율이 매우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에 의해 저비용으로 악취제거 효율을 증가시키며 메시망에 의해 공기 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므로 장치의 수명이 증가하고 관리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가 정화조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로써 도 2의 정면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는 정화조(10)의 굴뚝 또는 배기관(16)에 장착되어 정화조 내부의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악취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정화조(10)는 유입관(114)을 통해 오수원수가 유입되며, 오수원수를 처리하는 각종 처리시설이 내부에 있고(미도시), 처리된 오수는 배출관(14)을 통해 하수관로나 종말처리시설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로써 도 2에서의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는 몸체(110)와,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팬(130), 메시망(140) 및 자외선램프 유닛(15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몸체(110)의 양단에는 정화조 내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14)가 구비된다. 상부벽 덮개(116)에는 배기팬(130)과 자외선램프를 동작시키는 버튼(11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연배기가 가능한 곳에서는 배기팬의 가동을 중단하여 전기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기팬과 자외선램프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덮개(116)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덮개(116)는 나사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장치의 수리나 보수 시 덮개(116)를 개방할 수 있다.
몸체(110) 내부의 유출구(114) 근방에는 배기팬(130)이 설치되어, 정화조 내부의 공기를 몸체(110) 내부로 흡입한 후 배출시킨다.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의 몸체(110)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정화조의 굴뚝 또는 배기관(16) 밖으로 빠져나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130)은 유출구(114) 근방에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입구(112) 근방에도 설치될 수 있다.
유입구(112)에는 메시망(140)이 설치된다. 메시망(14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망(140)은 유입구(112)에 바로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입구(112)의 후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몸체(110) 내부의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는 자외선램프 모듈(150)이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램프 모듈(150)이 악취공기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된다. 자외선램프 모듈(150)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램프(152)와, 자외선램프(152)가 고정 지지되며 내부에 제어 보드가 설치되는 보드 몸체(154)와, 상기 보드 몸체(154)가 지지되고 몸체(110) 내부의 중간 부근(높이기준)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전원공급선이 수용되고 보조전원공급원인 변압기(157)가 수용되는 내장부(156)를 포함한다. 자외선램프(152)는 180~220㎚ 정도의 파장이 발행되어 악취기체는 황화수소와 같은 화학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램프(152)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으로 인해 공기 중의 악취는 제거되며, 또한 자외선은 탈취 성능뿐만 아니라 살균 성능도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공기 중의 세균을 제거한다. 자외선램프 (152)는 통상의 탈취 및 살균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보통 석영관이 장착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한다. 그리고, 보드 몸체(154) 및 내장부(156)는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자외선램프(152)를 구비한 자외선램프 모듈(150)가 몸체(110)의 중간 부근(높이기준)에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몸체(110)의 상부벽인 덮개(116)의 내측면에 또는 몸체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램프 한 개가 적용되는 경우 악취공기와 닿는 면적을 가능한 많게 하기 위해 중간 부근 바람직하게는 배기팬(140)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도 2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110) 내부에 몸체(110)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동시에 공기가 복수의 구획을 순회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격벽(120)이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자외선램프 모듈(150)는 이 가이드격벽(120)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된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가이드격벽에 의해 몸체의 공간이 좁아지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자외선램프 모듈은 앞선 실시예의 자외선램프 모듈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보조공급원인 변압기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격벽(120)에 의해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직선경로로 바로 유출구(114)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고, 내부를 순회하면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의해 공기의 이동 경로가 매우 길어지게 되므로 자외선램프 모듈(150)의 자외선램프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결국 악취제거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순회하는 공기의 자외선 노출 시간을 늘리기 위해, 자외선램프 모듈(150)는 이동 경로상에 복수 개 설치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자외선램프 모듈(150)는 가이드격벽(120)에 설치된다. 한편, 도 4에서 자외선램프 모듈(150)는 가이드격벽(120)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면 족하고 예를 들어, 몸체(110)의 측벽이나 하부벽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반사판(160)은 가이드격벽(120) 또는 몸체(110)의 상부벽(덮개)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격벽(120)은 자외선 램프의 용량이나 배기팬의 용량 및 공기압 손실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대략 2~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2의 상태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격벽(120)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격벽(120)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격벽(120)에 자외선램프 모듈(150)가 설치된다. 자외선램프 모듈(150)의 자외선램프 대향 방면에는 반사판(16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가이드격벽(120)에 의해 공기는 몸체 내부를 순환하면서 자외선램프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110. 몸체
112. 유입구 114. 유출구
120. 가이드격벽 130. 배기팬
140. 메시망 150. 자외선램프 모듈
152. 자외선램프 156. 내장부

Claims (6)

  1. 정화조(10) 내부의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굴뚝 또는 배기관(16)에 설치되며, 정화조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14)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 근방에 설치되어 정화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팬(130);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52)를 구비하는 자외선램프 모듈(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램프 모듈(150)은,
    상기 자외선램프(152)가 고정 지지되며 내부에 제어 보드가 설치되는 보드 몸체(154)와, 상기 보드 몸체(154)가 지지되고 상기 몸체(110) 내부의 중간 부근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전원공급선이 수용되고 보조전원공급원인 변압기(157)가 수용되는 내장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 몸체(154) 및 내장부(156)는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몸체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동시에 공기가 상기 복수의 구획을 순회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격벽(120)이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램프 모듈(150)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공기 이동 경로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 모듈(150)은 상기 가이드격벽(120) 또는 상기 몸체(110)의 적어도 일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 모듈(150)이 설치되는 가이드격벽 또는 몸체의 일측벽에 대향하는 가이드격벽 또는 몸체의 타측벽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반사판(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유입구(112) 또는/및 유출구(114)에는 메시망(1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KR1020100091448A 2010-09-17 2010-09-17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KR20120029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48A KR20120029574A (ko) 2010-09-17 2010-09-17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48A KR20120029574A (ko) 2010-09-17 2010-09-17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74A true KR20120029574A (ko) 2012-03-27

Family

ID=4613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448A KR20120029574A (ko) 2010-09-17 2010-09-17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5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96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KR20210039132A (ko)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세일에프에이 유해가스 제거능이 우수한 정화조용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96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KR20210039132A (ko)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세일에프에이 유해가스 제거능이 우수한 정화조용 공기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139B1 (ko) 가로등형 탈취기
KR101033291B1 (ko) 살균기능을 겸하는 악취제거 탈취탑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362064B1 (ko) 악취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382611B1 (ko) 비접촉식 와류형 광복합 촉매 산화 탈취 장치
KR101300234B1 (ko) 광산화 공정을 이용한 축산분뇨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CN111237920A (zh) 一种除甲醛消毒机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JPH1133567A (ja) オゾン分解方法とその装置
CN207913507U (zh) 箱式废气处理装置
KR20120029574A (ko) 정화조 악취제거 장치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20130035435A (ko) 악취제거장치
KR102562516B1 (ko) 악취농도에 따라 가변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 절전형 복합탈취기 및 그 제어시스템
KR100901794B1 (ko) 수 처리장치
KR102388987B1 (ko) 오물 처리용 악취 제거 시스템
JP5103327B2 (ja) 排オゾンの処理方法及び排オゾン処理システム
KR102448309B1 (ko) 스마트 하수관로 ict 기반을 갖는 가로형 플라즈마 이온 흡착산화 탈취장치
CN216336665U (zh) 一种臭水臭气综合治理设备
CN216716458U (zh) 一种负压新风离子除臭系统
CN212029764U (zh) 一种除甲醛消毒机
KR20220019506A (ko) 광촉매를 이용한 악취저감 항균 장치
KR102603674B1 (ko) 다단 복합 탈취기
KR101222731B1 (ko) 하수악취와 색도 및 탁도 제거 시스템
KR200367428Y1 (ko) 살균 탈취 맨홀 덮개
KR20130089123A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