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204A -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204A
KR20120029204A KR1020100091159A KR20100091159A KR20120029204A KR 20120029204 A KR20120029204 A KR 20120029204A KR 1020100091159 A KR1020100091159 A KR 1020100091159A KR 20100091159 A KR20100091159 A KR 20100091159A KR 20120029204 A KR20120029204 A KR 20120029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composition
skin
rose extract
wee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756B1 (ko
Inventor
문성호
태미령
이창근
양카이
허췐췐
연재호
안순애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9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56B1/ko
Priority to CN201010505194.2A priority patent/CN102397181B/zh
Publication of KR2012002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켜 주름을 개선하고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눈가 피부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불가리아 장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프로콜라겐 생합성을 증진시켜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 및 보습력 증진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함침하여 눈가 주름을 집중 관리하기에 효과적인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and the patch for the skin around ey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진시켜 주름을 개선하고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눈가 피부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장미는 장미의 풍부한 영양분으로 인하여 화장품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재료로 자리잡았다. 특히 장미 꽃봉오리에는 당, 아미노산, 비타민 C, 타닌, 구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 보습, 수렴 및 청정 작용이 뛰어나며, 건성 피부나 민감성 피부를 위한 깊은 보습과 안티에이징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4~5월경에 채집한 장미를 가장 최상급으로 여기며, 꽃이 활짝 핀 것보다는 봉오리 상태일 때 수확한 장미가 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채취한 지역이나 재배법에 따라 장미의 품질이 달라지는데 대부분 불가리아산을 최상급으로 인정하고 있다.
다른 꽃들도 많은 여성들의 사랑을 받았다지만 장미만큼 여성의 생활과 아름다움에 깊게 관여한 꽃도 드물다. 고대 이집트 시대에도 클레오파트라가 장미를 이용한 약탕 목욕을 즐겼다는 기록이 있으며, 유럽에서도 들장미의 꽃봉오리를 화장수의 원료로 쓰거나 상처나 화상 부위의 치료에 사용했다고 한다. 또한, 향수를 제조할 때에도 장미를 첨가하지 않은 향수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웰빙과 자연주의 열풍을 타고 천연 성분을 원료로 한 다양한 화장품들이 등장했지만, 그 중 꾸준한 인기를 끄는 것은 단연 장미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장미 품종에서 특히 불가리아장미가 항산화 및 보습 효능이 뛰어나며 특정 농도 이상에서는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피부 주름 개선, 특히 눈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함침하여 눈가 피부 관리 효과적인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녹는 필름인 패치 1; 및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인 패치 2;로 이루어지는 눈가 피부용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 및 탄력 개선, 보습력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눈가에 적용시 눈가의 피부 문제를 전반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함유한 패치를 사용시 편리하게 눈가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패치 1 및 패치 2로 구성된 본원발명에 따른 패치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히알루론산(HA) 결합 단백질에의 히알루론산의 특이적 결합에 기초한 ELISA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프로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얼굴에 패치 1 및 패치 2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전문의에 의한 주름 개선 정도의 육안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0w: 최초, 0w': 사용직후, 3w: 3주, 6w: 6주).
도 7은 눈가 주름 유발한 다음 본 발명의 패치를 사용하여 눈가 주름의 회복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0w: 최초, 0w': 사용직후, 3w: 3주, 6w: 6주).
도 8은 본 발명의 패치를 사용하면서 피험자들이 인지하는 주름 개선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0w: 최초, 3w: 3주, 6w: 6주).
도 9는 본 발명의 패치 사용에 따른 눈가 피부 수분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0w: 최초, 0w': 사용직후, 3w: 3주)..
도 10은 본 발명의 패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눈가 피부 주름 상태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패치 사용 후 3주 및 6주 경과 후 눈가 탄력 개선도, 눈가 주름 개선도 및 만족도를 나타낸 것이다(3w: 3주, 6w: 6주).
본 발명은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켜 주름을 개선하고 보습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꽃이 피기 직전의 상태로 꽃받침과 꽃잎이 뭉쳐있는 꽃봉오리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불가리아장미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열(非熱)처리 공법 중에서 초고압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초고압추출법은 시료에 기체나 열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수천바의 압력을 처리하여 순간적으로 세포막을 터뜨리면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므로 추출효율이 높고, 전혀 가공되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영양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0.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약하고, 10.0중량% 초과이면 색소합성세포(Melan-a cell line)에 대한 세포독성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될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아이 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불가리아장미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가 피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패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패치는 녹는 필름인 패치 1과 패치 1에 함유된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패치 2로 이루어진다. 이의 예시적인 형태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패치 1:
패치 1은 눈밑 주름과 탄력 개선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부메랑 접시 모양의 녹는 필름이다. 상기 모양은 패치 1에 포함된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패치 1은 효능성분으로서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아데노신을 함유한다. 아세틸글루코사민은 패치 1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아데노신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패치 1의 총 중량에 대하여 플루란은 1.0~6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캐럽콩검과 카라기난은 점증제로서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패치 2:
패치 2는 패치 1의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고, 눈가 피부 전체를 관리함으로써 주름과 탄력, 보습 개선을 위한 것이며, 패치 2는 얼굴 피부에 적용하면 팬더모양이 된다.
패치 2에 함침된 조성물은 효능성분으로서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며, 상기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패치 2에 함침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약하고, 10.0중량% 초과이면 색소합성세포(Melan-a cell line)에 대한 세포독성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패치 2는 마스크팩 시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연재료, 순면류, 하이드로겔류, 실리콘겔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패치2는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여 적용하는 것이며, 이 때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수용성 화장료의 조성이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눈가 피부용 패치는 패치 1 및 패치 2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상이하므로 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눈가 피부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패치는 패치 1을 눈밑 피부에 붙이고 그 위를 패치 2로 덮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높은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아이크림을 충분히 바른 후에 집중케어를 원하는 눈밑 부위에 패치 1을 붙이고 그 위를 가볍게 톡톡 맛사지하면서 패치 1의 자리를 잡아주고, 1~2분 정도 지난 뒤에 패치 2를 20분 동안 충분히 눈가를 적시며 덮어주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가 피부용 패치의 보다 높은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아이크림 제형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아이크림은 패치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주름 개선의 상승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성분이라면 사용가능한 유효성분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EGCG 또는 펩티스킨(peptiskin)을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는 피부에 도포시 생체내에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을 억제하고,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생체막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을 뿐 아니라 피부의 탄력상승, 피부노화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 또한, 펩티스킨은 주릅개선 부스팅(boosting) 물질로서, 피부에 도포시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 분해 및 콜라겐의 크로스링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패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아이크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조성을 가진다. 상기 아이크림은 아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EGCG를 0.001~10중량%, 펩티스킨을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크림은 친유성 알킬 사슬을 곁가지로 갖는 분지쇄형 고분자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12-22 Alkyl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쓰-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또는 아크릴레이트/세테쓰-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eteth-20 Methacrylat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다. 화장료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디메치콘 또는 사이클로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 또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Alkyl Benzoate)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또는 스쿠알란(Squalane) 등의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30 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제조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불가리아 현지의 장미밸리로 유명한 카잔루크(Kazanlak) 지역의 재배농장으로부터 불가리아장미 꽃봉오리(Bulgarian Damascena Rose Bud)를 직수입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불가리아장미 꽃봉오리는 꽃이 피기 직전의 상태로 꽃받침과 꽃잎이 뭉쳐있는 상태의 것이었다.
불가리아장미의 꽃봉오리를 모터로 작용하는 균질화기로 직접 균질화하였다. 딱딱한 식물 세포의 용해를 위해 가끔씩 비드 비터(bead beater)를 사용하였다. 이것을 24시간 동안 냉수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볼텍싱(vortexing)하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용성 분획물을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15,000xg에서 원심분리한 후 불용성 물질은 버렸고 용해성 부분은 화장료 성분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화장료 성분의 제조
상기 참고예 1에서 얻은 불가리아장미 꽃봉오리의 추출물은 30%(v/v)의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그 후 희석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인큐베이션하고, 지름이 0.2㎛인 막 필터로 여과하였다.
[시험예 1]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항산화력 측정은 DPPH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520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라디칼은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특히 여러 가지 항산화 기작 중 프로톤-라디칼 스캐빈저(proton-radical scavenger)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1mM DPPH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참고예 1의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시료를 농도별로 에탄올에 용해한 후 DPPH 용액과 시료를 4:1 비율이 되도록 섞어주었다. 30분정도 인큐베이션 한 후에 52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우수한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빅산을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를 보면,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EC50가 약 1.5% 정도이며, 5% 이상의 농도에서 우수한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빅산에 대하여 약 90%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 불가리아장미 추출물도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보습 효능 측정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보습력은 인간 케라티노사이트가 분비하는 히알루론산의 양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를 1*104 세포/웰로 48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참고예 1의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0.0%, 0.1%, 0.5%, 1.0%로 샘플에 시료 처리를 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ELISA 분석를 통해 배지로 분비되는 보습력 증강 물질인 히알루론산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보면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1%의 농도에서 배양 상층액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생합성을 20% 정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피부에 적용시 보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3]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프로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능 측정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는 인간 섬유아세포가 분비하는 플로콜라겐의 양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인 HDF 세포를 1*104 세포/웰로 48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참고예 1의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0.01%, 0.1%, 1.0%로 샘플에 시료 처리를 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ELISA 분석를 통해 배지로 분비되는 프로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1%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수준의 프로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과를 제공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물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예 3] 눈가용 패치 제조
패치 1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패치 1을 제조하였다.
패치 1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플루란 52
트레할로오스 17
호호바 시드 오일 13
프로필렌 글리콜 1.6
글리세린 1.3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수소화 전분 하이드롤리세이트 0.9
아세틸 글루코사민 0.53
향료 0.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3
세라토니아 실리쿠아 검 0.2
카라기난 0.2
가수분해 콜라겐 0.2
크산탄 검 0.1
아데노신 0.04
To 100
패치 1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온에서 가열용기에 교반하면서 상기 표1의 각 성분을 혼합하였다. 먼저 이온수에 플루란을 첨가하고 55℃ 이상으로 가온 한 후 그 용액의 온도를 55℃ 이상으로 유지시키면서 나머지 물질들을 첨가하였다. 점증제와 효능물질은 나중에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 1을 제조하였다.
패치 2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패치 2에 사용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제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To 100
베타인 2.0
글리세린 3.0
셀룰로오스 검 0.1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참고예 2) 1.0
PEG.PPG-17.6 코폴리머 1.0
방부제 0.05~0.3
향료 0.005
상기 조성물을 도 1에 예시한 모양으로 준비한 부직포에 함침시켜 패치 2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4] 아이크림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아이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
수상 정제수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글리세린 2.0
부틸렌글라이콜 10.0
방부제 0.2
유상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2.5
디메치콘 3.0
사이클로메치콘 5.0
추가성분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0.1
펩티스킨 0.1
향료 0.001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유상성분을 70℃로 가온하였다.
2) 수상성분을 아지믹서로 혼합하면서 75℃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3) 상기 2)의 수상성분에 1)의 유상성분을 혼합하고 8000 rpm에서 5분간 호모게나이져를 이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4) 이후 교반하면서 점증제 등 추가 성분을 넣고 호모게나이져 8000 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5) 45℃이하에서 EGCG, 펩티스킨, 향을 추가한다.
6) 완전 교반한 다음 탈기한 후 30℃로 냉각하였다.
[시험예 4] 눈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참고예 3에서 제조한 눈가용 패치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25~39세의 중국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1주일에 2번 총 6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사용직후, 3주 후, 6주 후에 눈가 주름 정도, 탄력도 및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상기한 패치는 하기의 방법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패치 1은 상기 참고예 4의 아이크림을 충분히 바른 후에 집중케어를 원하는 눈밑 부위에 부착하고 패치 위를 가볍게 톡톡 맛사지하면서 자리를 잡게 하였다. 그 후 패치 2로 20분 동안 눈가를 덮어주었다. 패치 1 및 패치 2의 적용 후의 모습은 도 5에 나타내었다.
1. 전문의에 의한 주름 육안 평가
전문의 2명이 최초(0w), 사용직후(0w'), 3주(3w), 6주(6w)에 방문하는 피험자의 눈가를 확인한 후 5점척도에서 1, 3, 5점으로 평가한 후 계산한 것으로, 1점으로 갈수록 주름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보면, 제품 사용 직후에도 2%의 주름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3주, 6주 후 12%, 19%로 개선율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주름이 감소하여 제품 사용 후 유의하게 주름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2. 눈가 주름 유발 후 회복력 평가
눈가 피부를 인위적으로 주름지게 하여 깊은 주름을 유발한 후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여 피부 탄력도를 평가하였다. 눈가를 위아래 1.5cm씩 찌그뜨려서 테이프를 붙인 후 5분을 기다려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인위적으로 주름을 만들었다. 그 후 테이프를 제거하고 주름이 얼마나 펴졌는지, 길이를 측정하였다. 토탈 길이 3cm로 정하고, 제품사용 후 복원력이 얼마 정도 되는지를 측정하여 측정되는 길이를 피부탄력도로 간주하였다. 이 때 길이가 길수록 회복력이 좋음을 의미하며, 3cm가 될 때 피부가 초기 상태로 회복한 것을 의미한다.
도 7을 보면, 패치 사용전과 대비하여 눈가 피부 길이가 패치 사용 후 3, 6주 후 각각 2.85cm, 2.86cm로 유의하여 증가하여, 제품에 의한 눈가 탄력도의 증가로 인위적으로 유발된 주름이 효과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3. 피험자의 자가 주름 평가
6주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패치를 사용하면서 피험자들이 인지하는 주름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피험자 본인이 직접 제품의 사용 전후 변화된 것을 확인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인지효능을 보기 위한 방법이며, 피험자 본인이 5점 척도로 평가를 하였다.
도 8을 보면, 주름 개선 정도가 3주 사용 후 12%, 6주 사용 후 19% 증가하여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패치를 사용하면 점진적으로 주름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눈가 피부 수분량 평가
제품 사용전후에 대한 수분량 측정은 Corneometer?(CM825, C+K, Germany)로 측정하여 수분량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평가하였다. 사용 전 후와 3주 후에 측정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하였으며, 단위는 AU이다.
도 9를 보면, 제품 사용 직후 수분량이 약 30% 정도 상승하여 즉각적 수분공급효과 확인할 수 있으며, 3주 사용 후 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맨 피부 상태에서도 수분량이 10% 유의하게 상승한 것을 통해 본 제품을 사용시 눈가 피부 보습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5. 사진을 통한 주름 개선 정도 평가
도 10은 본 발명의 패치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눈가 피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품의 사용 전과 6주 동안 사용 후의 상태를 보면, 6주 사용 후 눈꼬리 부분 및 눈 밑의 많은 방사형 주름들에 있어서 주름 개서, 깊이, 길이가 모두 감소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사용 효능 및 품질에 대한 피험자 설문 조사
상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면서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에 대하여 하기의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
3주후, 6주후 눈가 탄력의 개선을 경험하셨나요?
3주후, 6주후 눈가 주름 개선을 경험하셨나요?
3주후, 6주후 패치 1 및 패치2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시나요?
피험자들은 눈가 탄력에 대해 3주후 77%, 6주후 93%가 개선됨을 인지하고, 눈가 주름에 대해 3주후 87%, 6주후 90%가 개선됨을 인지하였으며, 8주후 아이패치 제품에 대해 93%가 만족하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력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녹는 필름인 패치 1; 및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인 패치 2;
    로 이루어지는 눈가 피부용 패치.
  5. 제4항에 있어서, 패치 1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세틸글로코사민은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아데노신은 0.01~5.0%의 양으로 함유되는 패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리아장미 추출물은 패치 2에 함침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눈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눈가 피부 탄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눈가 피부 보습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KR1020100091159A 2010-09-16 2010-09-16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10183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159A KR101831756B1 (ko) 2010-09-16 2010-09-16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CN201010505194.2A CN102397181B (zh) 2010-09-16 2010-09-30 抗老化化妆品组合物以及眼周皮肤用眼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159A KR101831756B1 (ko) 2010-09-16 2010-09-16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204A true KR20120029204A (ko) 2012-03-26
KR101831756B1 KR101831756B1 (ko) 2018-02-26

Family

ID=4588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159A KR101831756B1 (ko) 2010-09-16 2010-09-16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1756B1 (ko)
CN (1) CN1023971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57B1 (ko) 2020-06-23 2020-11-25 이정음 유효성분을 나노화한 하이드로겔이 담지된 패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298B2 (en) * 2019-06-28 2023-12-26 L'oreal Anti-aging compositions and skin masks containing anti-ag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532A (ja) * 1998-08-04 2000-02-22 Shiseido Co Ltd 美容法
CN100358911C (zh) * 2002-10-09 2008-01-02 花王株式会社 N-乙酰葡糖胺衍生物及其用途
NO20044818D0 (no) * 2004-11-05 2004-11-05 Bioforsk As Spermin i kosmetiske prepar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57B1 (ko) 2020-06-23 2020-11-25 이정음 유효성분을 나노화한 하이드로겔이 담지된 패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7181A (zh) 2012-04-04
CN102397181B (zh) 2015-09-16
KR101831756B1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CN104546650A (zh) 一种紧致肌肤的面膜及其制作方法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434642B (zh) 一种晒后修护美白保湿凝露及其制备方法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0377B1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20029204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7158A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