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027A -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027A
KR20120029027A KR1020100090771A KR20100090771A KR20120029027A KR 20120029027 A KR20120029027 A KR 20120029027A KR 1020100090771 A KR1020100090771 A KR 1020100090771A KR 20100090771 A KR20100090771 A KR 20100090771A KR 20120029027 A KR20120029027 A KR 2012002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ooking
menu
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이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범 filed Critical 이준범
Priority to KR102010009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027A/ko
Publication of KR2012002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단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단말에서의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에 근거한 사용자 입맛 종류 선택에 따라 얻어진 해당 사용자 입맛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맛과 요리실력에 기초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요청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식단공급자 서버의 제어 하에 서버식단공급자측 단말로 출력하는 제2 과정과,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되는 식재료 포함 배송물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식단공급자 서버가 식재료 배송서버로 배송요청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져서, 일반인들에게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조리 과학적 식단을 제시하고 개개인이 선호하는 음식의 맛과 특성까지 고려하며 배송받은 식재료로 직접 조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ET MENU}
본 발명은 일반인들에게 식단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통해서 일반인들에게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조리 과학적 식단을 제시하고 개개인이 원하는 맛과 특성에 따른 식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전업주부로 활동하던 여성들이 현대에 들어와서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전업주부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른 요즈음의 추세는 남녀할 것 없이 요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식단을 주로 책임지는 많은 주부들이 식단에 대한 고민과 함께 조리 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토로하고 있다.
과거에는 한끼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멜라민 검출과 가공과정에서의 위해요소 발생으로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신뢰가 추락되었고 이에 많은 주부들이 회사일로 시간이 나지 않지만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직접 요리를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핵가족화 되지 않았던 시절이나 남성 대부분이 가정경제를 책임지고 여성은 집안일을 도맡아 하는 시절에는 직접 요리하는 홈쿠킹(home cooking)이 성행하였다. 하지만 핵가족화와 맞벌이의 증가로 인해 인스턴트식품이 성행하게 되었지만, 인스턴트식품의 위해성과 신뢰 감소로 인해 다시 홈쿠킹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과거와는 달리 집안일을 도맡아 하는 인원이 극히 줄어들었기 때문에 직접 조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특히 주부의 부담이 날로 커져 가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여성이 집안 일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요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아도 어렸을 적부터 익힌 집안 일의 구력으로 가정에서 직접 음식을 조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던 반면,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여성의 전문교육 및 사회 경제활동 참여로 집안일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가정에서 직접 음식을 조리하는 기회나 시간도 줄게 되었고, 그로 인해 결혼 후 주로 담당케 되는 가사와 요리가 여성들에게 많은 부담을 안겨준 것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현재 일일 최소 섭취해야할 영양성분이 포함된 식재료를 맞춤 식단으로 제공하는 업체도 있지만,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은 일일권장 영양분 섭취량에 관한 음식은 맛이 없다는 편견이 강하다. 또 맞춤 식단을 제공받는 경우에도 영양소에 중점을 맞추다 보니 개개인에 맞지 않는 요리가 나올 가능성도 많다.
또 비록 식재료 맞춤 식단을 짜주고 그 식재료를 제공해 주어도 요리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요리를 하는데에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돌잔치나 생일잔치 집들이 음식 등 단체 음식을 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들에게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조리 과학적 식단을 제시하고 개개인이 선호하는 음식의 맛과 특성까지 고려하며 배송받은 식재료로 직접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리에 대한 자신감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리를 시행하는 초급, 중급, 상급의 단계로 나누어 메뉴얼을 제공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제공하고 이 요리의 영양성분과 맛을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공급 서비스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맛에 따른 각 육수 및 양념장을 제조해서 공급 서비스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신의 가정에 맞춤 메뉴얼을 책으로 만들어 보관의 편리함과 자신만의 요리책이 마련되게 서비스해주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조리 메뉴얼에 대한 식료품 및 재료들을 집에서 배달받아 장보러 가는 번거로움을 제거해 주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에 근거한 사용자 입맛 종류 선택에 따라 얻어진 해당 사용자 입맛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맛과 요리실력에 기초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요청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식단공급자 서버의 제어 하에 서버식단공급자측 단말로 출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되는 식재료 포함 배송물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식단공급자 서버가 식재료 배송서버로 배송요청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 제공 서비스 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은 맛 종류를 짠맛, 신맛, 단맛, 매콤한 맛으로 구분하고, 각 맛마다 단계를 부여하되 각 측정 기준과 측정수치에 따라 다수의 단계로 부여하여 구성하며, 사용자가 맛종류의 단계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는 요리실력 설문조사시트를 통한 조사로 사용자의 요리실력 등급이 정해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식단 요리메뉴는 전처리단계 및 전처리 소요시간, 조리단계와 조리 소요시간, 총 단계와 총 시간에 근거하는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에 기초하여 난이도 레벨이 구분되며, 각 레벨에 맞는 요리메뉴정보와 해당 요리메뉴정보에 대응하는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는 메뉴명과, 재료명, 냉장/냉동상태, 포장방법, 배송시 상태가 포함되는 식재료 목록표 형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과정에서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해 회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가 요일별 메뉴 스케쥴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식단공급자 서버가 사용자가 주문한 식단 요리메뉴정보들의 이력을 누적관리하고 각 가정의 건강진단정보와 평소 식습관정보도 함께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에 근거한 사용자 입맛 종류 선택에 따라 얻어진 해당 사용자 입맛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맛과 요리실력에 맞는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요청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식단공급자 서버와, 식단공급자 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출력하는 식단공급자측 단말과, 상기 식단공급자 서버의 배송 요청에 따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된 배송 물품을 배송 처리하는 식재료 배송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식단공급자 서버는, 홈페이지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와, 사용자 입맛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입맛정보 저장부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사용자 요리실력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요리실력정보 저장부와, 식단 요리메뉴 정보들을 저장하는 식단요리메뉴 저장부와, 각 요리메뉴의 식재료정보를 저장하는 요리메뉴 식재료 저장부와,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한 식단 스케쥴테이블을 저장하는 식단스케쥴테이블 저장부와, 사용자가 공급요청한 식단 요리메뉴에 대한 레시피를 카드형태로 인쇄출력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와, 사용자가 서비스받았던 식재료와 그 식재료의 영양소 및 칼로리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음식물 이력 관리 저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양소에 따른 요리를 선택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요리에서 영양소를 조절하고, 그에 더해 맛까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신이 직접 요리함으로써 가정 음식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키며, 자신의 요리 숙련도에 따라 거기에 알맞은 레벨의 요리를 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요리에 자신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섭취하고, 과한 영양소를 줄임으로써 건강을 챙기며, 자신이 원하는 맛의 정도를 선택한다. 따라서 저당도 및 저염도를 선택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집에서도 얼마든지 환자식이나 노인식을 직접 요리해 먹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이 직접 요리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자신이 요리에 자신감이 생기게 되면 자신이 직접 많은 사람들, 10인 이상에게 대접할 기회를 만들어 준다. 따라서 돌잔치, 생일잔치, 집들이 등 단체 음식을 할 수 있도록, 조리설명부터 식료품 및 재료 배송까지 모든 서비스를 단체화해서 서비스할 수 있다. 이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남는 재료가 없이 딱 사용할 만큼의 재료만 배송되기 때문에 식재료와 음식 쓰레기에 대한 절감 효과도 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정 식단의 총괄적인 매니저 역할로 모든 가정 식단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으로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단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식단공급자 서버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입맛측정 기준 테이블 구성도,
도 4는 사용자의 요리실력 설문 조사시트 일예도,
도 5는 식단공급자가 초급, 중급, 상급을 나누는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 일예도,
도 6은 식단공급자의 요리메뉴정보 테이블 일예도.
도 7a 내지 도 7c는 레시피카드의 일 예도,
도 8은 회원사용자가 월정액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요일별 선택되는 메뉴얼 예시도,
도 9는 월정액 메뉴선택에 따른 요일별 선택된 스케줄 테이블도,
도 10 및 도 11은 배송할 식단 요리메뉴들의 식재료 목록표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단 제공 서비스를 위한 공급자측과 사용자측에서의 개략 절차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단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입맛과 요리 선택한 식재료로 식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단공급자 서버(6)를 구비한다.
식단공급자 서버(6)는 인터넷(4)이나 이동망/공중망(16)을 통해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2)과 이동단말(12)이나 유선전화기(14)와 접속될 수 있다. 즉 개인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2)은 인터넷(4)을 통해서 식단공급자 서버(6)와 접속되며, 또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12)이나 유선전화기(14) 등을 이용한 사용자는 이동망/공중망(16) 등을 통해서 식단공급자 서버(6)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간접 접속 방법은 식단공공급자 서버(6)의 관리자를 통해서 메시지 전달 후 그 관리자가 서버(6)의 식단공급자측 단말(7)에 데이터 입력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식단공급자 서버(6)는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사이트인 홈페이지(17)를 구비하며 또 본 발명에 따른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모듈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입맛과 요리메뉴로 선택한 식재료를 배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18)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50)와, 사용자 입맛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입맛정보 저장부(52)와, 사용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얻는 사용자 요리실력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요리실력정보 저장부(54)와, 식단요리메뉴 정보들을 저장하는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와, 각 요리메뉴의 식재료정보를 저장하는 요리메뉴 식재료 저장부(57)와,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한 식단 스케쥴테이블을 저장하는 식단스케쥴테이블 저장부(58)와, 사용자가 공급요청한 식단 요리메뉴에 대한 레시피를 카드형태로 인쇄출력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60)와, 사용자가 서비스받았던 식재료와 그 식재료의 영양소 및 칼로리 등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음식물이력 관리 저장부(62)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식단공급자 서버(6)는 사용자의 결제 편의를 위해서 결제 서버(8)와 연결되며, 식재료 배송서버(10)와도 연결될 수 있다.
결제서버(8)는 각종 신용카드사서버, 은행사서버, 이통신사서버, 전자화폐서버 등의 외부의 결제서비스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결제 서비스를 수행한다. 결제서버(8)를 통한 결제방법으로는 신용카드(전자결제), 무통장입금, 보너스적립금카드 이용결제, 마일리지, 전자화폐, 휴대폰 결제 및 기타 전자적으로 결제가능한 각종 방법이 등이 있다.
식재료 배송서버(10)는 식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재료를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및 배송 관리를 한다. 식재료 배송 서버(10)는 차량항법시스템(GPS)과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이 함께 채용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배달을 위한 업무수행자 등의 회원정보와 GPS위치정보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배달 식재료에 RFID태크(tag)가 부착될 경우에는 RFID리더(reader)가 배송 차량들에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빠른 배송을 위해서 예컨대 광역단위 지역별로 식재료 배송센터를 구축하고 각 배송센터마다 식재료 배송서버(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울 식재료 배송센터, 인천 식재료 배송센터, 광주 식재료 배송센터, 대전 식재료 배송센터, 대구 식재료 배송센터, 울산 식재료 배송센터, 부산 식재료 배송센터 등의 식재료 배송센터를 구축하며, 각 지역별 식재료 배송센터에 지역별 식재료 배송서버(10)가 각각 장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단공급자 서버(6)는 홈페이지(17)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을 이용해 홈페이지(17)에 접속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을 통한 로그인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의 영양성분만이 아니라 자신이나 가족이 선호하는 음식의 맛과 특성까지 고려한 조리과학적 측면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도 3에서와 같이 입맛측정 기준 테이블(20)을 제공한다.
입맛측정 기준테이블(20)은 맛 종류를 짠맛, 신맛, 단맛, 매콤한 맛으로 구분하고, 각 맛마다 단계를 부여하되 각 측정 기준[단위]과 측정수치에 따라 다수의 단계로 부여한다. 예컨대, 단계를 '아주 적음', '조금 적음', '표준', '조금 강함', '아주 강함'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맛 종류에 따른 측정기준의 단위는 짠맛의 경우는 염도[%], 단맛의 경우는 당도[Brix], 신맛의 경우는 산도[pH], 매콤한 맛의 경우는 캡사이신 함량[ppm]이 된다.
입맛측정 기준테이블(20)은 식단공급자 서버(6)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자신이나 가족의 식단메뉴를 주문시 체크박스란과 함께 사용자에게 단말(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화면 등으로 제공되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을 통해서 자신의 입맛에 맞는 맛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입맛측정 기준테이블(20)을 통해 사용자가 입맛까지도 체크 선택을 하게 되면 식단공급자 서버(6)에서는 선택된 사용자 입맛정보를 사용자 입맛정보 저장부(52)에 회원정보와 매치시켜서 저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원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입맛정보는 식단공급자 관계자들이 사용자의 입맛까지도 해당 가정에 알맞게 조리할 수 있도록 식단의 식재료를 준비하되 있어 양념장이나 육수, 식료품 및 재료들을 준비시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가정의 맛을 조리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선택한 맛 종류에 맞는 식재료 즉 양념 및 육수, 첨가 식료품 및 재료를 제조 및 가공하여 사용자가 주문 시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객 자신의 요리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도록 요리실력 설문 조사시트(도 4의 22)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고객의 요리실력을 알아보는 설문 조사시트(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 예로 요리에 대한 문항을 만들어서 제공될 수 있으며, 또 식단공급자 서버(6)내 사용자 요리실력정보 저장부(54)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을 통해서 홈페이지(17)에 접속하여 도 4과 같은 요리실력 설문 조사시트(22)를 이용해서 요리에 대한 문항을 체크하면, 식단공급자 서버(6)는 초급, 중급, 상급의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요리 실력 레벨을 사용자 단말(2)의 화면을 통해 알려주며,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한 요리 레벨에 참고하여서 식단요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요리실력 설문 조사시트(22)의 분류 기준의 일 예로는 '있다'의 체크 개수가 초급은 '0~3개', 중급은 '4~8개', 상급은 '9~1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요리실력 자가테스트는 해당 가정에서 요리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과 자신감 부족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즉 사용자의 요리 실력에 따라 자신이 속한 레벨에 있는 요리를 선택하는 개략 기준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리에 대한 자신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요리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초급, 중급, 상급의 단계로 나누어 식단 메뉴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급단계 이상의 요리 실력을 갖추고 요리에 자신감이 생기면 돌잔치 생일잔치 집들이 등 단체 음식도 대접할 수 있도록 식단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식단공급자 서버(6)를 운영하는 식단공급자는 초급, 중급, 상급의 식단 메뉴얼을 제공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단계 및 전처리 소요시간, 조리단계와 조리 소요시간, 그리고 총 단계와 총 시간에 근거하여 초급, 중급, 상급등으로 나누는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24)을 적용하여 식단 요리메뉴들을 개발한다.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24)은 서버(6)의 내부 저장부에 저장되며, 식단공급자가 저장부에 기저정된 식단레벨 규정기준에 맞춰서 개발한 요리메뉴정보들도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 저장된다.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 저장된 요리메뉴정보의 테이블 일 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급메뉴(26), 중급메뉴(28), 상급메뉴(30)로 구분된다. 각 메뉴 난이도에 따라 요리메뉴들이 데이터베이스(18)의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 저장된다. 상기의 식단레벨은 단체음식을 할 수 있는 수준급이 포함되는 등으로 더 다단 및 세분화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의 예시를 참조하면, 초급메뉴(26)의 일 예로는, 감자 맑은 국, 모듬 어묵탕, 얼큰 무국, 소불고기, 비엔나 야채볶음, 알타리 무침치 등등이 있으며, 중급메뉴(28)의 일 예로는, 만두국, 소고기 미역국, 건새우 아우국, 잔멸치 고추조림, 갈릭치킨 탕수, 잡채밥 등등이 있고, 상급메뉴(30)의 일 예로는, 감자치즈 해물 볶음, 소고기 두부전골, 맑은 바지락 순두부 탕, 버섯 유부탕, 두부탕수, 소고기 말이쌈 등등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주문한 식단 요리메뉴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8)내 사용자 음식물 이력관리 저장부(62)에 누적관리 함과 동시에 각 가정의 건강진단과 평소의 식습관을 설문조사나 사용자가 동의하여 받은 건강검진결과서 등을 통해서 얻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8)의 음식물 이력관리 저장부(62)에 함께 저장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해당 가정에 과분포 되어 있는 영양소나 결핍되어 있는 영양소를 식단공급자가 분석하여 과분포 되어 있는 영양소는 줄이고 결핍되어 있는 영양소는 보충해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레시피카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홈페이지(17) 사이트 내에 동영상 자료를 등록해주어서 회원 사용자가 참고 할 수 있도록 한다. 식단 요리메뉴에 대한 동영상자료는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나 별도의 자료저장부 등에 등록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단 제공 서비스를 위한 공급자측과 사용자측에서의 개략 절차도이다. 공급자측은 식단공급자 서버(6)와 그와 관련된 관계자가 될 수 있고, 사용자측은 사용자 단말(2), 이동단말(12), 유선전화기(14) 등을 통해서 식단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여 그 식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측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도 12 및 도 13을 포함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단공급자 서버(6)의 홈페이지(17)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면(도 12의 100, 도 13의 150), 식단공급자 서버(6)는 도 3와 같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20)을 체크란과 함께 불러와서 사용자 단말(2)의 화면으로 제공하게 되면 회원 사용자는 입맛측정 기준테이블(20)의 화면을 이용하여 자신이나 가족이 원하는 입맛을 맛종류별로 체크한다(도 12의 102,도 13의 152). 체크된 회원 사용자의 입맛정보는 식단공급자 서버(6)에 의해서 사용자 입맛정보 저장부(52)에 저장한다(도 13의 152).
또 식단공급자 서버(6)에서는 도 4과 같은 요리실력 설문조사시트(22)를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2)의 화면으로 제공하여 체크할 수 있게 한다(도 12의 104). 그 체크결과를 사용자의 요리지식 및 실력을 개략 파악하고 식단공급자 서버(6)는 회원 사용자의 요리실력을 초급, 중급, 상급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요리실력정보 저장부(54)에 저장한다.
회원가입 후 회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식단공급자 서버(6)의 홈페이지(17)에서 식단요리메뉴 항목을 클릭 등으로 선택하면, 식단공급자 서버(6)는 해당 회원의 요리실력에 맞는 난이도를 갖는 요리메뉴들을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서 읽어내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회원 사용자의 요리실력이 초급이면 초급에 관련된 요리메뉴들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요리메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초급 관련 요리메뉴들을 종류대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체크란이 표시되고, 다른 난이도 요리메뉴들도 선택할 수 있도록 요리 난이도표시 항목버튼(예를 들면, 중급요리메뉴버튼 및 상급요리메뉴버튼 등)이 함께 표시된다.
또한 요리메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월정액 메뉴선택버튼과 단회성 메뉴선택버튼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월정액 메뉴선택버튼을 통해서 수행되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요리메뉴나 아니면 공급자가 권유하는 요리메뉴들을 요일별로 스케쥴링 해주는 기능을 포함하며, 배송의 편의를 위해서 1회 배송시 수일치의 메뉴품목들이(예컨대 3~4개) 한꺼번에 배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만약 회원가입시 확인한 회원 사용자의 요리실력이 초급이면 식단공급자 서버(6)의 제어 하에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서 읽어들인 초급에 관련된 요리메뉴들이 종류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고, 그와 함께 중급이나 상급의 요리 난이도표시 항목버튼(중급 요리메뉴버튼 및 상급 요리메뉴버튼)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그에 따라 회원 사용자는 자신의 요리 등급에 대응하는 난이도 레벨에서 자신이 원하는 요리메뉴들을 마우스 버튼으로 체크선택 할 수 있고, 만일 자신의 요리등급과 관계없이 다른 난이도 레벨을 원하면 다른 난이도 레벨의 항목버튼을 선택 클릭하면 그 난이도 레벨에 해당하는 요리메뉴의 종류들이 식단요리메뉴 저장부(56)에서 읽어져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식단공급자 서버(6)와 사용자 단말(2) 간의 접속을 통한 서버와 사용자간 인터페이스로 회원 사용자가 조리를 원하는 요리메뉴를 선택케 하는 절차를 수행하며(도 12의 106, 도 13의 154), 식단 공급자 서버(6)에서는 회원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요리메뉴 식재료정보 생성 시에는 데이터베이스(18)의 요리메뉴 식재료 저장부(57)에 저장된 식재료정보가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회성 메뉴선택버튼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식단 요리메뉴를 선택하고 배송 날짜와 함께 주문신청 및 결제를 하게 되면(도 12의 106,108,110), 식단공급자 서버(6)는 결제서버(8)를 통해 결제 처리를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식단 요리메뉴와 사용자입맛정보 저장부(52)에 기저장된 회원사용자의 입맛정보에 근거하여 회원사용자에 적합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를 생성한다. 또 사용자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62)를 읽어서 해당 사용자에 맞는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한다(도 13의 156).
도 7a는 초급용 레시피카드의 일 예로서 '감자 맑은 국'의 레시피카드이고, 도 7b는 중급용 레시피카드의 일 예로서 '만두국'의 레시피카드이고, 도 7c는 상급용 레시피카드의 일 예로서 '감자치즈 해물볶음'의 레시피카드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시피카드에는 전처리과정과 조리과정으로 구분되고, 진행 단계들과 각 단계에서의 내용 및 예상소요시간이 기재된다.
상기와 같은 단회성 메뉴선택을 통한 주문은 해당 요리메뉴에 대한 식재료(식료품 및 재료들)를 집에서 배달받는 것이므로 대신 장보는 기능이 될 수도 있다.
한편 회원 사용자는 월정액 결제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월정액 메뉴선택버튼을 통해 메뉴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단요리메뉴와 배송 날짜를 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또 몇몇의 식단요리메뉴와 배송 날짜를 일부 선택한 후 나머지 요리메뉴는 식단공급자 측에서 영양 균형에 맞게 스케쥴링 해주기를 요청할 수 있고, 전적으로 식단공급자측에서 메뉴 스케쥴링 해주기를 요청할 수 있다.
전적으로 식단공급자측에서 메뉴 스케쥴링을 요청한 경우에는 식단공급자 서버(6)에서는 사용자음식물 이력관리 저장부(62)의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며 해당 가정에 과 분포되어 있는 영양소나 결핍되어 있는 영양소를 분석하여 과 분포되어 있는 영양소는 줄이고 결핍되어 있는 영양소는 보충해 줄 수 있는 메뉴 스케쥴링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회원사용자가 월정액 결제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요일별 선택되는 메뉴얼 예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9에서는 월정액 메뉴선택에 따른 요일별 선택된 메뉴스케줄 테이블을 보여주고 있다.
월정액 메뉴선택버튼을 통한 메뉴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식단 요리메뉴를 선택하고 배송 날짜와 함께 주문신청 및 결제를 하게 되면, 식단공급자 서버(6)는 결제서버(8)를 통해 결제 처리를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식단 요리메뉴와 사용자입맛정보 저장부(52)에 기저장된 회원사용자의 입맛정보에 근거하여 회원사용자에 적합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를 생성하고 또 메뉴 스케쥴링을 하여 요일별 메뉴스케쥴을 생성한다. 또 사용자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62)를 읽어서 해당 사용자에 맞는 요일별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한다(도 13의 156).
식단공급자 서버(6)는 회원사용자에게 적합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에 사용자 입맛정보도 기재되어 있는 상태로 식단공급자측 단말(7)로 다양한 형태의 출력(예컨대 인쇄출력, 모니터링, 메일전송 등등)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식단공급자는 사용자가 해당 요리메뉴 식재료를 준비하되 사용자가 선택한 입맛에 따라 양념 및 육수를 제조 및 가공하는 등으로 식재료를 준비한다(도 13의 158).
식단공급자 서버(6)는 회원사용자가 신청한 배송 날짜에 맞추어서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은 사용자에 맞는 레시피카드정보를 사용자 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60)에서 읽어서 식단공급자측 단말(7)의 인쇄 출력부를 통해 카드 형태로 인쇄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일 예로 배송할 식단 요리메뉴들의 식재료 목록표도 인쇄출력하도록 제어한다(도 13의 158). 식재료 목록표에는 메뉴명과, 재료명, 냉장/냉동상태, 포장방법, 배송시 상태가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료 목록표는 식단 요리메뉴에 대응된 식재료정보로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 저장부(57)에 저장되어 있다.
그에 따라 식단공급자는 요리메뉴 식재료와 함께 인쇄 출력된 레시피카드와 식단요리메뉴 식재료 목록표를 준비하게 되며, 식단공급자 서버(6)는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되는 배송물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식재료 배송서버(10)로 배송요청하게 된다.
식재료 배송서버(10)의 배송처리에 따라 식재료들을 포함한 배송물품의 배송이 회원사용자가 신청한 배송 날짜에 맞춰서 이루어지며(도 13의 160), 식재료 배송서버(10)에서 배송처리 후 식단공급자 서버(6)에 배송 완료를 알리게 된다.
회원 사용자는 해당 조리 메뉴얼에 대한 식료품 및 재료들 즉 식재료들을 집에서 배송받아 요리를 할 수 있으므로 장보러 가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배송된 식재료들을 식단요리메뉴 식재료 목록표의 안내받아서 쉽게 구분 내지 보관할 수 있으며 조리시에는 배송된 레시피카드를 이용해서 쉽게 조리를 할 수 있다.
해당 식단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는 바인더 등을 이용해서 보관하게 되면 하나의 요리책이 될 수 있으며, 카드보관도 편리하게 된다.
회원 사용자가 레시피카드를 이용해 조리를 실시하며(도 12의 114), 레시피카드로 부족한 점은 홈페이지(17) 내에 동영상 자료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참고할 수 있다.
해당 식단 요리메뉴에서 사용자나 가족에게 알맞게 조제된 양념과 국물을 포함한 식재료를 이용해 조리하여서 가족 구성원이 식사를 한 후(도 12의 116), 그에 따른 만족 여부를 사용자 단말(2)을 통해서 식단공급자 서버(6)로 피이드백 시킬 수 있다(도 12의 118). 회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한 홈페이지(17) 접속을 통해 여러 가지 의견을 식사 후기로 올릴 수 있으며, 또 회원가입시 선택한 입맛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조정할 수 있다.
회원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식단공급자 서버(6)의 홈페이지(17)에 접속한 후 마이 페이지 등에서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을 불러 다시 선택체크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입맛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회원 사용자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의 체크란을 다시 체크 등록하면, 식단공급자 서버(6)에서는 사용자입력정보 저장부(52)에 이를 갱신 등록한다(도 13의 162).
그러므로 이 서비스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요리에 자신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섭취하고, 과한 영양소를 줄임으로써 건강을 챙기며, 자신이 원하는 맛의 정도를 선택한다. 따라서 저당도 및 저염도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집에서도 얼마든지 환자식이나 노인식을 직접 요리해 먹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직접 요리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자신이 요리에 자신감이 생기게 되면 자신이 직접 많은 사람들(예를 들면 10인 이상)에게 대접할 기회를 만들어 준다. 따라서 돌잔치, 생일잔치, 집들이 등 단체 음식을 할 수 있도록, 조리설명부터 식료품 및 재료 배송까지 모든 서비스를 단체화해서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으로 영양소에 따른 요리를 선택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요리에서 영양소를 조절하고, 그에 더해 맛까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 자신이 직접 요리함으로써 가정 음식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요리 숙련도에 따라 거기에 알맞은 레벨의 요리를 함으로써 요리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서 식단 서비스 신청하고 제공받는 것을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사용자 단말 (4)-- 인터넷
(6)-- 식단공급자 서버 (8)-- 결제서버
(10)-- 식재료 배송서버 (12)-- 이동단말
(14)-- 유선 전화기 (16)-- 이동망/공중망
(18)--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단말에서의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에 근거한 사용자 입맛 종류 선택에 따라 얻어진 해당 사용자 입맛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맛과 요리실력에 기초한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요청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식단공급자 서버의 제어 하에 서버식단공급자측 단말로 출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되는 식재료 포함 배송물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식단공급자 서버가 식재료 배송서버로 배송요청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 제공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은 맛 종류를 짠맛, 신맛, 단맛, 매콤한 맛으로 구분하고, 각 맛마다 단계를 부여하되 각 측정 기준과 측정수치에 따라 다수의 단계로 부여하여 구성하며, 사용자가 맛종류의 단계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 제공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는 요리실력 설문조사시트를 통한 조사로 사용자의 요리실력 등급이 정해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 제공 서비스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단 요리메뉴는 전처리단계 및 전처리 소요시간, 조리단계와 조리 소요시간, 총 단계와 총 시간에 근거하는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에 기초하여 난이도 레벨이 구분되며, 각 레벨에 맞는 요리메뉴정보와 해당 요리메뉴정보에 대응하는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는 메뉴명과, 재료명, 냉장/냉동상태, 포장방법, 배송시 상태가 포함되는 식재료 목록표 형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해 회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가 요일별 메뉴 스케쥴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단공급자 서버가 사용자가 주문한 식단 요리메뉴정보들의 이력을 누적관리하고 각 가정의 건강진단정보와 평소 식습관정보도 함께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8.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맞춤형 식단 요리메뉴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요리실력정보와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에 근거한 사용자 입맛 종류 선택에 따라 얻어진 해당 사용자 입맛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맛과 요리실력에 맞는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요청 요리메뉴의 레시피카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식단공급자 서버와,
    식단공급자 서버의 제어 하에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를 출력하는 식단공급자측 단말과,
    상기 식단공급자 서버의 배송 요청에 따라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와 레시피카드정보에 따라 마련된 배송 물품을 배송 처리하는 식재료 배송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식단공급자 서버는, 홈페이지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와,
    사용자 입맛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입맛정보 저장부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사용자 요리실력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요리실력정보 저장부와,
    식단 요리메뉴 정보들을 저장하는 식단요리메뉴 저장부와,
    각 요리메뉴의 식재료정보를 저장하는 요리메뉴 식재료 저장부와,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한 식단 스케쥴테이블을 저장하는 식단스케쥴테이블 저장부와,
    사용자가 공급요청한 식단 요리메뉴에 대한 레시피를 카드형태로 인쇄출력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레시피카드정보 저장부와,
    사용자가 서비스받았던 식재료와 그 식재료의 영양소 및 칼로리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음식물 이력 관리 저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맛측정 기준테이블은 맛 종류를 짠맛, 신맛, 단맛, 매콤한 맛으로 구분하고, 각 맛마다 단계를 부여하되 각 측정 기준과 측정수치에 따라 다수의 단계로 부여하여 구성하며, 사용자가 맛종류의 단계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식단 요리메뉴는 전처리단계 및 전처리 소요시간, 조리단계와 조리 소요시간, 총 단계와 총 시간에 근거하는 식단레벨 규정기준 테이블에 기초하여 난이도 레벨이 구분되며, 각 레벨에 맞는 요리메뉴정보와 해당 요리메뉴정보에 대응하는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메뉴 식재료정보는 메뉴명과, 재료명, 냉장/냉동상태, 포장방법, 배송시 상태가 포함되는 식재료 목록표 형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공급자 서버는, 월정액 결제하는 회원사용자를 위해 회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식단공급자 서버가 요일별 메뉴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식단공급자 서버는 사용자가 주문한 식단 요리메뉴정보들의 이력을 누적관리하고 각 가정의 건강진단정보와 평소 식습관정보도 함께 관리하는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단제공 서비스 장치.
KR1020100090771A 2010-09-15 2010-09-15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20029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71A KR20120029027A (ko) 2010-09-15 2010-09-15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71A KR20120029027A (ko) 2010-09-15 2010-09-15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027A true KR20120029027A (ko) 2012-03-26

Family

ID=4613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71A KR20120029027A (ko) 2010-09-15 2010-09-15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02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7354A1 (en) 2014-07-07 2016-01-14 ChefStep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KR20170133633A (ko) * 2016-05-26 2017-12-06 정재우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음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0194770B2 (en) 2015-01-30 2019-02-05 ChefSteps, Inc.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US10444723B2 (en) 2015-11-16 2019-10-15 ChefSteps, Inc. Data aggregation and personalization for remotely controlled cooking devices
KR102073508B1 (ko) * 2019-01-02 2020-02-04 (주) 에이비씨푸드서비스 식품자재 배송 및 최저가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02277B1 (ko) * 2021-04-07 2021-09-14 주식회사 하나로총판 가리비 관자까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1213158B2 (en) 2018-08-29 2022-01-04 Breville USA, Inc. Cooking system
US11751712B2 (en) 2014-12-22 2023-09-12 Breville USA, Inc. Food preparation guidance system
US11759042B2 (en) 2015-07-21 2023-09-19 Breville USA, Inc.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7354A1 (en) 2014-07-07 2016-01-14 ChefStep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US11132918B2 (en) 2014-07-07 2021-09-28 Breville USA,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US11751712B2 (en) 2014-12-22 2023-09-12 Breville USA, Inc. Food preparation guidance system
US10194770B2 (en) 2015-01-30 2019-02-05 ChefSteps, Inc.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US11759042B2 (en) 2015-07-21 2023-09-19 Breville USA, Inc.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US10444723B2 (en) 2015-11-16 2019-10-15 ChefSteps, Inc. Data aggregation and personalization for remotely controlled cooking devices
KR20170133633A (ko) * 2016-05-26 2017-12-06 정재우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음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1213158B2 (en) 2018-08-29 2022-01-04 Breville USA, Inc. Cooking system
KR102073508B1 (ko) * 2019-01-02 2020-02-04 (주) 에이비씨푸드서비스 식품자재 배송 및 최저가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02277B1 (ko) * 2021-04-07 2021-09-14 주식회사 하나로총판 가리비 관자까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9027A (ko) 식단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1133098B2 (en) Foo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von Massow et al. Table scraps: An evaluation of plate waste in restaurants
US20100198605A1 (en) Method for Structuring Balanced and Varied Meals
KR101552339B1 (ko) 피드백이 가능한 맞춤형 식단 및 식재료 구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8200548B2 (en) Recipe engine system and method
Sarlo et al. Poverty in Canada
JP2009531768A (ja) レシピを推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636550A (zh) 一种diy智能烹饪控制方法及系统
CN106339579B (zh) 一种移动健康与医疗的饮食控制方法
Buzby et al. Plate waste in school nutrition programs
JP69035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264301A (zh) 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非易失性存储介质
McCluskey et al. From default to choice: Adding healthy options to kids' menus
Davies Food Futures: Co‐designing Sustainable Eating Practices for 2050
CN110349648A (zh) 一种基于食谱库的生成推荐食谱方法
Fairchild et al. Serving up healthy and sustainable school meals? An analysis of school meal provision in Cardiff (UK)
KR100729959B1 (ko) 식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6273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推荐食谱方法
Hennchen What is enough on a plate? Professionals’ practices of providing an “adequate portion” in the food service sector
JP2001195385A (ja) レシピ提供システム
Jung et al. Mom's tray: real-time dietary monitoring system
CN113032460A (zh) 一种全过程数据分析的食堂点餐备餐系统及数据分析方法
Bentley Ketchup as a Vegetable: Condiments and the Politics of School Lunch in Reagan’s America
KR102567665B1 (ko) 맞춤형 식단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