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631A - 음료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631A
KR20120028631A KR1020100090605A KR20100090605A KR20120028631A KR 20120028631 A KR20120028631 A KR 20120028631A KR 1020100090605 A KR1020100090605 A KR 1020100090605A KR 20100090605 A KR20100090605 A KR 20100090605A KR 20120028631 A KR20120028631 A KR 20120028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beverage container
coupled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492B1 (ko
Inventor
염동빈
김영구
정택구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병의 입구에 결합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음료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 입구에 결합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제1유로가 형성된 내통체; 상기 내통체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외통체; 상기 외통체를 밀어올리는 힘을 발생하는 탄력성의 링부재가 일단에 형성된 튜브를 갖는 펌핑수단; 상기 외통체를 끌어당겨 하강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압에 의해 외부 덮개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기 용이하고 특히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도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마개{A STOPCORK FOR BEVERAGE BOTTLE}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료수 병의 입구에 결합되며 공기압에 의해 외부 덮개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기 용이하고 특히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도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는 음료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병은 주로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을 통칭하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마개에 의해 밀폐된다.
병에 대해 결합되는 마개는 이미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병의 주둥이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병과 마개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과 같은 생수 또는 음료수 병과 마개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일 예를 살펴보면 병(10)은 그 주둥이에 나선상의 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주둥이의 나선상 결합구조가 끝나는 부분에는 걸림 턱(11)과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상기 병(10)의 주둥이를 밀폐하는 마개(20)는 그 하측에 걸림 턱(11)에 위치되는 환상의 테두리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는 스폿 타입의 부착방식에 의해 마개(20)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미세한 연결 간(22)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병(10)에 밀폐된 마개(20)를 분리하게되면 마개(20)는 병(10)의 주둥이에 형성된 나선상의 결합구조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마개(20)의 하측에 연결 간(22)에 의해 연결된 환상의 테두리(21)는 걸림 턱(11)의 하측에 걸림 지지된 상태이므로 연결 간(22)이 절단되며 테두리(21)는 지지홈(12)에 위치된 상태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병과 마개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병(10)으로부터 마개(20)를 돌려 분리할 때에는 마개(20)와 테두리(21)가 쉽게 분리되어야 하는데 마개(20)를 회전시킬 때 마개(20)와 테두리가 함께 공 회전하며 겉도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병(10)으로부터 마개(20)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마개(20)와 테두리(21)를 인위적으로 찢어서 분리한 후 마개(20)를 분리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레저용, 야외용에서 음료를 마실 경우에는 보통 스포츠 이온음료 및 생수 등을 마시게 되는데, 이경우 사용자가 컵없이도 여러번 나누어 마실수 있도록 된 원터치형 병뚜껑이 부착된 용기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한편 상기 원터치형 병뚜껑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외벽(110)과, 음료용기의 병목과 결합되는 암나사산(130)이 형성된 내벽(120)을 갖추게 되고, 병뚜껑의 상부에는 음료유출구(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음료유출구(140)에 원터치뚜껑(200)이 끼워져, 이 원터치뚜껑(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음료유출구(140)의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병뚜껑은 음료용기(도시되지않음)의 병목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결합되어, 음료용기의 음료를 외부로 유출됨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원터치형 병뚜껑은 원터치뚜껑(200)을 힘을 주어 당겨서 개방시켜야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는 힘이 미약하게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첫째 목적은 튜브타입의 소형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작동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 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두번째 목적은 에어공급이 중단되면 상승되었던 커버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유로가 차단되도록 한 음료 용기 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세번째 목적은 상기한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악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와 같은 특정 부류의 사용자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이들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편리함을 향유할 수 있는 음료 용기 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병 입구에 결합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제1유로가 형성된 내통체; 상기 내통체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외통체; 상기 외통체를 밀어올리는 힘을 발생하는 탄력성의 링부재가 일단에 형성된 튜브를 갖는 펌핑수단; 상기 외통체를 끌어당겨 하강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내통체는 내주면에 나선이 마련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원통형의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돌부가 소통되는 제1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돌부는 제1유로와 통하는 분기유로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유로와 통하는 출수공이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내통체의 하단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탄발수단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외통체의 하단이 끼워지는 단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체는 내통체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이며 상기 돌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통하며 상단에 통공에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외통체는 상기 내통체의 단턱부에 삽입되며 상기 탄발수단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환턱이 형성된다.
상기 탄발수단은 코일스프링이며, 상단은 단턱부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환턱의 저면에 지지되어 외통체를 상승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외통체의 환턱에 접촉되도록 내통체의 단턱부의 내부에 장입되는 원형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통하는 일정 길이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되며 병의 외측에 구비되는 공압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 마개는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작동이 유연하고 용이해질 수 있어 손아귀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얻어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그 상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서술될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정도의 변경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실현가능한 정도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경 실시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A)는
병 입구(120)에 결합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제1유로(21)가 형성된 내통체(2);
상기 내통체(2)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21)와 통하는 제2유로(42)가 형성된 외통체(4);
상기 외통체(4)를 밀어올리는 힘을 발생하는 탄력성의 링부재(62)가 일단에 형성된 튜브(64)를 갖는 펌핑수단(6);
상기 외통체(4)를 끌어당겨 하강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발수단(8)으로 구성된다.
내통체(2)는 통상의 병 입구(120)가 원통형임을 감안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내통체(2)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마련된 결합홈(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통형의 돌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과 돌부(24)가 소통되는 제1유로(21)가 수직되게 형성된다.
제1유로(21)를 통해 병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돌부(2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21)와 통하는 분기유로(23)가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기유로(23)와 통하는 출수공(25)이 외측에 형성된다.
분기유로(23)는 제1유로(2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이 분기유로(23)에 대응되도록 출수공(25)도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즉 제1유로(2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분기유로(23) 및 출수공(25)을 다수로 형성한다.
그리고 내통체(2)의 하단의 외측에는 탄발수단(8)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외통체(4)의 하단이 끼워지는 단턱부(5)가 결합된다.
단턱부(5)는 내통체(2)의 하단 외측에 나사 결합되는 원판(52)과, 이 원판(52)에 연결되어 상부로 형성된 측벽(54) 및 상기 측벽(54)에서 다시 내측으로 형성되며 내통체(2)의 외면과 접하지 않도록 이격된 걸림턱(5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턱부(5)는 단면이 "ㄷ" 형상이 되며 내부에 탄발수단(8)과 외통체(4)의 하단이 끼워지게 된다.
외통체(4)는 내통체(2)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승강작동하게 된다.
외통체(4)는 내통체(2)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이며 상기 돌부(24)가 결합되는 결합공(4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0)과 통하며 상단에 통공(424)에 통하는 제2유로(42)가 형성된다.
제2유로(42)는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통공(424)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유입공(422)이 형성되며, 직경이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방사상으로 형성된 분기유로(23)를 포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제2유로(42)의 유입공(422)의 위치는 외통체(4)가 상승하였을때 제1유로(21)의 출수공(25)과 일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 외통체(4)는 상기 내통체(2)의 단턱부(5)에 삽입되며 상기 탄발수단(8)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환턱(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통체(4)는 내통체(2)의 단턱부(5)의 내측 공간에서만 승강될 수 있다.
또 외통체(4)의 상단에는 다수의 통공(424)을 통해 유출된 유체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깔때기(7)가 더 형성된다.
탄발수단(8)은 원형으로 가공된 코일스프링이며, 상단은 단턱부(5)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환턱(46)의 상면에 지지되어 외통체(4)를 상승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이경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따라서 외통체(4)는 하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였을때는 상승되고, 이때는 탄발수단(8)이 수축된 상태가 되고, 하부로부터의 힘이 차단되면 탄발수단(8)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된다.
이러한 외통체(4)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1 및 제2유로(21,42)가 서로 소통되거나 차단되어 내용물의 취식 및 밀봉이 가능해진다.
탄발수단(8)은 평판상의 판형스프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판형스프링으로 된 탄발수단(8)이 일 부분은 내통체(2)에 결합되고, 다른 부분은 외통체(4)에 결합됨으로써 외통체(4)의 하강 작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펌핑수단(6)은 외통체(4)의 환턱(46)에 접촉되도록 내통체의 단턱부(5)의 내부에 장입되는 원형의 링부재(62)와, 상기 링부재(62)에 통하는 일정 길이의 튜브(64)와, 상기 튜브(64)의 단부에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되며 병(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공압챔버(66)로 구성된다.
공압챔버(66)는 에어가 충전된 공기주머니이며 손으로 누르면 내부의 에어가 튜브(64)를 통해 링부재(62)에 전달되고, 링부재(62)가 팽창된다.
링부재(62)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의 튜브 형상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마개의 작동 관계와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내통체(2)의 외주면에 외통체(4)가 끼워지고, 돌부(24)가 결합공(40)에 끼워진다.
그리고 외통체(4)의 환턱(46)이 단턱부(5)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환턱(46)의 상면과 걸림턱(56)의 저부 사이에 탄발수단(8)이 결합된다.
또 환턱(46)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단턱부(5)에는 링부재(62)가 결합된다. 튜브(64)는 단턱부(5)의 원판(52)에 형성된 통공(424)을 통해 외부로 배치된다.
이렇게 조립된 후 병 입구(120)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튜브(64)에 연결된 공압챔버(66)는 병(100)의 외면으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공압챔버(66)를 누르면 에어가 튜브(64)를 통해 링부재(62)에 전달되어 팽창시키게 된다.
링부재(62)의 팽창에 의해 외통체(4)의 환턱(46)이 상방으로 올려지게 되므로 외통체(4)가 상승하게 되고 탄발수단(8)은 압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체(4)가 상승함으로써 제2유로(42)의 유입공(422)이 출수공(25)과 일치되어 제1유로(21)와 제2유로(42)가 소통될 수 있다.
따라서 소통된 제1 및 제2유로(21,42)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마실 수 있다.
한편 공압챔버(66)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탄발수단(8)의 팽창 복원력에 의해 링부재가 압축되고 내부의 공기는 튜브(64)를 통해 다시 공압챔버(66)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체(4)가 하강하게 되고 제1 및 제2유로(21,42)가 상호 엇갈림으로써 소통상태가 차단되어 밀폐된다.
이렇게 밀폐되면 유체의 흐름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챔버(66)의 공기압에 의해 외통체(4)를 이동시켜 제1 및 제2유로(21,42)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개방작동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공급이 중단되면 외통체(4)가 자동으로 하강하여 제1 및 제2유로(21,42)가 폐쇄됨으로써 폐쇄작동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 : 내통체 4 : 외통체
6 : 펌핑수단 5 : 단턱부
7 : 깔때기 8 : 탄발수단
21 : 제1유로 23 : 분기유로
25 : 출수공 42 : 제2유로

Claims (9)

  1. 병 입구에 결합되어 공기압력과 탄발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음료 용기 마개에 있어서,
    병 입구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제1유로를 갖는 돌부로 구성된 내통체;
    상기 내통체의 외주면에 끼워져 승강작동되며, 상기 제1유로와 통하는 제2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외통체;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의 결합된 하단에 장착되어 외통체의 하강작동을 유발하는 탄발수단, 및
    상기 외통체의 하단에 접촉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와 통하는 일정 길이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된 공압챔버로 구성된 펌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내주면에 나선이 마련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원통형의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돌부가 소통되는 제1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제1유로와 통하는 분기유로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유로와 통하는 출수공이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의 하단의 외측에는 탄발수단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외통체의 하단이 끼워지는 단턱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내통체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에 연결되어 상부로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다시 내측으로 형성되며 내통체의 외면과 접하지 않도록 이격된 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는
    상기 내통체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이며 상기 돌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통하며 상단의 통공에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통체의 단턱부에 삽입되며 상기 탄발수단에 지지되는 환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의 상단에는 다수의 통공을 통해 유출된 유체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깔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수단은 코일스프링이며, 상단은 단턱부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환턱의 저면에 지지되어 외통체를 상승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외통체의 환턱에 접촉되도록 내통체의 단턱부의 내부에 장입되는 원형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통하는 일정 길이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되며 병의 외측에 구비되는 공압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마개.
KR1020100090605A 2010-09-15 2010-09-15 음료 용기 마개 KR10115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05A KR101157492B1 (ko) 2010-09-15 2010-09-15 음료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05A KR101157492B1 (ko) 2010-09-15 2010-09-15 음료 용기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31A true KR20120028631A (ko) 2012-03-23
KR101157492B1 KR101157492B1 (ko) 2012-06-20

Family

ID=4613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05A KR101157492B1 (ko) 2010-09-15 2010-09-15 음료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2906A (ja) * 2019-10-16 2021-04-22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用スパウ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702B2 (ja) * 1995-01-25 2003-06-03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H1095478A (ja) * 1996-09-24 1998-04-14 Maruichi Fujii:Kk 洗浄液等の液体収納容器
JP5001680B2 (ja) * 2007-03-09 2012-08-15 株式会社ダイゾー チューブ容器用の加圧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式チューブ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2906A (ja) * 2019-10-16 2021-04-22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用スパウ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492B1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85020U (zh) 便携式饮料容器以及与其一起使用的盖组件
US9370791B1 (en) Vacuum pump and dispenser for bottles
RU2713343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с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м клапаном и трубочкой для питья
CN102970902B (zh) 饮用器皿
CN105899107B (zh) 防溢饮用容器
RU2424963C1 (ru) Крышка-непроливайка для емкости с напитком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US9580225B2 (en) Wine bottle closure apparatus
US20170225849A1 (en) Bottle and method of using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US10710899B2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763517B2 (en) Tea pot with one-way valve
TWM447366U (zh) 水壺蓋
KR101157492B1 (ko) 음료 용기 마개
US2808966A (en) Dispensing pump and valve arrangement
US2879924A (en) Dispensing device
US10822145B1 (en) Stoppers, stopper and fluid tube assemblies, and container assemblies formed therewith
US1981446A (en) Combined seltzer water and sirups dispensing bottle device
KR101933634B1 (ko) 휴대용 정수 물병
US20130092699A1 (en) Beverage can sealer and holder
KR101763405B1 (ko)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CN212186192U (zh) 一种饮水机的水桶连接装置
ES2918953T3 (es) Cierre de receptáculo
EP1809549B1 (en) Valves for drinking cups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