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38A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38A
KR20120028538A KR1020100090446A KR20100090446A KR20120028538A KR 20120028538 A KR20120028538 A KR 20120028538A KR 1020100090446 A KR1020100090446 A KR 1020100090446A KR 20100090446 A KR20100090446 A KR 20100090446A KR 20120028538 A KR20120028538 A KR 20120028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ervice
user terminal
remote device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410B1 (ko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4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9Remote exec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NSN) 시스템과 연동된 댁내 또는 기업내 데스크탑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그 PC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되, 실행 파일 자체는 해당 PC 내에서 실행되고, 그 실행 결과만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기술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고성능 단말기가 아닌 저성능의 단말기를 통해 고성능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은,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 장치에 송출하고,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Video)과 음향(Audio)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과 음향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of remote terminal using a user's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서버 컴퓨터나 데스크탑(Desktop) PC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 HNSN) 시스템과 연동된 댁내 또는 기업내 데스크탑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그 PC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되, 실행 파일 자체는 해당 PC 내에서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만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 중에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 TV를 볼 수 있는 DMB 단말기 및 영화를 즐길 수 있는 PMP 단말기 등 이동 중에도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전기, 전자, 통신 등 현대에 이용되고 있는 모든 기술의 총집합체라 할 만큼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부품의 개발과 함께 그 크기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한편 집약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에 이르러서 데스크 탑(Desktop) 컴퓨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저장 기능과 함께 데스크 탑 컴퓨터가 제공하는 속도와 비견하여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 중에도 댁내 및 기업 내 본인 데스크탑 PC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시장 내에 존재하고 있다. 즉, 인터넷, 오피스(워드, 엑셀 등), 게임, 음악, 영화, 기업 솔루션(ERP, 인트라넷 등) 등 댁내 및 기업 내의 본인 데스크탑 PC에서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를 모바일(Mobile)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Feature Phone이나 스마트폰은 데스크탑 PC보다 낮은 성능을 가지며, 기존 시장 내 Mobile Device는 Handset 형 및 노트북 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각각 서비스 품질 측면이나 휴대성 및 이동성 측면에서 향상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Feature Phone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Desktop PC와 일부 연동은 가능하나 낮은 성능, 작은 화면 등으로 인해 데스크탑 PC의 모든 서비스를 충분하게(Fully)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기술은 핸드폰, PDA, 클라이언트 PC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 HNSN) 시스템과 연동된 댁내 또는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 PC에 원격 접속하여 PC에 있는 데이터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을 통해 PC를 제어한다는 측면은 있으나 단순 파일검색, 조회, 메일 정도의 제공으로 서비스의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기술 기반으로 파일 조회, 메일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PC에서 사용자 단말로 파일 자체가 이동되어야 했고, 그에 따라 이동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 실행해야 하므로,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성능이 요구되었으나 이런 성능을 구비하지 못하는 사용자 단말이 많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 HNSN) 시스템과 연동된 댁내 또는 기업내 데스크탑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그 PC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되, 실행 파일 자체는 해당 PC 내에서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만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 장치에 송출하고,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Video)과 음향(Audio)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과 음향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과,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부; 상기 원격 장치로 전송할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또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명령 또는 실행 명령을 상기 원격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능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 및 상기 기능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나,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상기 기능 실행부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원격 장치 간에 원격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원격 장치가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원격 장치에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원격 장치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내에서 실행하는 단계; (e) 상기 원격 장치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수신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원격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제공받는 단계; (c)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상기 원격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만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능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이나,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자체내 기능 실행부를 통해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자체내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Customer)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댁내 또는 기업내 데스크탑 PC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데스크탑 PC나 서버 장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컴퓨터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Indoor/Outdoor 간 연속적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모바일 단말기 및 데스크탑 PC 간 별도의 동기(Sync.) 기능의 수행이 불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데스크탑 PC에서 실현 가능한 기능이나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게 됨에 따라, 스마트폰 및 노트북 PC 대비 가벼운 사용자 단말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측면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서비스로 인한 회선 증가 및 기존 고객의 데이터 정액제 가입 유도 등으로 인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모바일의 확산과 함께 차세대 100 Mbps의 모바일 환경에서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낮은 단말기 가격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말기 보조금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장치의 내부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120) 및 원격 장치(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통신망(120)을 통해 원격 장치(130)에 송출하고, 원격 장치(130)로부터 실행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Video)과 음향(Audio)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모바일(Mobile)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노트북 PC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유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HSPA나 Wibro, WCDMA 등의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Bluetooth나 Zigbee,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장치(130)는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하고, 해당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Video)과 음향(Audio)만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원격 장치(130)는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원격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가 될 수 있고,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도 될 수 있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 시스템은 가정이나 회사, 건물, 빌딩 등 특정 영역이나 특정 공간 내에서 유선 통신망이나 무선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중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비디오 출력부(230), 오디오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된 원격 장치(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
입력부(220)는 원격 장치(130)로 전송할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또는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비디오 출력부(230)는 원격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과,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음향을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받은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명령 또는 실행 명령을 원격 장치(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원격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원격 장치(130)에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장치(130)로부터 제공된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이 비디오 출력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입력부(220)를 통해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메뉴를 선택받으면,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이 원격 장치(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장치의 내부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장치(130)는, 통신부(310), 기능 실행부(320), 서비스 실행부(330) 및 제어부(34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
기능 실행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기능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자체적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선택된 기능은 예컨대, MS-Office군의 프로그램일 수 있고,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한글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렇게 개시한 기능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실행부(3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선택된 서비스는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은행 이용 서비스일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특정 서버에 접속해 파일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서비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렇게 나열한 서비스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340)는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나,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만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40)는,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기능 실행부(320)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서비스 실행부(330)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100)은 먼저 사용자 단말기(110)가 통신망(120)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된 원격 장치(130)에 접속한다(S410).
이에, 원격 장치(130)는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메뉴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42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원격 장치(130)에 전송한다(S430).
이에, 원격 장치(130)는 실행 명령에 따른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 내에서 실행한다(S440).
이어, 원격 장치(130)는 해당 기능 또는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50).
이에,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 또는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수신해, 실행 결과 화면은 비디오 출력부(230)로 출력하고, 실행 결과 음향은 오디오 출력부(240)로 출력한다(S4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먼저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된 원격 장치(13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다(S51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원격 장치(130)로부터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제공받는다(S52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선택 화면에 따른 기능 또는 서비스를 선택받는다(S53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원격 장치(130)에 전송한다(S54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원격 장치(130)로부터 선택한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만을 수신한다(S55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원격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을 비디오 출력부(230)로 출력하고, 실행결과 음향을 오디오 출력부(240)로 출력한다(S560).
따라서,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 장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장치(130)는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하면(S610),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10)로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S620).
이어, 원격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한다(S630).
이어, 원격 장치(130)는 수신된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한다(S640).
즉, 원격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기능 실행부(320)를 통해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서비스 실행부(330)를 통해 실행한다.
이어, 원격 장치(130)는 기능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650).
따라서, 사용자는 저성능의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고성능에서 실행가능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Home Network Serving Node, HNSN) 시스템과 연동된 댁내 또는 기업내 데스크탑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그 PC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되, 실행 파일 자체는 해당 PC 내에서 실행되고, 그 실행 결과만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기술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고성능 단말기가 아닌 저성능의 단말기를 통해 고성능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저성능이면서 가격이 낮지만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PC와 같은 기능이 요구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낮은 사양의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지에 있는 PC나 서버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스템이나 서비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스크탑 P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컴퓨터 보다는 저렴하고 이동성이 좋은 비디오/오디오 처리 및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 장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30 : 원격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비디오 출력부
240 : 오디오 출력부 250 : 제어부
310 : 통신부 320 : 기능 실행부
330 : 서비스 실행부 340 : 제어부

Claims (8)

  1.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 장치에 송출하고,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Video)과 음향(Audio)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과 음향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 장치;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시스템.
  2. 원격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과,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부;
    상기 원격 장치로 전송할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또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선택 명령 또는 실행 명령을 상기 원격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능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 및
    상기 기능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나,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결과 화면 및 실행 결과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원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상기 기능 실행부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장치.
  5. 사용자 단말기와 원격 장치 간에 원격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원격 장치가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원격 장치에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원격 장치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내에서 실행하는 단계;
    (e) 상기 원격 장치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향만을 수신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6. 원격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원격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제공받는 단계;
    (c)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상기 원격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만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원격 장치 기능 실행 방법.
  7.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능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이나,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행결과 화면 및 실행결과 음향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선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자체내 기능 실행부를 통해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자체내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0100090446A 2010-09-15 2010-09-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KR10177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46A KR101774410B1 (ko) 2010-09-15 2010-09-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46A KR101774410B1 (ko) 2010-09-15 2010-09-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38A true KR20120028538A (ko) 2012-03-23
KR101774410B1 KR101774410B1 (ko) 2017-09-12

Family

ID=4613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46A KR101774410B1 (ko) 2010-09-15 2010-09-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4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716B2 (ja) * 2000-07-26 2005-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とその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410B1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393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US11329938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9948980B2 (en) Synchronizing audio content to audio and video devices
JP6467135B2 (ja) ウェブページ共有方法、システム及びこれを支援する端末機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EP28131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US20130262687A1 (en) Connecting a mobile device as a remote control
US20140128053A1 (en) Accessing and interacting with web content and services using an external device to control a communication device
CN103197906A (zh) 用以执行无线显示控制的方法与装置
US11204695B2 (en) Providing a remote keyboard service
WO2018133307A1 (zh) 一种实现语音控制的方法和终端
CN102821150A (zh) 基于云服务的应用管理方法及云服务器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34538B2 (e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for social network service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AU20142000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20210038812A (ko) 음성 제어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500156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26306B2 (en) Interactive remote windows between applications operating withi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on mobile and stationary devices
JP2013117944A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マルチパネル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
US20140133840A1 (en) Method which uses multi-media to configure a multi-media capturing device
CN104219357A (zh) 语音指令网络电话及其操作方法
US201901382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les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774410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CN104038626A (zh) 移动计算装置与配件装置的通信方法及其计算机可读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