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874A -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 Google Patents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874A
KR20120027874A KR1020100089685A KR20100089685A KR20120027874A KR 20120027874 A KR20120027874 A KR 20120027874A KR 1020100089685 A KR1020100089685 A KR 1020100089685A KR 20100089685 A KR20100089685 A KR 20100089685A KR 20120027874 A KR20120027874 A KR 2012002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opening
locking
shell
s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548B1 (ko
Inventor
최상경
김진석
김동욱
박태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8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5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01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01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42C11/002Smart ammunition fuzes, i.e. having an integrated scanning, guiding and fir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4/00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6Electric contact part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electric fuz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전지 활성화 장치는, 열전지의 뇌관을 타격하여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폭발압력을 전달하는 연결통로를 통해 활성화부와 연결된 기폭관; 기폭관을 타격하여 폭발압력을 발생시키는 격침 부재; 격침 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격침 부재에 설치되어, 제1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부재; 잠금 부재가 해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부;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및 걸림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2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걸림부의 타단에는 개폐부가 설치되어, 고정부가 해제되더라도 개폐부가 열리기 전까지는 걸림부의 타단이 개폐부에 접촉되어 제2 탄성부재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이다.

Description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DEVICE FOR ACTIVATING THERMAL BATTERY FOR ARTILLERY AMMUNITION}
본 발명은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탄에 사용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탄은 목표에 대한 탐지, 조준 및 포탄의 유도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센서, 신호처리장치 등의 전자부품 및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탑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포탄에 사용되는 전원 및 그 활성화 장치는 온도 변화, 탄약 발사 및 방출시의 충격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여야 하며, 장기간 비축 후 원하는 시점에 전원을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포탄에 탑재되는 지능 자탄의 경우, 자탄에 탑재된 전자부품 및 센서들이 자탄이 모탄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작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시점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는 포탄의 발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지능 자탄에 탑재된 열전지에 있어서 포탄의 발사 시에 발생하는 후진 관성력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활성화 장치의 구속이 해제되고, 그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자탄이 모탄에서 분리되면 2차적으로 활성화 장치의 구속이 해제되어 비로소 열전지를 활성화 시키는 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열전지의 뇌관을 타격하여 상기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폭발압력을 전달하는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활성화부와 연결된 기폭관(210); 상기 기폭관(210)을 타격하여 폭발압력을 발생시키는 격침 부재(222); 상기 격침 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224); 상기 격침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부재(130); 상기 잠금 부재(130)가 해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부(122);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123); 및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는 개폐부(124)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개폐부가 열리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이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제2 탄성부재(123)를 압축상태로 유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 체결되는 안전핀(114); 및 상기 안전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3 탄성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가해지는 후진 관성력(setback force)에 의하여 상기 제3 탄성부재(112)가 압축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서 이탈함으로써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전지는 자탄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개폐부(124)는 상기 자탄과 상기 자탄을 탑재한 모탄이 분리될 때 열릴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4)는 상기 자탄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회전 감속부이고, 상기 회전 감속부는 상기 자탄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열릴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포탄에 탑재된 전기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열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열전지 시스템은 뇌관과 연결된 열전지; 상기 열전지의 뇌관을 타격하여 상기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폭발압력을 전달하는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활성화부와 연결된 기폭관; 상기 기폭관을 타격하여 폭발압력을 발생시키는 격침 부재; 상기 격침 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격침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가 해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는 개폐부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개폐부가 열리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이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는 열전지의 제한된 활성 유지시간을 고려하여 포탄의 발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 후에 열전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포탄에 탑재된 센서 및 전자회로가 적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센서 및 신호처리 회로 등이 탑재된 지능 자탄의 경우에는 모탄과 함께 발사되나 상기 모탄과 분리된 후에 비로소 구동되기 시작하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의하여 지능 자탄에 탑재된 상기 회로 등이 열전지의 활성 유지시간 이내에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1차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2차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능탄의 전원으로 열전지가 사용된다. 열전지는 고체 전해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가 방전이 방지되어 비활성화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고, 열전지의 뇌관에 연결된 기폭 장치가 착화 수단을 이용하여 고체 전해질을 용융시킴으로써 활성화 된다. 열전지는 비축 시간이 긴 반면, 활성 상태에서는 고체 전해질을 용융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활성 유지시간이 비교적 제한적이다.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방법으로는 포탄의 외부 발사 장치로부터 별도의 전기적 전원 공급을 통하여 착화 수단을 기폭 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열전지 활성화를 위한 초기 전원을 외부 발사 장치로부터 공급하는 방식은 전기식 유도무기에는 적용이 용이하나, 초기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데 제약이 있는 포탄의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특히, 지능탄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는 포탄에 탑재된 센서 및 전자부품의 구성에 따라 전력량 소모가 많은 점, 열전지의 제한된 활성 유지시간 등을 고려할 때 지능탄에 탑재된 전자부품이 필요한 시기에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능탄에 탑재된 열전지가 특정 시점에 활성화되도록 하는 점은 포탄에 탑재되어 발사되었다가 모탄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비로소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 자탄의 경우에 더욱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시스템은 구속부(100) 및 기폭부(200)를 포함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와, 상기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의해 타격되는 뇌관(282), 고체 전해질을 가지고 있는 열전지(28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서 상기 구속부(10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기폭부(200)에서 폭발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뇌관(282)을 타격한다. 상기 뇌관(282)이 타격되면 상기 뇌관(282)에 연결된 기폭 장치가 착화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열전지(284) 내의 고체 전해질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지(284)가 활성화되어 전원으로 사용된다.
이하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작동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는 구속부(100) 및 기폭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기폭부(200)는 착화 수단을 포함하여 폭발에너지를 생성하는 기폭관(210), 상기 기폭관을 타격하여 폭발을 유발하는 격침부(220) 및 상기 기폭관에서 발생한 폭발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전지의 뇌관을 기폭하는 활성화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100)는 상기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열전지를 활성화하기 전까지 상기 기폭관(210)에서 폭발이 유발되지 않도록 상기 격침부(220)를 구속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속부(100)가 상기 격침부(220)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상술한다.
상기 구속부(100)는 제3 탄성부재(112) 및 상기 제3 탄성부재(112)의 탄성력이 일측에 작용하고 있는 안전핀(114)로 구성된 제1 구속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구속부(110)의 상기 안전핀(114)에 일측에 작용하는 상기 제3 탄성부재(112)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안전핀(114)의 타측은 걸림부(122)의 측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구속부(100)는 상기 걸림부(122), 상기 걸림부(122)의 일단에 설치된 제2 탄성부재(123) 및 상기 걸림부(124)의 타단에 설치된 개폐부(124)로 구성된 제2 구속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핀(114)의 타측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123)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00)는 상기 걸림부(1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잠금 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부재(130)는 상기 걸림부(120)에 의하여 해제되지 않고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130)는 상기 격침부(220)를 구속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상기 잠금 부재(130)는 격침 부재(222)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격침 부재(222)의 일단에는 상기 격침부(22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격침 부재(222)에 의하여 격침되는 상기 기폭관(210)이 위치하고, 상기 격침 부재(222)의 타단에는 제1 탄성 부재(22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 부재(130)가 상기 격침 부재(222)의 측면에 체결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제1 탄성부재(224)의 장력이 구속되어 압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활성화부(230)는 활성화부 몸체(232) 및 엑튜에이터 핀(2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엑튜에이터 핀(234)은 상기 기폭관(210)이 상기 격침 부재(222)에 의하여 타격되는 경우 발생하는 폭발에너지를 상기 뇌관(282)을 타격하는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활성화 장치는 상기 격침부(22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252) 및 상기 하우징을, 예컨대, 포탄에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잠금링(2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1차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구속부(100)는 상기 제1 구속부(110) 및 상기 제2 구속부(120)로 구성되는 이중 구속부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속부(110)는 관성력에 의하여 해제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구속부(120)는 외력에 의하여 구속이 해제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구속부(110)가 해제된 상태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제1 구속부(110)에 작용하는 상기 관성력은, 예컨대, 포탄이 발사될 때 발생하는 관성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탑재된 지능 자탄이 모탄과 결합하여 있는 경우, 상기 관성력은 상기 자탄과 결합된 모탄이 최초에 발사될 때 발생하는 후진 관성력(setback forc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1차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구속부(110)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3 탄성부재(112)가 압축되고, 상기 안전핀(114)이 상기 제3 탄성부재(112)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서 이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핀(114)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서 이탈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122)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제2 탄성부재(123)의 구속된 장력이 해제되며 상기 걸림부(122)의 일단에 작용하고, 상기 걸림부(122)가 상기 개폐부(124)에 접촉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핀(114)은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서 이탈한 후 상기 걸림부(122)의 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 체결되지 못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의 2차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제2 구속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속부(110)가 해제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구속부(12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제2 구속부(120)에 작용하는 상기 외력은,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탑재된 지능 자탄이 모탄과 분리될 때 작용하는 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탑재된 지능 자탄이 모탄과 결합한 상태로 비행하다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모탄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지능 자탄에 작용하는 원심력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4)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활성화 장치가 탑재된 지능 자탄의 회전감속날개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감속날개가 원심력에 의해 전개되며 열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124) 또는 상기 회전감속날개가 열리면서,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2 탄성부재(123)의 복원력이 상기 걸림부(122)에 작용하고, 상기 개폐부(124)에 접촉되어 있던 상기 걸림부(122)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 후, 상기 걸림부(122)는 상기 잠금 부재(130)와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잠금 부재(130)는 상기 걸림부(122)의 이동에 의하여 생성된 빈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 격침부재(222)의 일단에 위치한 기폭관(210)을 타격하여 상기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상술한다.
상기 격침부재(222)에 설치되어 있던 상기 잠금 부재(130)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격침부재(222)의 타단에 설치된 상기 제1 탄성부재(224)의 복원력이 상기 격침부재(222)의 타단에 작용한다. 이로써, 상기 격침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2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기폭관(210)을 타격하여 폭발에너지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이 생성된 폭발에너지는 상기 엑튜에이터 핀(234)에 작용하여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고, 상기 엑튜에이터 핀(234)이 상기 열전지(284)에 연결된 상기 뇌관(282)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열전지(284)가 활성화 된다.

Claims (6)

  1. 열전지의 뇌관을 타격하여 상기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폭발압력을 전달하는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활성화부와 연결된 기폭관(210);
    상기 기폭관(210)을 타격하여 폭발압력을 발생시키는 격침 부재(222);
    상기 격침 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224);
    상기 격침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부재(130);
    상기 잠금 부재(130)가 해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부(122);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123); 및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는 개폐부(124)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개폐부가 열리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이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제2 탄성부재(123)를 압축상태로 유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 체결되는 안전핀(114); 및
    상기 안전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3 탄성부재(112)를 포함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열전지 활성화 장치에 가해지는 후진 관성력(setback force)에 의하여 상기 제3 탄성부재(112)가 압축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걸림부(122)의 측면에서 이탈함으로써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지는 자탄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개폐부(124)는 상기 자탄과 상기 자탄을 탑재한 모탄이 분리될 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24)는
    상기 자탄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회전 감속부이고, 상기 회전 감속부는 상기 자탄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활성화 장치.
  6. 포탄에 탑재된 전기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열전지 시스템으로서,
    뇌관과 연결된 열전지;
    상기 열전지의 뇌관을 타격하여 상기 열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폭발압력을 전달하는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활성화부와 연결된 기폭관;
    상기 기폭관을 타격하여 폭발압력을 발생시키는 격침 부재;
    상기 격침 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격침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가 해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장력을 구속하여 압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는 개폐부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개폐부가 열리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이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지 시스템.
KR1020100089685A 2010-09-13 2010-09-13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KR101234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85A KR101234548B1 (ko) 2010-09-13 2010-09-13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85A KR101234548B1 (ko) 2010-09-13 2010-09-13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74A true KR20120027874A (ko) 2012-03-22
KR101234548B1 KR101234548B1 (ko) 2013-02-19

Family

ID=4613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85A KR101234548B1 (ko) 2010-09-13 2010-09-13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5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48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풍산 열전지 활성화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220126868A (ko) 2021-03-10 2022-09-19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용 관성식 착화장치
KR20230039257A (ko) * 2021-09-14 2023-03-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에 구비되는 기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73B1 (ko) 2018-10-01 2020-02-27 주식회사 한화 신관의 타격 레버 조립용 지그
KR102124081B1 (ko) 2018-12-27 2020-06-17 주식회사 한화 신관의 타격 레버 조립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관의 타격 레버 조립 방법
KR102645650B1 (ko) * 2021-10-08 2024-03-0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발사체의 신관용 안전 잠금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사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940A (en) * 1982-06-28 1984-06-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andom time delay fuze
JP3395794B2 (ja) * 1992-12-24 2003-04-14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砲弾の熱電池活性化装置
JPH0914900A (ja) * 1995-06-23 1997-01-17 Yokogawa Denshi Kiki Kk 熱電池着火装置
US7530313B2 (en) * 2006-05-12 2009-05-12 Day & Zimmerman, Inc. Self-destruct fuze delay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48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풍산 열전지 활성화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220126868A (ko) 2021-03-10 2022-09-19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용 관성식 착화장치
KR20230039257A (ko) * 2021-09-14 2023-03-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에 구비되는 기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548B1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548B1 (ko) 포탄용 열전지 활성화 장치
US3850102A (en) Piezoelectric multi-purpose device for projectiles (u)
US829182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lectro-mechanical safety and arming of a projectile
US11713953B2 (en) Method for rotating a toggle link upon an acceleration even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US8887640B1 (en) Electro-mechanical fuze for hand grenades
US11619475B2 (en) Fuze arming techniques for a submunition
WO2020128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suitable for use with a munition
US9562755B2 (en) Safe and arm mechanisms and methods for explosive devices
RU2010118389A (ru) Реактивный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й снаряд (варианты)
RU2540987C1 (ru) Взрыватель для реактивных снаряд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7270788B (zh) 一种传感器冗余式设计的触发引信
US4679503A (en) Detonator securing device
US8037826B2 (en) Mechanical self destruct for runaway escapements
WO2013021146A1 (en) Inertially operated electrical initiation devices
US7055436B2 (en) Shell fuse
KR101887274B1 (ko) 비전기식 지연/압력카트리지
US4047484A (en) Fuze with bimetallic spring delay module
USH124H (en) Initiator assembly
US20060124018A1 (en) Explosive-activated safe-arm device
GB0301690D0 (en) Safety system
JPH0715360B2 (ja) 信管装置
ES2960310T3 (es) Disparo de apertura a distancia
CN116182641A (zh) 一种水下特种平台用安全自毁装置及自毁方法
KR20150077504A (ko) 독립된 화공식 자폭수단이 구비된 자탄신관
Rastegar et al. A Review of Two Patents Relating to Novel Energy Harvesting Techniques to Provide Electrical Power On-Board Gun-Fired Projec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