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587A -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587A
KR20120027587A KR1020100089243A KR20100089243A KR20120027587A KR 20120027587 A KR20120027587 A KR 20120027587A KR 1020100089243 A KR1020100089243 A KR 1020100089243A KR 20100089243 A KR20100089243 A KR 20100089243A KR 20120027587 A KR20120027587 A KR 2012002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unit time
time zone
combin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Priority to KR102010008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587A/ko
Publication of KR2012002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방송할 경우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에 대해 임의로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단위 시간대를 나누고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정지영상을 추출하여 모든 카메라의 대표 정지영상을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결합한 후 결합된 정지영상의 TV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생성 시스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송출하는 송출 시스템; 및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정지영상 화면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출력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송 사업자는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정지영상 형태로 결합하여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동영상이 아닌 정지영상을 압축해서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는 다양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TV 스크린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screen Image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방송할 경우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에 대해 임의로 단위 시간대를 나누고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정지영상을 추출하여 모든 카메라의 대표 정지영상을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결합한 후 결합된 정지영상의 TV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생성 시스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송출하는 송출 시스템; 및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가 선택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정지영상 화면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출력 시스템을 포함한다.
두 개 이상의 디지털 동영상 컨텐트를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하려는 화면 개수만큼의 디코더가 셋탑박스에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셋탑박스는 두 개의 디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 기존의 멀티스크린 서비스는 PIP(Picture-in-picture) 형태로 최대 두 개의 화면을 하나의 스크린에서 제공한다. 폐쇄회로 TV(CCTV)의 경우 두 개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지만 TV 서비스와 같이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폐쇄회로에 연결된 제한된 사람들에게만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제한된 네트워크 대역폭과 가입자 단말기 내 제한된 디코더 개수로 인하여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한 개의 스크린에 출력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생성 시스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송출하는 송출 시스템; 및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정지영상 화면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출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영상 신호로부터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한다. 일반적인 인코딩 과정에서 매 33 밀리초(ms) 당 한 개의 프레임이 생성되기 때문에 1초에 약 29.7개의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1초 이상의 단위 시간대 별로 하나의 대표 참조 프레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 정지영상으로 생성한다.
상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결합부가 생성한 정지영상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시스템은 상기 압축부가 생성한 압축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기로 송출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스템은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 및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정지영상 화면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질의부는 가입자에게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된 TV 화면을 통해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고 가입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다. 상기 추출부는 1초 이상의 임의로 정한 단위 시간별로 각 카메라의 영상을 추출하기 때문에 정지영상 업데이트 주기는 1초 이상이 된다.
상기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압축부가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상기 질의부를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별로 정지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ii) 동일한 시간대에 속하는 복수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iii) 결합된 정지영상과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단계; iv) 결합한 정지영상 및 단위 시간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v)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단계; 및 vi) 결합된 정지영상 및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된 정지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추출부가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로부터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한다. 일반적인 인코딩 과정에서 매 33 밀리초(ms) 당 한 개의 프레임이 생성되기 때문에 1초에 약 29.7개의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1초 이상의 단위 시간대 별로 하나의 대표 참조 프레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복수의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해서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압축부가 상기 결합부가 생성한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한다.
상기 iv) 단계에서 상기 송출 시스템이 상기 압축부가 압축한 데이터를 송출한다.
상기 v) 단계에서 상기 질의부가 가입자에게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된 TV 화면을 통해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고 가입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다.
상기 vi)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압축부가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상기 질의부를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별로 정지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는 하나의 채널 편성에 대해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지영상 형태로 하나의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는 여러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한 번에 시청할 수 있고 또한 정지영상이 업데이트되는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서비스 사업자는 하나의 채널에 대해 동영상을 압축한 스트림 대신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레이트를 요구하는 정지영상을 압축한 스트림을 송출하기 때문에 적은 대역폭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한정된 대역폭 자원을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볼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서비스 구성도.
도 2는 추출부(101-a)가 임의로 나눈 시간 구간인 각 단위 시간 별로 존재하는 영상 프레임 중에서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한 개씩 추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3은 추출부(101-a)이 복수의 카메라에서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고 결합부(101-b)가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표시부(103-b)가 가입자가 질의부(103-a)을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부(101-b)가 생성한 다화면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입자의 단말기에 연결된 출력장치를 통해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압축한 정지영상 및 단위 시간 정보 데이터를 MPEG-2 TS 패킷화하여 송출할 경우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스트림을 PAT 및 PMT 테이블상에서 표현하는 하나의 예를 도식화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한 순서도.
이하,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한 것을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 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볼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서비스 구성도로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생성 시스템(101),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송출 시스템(102),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출력 시스템(103)으로 구성된다.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생성 시스템(101)은 추출부(101-a), 결합부(101-b), 압축부(101-c)를 포함한다.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생성 시스템(101)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생성한다.
추출부(101-a)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인코딩된 영상을 수신하여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한다.
결합부(101-b)는 추출부(101-a)가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각 단위 시간대 별로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한다.
압축부(101-c)는 결합부(101-b)가 생성한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한다.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출력 시스템(103)은 질의부(103-a)와 표시부(103-b)로 구성된다.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컨텐트 출력 시스템(103)은 가입자 단말기에 존재한다.
질의부(103-a)는 가입자에게 가입자 단말에 연결된 TV 화면을 통해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고 가입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다.
표시부(103-b)는 압축부(101-c)가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질의부(103-a)을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별로 정지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도 2는 추출부(101-a)가 임의로 나눈 시간 구간인 각 단위 시간대 별로 존재하는 영상 프레임 중에서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한 개씩 추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각 단위 시간대 별로 여러 장의 정지영상이 존재하고 추출부(101-a)는 대표 참조 프레임을 한 장 추출한다.
도 3은 추출부(101-a)가 복수의 카메라에서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고 결합부(101-b)가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결합부(101-b)는 추출부(101-a)가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여러 장의 정지영상을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한다.
도 4는 표시부(103-b)가 가입자가 질의부(103-a)를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 표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부(101-b)가 생성한 다화면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주기 1의 경우 결합부(101-b)가 생성한 정지영상 정지영상을 표시부(103-b)가 매 단위 시간대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주기 2의 경우 결합부(101-b)가 생성한 정지영상 정지영상을 표시부(103-b)가 매 단위 시간대의 2배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업데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주기 3의 경우 결합부(101-b)가 생성한 정지영상 정지영상을 표시부(103-b)가 매 단위 시간대의 3배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업데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입자의 단말기에 연결된 출력장치를 통해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105-1은 1번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중 특정 단위 시간대를 대표하는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105-2는 2번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중 특정 단위 시간대를 대표하는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105-3은 3번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중 특정 단위 시간대를 대표하는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105-4는 4번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중 특정 단위 시간대를 대표하는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105-1, 105-2, 105-3, 및 105-4가 각각 표시하는 정지영상은 추출부(101-a)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대해 1번, 2번, 3번, 4번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한 대표 참조 프레임으로 결합부(101-b)에 의해 하나의 정지 영상으로 결합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압축한 정지영상 및 단위 시간 정보 데이터를 MPEG-2 TS 패킷화하여 송출할 경우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스트림을 PAT 및 PMT 테이블상에서 표현하는 하나의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프로그램은 일반 프로그램과 같이 PAT PID를 갖는다. 일반 프로그램이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PMT PID를 갖는 반면,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프로그램은 정지영상 및 단위 시간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정지영상 스트림에 대한 PMT PID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701은 추출부(101-a)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인코딩된 영상을 수신하여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단계 702는 결합부(101-b)가 상기 단계에서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각 단위 시간대 별로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단계 703은 압축부(101-c)가 상기 단계에서 생성한 각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을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하는 과정이다.
단계 704는 상기 단계에서 압축한 데이터를 MPEG-2 TS 형태의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801은 가입자가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단계 802는 표시부(103-b)가 단위 시간대 간격으로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단계 803은 질의부(103-a)가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 변경 메뉴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단계 804는 가입자가 질의부(103-a)가 출력한 메뉴를 이용하여 현재와 다른 정지영상 표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단계 805는 표시부(103-b)가 가입자가 질의부(103-a)을 통해 입력한 새로운 결합된 정지영상 표시 주기에 따라 결합된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생성 시스템
101-a: 추출부
101-b: 결합부
101-c: 압축부
102: 송출 시스템
103: 출력 시스템
103-a: 질의부
103-b: 출력부

Claims (16)

  1.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생성 시스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를 송출하는 송출 시스템; 및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와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정지영상 화면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서비스용 컨텐트 출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2.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추출부;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으로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3.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스템은,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질의부; 및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과 상기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된 정지영상을 화면에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4. 제 2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수신한 후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로부터 임의로 지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복수의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해서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결합부가 생성한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부는,
    가입자에게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된 TV 화면을 통해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고 가입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부는,
    상기 압축부가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상기 질의부를 통해 입력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별로 정지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9. i)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ii) 동일한 시간대에 속하는 복수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iii) 결합된 정지영상과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함께 압축하는 단계;
    iv) 결합한 정지영상 및 단위 시간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v)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단계; 및
    vi) 결합된 정지영상 및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된 정지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0.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신호에서 임의로 정한 1초 이상의 매 단위 시간대 별로 각 카메라의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1.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단위 시간대에 속하는 대표 참조 프레임들을 결합해서 하나의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2.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결합된 정지영상을 해당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와 함께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3.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에게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4.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결합된 정지영상 및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에 포함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결합된 정지영상을 업데이트해서 표시하는 주기에 따라 결합된 정지영상을 화면에 업데이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5. 제 9항의 방법에 있어서,
    결합된 정지영상 및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 정보를 압축한 데이터를 MEPG-2 TS 패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16. 제 13항의 방법에 있어서, MEPG-2 TS 패킷에서 결합된 정지영상 및 결합된 정지영상이 속한 단위 시간대를 포함한 스트림을 PMT PID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방법.
KR1020100089243A 2010-09-13 2010-09-13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27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43A KR20120027587A (ko) 2010-09-13 2010-09-13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43A KR20120027587A (ko) 2010-09-13 2010-09-13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87A true KR20120027587A (ko) 2012-03-22

Family

ID=4613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43A KR20120027587A (ko) 2010-09-13 2010-09-13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5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92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길이 조절형 환기 장치
KR20190006793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열교환식 창문프레임 환기장치
KR20200022938A (ko) 2018-08-24 2020-03-04 주윤식 열회수 양 기로(氣路) 파이프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92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길이 조절형 환기 장치
KR20190006793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열교환식 창문프레임 환기장치
KR20200022938A (ko) 2018-08-24 2020-03-04 주윤식 열회수 양 기로(氣路) 파이프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94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887506B1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2017644B (zh) 用于生成和发送数字电视信号流的服务提供方法和服务提供设备以及用于接收和处理数字电视信号流的方法和接收装置
JP2006174453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ベースの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チャンネル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50083012A (ko) 다중 영상의 단일 비트 스트림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US10536665B2 (en) Device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025157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1313B1 (ko) 멀티미디어 흐름 처리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US20140344868A1 (en) Switching method of different display windows of a tv
US10412422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20090115344A (ko)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CN102625154A (zh) 一种传输流复用的方法、节目接收装置、服务器及系统
KR20120027587A (ko) 다화면 정지영상 방송 장치 및 방법
US8769562B2 (en) Digital broadcast method, data receiving device, and data transmitting device
CN105208304B (zh) 数字电视模拟电视一体接收机
CN101611622A (zh) 视频控制单元
US10616618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20130066432A (ko) 클라우드 기반의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3283450A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awamura et al. Functional evaluation of hybrid content delivery using MPEG media transport
KR102026454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24437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07531B1 (ko)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포함한 실시간 방송 편성표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8737844A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03281585A (zh) Iptv的stb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