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356A - 중계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356A
KR20120027356A KR1020117030035A KR20117030035A KR20120027356A KR 20120027356 A KR20120027356 A KR 20120027356A KR 1020117030035 A KR1020117030035 A KR 1020117030035A KR 20117030035 A KR20117030035 A KR 20117030035A KR 20120027356 A KR20120027356 A KR 2012002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radio wave
frequency
amplif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이토
가즈히로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2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10)는,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12)와,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13)를 구비한다.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어부(13)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킨다.

Description

중계 증폭 장치{RELAY AMPL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再放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3GPP TS36.106
그러나, 중계 증폭 장치는, 원하는 전파뿐만 아니라, 미사용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잡음도 동시에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미사용 대역의 잡음을 증폭시키지 않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전파만을 증폭시켜 재방사할 수 있는 중계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로서,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와, 상기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통지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에 있어서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용적(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안테나 A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제2 안테나 B를 통하여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의 이동 통신이 행해지고 있고, 중계 증폭 장치(10)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의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이동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10)는, 제1 증폭부(11)와, 수신부(12)와, 제어부(13)와, 다운 컨버터(14)와, 디지털 필터(15)와, 업 컨버터(16)와, 제2 증폭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증폭부(11)는, 제1 안테나 A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한 전파(무선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운 컨버터(14)는, 제1 증폭부(1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필터(15)는, 다운 컨버터(1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업 컨버터(16)는, 디지털 필터(15)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증폭부(17)는, 업 컨버터(16)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고, 제2 안테나를 통하여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12)는, 제1 증폭부(11)에 있어서 제1 안테나 A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되어 증폭된 전파(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범위 정보를, 제어부(1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범위 정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 "통신 방식"과, "ON/OFF"와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ON/OFF"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나타내는 사용 상황이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이러한 주파수 범위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범위 정보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즉, 주파수 범위 정보는, "통신 방식" 및 "ON/OFF"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한, 통지 정보에 주파수 범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수신부(12)가 주파수 범위 정보를 제어부(13)에 송신하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범위 정보를 통지하지 않는 경우라도, 중계 증폭 장치(10)가, 해당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으면, 주파수를 변화시켜 수신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인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의하면, "중심 주파수"가 "f1"이며 "대역 폭"이 "BW1"인 주파수 대역 #1 및 "중심 주파수"가 "f2"이며 "대역 폭"이 "BW2"인 주파수 대역 #2는,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용의 주파수 대역이며, 현재 사용중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의하면, "중심 주파수"가 "f3"이며 "대역 폭"이 "BW3"인 주파수 대역 #3 및 "중심 주파수"가 "f4"이며 "대역 폭"이 "BW4"인 주파수 대역 #4는,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용의 주파수 대역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의하면, "중심 주파수"가 "f5"이며 "대역 폭"이 "BW5"인 주파수 대역 #5는, LTE 방식의 이동 통신용의 주파수 대역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BW1" 내지 "BW4"는, 5MHz이며, "BW5"는, 10MHz라도 된다.
여기서, 제1 증폭부(11)가, 주변의 복수의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수신부(12)는, 중계 증폭 장치(10) 사이의 전반(傳搬) 손실[패스로스(pathloss)]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제1 증폭부(11)가, 주변의 복수의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수신부(12)는, 중계 증폭 장치(10)에 있어서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예를 들면, PCPICH: Physical Common Pilot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수신부(12)는, 정기적으로,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신부(12)는, 소정의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 #2)에 있어서 소정의 통신 방식(예를 들면, W-CDMA 방식 또는 LTE 방식)으로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BTS가 W-CDMA 방식으로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수신부(12)는,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범위 정보로서, LTE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CH(Broadcast Channel) 내의 SIB19를 사용하여, 중심 주파수(EARFCN) 및 대역 폭(Measurement Bandwidth)을 통지할 수 있다(3GPP TS25.331 V8.6.0 SEC. 10.3.7.115 참조).
또한, 수신부(12)는, W-CDMA 방식의 무선 신호를 서치하여, 사용중인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 폭을 취득하고, 취득한 중심 주파수 및 대역 폭에 기초하여, 주파수 범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수신부(12)는, W-CDMA 방식의 무선 신호를 수신된 주파수 대역과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LTE 방식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주파수 범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범위 정보는, 수신부(12)가 수신 가능한 통신 방식(예를 들면, W-CDMA 방식) 이외의 통신 방식(LTE 방식)만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 BTS가 W-CDMA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BCH의 SIB11을 사용하여 통지하고 있는 경우, 수신부(12)는,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양 통신 방식의 주파수 범위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수신부(12)가 W-CDMA 수신기이며, BCH의 SIB11에서 W-CDMA 방식이 상이한 주파수의 주파수 범위 정보를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신기로 수신 가능한 주파수를 전환하면서 서치함으로써, 주파수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부(12)에 의해 수신된 통지 정보, 서치하여 수신 가능하게 된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는, 도 3에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러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1, #2, #5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3, #4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는, 디지털 필터(15)의 파형을 변경함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는, 도 3에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1, #2, #5의 전파를 통과시키고, 또한 주파수 대역 #3, #4의 전파의 통과율을 낮추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 #3, #4의 전파를 차단하는 필터링 처리를 행하도록, 디지털 필터(15)에 지시한다.
여기서, 디지털 필터(15)는, 주파수 대역 #5에서는, 10MHz 단위로 필터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주파수 대역 #1 내지 #4에서는, 5MHz 단위로 필터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중계 증폭 장치(10) 사이의 전반 손실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중계 증폭 장치(10)에 있어서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예를 들면, PCPICH)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전술한 전반 손실의 최소값에 기초하여, 제2 증폭부(17)에서의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예를 들면, PCPICH)을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의 전력이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제2 증폭부(17)에서의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업링크를 통하여 수신한 전파에 대하여, 다운링크에 있어서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다운링크에 있어서 미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파의 증폭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전술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의 전파에 대해서는 증폭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증폭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증폭 장치(10)는, 단계 S101에 있어서, 셀 서치 처리를 행하고, 단계 S102에 있어서, 셀 서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셀에 있어서 통지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주변 셀 정보를 취득한다.
중계 증폭 장치(10)는, 단계 S103에 있어서, 취득한 주변 셀 정보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변 셀에서의 전반 손실(패스로스)을 검출하고, 단계 S104에 있어서, 전반 손실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또는, 셀)을 결정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중계 증폭 장치(10)는, 전반 손실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또는, 셀)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범위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중계 증폭 장치(10)는, 이러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즉 디지털 필터(15)의 통과 대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 증폭 장치(10)가, 전술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의 전파만을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잡음으로 판단하여 증폭시키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 증폭 장치(10)가, 전술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따라 자신이 운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 근방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디지털 필터(15)의 통과 대역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들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증폭시켜 재방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예를 들면,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 및 LTE 방식의 이동 통신이 혼재하고 있는 환경 하에 있어서, 중계 증폭 장치(10)에 있어서, W-CDMA 방식의 수신부(12) 및 LTE 방식의 수신부(12)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W-CDMA 방식의 수신부(12)[또는, LTE 방식의 수신부(12)]가,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용의 주파수 대역(또는, LTE 방식의 이동 통신용의 주파수 대역)을 무선 신호의 서치에 의해 취득하고, 또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LTE 방식의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W-CDMA 방식의 주파수 대역 및 LTE 방식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디지털 필터(15)의 통과 대역을 변화시킴으로써,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용 신호 및 LTE 방식의 이동 통신용 신호의 양쪽을 증폭시켜 재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통지 정보에 양 통신 방식의 주파수 범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수신부(12)는, 상기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범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W-CDMA 방식의 수신부(12) 및 LTE 방식의 수신부(12)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 증폭 장치(10)가, 전술한 주파수 범위 정보에 포함되는 대역 폭을 고려하여, 디지털 필터(15)의 통과 대역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W-CDMA 방식의 주파수 대역 및 LTE 방식의 주파수 대역과 같이, 대역 폭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재방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 증폭 장치(10)가, 정기적으로, 이러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파수 범위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적절하게, 디지털 필터(15)의 통과 대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 증폭 장치(10)가, 통지 정보에 의해 주파수 대역 내의 운용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시스템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복수의 수신기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주파수로 하나의 주파수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과 증폭도를 저하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러한 기능을 구현화할 때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중계 증폭 장치(10)가, 수신 레벨만으로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면, 간섭파 등을 잘못 증폭시키는 잘못을 범할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으면, 이러한 잘못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은, 무선 기지국 BTS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10)로서,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12)와,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13)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제어부(13)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 사용중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나타내는 사용 상황("ON/OFF")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제어부(13)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중계 증폭 장치(10) 사이의 전반 손실(패스로스)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중계 증폭 장치(10)에 있어서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전술한 전반 손실의 최소값에 기초하여,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수신부(12)가 수신 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전술한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수신부(12)는, 정기적으로, 무선 기지국 BTS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업링크를 통하여 수신한 전파에 대하여, 다운링크에 있어서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다운링크에 있어서 미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파의 증폭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13)는,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 중, P-CPICH(특정한 채널)의 출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무선 기지국 BTS 및 중계 증폭 장치(10)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착탈 가능 디스크나, CD-ROM과 같은 임의의 형식의 기억 매체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기억 매체는, 프로세서가 상기 기억 매체에 정보를 기록/판독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ASIC는, 무선 기지국 BTS 및 중계 증폭 장치(10)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 및 프로세서는, 개별 부품(discrete component)으로서 무선 기지국 BTS 및 중계 증폭 장치(10)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전술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어떤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41487호(2009년 6월 12일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미사용 대역의 잡음을 증폭시키지 않고, 원하는 전파만을 증폭시켜 재방사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10: 중계 증폭 장치 11: 제1 증폭부
12: 수신부 13: 제어부
14: 다운 컨버터 15: 디지털 필터
16: 업 컨버터 17: 제2 증폭부

Claims (10)

  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파를 증폭시킨 후, 다운링크에 있어서 재방사(再放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및
    상기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상기 통지 정보를 복수의 주파수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범위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중심 주파수와 대역 폭과 사용중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나타내는 사용 상황과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주파수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미사용 주파수 대역 내의 전파에 대한 증폭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 증폭 장치 사이의 전반(傳搬) 손실이 최소인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 증폭 장치에 있어서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반 손실의 최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를 통하여 수신한 전파에 대하여, 상기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증폭시키고, 상기 미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파의 증폭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링크 공통 제어 채널 중, 특정 채널의 출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증폭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계 증폭 장치.
KR1020117030035A 2009-06-12 2010-06-11 중계 증폭 장치 KR20120027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1487 2009-06-12
JP2009141487 2009-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356A true KR20120027356A (ko) 2012-03-21

Family

ID=4330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035A KR20120027356A (ko) 2009-06-12 2010-06-11 중계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64939A1 (ko)
EP (1) EP2442459A1 (ko)
JP (1) JP5328913B2 (ko)
KR (1) KR20120027356A (ko)
CN (1) CN102804635A (ko)
WO (1) WO2010143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8015B2 (ja) * 2011-11-25 2015-10-2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中継増幅装置及び中継方法
KR20140090533A (ko) *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US20150072685A1 (en) * 2013-09-10 2015-03-12 Acer Incorporated Method of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types of networks
CN110224735B (zh) * 2019-05-13 2021-05-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方法及设备
US11611391B1 (en) * 2021-02-19 2023-03-21 Mission Microwave Technologies, Llc Satellite communications solid-state block upconverter with gain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926A (ja) * 1984-12-24 1986-07-07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通信衛星中継器
SE502811C2 (sv) * 1994-05-11 1996-01-22 Allgon Ab Repeater
SE510569C2 (sv) * 1996-05-31 1999-06-07 Allgon Ab Repeterare med variabel bandbredd
JPH11112399A (ja) * 1997-09-29 1999-04-23 Ntt Mobil Commun Network Inc 移動通信の周波数選択形中継方法及び装置
US7460831B2 (en) * 2002-06-20 2008-12-02 Dekolink Wireless Ltd. System and method for excluding narrow band noise from a communication channel
US20040156097A1 (en) * 2003-02-06 2004-08-12 Spotwave Wireless Inc.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7480485B1 (en) * 2004-01-07 2009-01-20 Sprint Spectrum L.P. Radio frequency repeater with automated block/channel selection
US7299005B1 (en) * 2004-01-07 2007-11-20 Sprint Spectrum L.P. Radio frequency repeater with automated block/channel selection
US7170344B2 (en) * 2004-02-03 2007-01-30 Ntt Docomo, Inc. Multi-band predistorter using power series representation
JP4633497B2 (ja) * 2004-02-25 2011-02-16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中継器
US7778596B2 (en) * 2004-07-29 2010-08-17 Qualcomm Incorporated Airlink sensing watermarking repeater
WO2006043592A1 (ja) * 2004-10-20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ブースタ
WO2006126344A1 (ja) * 2005-05-25 2006-11-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中継装置
EP1732208B1 (en) * 2005-06-06 2008-03-05 NTT DoCoMo INC. Power series type predistorter for multi-frequency bands operation
JP4672557B2 (ja) * 2006-01-11 2011-04-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957693B2 (en) * 2007-09-26 2011-06-0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Wireless relay amplification apparatus
JP5178414B2 (ja) * 2007-09-26 2013-04-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中継増幅装置
JP2009141487A (ja) 2007-12-04 2009-06-25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写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43717A1 (ja) 2012-11-29
CN102804635A (zh) 2012-11-28
WO2010143717A1 (ja) 2010-12-16
US20120164939A1 (en) 2012-06-28
EP2442459A1 (en) 2012-04-18
JP5328913B2 (ja)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845B2 (en)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EP1298806B2 (en) LNA gain adjustment in an RF receiver to compensate for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7120410B2 (en) LNA gain adjustment in an RF receiver to compensate for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8886149B2 (en) Detection and mitigation of interference in a multimode receiver using variable bandwidth filter
EP3520505B1 (en) User equipment transmission management for dynamically varying transmission emission requirements
US11303369B2 (en) Booster gain adjustment based on user equipment (UE) need
EP2375571B1 (en)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signals via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chips to whic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re appli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thereof
JP5328913B2 (ja) 中継増幅装置
US1088777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2723141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base station device, as well as communication system
EP3202199B1 (en) Determining a centre frequency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to use
JP2017135620A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820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레벨 보상 장치 및 방법
US20100267351A1 (en) Receiver and gain control method
KR101825417B1 (ko) 간섭제거 중계기
KR100946082B1 (ko) 휴면 주파수 대역 검출 기능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
KR20150059366A (ko) Tv 화이트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기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0961139B1 (ko) 고감도 신호검출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스마트 증폭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 시스템
KR20010050670A (ko) 수신기의 다이나믹 랜지 경감을 위해 파워에 근거한 동적채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83614B1 (ko) 듀얼 밴드 통신 방식이 적용된 복수의 무선통신 칩에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의 듀얼 밴드 전송 방법
KR101007394B1 (ko)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수신장치
KR100612145B1 (ko) 비콘 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핸드오버 제어 장치
KR101675163B1 (ko) 무선 접속 중계기의 통신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4138330A (ja) 無線回路
JP2010093540A (ja) 中継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