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773A - 소변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773A
KR20120026773A KR1020100088886A KR20100088886A KR20120026773A KR 20120026773 A KR20120026773 A KR 20120026773A KR 1020100088886 A KR1020100088886 A KR 1020100088886A KR 20100088886 A KR20100088886 A KR 20100088886A KR 20120026773 A KR20120026773 A KR 2012002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closing
flow control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039B1 (ko
Inventor
신현오
Original Assignee
신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오 filed Critical 신현오
Priority to KR102010008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0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부재(30)의 개폐레버(36)를 가볍게 누르거나 밀어서 밸브개폐를 실행하며 동파방지의 수단으로 밸브몸체(13)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하우징(14)과의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제1공간(15), 제2공간(15-1)을 형성하여 항상 물이 차있는 유입구(11), 유입안내공(11-1)과 압력실(200)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싱크대, 세면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급수호스(44) 일단부의 체결너트(43) 내측에 돌출구비된 프러그(45)와 유출구(17)의 상단부 내주면에 각각의 유량조절밸브(41,42)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급수호스(44)의 너트 체결만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변기 세척장치{Urinal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몸체가 이중체 구조로써 레버를 가볍게 밀거나 눌러서 밸브개폐를 실행하며, 유량조절부가 간단한 구조로써 동파방지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소변기 세척장치이다.
종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소변기 세척장치는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밸브몸체캡의 내부에 까지 항상 물이 차있어서 밸브몸체캡이 동파로 인하여 종종 파손되고 있으며 푸쉬버튼은 스프링강도가 강하여 노약자, 어린이 등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유량조절 시에는 별도로 구비된 유량조절밸브를 드라이버 등 연장을 사용해야하며 또한, 복수의 부품이 사용되는 관계로 부품 생산 및 조립공정상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레버를 가볍게 누르거나 밀어서 밸브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동절기 동파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몸체하부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구비된 유출구에 급수호스를 체결하는 수단만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소변기 세척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파방지를 위하여 대기온도와 직접 접촉되는 상기 급수부재의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항상 물이 차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밸브하우징과의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외부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종래 널리 사용되어온 상기 다이어프램을 밸브하우징에 게재하여 누구나 가볍게 터치하는 정도로도 밸브개폐를 용이하게 실행하며 드라이버 등 연장을 사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유량조절밸브 대신 상기 급수호스 일단부의 체결너트 내측으로 돌출구비된 프러그와 유출구 내측 상단부에 각각의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구 외주면 나사산에 상기 급수호스 체결너트를 결합하여 조금씩 조이면 상기 유출구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유량조절밸브시트와 상기 유량조절밸브 상단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며
또한, 급수호스 일단부의 체결너트 내측으로 돌출구비된 프러그의 상단부와 유출구 상단부 내주면에 게재된 또다른 유량조절밸브 하단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세척수 유량조절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상기한 바와 같이 소변기 세척시 누구나 가볍게 레버를 누르거나 밀어서 밸브개폐를 실행하는 편의를 제공하고 결빙으로 인한 동파를 예방하며 또한, 유량조절밸브의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절감 효과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소변기 세척장치 단면도(빗금친부분은 상시 물이 차있는 부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빗금친 부분은 상시 물이 차있는 부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를 밀었을 때의 열림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를 눌렀을 때의 열림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유량조절부재의 분해도
도5a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유량조절부재의 분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부품 분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유량조절밸브 A-A' 동작상태도
도7a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의 유량조절밸브 B-B'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도이며, 도5 내지 도5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부재의 분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분해도이며, 도7의 A-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7a의 B-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 세척장치는 급수부재(10), 개폐부재(20), 가압부재(30) 및 유량조절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부재(10)의 몸체(13)는 통공의 관 형태로 밸브하우징(14)과 일체로 형성되며 몸체(13)와 밸브하우징(14)의 사이에는 동파방지를 위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공간(15)과 제2공간(15-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3)의 일측단부에는 수평으로 옥내 급수배관(미도시)과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된 통공의 유입구(11)를 구비하고 몸체(13)의 하단부 일측에는 통공으로 되고 외주면에 나사산(17-2)을 구비한 유출구(17)를 수직하향으로 돌출 구비한다.
상기 유출구(17)의 내주면 상단부 일정부위에는 단턱을 구비한 유량조절밸브시트(17-1)와 나사산(17-3)을 구비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시트(17-1)는 상기 급수호스(44)의 체결너트(43)를 유출구(17)와 체결하여 조금씩 조이면 상기 유량조절밸브시트(17-1)와 상기 급수호스(44) 체결너트(43)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프러그(45)에 결합된 유량조절밸브(41)와의 간격에 따라 유량이 조절된다.
제 2실시예
도7a의 B-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42)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상기 유량조절밸브(42)는 원뿔(42-2)이 하향되고 원뿔(42-2) 외주면에는 나사산(42-3)과 한개 이상의 유출안내공(42-1)을 구비하여 유출구(17) 상단부 내주면 나사산(17-3)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호스(44)의 체결너트(43)를 조금씩 조이면 상기 급수호스 체결너트(43) 내측에 돌출구비된 프러그(45)와 상기 유량조절밸브(42) 하단부의 원뿔(42-2) 형상과의 간격에 따라 유량이 조절된다.
도2 내지 도4에 따르면 상기 몸체(13)의 유입구(11)와 일체로 형성된 유입안내공(11-1)을 구비하여 유입구(11)로 들어온 물은 유입안내공(11-1)과 다이어프램의 통기공(22-1)을 통과하여 밸브하우징(14)의 압력실(200)에 도달하여 대기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4)의 내주면 일정부위에는 안착턱(14-1)을 구비하여 다이어프램(22)을 다이어프램지지체(21)의 결합공(22-1)에 삽입 후 안착턱(14-1)에 안착시킨다.
또한, 유출구(17)와 유입안내공(11-1) 사이에는 유출공(16)을 구비하여 유입안내공(11-1)을 통과한 물을 상기 개폐밸브(23) 개폐 시 유출공(16)과 유출구(17)로 배출된다. 이때, 유출구(17)는 유출공(16)보다 약간 큰 구경으로 구성하여 원활한 배출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몸체(13)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나사산(13-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3)와 몸체캡(35)의 내측에는 개폐부재(20)와 가압부재(30)를 게재하고 고정수단으로는 몸체캡(35)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캡(35)의 일측단부 외주면으로는 나사산(35-1)을 구비하여 몸체 타단부 내주면 나사산(12-1)과 몸체캡 외주면 나사산(35-1)을 결합하여 소변기 세척장치의 몸체(13)의 결합을 완성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0)는 결합공(21-1)을 구비한 다이어프램지지체(21)와 다이어프램(22) 및 개폐밸브(23)를 포함한 밸브하우징캡(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지지체(21)는 밸브하우징(14)의 내주면 안착턱(14-1)에 다이어프램(22)을 지지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캡(24)의 개폐유로(25)에 개폐밸브(23)를 밸브하우징캡(2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하고 밸브하우징(14)의 안착턱(14-1)에 삽입된 다이어프램(22)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밸브하우징(14)의 내측으로 밸브하우징캡(24)을 삽입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는 개폐부재(20)의 개폐밸브(23)를 가압하기 위하여 개폐밸브가압봉(31)과 밀결패킹(34) 및 레버(36)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23) 개폐 시 사용자가 레버(36)를 밀거나 누르게되면 개폐밸브(23)는 밸브하우징(14)의 압력실(200)로 밀려나고 이때, 압력실(200)의 수압은 개폐유로(25)를 통해 소량의 물과 함께 압력배출실(300)로 배출됨과 동시에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물은 수압차에 의하여 다이어프램(22)은 유입공(11-1)을 열게되고 유입공(11-1)을 통과한 물은 유출공(16)을 지나 유출구(17)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유로(25)로 들어온 소량의 물은 밸브하우징캡 외주면의 제1유로(24-1)를 통과하여 유출공(16), 유출구(17)순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도3 내지 도4에 의하면 상기 유출구(17)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유량조절밸브시트(17-1)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구(17) 외주면에는 급수호스(44)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17-2)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호스(44)의 일측 단부의 체결너트(43) 내측으로는 상기 급수호스(44)를 결합하기 위하여 통공의 프러그(45)가 구비되고 프러그(45)는 급수호스(44)와 결합되어 체결너트(43) 내측으로 돌출된다. 돌출 형성된 상기 프러그(45)에 탄성소재의 유량조절밸브(41)를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급수호스너트(43)를 유출구(17)에 체결하여 조금씩 조이면 유량조절밸브(41)는 유출구 상단부 내주면의 유량조절밸브시트(17-1)에 근접하게 되며 그 간격에 따라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유량조절밸브(41)에는 유출안내공(41-1)을 구비한다. 이때, 탄성소재로 된 유량조절밸브(41)의 외주면이 유출구(17) 내주면에 억지끼움으로 기밀을 유지한다.
제 2실시예
상기 유량조절밸브(41)와 별도로 원뿔(42-2)이 하향돌출되고 유출안내공(42-1)을 형성한 유량조절밸브(42)를 구비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42)는 유출구 상단 내주면 나사산(17-3)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42) 외주면에 나사산(42-3)을 구비하여 유출구(17)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유출구 상단부 내주면 나사산(17-3)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급수호스 체결너트(43)를 유출구 외주면 나사산(17-2)에 체결하여 조금씩 조이면 상기 유량조절밸브(42)의 원뿔형상(42-2)과 상기 프러그(45) 사이의 간격에 따라 유량이 조절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의 유입구(11)와 유입안내공(11-1)을 통과한 물은 압력실(200)에서 대기상태에 있다. 이때, 가압부재(30)의 레버(36)를 밀게되면 밸브가압봉(31)의 경사면(31-2)은 순간적으로 개폐밸브(23)의 일측단부를 상향 이동 시키면서 일차감압한 후 개폐밸브(23)를 압력실(200) 내측으로 밀게되며 동시에 압력실(200)의 압력이 낮아지며 수압차에 의하여 유입구(11)에서 입수된 물은 유입안내공(11-1)를 통과하여 유출공(16) 유출구(17)로 배출되며 또한, 압력실(200) 내의 소량의 물은 밸브하우징캡(24)의 개폐유로(25)로 통과하여 밸브하우징캡(24)의 제1유로(24-1)를 통하여 유출공(16) 유출구(17) 순으로 배출되며 이때, 급수호스(44)의 체결너트(43)를 조금씩 조이면서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개폐밸브가압봉(23)은 일측단부에 수평돌기(31-1)와 경사면(31-2)을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결합돌기(33)를 구비하여 밀결패킹(34)의 가운데로 억지끼움하고 몸체캡(35)의 결합안내공(35-2)을 관통하여 레버(36)의 결합공(36-1)에 끼워 결합한다. 또한, 레버(36)를 누르게되면 개폐밸브가압봉(31)의 수평돌기(31-1)가 개폐밸브(23)의 일측단부를 상향이동시켜 개폐유로(25)를 열게되고 개폐유로(25)의 틈새로 압력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한 순서에 의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한 실시예만 기술하였으며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의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모든 변형물 및 수정,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11. 유입구 22. 다이어프램 31. 개폐밸브가압봉
13. 몸체 23. 개폐밸브 31-1. 수평돌기
14. 밸브하우징 24. 밸브하우징캡 31-2. 경사면
15. 제1공간 24-1. 제1유로 34. 밀결패킹
15-1. 제2공간 25. 개폐유로 35. 몸체캡
17. 유출구 200. 압력실 36. 레버
17-1. 유량조절밸브시트 300. 압력배출실
41,42. 유량조절밸브
41-1,41-2. 유출안내공
43. 급수호스체결너트
44. 급수호스
45. 프러그

Claims (6)

  1. 밸브몸체(13)와 밸브하우징(14) 사이는 이격되게 제1공간(15)과 제2공간(15-1)을 두어 밸브하우징(14)이 외부공기와 직접접촉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며, 유입구(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밸브하우징(14)과 다이어프램(22), 개폐밸브(34), 밸브하우징캡(24)으로 구성되며,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세척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부재(20)와 상기 개폐부재(20)의 개폐밸브(23)을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폐밸브가압봉(31)과 상기 개폐밸브가압봉(31)과 결합되고 밀결유지를 위한 밀결패킹(34)과 레버(36)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재(10)와 개폐부재(2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의 몸체캡(35)을 구비한 가압부재(30)와 상기 밸브몸체(13) 하단부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형성된 유출구(17) 내측으로 구비된 각각의 유량조절밸브(41,42)와 급수호스(44)의 체결너트(43)를 조임으로써 유량조절이 실행되는 유량조절부재(40)로 구성된 특징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3)는 동파방지를 위하여 밸브하우징(14)과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성되며 유입구(11), 유입공(16), 유출구(17)로 형성된 소변기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의 개폐밸브가압봉(31)은 개폐밸브(23)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평돌기(31-1)와 경사면(31-2)을 구비한 특징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캡(24)은 다이어프램(22)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하향 돌출된 일단부의 오목홈부(24-2)와 타단부 외주면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유로(24-1)를 구비한 특징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재(40)의 유량조절밸브(41)는 "T"자 형상의 유출안내공(41-1)을 구비한 특징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재(40) 제 2실시예의 유량조절밸브(42)는 원뿔(42-2)이 하향되고, 유출구(17) 상단부 내측 나사산(17-3)과의 체결수단으로 원뿔(42-2) 형상의 외주면에 나사산(42-3)과 유출안내공(42-1)을 구비한 특징을 가진 소변기 세척장치.
KR1020100088886A 2010-09-10 2010-09-10 소변기 세척장치 KR10119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886A KR101193039B1 (ko) 2010-09-10 2010-09-10 소변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886A KR101193039B1 (ko) 2010-09-10 2010-09-10 소변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773A true KR20120026773A (ko) 2012-03-20
KR101193039B1 KR101193039B1 (ko) 2012-10-22

Family

ID=4613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886A KR101193039B1 (ko) 2010-09-10 2010-09-10 소변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261A (zh) * 2014-09-11 2016-03-30 中山市雅西环保科技有限公司 流量控制装置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72Y1 (ko) 2001-12-05 2002-04-11 최건일 변기용 후레쉬 밸브
US20100031431A1 (en) 2006-11-30 2010-02-11 Auto-Flush Co., Ltd. Direct flushing type auto-flushing device for toil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261A (zh) * 2014-09-11 2016-03-30 中山市雅西环保科技有限公司 流量控制装置的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039B1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90B1 (ko)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US8251090B2 (en) Faucet having a pressure release function
WO2006066366A3 (en) Water trap for sanitary appliances
KR101645821B1 (ko) 샤워기 헤드
US20240117893A1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TWI708638B (zh) 噴灑頭及噴灑裝置
KR101455358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193039B1 (ko) 소변기 세척장치
CA2400135A1 (en) Bypass orifice and filter for diaphragm type flush valve
PT1600138E (pt) Boca de descarga
CN205006764U (zh) 发泡给皂泵及应用其的发泡给皂器
KR101479163B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스프링식 배출장치
CA2483048A1 (en) Pinch valve element for plumbing fixture flush valve
US9783437B2 (en) Ozone faucet switching structure
CN203730777U (zh) 按压式阀体结构及使用该阀体的妇洗器
KR101273399B1 (ko) 수전용 절수기
KR200448807Y1 (ko) 막힘 소통용 압축기
CN210423874U (zh) 即关即停出水装置、龙头和淋浴器
KR101039164B1 (ko) 분리형 자동수도꼭지
CN109707010A (zh) 踩踏式节水淋浴装置
KR20150090809A (ko) 저압용 낙수 방지기
US4273292A (en) Self-closing shower head
KR100739854B1 (ko) 감압형 물분사기
KR101273400B1 (ko) 수전과 절수기 연결용 커넥터
ATE380960T1 (de) Verbesserungen an den hähnen, die an manueller direkter bedienung verzögert s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