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512A - 난균류 방제제 - Google Patents

난균류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512A
KR20120026512A KR1020117028177A KR20117028177A KR20120026512A KR 20120026512 A KR20120026512 A KR 20120026512A KR 1020117028177 A KR1020117028177 A KR 1020117028177A KR 20117028177 A KR20117028177 A KR 20117028177A KR 20120026512 A KR20120026512 A KR 2012002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s
plant
unsubstituted
mono
phytophtho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아르놀트
악셀 타이헤르트
사비네 로사흘
베른하르트 베스테르만
루드거 아. 베쓰요한
렌나르트 에쉔-립폴트
토비아스 드라에거
Original Assignee
라이브니츠-인스티튜트 퓌르 플란첸바이오케미 (이페베)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니츠-인스티튜트 퓌르 플란첸바이오케미 (이페베),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라이브니츠-인스티튜트 퓌르 플란첸바이오케미 (이페베)
Publication of KR2012002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within the same carbon skeleton a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arbon atom having only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m+n>=1, both X together may also mean —Y— or a direct carbon-to-carbon bond, and the carbon atoms marked with an asterisk are not part of any ring system other than that which may be formed by the atoms X, the carbon atoms in square brackets being part of any acyclic or cyclic structure, or the group, wherein A means a carbon atom or Y, n>=0, and not more than one of these carbon atoms being a member of the same ring system, e.g. juvenile insect hormones or mimic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균류 방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및 이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병원균을 퇴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균류 방제제 {ANTI-OOMYCETES}
본 발명은 난균류 방제제 (antioomycotic)로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및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 식물 병원균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진균류 (펀지 (Fungi))에 속하지 않는 난균류 (oomycetes) 또는 페로노스포로미세테스 (Peronosporomycetes) (오오미코타 (Oomycota) 또는 오오미세테스 (Oomycetes)로서 공식적으로 지칭됨)의 강은 부생성 (saprophytic) 및 병원성 종의 다양한 군을 포함한다. 후자는 동물 또는 미생물을 감염시키는 종 뿐만 아니라, 식물 병원균을 파괴하는 종을 포함한다. 중요한 식물 병원균은 알부고 (Albugo), 브레미아 (Bremia), 플라스모파라 (Plasmopara), 페로노스포라 (Peronospora) 및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속에서 발견된다. 이들 절대-병원성 종 (obligate-pathogenic species)은 예를 들면, 상이한 식물의 범위에서 백색녹병 또는 노균병과 같은 질환을 야기한다. 피토프토라 속 내에, 주로 쌍떡잎 식물을 감염시키는 60개 초과의 상이한 종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중 많은 종이 특정 숙주 또는 몇몇 숙주에 고도로 순응하는 반면, 다른 종은 많은 상이한 식물을 점령할 수 있다.
토마토역병 또는 감자역병의 원인 유기체인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는 세계적으로 가장 파괴적인 식물 병원균으로 간주된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생활 주기가 단지 며칠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감염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총 수확량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살진균제는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다른 난균류에 대해 효과가 없다. 그에 대한 이유는 페로노스포로미세테스에서의 많은 살진균제의 활성을 위한 전형적인 진균성 표적 구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 병원균, 특히 페로노스포로미세테스에 대한 신규한 효과적인 작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에 특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난균류 방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및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 식물 병원균의 방제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대상은 난균류 방제제로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H, OR1, SR1, NR1R2, N(OR1)(R2), N(R1)-NR1NR2 또는 N(R1R2R3)+A-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R1, O-Cat+ 또는 NR1R2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O, S, NR1, NOR1, N-CN 또는 N-NR1R2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킬 라디칼,
(i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케닐 라디칼,
(ii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키닐 라디칼,
(iv)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H2)m-스페르민 라디칼,
(v)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H2)m-스페르미딘 라디칼,
(v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N-메틸화-(CH2)m-스페르민(미딘) 라디칼 (여기서 m은 각 경우에 1 내지 4의 정수이고, 상기 언급된 라디칼 (i) 내지 (vi)의 하나 또는 다수의 치환기는 (C1-C6)-알킬 라디칼, (C1-C6)-티오알킬 라디칼, 예를 들면, O 또는 S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3-C7)-시클로알킬 라디칼, (C1-C6)-알콕시 라디칼, 히드록실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아졸기, 브롬, 염소, 불소,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이치환된 페닐, 페녹시, 벤질, 벤질옥시, 나프틸 또는 나프톡시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 α 중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 및
(vii) n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n이 1 내지 5인
Figure pct00003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옥시기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은 수소, (C1-C6)-아실 라디칼, -CONH2, -(CO)-(CH2)0-6-COOH, 락틸 라디칼, (C1-C6)-알킬 라디칼, 예를 들면, O 또는 S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3-C7)-시클로알킬 라디칼,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이치환된 페닐, 벤질 또는 나프틸 라디칼 (이들의 치환기는 군 α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음) 중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는 할라이드, 클로레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Cat+는 양이온, 특히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양이온 (Na+, K+),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Ca2 +, Mg2 +) 또는 4차 암모늄 양이온과 같은 1가 또는 2가 양이온을 나타내고,
C5에서의 입체이성질체 중심은, 존재한다면, R 또는 S 형태 또는 라세미체로서 존재하고,
C2-C3 이중 결합은 E 또는 Z 형태, 바람직하게는 E 형태 (트랜스)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유효량의 상기에 규정된 화합물 중의 하나 또는 그의 염을 식물, 식물의 일부분 또는 식물이 성장하는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방적으로 및 치유적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표현 "식물 병원균"은 모든 식물 병원성 진균류, 원생생물,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식물 병원균은 진균류 (펀지)이다. 본원에서 특히 바람직한 식물 병원균은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 (Colletotrichum coccodes), 콜레토트리쿰 그라미니콜라 (Colletotrichum graminicola),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Fusarium graminearum), 블루메리아 그라미니스 (Blumeria graminis),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Magnaporthe grisea), 유스틸라고 마이디스 (Ustilago maydis), 알터나리아 솔라니 (Alternaria solani), 클라도스포리움 풀붐 (Cladosporium fulvum), 코칠리오볼루스 헤테로스트로푸스 (Cochliobolus heterostrophus), 피레노포라 트리티시-레펜티스 (Pyrenophora tritici-repentis), 베르티실리움 알보-아트룸 (Verticillium albo-atrum) 및 베르티실리움 다흘리애 (Verticillium dahliae)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식물 병원균은 난균류 (페로노스포로미세테스, 오오미코타 또는 오오미세테스로서 공식적으로 지칭됨)이다. 알부고, 브레미아, 플라스모파라, 페로노스포라 및 피토프토라 속으로부터의 난균류가 본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페로노스포라 속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한 식물 병원균은 페로노스포라 만슈리카 (Peronospora manshurica)이다. 피토프토라 속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한 식물 병원균은 피토프토라 소자에 (Phytophthora sojae), 피토프토라 팔미보라 (Phytophthora palmivora), 피토프토라 라모룸 (Phytophthora ramorum), 피토프토라 신나모미 (Phytophthora cinnamomi), 피토프토라 캅시시 (Phytophthora capsici) 및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이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가 본원에서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보호되거나 또는 처리되는 식물은 파바세아에 (Fabaceae), 특히 글리신 막스 (Glycine max); 쿠쿠르피타세아에 (Cucurbitaceae), 특히 쿠쿠르비타 (Cucurbita) 종, 예컨대 쿠쿠르비타 페포 (Cucurbita pepo), 쿠쿠미스 (Cucumis) 종, 예컨대 쿠쿠미스 멜로 (Cucumis melo) 및 쿠쿠미스 사티부스 (Cucumis sativus), 및 시트룰루스 (Citrullus) 종, 예컨대 시트룰루스 라나투스 (Citrullus lanatus); 브라시카세아에 (Brassicaceae), 특히 브라시카 (Brassica) 종, 예컨대 브라시카 나푸스 (Brassica napus), 브라시카 올레라세아 (Brassica oleracea) 및 브라시카 라파 (Brassica rapa); 포아세아에 (Poaceae), 특히 트리티쿰 (Triticum) 종, 호르데움 (Hordeum) 종, 오리자 사티바 (Oryza sativa) 및 제아 마이스 (Zea mays); 솔라나세아에 (Solanaceae), 특히 니코티아나 (Nicotiana) 종, 예컨대 니코티아나 타바쿰 (Nicotiana tabacum), 캅시쿰 (Capsicum) 종, 예컨대 캅시쿰 안눔 (Capsicum annuum), 및 솔라눔 (Solanum) 종, 예컨대 솔라눔 투베로숨 (Solanum tuberosum), 솔라눔 리코페르시쿰 (Solanum lycopersicum) 및 솔라눔 멜론게나 (Solanum melongena); 비티스 (Vitis) 종, 예컨대 비티스 비니페라 (Vitis vinifera); 베타 불가리스 (Beta vulgaris);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 (Theobroma cacao)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의 식물이다. 솔라눔 투베로숨이 본원에서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나무, 특히 코니페라에 (Coniferae), 특히 피나세아에 (Pinaceae), 및 장식용 식물, 특히 관상 식물을 보호하거나 또는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농도는 1 nM 내지 10 nM,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1 mM의 범위이다. 100 μM의 농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효량의 상기에 규정된 화합물 중의 하나 또는 그의 염을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분에 적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식물에 분무하거나, 미립화 분사하거나, 페인팅하거나 또는 침액 (dipp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담체와 배합된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혼합물 중에, 혼합물을 기준으로, 활성 화합물은 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직접적인 사용 또는 현장 적용을 위해, 담체와 배합된 혼합물은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유효량의 표면-활성 담체 애쥬번트 (adjuvant) 및 0.00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5 중량%의 양의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과 함께, 분산가능한 담체, 예컨대 분산가능한 불활성 미분 고체 담체 및/또는 분산가능한 액체 담체,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 및/또는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및 조성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고압 액체 주입, 슬릿 주입, 블라스트-공기 분무, 공기 분무 또는 분제 (dust)에 의해, 예를 들면 대량의 액체의 수압식 분무, 소량의 액체의 분무, 극미량 분무와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화학식 I에서,
X가 H, OR1, NR1R2, N(OR1)(Ra), N(R1)-NR1R2 또는 N(R1r2R3)+A-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R1 또는 O-Cat+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O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7-C12)-알킬 라디칼,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케닐 라디칼, -CH2[OCH2CH2]n-OH 또는 -CH2[OCH2CH2]n-OM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n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n이 1 내지 5이고,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아실 라디칼 또는 (C1-C6)-알킬 라디칼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C2-C3 이중 결합은 E 형태로 존재하는
난균류 방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라디칼 R이 (C3-C22)-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면, 1 내지 3개의 이중 결합이 바람직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중 결합은 E 또는 Z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군 α 중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올리고프레닐 라디칼이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게라닐, 네릴, 파르네실 및 게라닐게라닐이 예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난균류 방제제로서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 (화학식 II) 또는 그의 염, 특히 알칼리 금속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농업 및/또는 원예 기계용 소독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중의 하나 또는 그의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다음 도가 나타나져 있다:
도 1: 푸란으로부터 출발하는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의 합성. (a) 0℃에서 푸란, THF, n-BuLi (1.1 당량), 30분, 이후 -40℃에서 C12H25Br (1.0 당량), 상온으로 가온; (b) 1, NBS (1.1 당량), NAHCO3 (2.0 당량), 아세톤/H2O (10:1), -15℃, 1시간, 피리딘 (2.0 당량); (c) 2, NaClO2 (1.2 당량), Me2C=CHME (10 당량), t-BuOH, H2O, HCl, 상온에서 2시간; (d) 3, THF, NaOH (1.0 당량), 상온, 30분.
도 2: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의 발아는 (E)-4-옥소헥사데크-2-엔산에 의해 억제된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의 현탁액을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상이한 희석물로 처리하였다. (a) 내지 (f)는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상이한 농도 중의 포자의 대표적인 표현형을 나타낸다: (a) 2% EtOH, (b) 10 nM, (c) 100 nM, (d) 1 μM, (e) 3.7 μM, (f) 100 μM. 24시간 후 발아율을 계산하였다 (g). 도표는 2개의 독립적인 실험의 결합 데이타를 나타낸다 (**는 p < 0.01에서의 실질적인 차이를 표시함;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
도 3: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균사 성장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억제적 효과. 1일령 균사체에 상이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을 접종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성장을 GFP 형광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래프는 2개의 독립적인 실험의 결합 데이타를 나타낸다 (**는 p < 0.01에서의 실질적인 차이를 표시함; 일원배치 분산분석).
도 4: 만성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균사체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파괴적인 효과. 패트리디쉬에서 귀리/콩 아가 (agar) 상에서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를 21일 동안 성장시켰다. 이후,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액적 (10 μl)을 상이한 농도로 균사체에 피펫으로 옮겼다. 난균류 방제 활성은 GFP 형광의 손실로 입증된 바와 같이 균사체를 손상시켰다. 형광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균사체의 처리된 위치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E)-4-옥소헥사데크-2-엔산으로 처리한지 24시간 후 기록하였다. (a) 처리하지 않음, (b) 1 μM, (c) 10 μM, (d) 100 μM.
도 5: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 (4)를 식물에 분무하여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감염을 고도로 억제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유주자 (zoo spore) 용액을 접종하기 2시간 전에, 21일령 식물의 배축성 잎 표면에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를 분무하였다. (a) 처리된 잎의 표현형; (b) 감염 3일 후의 감염된 잎 물질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생물량의 측정. 사용된 대조군은 1000 μM의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를 분무한 감염되지 않은 샘플 및 분무되지 않은 감염된 샘플이었다 (**는 p < 0.01에서의 실질적인 차이를 표시함; 일원배치 분산분석).
도 6: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의 균사 성장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억제적 효과. 96-웰 플레이트에서 1일령 균사체에 상이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을 접종하였다.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의 성장은 OD590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실험을 2번 반복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험 완료시, 통계적 분석은 2% EtOH로의 처리 및 모든 시험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 으로의 처리 사이에서 매우 실질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p < 0.01; 일원배치 분산분석).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다.
물질 및 방법:
일반적인 양태. 모든 시약 및 용매는 분석용 등급이었거나 또는 표준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고온 현미경 (hotstage microscopy) (라이카 (Leica) DM LS2)을 사용하여 표준 방법을 통해 융점을 측정하고 보정하지 않았다. 실리카겔 60 F254 (머크 (Merck), 0.040-0.063 mm) 상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UV 광 또는 몰리브다토인산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용액을 40℃에서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리카겔 60 (머크, 0.063-0.200 mm) 상에서 수행하였다. 바리안 (VARIAN) 수은 분광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H (300 또는 400 MHz) 및 13C (75.5 또는 100.5 MHz) 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2-도데실푸란 및 (E)-4-옥소헥사데크-2-엔알의 경우, 화학적 이동은 내부 TMS (δ = 0 ppm, 1H) 또는 CDCl3 (δ = 77.0 ppm, 13C)을 기준으로 하였다. 중수소화 에탄올을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을 위한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내부 용매 메틸기 (δ = 1.11 ppm, 1H, 또는 δ = 17.2 ppm, 13C)의 신호를 기준으로 하였다. 터보 (turbo) 이온 소스를 갖는 API 150Ex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 (Applied Biosystems))로 양성 및 음성 ESI 및 APCI 질량 스펙트럼을 얻었다. 인피니티TM (InfinityTM) 셀, 7.0 테슬라 (Tesla) 초전도 자석 (브루커 (Bruker)), rf-온리 (rf-only) 헥사폴 이온 가이드 및 외부 전기분무 이온 소스 (애질런트 (Agilent))가 장착된 브루커 아펙스 (Bruker Apex) 70e FT-ICR 질량 분석계 (브루커 달토닉스 (Bruker Daltonics))로 고해상 양성 및 음성 ESI 질량 스펙트럼을 얻었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격리 집단 208m2을 귀리-콩 배지 (3.4 중량%의 콩 가루, 1.7 중량%의 귀리 가루, 0.85 중량%의 수크로스, 1.5 중량%의 박토-아가 (Bacto-Agar), 5 μg/ml의 게네티신) 상에서 성장시켰다. 시토플루오르 (Cytofluor) II 플레이트 판독기 (밀리포어 (Millipore); 여기 485 nm, 방사 530 nm)의 보조로 GFP-방출 광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라이카 MZ FLIII 형광 입체현미경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을 사용하여 GFP 형광 이미지를 기록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생물량을 측정하기 위해 MRX 플레이트 판독기 1.12 (다이나테크 레보라토리스 (Dynatech Laboratories))를 사용하였다. 기재된 바와 같이 정량적인 PCR을 수행하였다.
시약 및 용매. 통상적인 실험실 공급업체로부터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n-부틸리튬 (n-BuLi), 푸란, 수산화나트륨, HCl, 피리딘, N-브로모숙신이미드 (NBS), 2-메틸-2-부텐, NaClO2 및 도데실 브로마이드를 얻었다.
화합물의 합성
2-도데실푸란 (도 1, 1). 교반하면서, 0℃에서 THF (100 ml) 중의 푸란 (5.34 ml, 73.5 mmol)의 얼음-냉각 용액에 n-BuLi (27.3 ml, 헥산 중의 2.7 M, 73.5 mmol)를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0 내지 5℃에서 1시간 후, 용액을 -40℃로 냉각하고, 교반을 20분 동안 계속하였다. 이후, THF (20 ml) 중의 도데실 브로마이드 (17.6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이 되게 하고, 추가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 수용액 (20 ml)을 사용하여 반응을 퀀칭하고, EtOAc (2 x 50 ml)을 사용하여 용액을 2번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 DCM)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 1을 수득하였다 (13.8 g, 57.9 mmol, 80%). 1H NMR (300 MHz, CDCl3) δ 1H ppm: 0.88 (t, 3H, J = 6.7 Hz, H-16), 1.20 - 1.40 (m, 18H), 1.56 - 1.69 (m, 2H), 2.60 (t, 2H, J = 7.6 Hz, H-5), 5.96 (m, 1H, H-3), 6.26 (dd, 1H, J = 3.3, 1.9 Hz, H-1), 7.28 (dd, 1H, J = 1.7, 0.8 Hz, H-2); 13C NMR (75.5 MHz, CDCl3) δ 13C ppm: 14.2 (C-16), 22.8, 28.0, 28.1, 29.3, 29.4, 29.5, 29.6, 29.6, 29.7, 29.8, 32.0 (C-5), 104.4 (C-3), 109.9 (C-2), 140.5 (C-1), 156.5 (C-4); (+)-APCI-CID-MS: 237 [M+H]+.
(E)-4-옥소헥사데크-2-엔알 (도 1, 2). 아세톤/H2O (10:1, 2 ml) 중의 2-도데실푸란 (1.00 g, 4.24 mmol) 및 NaHCO3 (712 mg, 8.48 mmol)의 혼합물을 아세톤/H2O (10 ml) 중에 용해된 NBS (905 mg, 5.11 mmol)로 -20℃에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피리딘 (0.69 ml, 8.48 mmol)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상온이 되게 하고,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용액을 1 N HCl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 (642 mg, 2.55 mmol, 60%)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H ppm: 0.88 (t, 3H, J = 6.7 Hz, H-16), 1.19 - 1.36 (m, 18H), 1.59 - 1.71 (m, H-5), 2.69 (t, 2H, J = 7.8 Hz, H-5), 6.73 - 6.92 (m, 2H, H-2.3), 9.78 (d, CHO, J = 7.0 Hz, H-1); 13C NMR (75.5 MHz, CDCl3) δ 13C ppm: 14.2 (C-16), 22.8, 23.7, 29.2, 29.3, 29.4, 29.5, 29.5, 29.6, 29.7, 32.0, 41.3 (C-5), 137.2 (C-2), 144.8 (C-3), 193.2 (C-1), 199.9 (C-4); (-)-ESI-CID-MS: 251 [M-H]-; ESI-FT-ICR-MS: m/z 251.20137 (C16H27O2 -에 대한 계산치, m/z 251.20165).
(E)-4-옥소헥사데크-2-엔산 (도 1, 3). t-BuOH (20 ml) 중의 (E)-4-옥소헥사데크-2-엔알 (400 mg, 1.58 mmol) 및 2-메틸-2-부텐 (1.69 ml, 15.8 mmol)의 용액을, 둘 다 H2O (10 ml) 중에 용해된, NaH2PO4 (2.00 g, 16.7 mmol) 및 NaClO2 (181 mg, 순도 80%, 1.89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대부분의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EtOAc (50 ml) 및 NaCl 포화 용액 (10 ml)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1 N HCl을 적가하여 수성상을 pH 1로 산성화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흰색을 띤 황색 고체 (350 mg, 1.31 mmol, 83%)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융점 98 ± 0.5℃). 1H NMR (400 MHz, CD3CD2OD) δ 1H ppm: 0.87 (t, 3H, J = 7.0 Hz, H-16), 1.08 - 1.34 (m, 18H), 1.56 - 1.63 (m, 2H), 2.68 (t, 2H, J = 7.0 Hz, H-5), 6.65 (d, 1H, J = 16.2 Hz, H-2), 7.01 (d, 1H, J = 16.2 Hz, H-3); 13C NMR (100.5 MHz, CD3CD2OD) δ 13C ppm: 15.5 (C-16), 24.6, 25.7, 26.2, 31.0, 31.3, 31.4, 31.5, 31.6, 31.6, 33.9, 43.0 (C-5), 133.7 (C-2), 141.3 (C-3), 169.4 (C-1), 202.8 (C-4); (-)-ESI-CID-MS: m/z 267 [M-H]-, 535 [2M-H]-; (-)-ESI-CID-MS: m/z 269 [M-H]; ESI-FT-ICR-MS: m/z 267.19633 (C16H27O3 -에 대한 계산치, m/z 267.19633).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 (도 1, 4). THF (100 ml) 중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 (115 mg, 0.43 mmol)의 용액을 H2O (5 ml) 중에 용해된 NaOH (17.1 mg, 0.43 mmol)로 처리하였다. 30분 후, pH를 측정하고 NaOH를 사용하여 7.5가 되게 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백색 분말 (118 mg, 0.41 mmol, 95%)을 수득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배양 조건.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실험을 위해 GFP 구조를 갖는 격리 집단 208m2을 사용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를 18℃에서 귀리-콩 배지 상에서 11일 동안 암흑에서 성장시켜 유주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10 mL의 탈이온수를 균사체에 붓고, 4℃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여 유주자가 방출되도록 하였고, 이후 액체를 거즈 층을 통해 여과하여 균사체 및 포자낭의 조각을 제거하였다. 용액을 1 x 105 포자/ml로 조절하였다. 11일 동안 성장한 균사체에 10 mL의 탈이온수를 붓고, 즉시 강하게 진탕하여 포자낭병 (sporangiophore)으로부터 포자낭을 파괴하고, 용액을 1 x 104 포자낭/ml으로 조절하여, 포자낭 용액을 제조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생물검정 및 감염 실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유주자 용액을 이용한 포자 발아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96% 농도 에탄올 중에 용해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희석 시리즈를 사용하였다. 포자 용액 중의 최종 농도는 10 nM 내지 100 μM이었고, 각 경우에 2% (v/v) 96% EtOH이었다. 단지 2% (v/v) 96% EtOH만을 이용한 대조군 처리도 또한 수행하였다. 처리 후, 포자를 4℃에서 밤새 유지시켜 발아되도록 하였다. 광 현미경하에서 혈구계 중의 10 μl 액적의 5개의 중첩되지 않은 영역의 사진에서 포자를 센 후, 발아한 포자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발아 관이 적어도 포자 직경만큼 길 경우 포자가 발아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시간에 따른 GFP 형광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균사 성장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귀리-콩 배지를 함유하는 24-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덴마크 소재의 눙크 (Nunc) A/S)에 100 μl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낭 용액을 접종하고 17℃에서 암흑에서 성장시켰다. 24시간 후, 다양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을 첨가하였다. 최종 농도 (100 μl의 포자낭 용액에 대한 계산치)의 범위는 10 nM 내지 1 mM 및 1% 에탄올이었다. GFP-방출 광 (여기 485 nm, 방사 530 nm)을 측정함으로써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성장을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균사체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직접적인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3주령 균사체에 다양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 (10 μl)을 적가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접종된 구역의 GFP 형광 이미지를 기록하였다.
감자 식물 (솔라눔 투베로숨 엘. 시브이. 데시레 (Solanum tuberosum L. cv. Desiree)을 기재된 바와 같이 성장시켰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유주자 용액을 접종하기 전에, 물 중에 용해된 다양한 농도의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를 배축성 잎 표면에서 흘러내릴 때까지 식물에 분무하였다. 2시간 후, 분무된 잎이 건조되었을 때,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를 배축성 잎 표면에 접종하였다 (잎 당 6개의 10 μl 액적; 1 x 105 포자/ml; 식물 당 2개의 잎). 이후, 접종된 잎을 플라스틱 봉지로 덮어 포자 발아를 위해 100%의 상대적인 대기 습도를 유지하였다. 3일 후, 코르크 펀치를 사용하여 접종 부위를 잘라내고, 특정 잎의 모든 잎 디스크를 합하여 하나의 샘플을 수득하였다.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정량적인 PCR로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생물량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 생물검정.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 (CBS369.75)를 회전식 진탕기에서 18℃에서 암흑에서 50 mL의 액체 대두 배지 중에서 5일 동안 성장시켰다. 포자를 격리시키기 위해, 모든 배양물을 2100 g 및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포자를 함유하고 있는 상등액을 재원심분리하였다 (10분, 6500 g, 4℃). 상등액을 경사 분리한 후, 펠렛화한 포자를 탈이온수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하고, 최종적으로 포자 농도를 대두 배지 중에서 1 x 105 포자/ml로 조절하였다. 생물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200 μl의 상기 포자 용액을 96-웰 플레이트 (덴마크 소재의 눙크 A/S)의 각각의 웰로 피펫으로 옮겼다. 배양기에서 17℃에서 암흑에서 24시간 동안 플레이트를 배양하여 발아되도록 하였다. 이후,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시험 농도를 0.01 μM 내지 100 μM 및 2% (v/v) 에탄올의 최종 농도로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피펫으로 옮겼다. 플레이트를 배양기로 다시 넣고 매일 OD590 측정에 의해 진균성 생물량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E)-4- 옥소헥사데크 -2- 엔산의 합성
생활성이 높은 불포화 지방산의 빠르고 효과적인 3단계 합성을 개발하였다 (도 1). (E)-4-옥소헥사데크-2-엔산 (3)의 합성은 n-부틸리튬으로의 탈양성자화를 통해 푸란의 간단한 2-알킬화로 출발하였고, 도데실 브로마이드와의 반응으로 2-도데실푸란 (1)을 얻었다. NaHCO3 및 NBS의 존재하에 알킬푸란의 산화적 개환을 수행하여 (E)-4-옥소헥사데크-2-엔알 (2)을 생성하였다. 마지막 단계는 2-메틸-2-부텐의 존재하에 NaClO2을 사용하여 알데히드 2를 산화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염소 라디칼 스캐빈저로서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 (3) 및 1 N HCl (pH = 1)을 수득하였다. 3단계 방법의 총 수득률은 35%이었다. 물 중의 화합물 3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식물에 분무하는 것이 NaOH과의 나트륨 염을 정량적으로 형성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하였다.
실시예 2: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발아 검정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포자 발아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 (도 1, 화합물 3)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제조한 포자 용액에서 화합물을 다양한 농도로 조절하고, 24시간 후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도 2). 발아는 심지어 매우 낮은 농도 (10 nM)에서 감소하였고, 100 nM의 농도에서 에탄올 대조군에 비해 50%를 초과하게 감소하였다. 1 μM에서 포자의 10% 미만이 발아하였고, 발아가 3.7 μM에서 완전히 멈췄다. (E)-4-옥소헥사데크-2-엔산 농도의 증가는 또한 발아 관의 길이에 영향을 미쳤다 (도 2a 내지 f). 또한, 100 μM의 농도에서 포자 분해가 관찰되었다 (도 2f).
실시예 3: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균사 성장
GFP-발현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균사 성장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억제적 효과를 생물검정으로 연구하였다. 다중웰 플레이트에서 성장하는 균사체에 다양한 농도를 적용하였다. 균사 성장을 측정하기 위해 플레이트 판독기로 GFP 형광을 기록하였다. 도 3은 고농도(1 mM)에서 성장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성숙 균사체에 대한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효과를 또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가 플레이트에서 성장하는 3주령 균사체에 시험 용액을 적가하였다. 또한, 도 4는 보다 낮은 농도가 균사 생존도에 대해 명백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전처리된 식물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로의 감염
또한,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 (도 1, 화합물 4)로의 감자 식물의 전처리가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감염에 대해 억제적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유주자 용액을 접종하기 2시간 전에, 피토-챔버 (phyto-chamber)에서 성장한 식물에 물 중에 용해된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를 분무하였다. 접종 3일 후, 정량적인 PCR을 통한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DNA의 검출을 기초하여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성장을 측정하였다. 도 5는 10 μM 및 100 μM의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로의 식물의 전처리가,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식물에 비해,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감염을 각각 80% 및 95% 억제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매우 고농도의 1000 μM 나트륨 (E)-4-옥소헥사데크-2-에노에이트로의 처리는 잎에 대해 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5: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의 균사 성장에 대한 (E)-4- 옥소헥사데크 -2-엔 의 효과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이 또한 자낭균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 특히, 감자의 흑점병의 원인 유기체에 대한 억제적 효과가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다중웰 생물검정을 설정하였다. 광학 밀도 (OD590)의 측정을 기초로 하여 액체 배지에서의 진균의 성장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콩을 함유하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1일령 균사체를 다양한 농도의 (E)-4-옥소헥사데크-2-엔산과 함께 접종하고,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의 성장을 2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지어 보다 낮은 농도 (0.01 μM)가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의 성장에 대해 실질적인 억제적 효과가 있었다. 농도의 증가는 진균성 성장을 훨씬 더 감소시켰다. (E)-4-옥소헥사데크-2-엔산의 1 μM 용액은 에탄올 대조군에 비해, 성장을 절반을 초과하게 억제하였다. 100 μM은 완전히 억제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소정 화합물의 포자 발아 검정 데이타 :
Figure pct00005

Claims (16)

  1. 난균류 방제제 (antioomycotic)로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화학식 I>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X는 H, OR1, SR1, NR1R2, N(OR1)(R2), N(R1)-NR1NR2 또는 N(R1R2R3)+A-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R1, O-Cat+ 또는 NR1R2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O, S, NR1, NOR1, N-CN 또는 N-NR1R2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킬 라디칼,
    (i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케닐 라디칼,
    (ii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키닐 라디칼,
    (iv)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H2)m-스페르민 라디칼,
    (v)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H2)m-스페르미딘 라디칼,
    (vi)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N-메틸화-(CH2)m-스페르민(미딘) 라디칼 (여기서 m은 각 경우에 1 내지 4의 정수이고, 상기 언급된 라디칼 (i) 내지 (vi)의 하나 또는 다수의 치환기는 (C1-C6)-알킬 라디칼, (C1-C6)-티오알킬 라디칼, 예를 들면, O 또는 S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3-C7)-시클로알킬 라디칼, (C1-C6)-알콕시 라디칼, 히드록실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아졸기, 브롬, 염소, 불소,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이치환된 페닐, 페녹시, 벤질, 벤질옥시, 나프틸 또는 나프톡시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 α 중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 및
    (vii) n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n이 1 내지 5인
    Figure pct00007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옥시기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은 수소, (C1-C6)-아실 라디칼, -CONH2, -(CO)-(CH2)0-6-COOH, 락틸 라디칼, (C1-C6)-알킬 라디칼, 예를 들면, O 또는 S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3-C7)-시클로알킬 라디칼,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이치환된 페닐, 벤질 또는 나프틸 라디칼 (이들의 치환기는 군 α 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음) 중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는 할라이드, 클로레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Cat+는 1가 또는 2가 양이온을 나타내고,
    C5에서의 입체이성질체 중심은, 존재한다면, R 또는 S 형태 또는 라세미체로서 존재하고,
    C2-C3 이중 결합은 E 또는 Z 형태로 존재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X가 H, OR1, NR1R2, N(OR1)(R2), N(R1)-NR1R2 또는 N(R1R2R3)+A-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Y가 OR1 또는 O-Cat+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Z가 O으로부터 선택되고,
    R이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7-C12)-알킬 라디칼,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중치환된 (C3-C22)-알케닐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아실 라디칼 또는 (C1-C6)-알킬 라디칼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C2-C3 이중 결합은 E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가 OR1을 나타내고, R1이 수소, (C1-C6)-아실 라디칼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것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이 (C3-C22)-알킬 라디칼, (C3-C22)-알케닐 라디칼, -CH2[OCH2CH2]n-OH 또는 -CH2[OCH2CH2]n-OMe을 나타내고, 여기서 n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n이 1 내지 5인 것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이 게라닐, 네릴, 파르네실 및 게라닐게라닐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리고프레닐 라디칼을 나타내는 것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E)-4-옥소헥사데크-2-엔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인 용도.
  7.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물, 식물의 일부분 또는 식물이 성장하는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의 방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진균류 (펀지 (Fungi)) 및 난균류 (oomycetes) (페로노스포로미세테스 (Peronosporomycete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진균류이고 또한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 (Colletotrichum coccodes), 콜레토트리쿰 그라미니콜라 (Colletotrichum graminicola),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Fusarium graminearum), 블루메리아 그라미니스 (Blumeria graminis),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Magnaporthe grisea), 유스틸라고 마이디스 (Ustilago maydis), 알터나리아 솔라니 (Alternaria solani), 클라도스포리움 풀붐 (Cladosporium fulvum), 코칠리오볼루스 헤테로스트로푸스 (Cochliobolus heterostrophus), 피레노포라 트리티시-레펜티스 (Pyrenophora tritici-repentis), 베르티실리움 알보-아트룸 (Verticillium albo-atrum) 및 베르티실리움 다흘리애 (Verticillium dahlia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난균류이고 또한 알부고 (Albugo), 브레미아 (Bremia), 플라스모파라 (Plasmopara), 페로노스포라 (Peronospora) 및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속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페로노스포라 만슈리카 (Peronospora manshurica)인 것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피토프토라 속에 속하고 또한 피토프토라 소자에 (Phytophthora sojae), 피토프토라 팔미보라 (Phytophthora palmivora), 피토프토라 라모룸 (Phytophthora ramorum), 피토프토라 신나모미 (Phytophthora cinnamomi), 피토프토라 캅시시 (Phytophthora capsici) 및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균이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인 것인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파바세아에 (Fabaceae), 특히 글리신 막스 (Glycine max); 쿠쿠르피타세아에 (Cucurbitaceae), 특히 쿠쿠르비타 (Cucurbita) 종, 예컨대 쿠쿠르비타 페포 (Cucurbita pepo), 쿠쿠미스 (Cucumis) 종, 예컨대 쿠쿠미스 멜로 (Cucumis melo) 및 쿠쿠미스 사티부스 (Cucumis sativus), 및 시트룰루스 (Citrullus) 종, 예컨대 시트룰루스 라나투스 (Citrullus lanatus); 브라시카세아에 (Brassicaceae), 특히 브라시카 (Brassica) 종, 예컨대 브라시카 나푸스 (Brassica napus), 브라시카 올레라세아 (Brassica oleracea) 및 브라시카 라파 (Brassica rapa); 포아세아에 (Poaceae), 특히 트리티쿰 (Triticum) 종, 호르데움 (Hordeum) 종, 오리자 사티바 (Oryza sativa) 및 제아 마이스 (Zea mays); 솔라나세아에 (Solanaceae), 특히 니코티아나 (Nicotiana) 종, 예컨대 니코티아나 타바쿰 (Nicotiana tabacum), 캅시쿰 (Capsicum) 종, 예컨대 캅시쿰 안눔 (Capsicum annuum), 및 솔라눔 (Solanum) 종, 예컨대 솔라눔 투베로숨 (Solanum tuberosum), 솔라눔 리코페르시쿰 (Solanum lycopersicum) 및 솔라눔 멜론게나 (Solanum melongena); 비티스 (Vitis) 종, 예컨대 비티스 비니페라 (Vitis vinifera); 베타 불가리스 (Beta vulgaris);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 (Theobroma cacao)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식물이 솔라눔 투베로숨인 것인 방법.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1 nM 내지 10 mM인 것인 방법.
KR1020117028177A 2009-05-26 2010-05-26 난균류 방제제 KR20120026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2619A DE102009022619B4 (de) 2009-05-26 2009-05-26 Antioomycotica
DE102009022619.2 2009-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512A true KR20120026512A (ko) 2012-03-19

Family

ID=4306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177A KR20120026512A (ko) 2009-05-26 2010-05-26 난균류 방제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648115B2 (ko)
EP (1) EP2434878B1 (ko)
JP (1) JP2012528094A (ko)
KR (1) KR20120026512A (ko)
CN (1) CN102448296A (ko)
AU (1) AU2010252297A1 (ko)
BR (1) BRPI1007690A8 (ko)
CA (1) CA2761433A1 (ko)
CL (1) CL2011002978A1 (ko)
CR (1) CR20110598A (ko)
DE (1) DE102009022619B4 (ko)
EA (1) EA201101652A1 (ko)
MX (1) MX2011012511A (ko)
WO (1) WO2010136185A2 (ko)
ZA (1) ZA201109420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14499A (en) * 1999-01-20 2000-08-07 Firma Darinphos Ag Phytosanitary product for crop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22619A1 (de) 2010-12-16
EP2434878A2 (de) 2012-04-04
JP2012528094A (ja) 2012-11-12
MX2011012511A (es) 2012-02-28
EA201101652A1 (ru) 2012-07-30
CN102448296A (zh) 2012-05-09
BRPI1007690A2 (pt) 2015-09-01
CA2761433A1 (en) 2010-12-02
ZA201109420B (en) 2013-02-27
WO2010136185A3 (de) 2011-03-10
EP2434878B1 (de) 2014-01-08
US20120129938A1 (en) 2012-05-24
BRPI1007690A8 (pt) 2016-08-16
CL2011002978A1 (es) 2012-04-20
CR20110598A (es) 2012-04-17
AU2010252297A1 (en) 2011-12-22
US8648115B2 (en) 2014-02-11
DE102009022619B4 (de) 2012-04-05
WO2010136185A2 (de)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hen et al. Mechanisms of induced resistance in lettuce against Bremia lactucae by DL-β-amino-butyric acid (BABA)
JP6867370B2 (ja) トリアゾール誘導体、その中間体および殺真菌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JP6811000B2 (ja) フェノキシハロゲンフェニルアミジン類及び殺菌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García-Pajón et al. Secondary metabolites isolated from Colletotrichum species
Singh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venenatine, an indole alkaloid isolated from Alstonia venenata
JP2013521227A5 (ko)
CN111511211A (zh) 用于控制植物病原体的化合物
EP1849361A1 (en) Biological control of weeds using the metabolites of alternaria alternata
JP6397482B2 (ja) 新規トリアゾール誘導体
Mondal et al. Fungal metabolites from Aspergillus niger AN27 related to plant growth promotion
Shigetomi et al. Asymmetric total synthesis of 6-tuliposide B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tulip pathogenic fungi
JP4165714B2 (ja) 作物抗真菌剤として使用されるソルダリンおよびその誘導体
Rieger et al. Caripyrin, a new inhibitor of infection-related morphogenesis in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US20160115145A1 (en) Roseobacticides and uses thereof
KR20120026512A (ko) 난균류 방제제
JP2012532156A (ja) フェニル(オキシ/チオ)アルカノール誘導体
KR100832745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레조시놀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육두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WO2022196649A1 (ja) 植物抵抗性の誘導方法、植物抵抗性誘導剤及びバイオスティミュラント
JP2004051485A (ja) ケイ皮酸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農業用抗菌・殺菌剤
Kebe et al. Gilles-Alex Pakora, Joseph Mpika, Daouda Kone, Michel Ducamp, Ismael
KR20230001353A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로부터 유래된 살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KR100209291B1 (ko) 신규 피리미딜 옥심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살균제 조성물
KR100311196B1 (ko) 옥심기를 가교로 하는, 불소화 프로페닐기가 치환된 프로페노익 에스테르 및 아미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KR20140068625A (ko) Loeseneriella cambodian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JP2013082661A (ja) プラントアクティ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