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866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866A
KR20120025866A KR1020100088036A KR20100088036A KR20120025866A KR 20120025866 A KR20120025866 A KR 20120025866A KR 1020100088036 A KR1020100088036 A KR 1020100088036A KR 20100088036 A KR20100088036 A KR 20100088036A KR 20120025866 A KR20120025866 A KR 2012002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optical filter
layer
color correction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성
윤상혁
안창화
박종성
이기옥
오석
이형철
이승룡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8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866A/ko
Publication of KR2012002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8Filters employing polarising elements, e.g. Lyot or Sol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8Near infrared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근적외선 차단층; 및 네온 파장을 흡수하여 색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색 보정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3D OPTICAL FILTER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안경 착용 후의 휘도 저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기존의 2차원 평면 영상과는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영상과 유사하여 시각 정보의 질적 수준을 몇 차원 향상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영상으로, 최근 이러한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3차원의 입체감을 느끼는 원인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시차를 두고 사물을 인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인간의 두 눈은 약 65mm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서로 약간 다른 방향의 영상을 보게 되며, 이때 발생한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감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찰자의 양쪽 눈에 시차가 있는 영상을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입체영상표시장치들은 편광 안경 방식, 셔터 안경 방식, 무안경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셔터 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에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빠르게 교차 재생하고, 그와 동시에 동기 신호를 셔터 안경으로 전송하여,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안경의 좌우 렌즈를 화면과 같이 빠른 속도로 여닫음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여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셔터 안경 방식은 편광 안경 방식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에 고가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해상도 및 입체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패널이나 PDP 패널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셔터 안경 방식의 특성상 구동 속도가 빠른 PDP 패널이 LCD 패널보다 유리하다. LCD의 경우, 구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3D 구현시 어지러움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PDP 패널의 경우, 셔터 안경 착용시에 LCD에 비해 휘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PDP 필터의 광 투과율을 높여 휘도 저하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PDP 필터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경우, 콘트라스트비가 떨어진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DP 필터에 콘트라스트비를 개선하기 위한 CRF 필름(Contrast Reinforcement Film)을 장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안들의 경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CRF 필름은 고가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할 경우 생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셔터 안경 착용시의 휘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판; 네온 파장을 흡수하여 색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색 보정층;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근적외선 차단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편광판은 반사형 편광판 또는 투과형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색 보정층은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PSA 접착제 또는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 투과율이 50% 내지 8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 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 투과율은 70% 내지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색보정층과 근적외선 차단층은 별개의 층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나, 색 보정 기능과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SA 접착제에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 및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첨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보정 기능과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필터는, 상기 구성요소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전자파 차폐층, 기판 및 반사방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메쉬 필름 또는 도전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은 위상차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유리 기판으로는 비강화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무연신 TAC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사율이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위상차가 없는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교차 재생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송되는 동기 신호를 전송받아 안경으로 들어가는 빛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허용하고 차단하는 셔터 안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20% 내지 4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를 사용하면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는 근적외선 차단층과 색 보정층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켜 2D 화면 구현시에도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상의 구성요소의 크기, 치수 및 비율 등은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과장 또는 축소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3D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단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 투과율 증가로 인한 콘트라스트비 저하 문제도 발생하지 않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20), 색 보정층(50) 및 근적외선층(60)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반사 방지층(10), 전자파 차폐층(40) 및 기판(30)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은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순서대로 층들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반사방지층(10), 기판(30) 및 전자파 차폐층(40)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부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양이나 요구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의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1) 편광판(20)
편광판(20)은 PDP 패널에서 나오는 비편광 빛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켜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반사형 편광판 또는 투과형 편광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의 광 투과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광학 필터에 편광판을 부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편광된 빛이 나가기 때문에, 셔터 안경의 편광 셔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안경 착용 후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DP의 경우 LCD와 달리 표시장치에서 비편광 빛이 발생하는데, 셔터 안경에는 편광 셔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셔터 안경 착용시에 안경을 통과할 수 있는 빛은 PDP 패널에서 발생한 빛의 50% 이하가 된다. 실제로 PDP 패널에서 발생하는 빛 중 많은 부분이 광학 필터를 통과하는 동안에 손실되기 때문에, 셔터 안경 착용 후 휘도는 PDP 패널에서 발생된 빛의 10% 정도 수준으로, 3D 구현시의 화면이 매우 어둡다. 따라서, 3D 구현시에 원하는 수준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광학 필터에서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거나, PDP 패널 자체의 발광량을 높이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블랙 휘도도 같이 증가하게 되어 콘트라스트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광학 필터에 편광판을 적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빛이 편광이기 때문에, 광학 필터를 통과한 빛이 모두 셔터 안경을 투과할 수 있어, 광학 필터를 통과한 빛이 셔터 안경을 투과하는 정도를 현격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다만, 광학 필터에 편광판을 장착할 경우, 편광판에 의해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빛이 많아지기 때문에, 광학 필터를 투과하여 나오는 빛의 양은 편광판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보다 떨어지게 된다. 즉, 셔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휘도는 필터에 편광판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광학 필터를 투과하고 나온 광량이 종래의 광학 필터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후술할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는 종래의 광학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편광판에서 흡수되는 광량보다 셔터 안경에서 차단되는 광량이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사용할 경우, 3D가 아닌 2D 구현시에는 휘도가 종전의 광학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은 PDP 패널 자체의 발광량을 높이거나, 광학 필터의 투과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이용할 경우, 종래의 광학 필터와는 달리 휘도 향상에 따른 콘트라스트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CRF 필름과 같은 고가의 콘트라스트비 향상 필름을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2) 색 보정층(50)
색 보정층(50)은 PDP 패널에서 나오는 특유의 오렌지 스펙트럼에 의한 컬러 쉬프트 현상을 보상하여 원색에 가까운 컬러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네온 컷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는, 590nm 부근에서 발생하는 네온광을 흡수하는 염료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네온 컷 염료로는 포피린계 염료 또는 금속 착물 염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2D 구현시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590nm영역의 흡수율은 유지하면서 550nm영역의 투과율은 높은 네온 컷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색 보정층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와 같은 바인더 수지에 상기 네온 컷 염료를 혼합한 다음, 이를 투명 기재 상에 코팅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네온 컷 염료를 혼합한 점착체(예를 들면, PSA 점착체)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색 보정층을 필름 형태로 형성할 경우, 상기 투명 기재는 위상차 값이 없는 기재, 예를 들면, 무연신 TAC이나 아크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위상차값이 있을 경우, 위상차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상기 색 보정층은 광 투과율이 50% 내지 8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 보정층의 광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경우, 2D 화면 구현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3) 근적외선 차단층(60)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60)은, PDP 패널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적외선 흡수 염료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적외선 흡수 염료로는 디이오늄계 염료, 금속-착물 염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2D 구현시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흡광 계수를 높게 설계하여 800~950nm영역의 흡수율은 유지하면서 550nm영역의 투과율은 높은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와 같은 바인더 수지에 상기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혼합한 다음, 이를 투명 기재 상에 코팅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혼합한 점착체(예를 들면, PSA 점착체)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근적외선 차단층을 필름 형태로 형성할 경우, 상기 투명 기재는 위상차 값이 없는 기재, 예를 들면, 무연신 TAC이나 아크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위상차값이 있을 경우, 위상차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광 투과율이 70% 내지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적외선 차단층의 광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경우, PDP 필터 통과시의 광량 저하가 적어지기 때문에, 2D 화면 구현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색 보정층과 근적외선 차단층은 각각 별개의 층으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점착제에 네온 컷 염료와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함께 혼합한 다음, 이를 도포함으로써, 하나의 층으로 색 보정 기능과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학 필터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전자파 차폐층
본 발명의 광학 필터는, 필요에 따라, 전자파 차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파 차단층(4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층은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전자파 차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나 은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메쉬 필름이나, 금속층과 고굴절율층 등이 교대로 배열된 도전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5) 반사 방지층
본 발명의 광학 필터는, 필요에 따라,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방지층(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 예를 들면, 필름 기재에 굴절율 반사방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방지층의 반사율은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방지층의 기재 필름으로는 위상차 값이 없는 필름, 예를 들면, 무연신 TAC이나 아크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위상차값이 있을 경우, 위상차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기판
본 발명의 광학 필터는 그 제조 공정 상의 필요에 따라,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위상차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강화 유리 기판보다는 비강화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학 필터는, 각 층들을 롤-투-글라스(Roll-to-Glass) 또는 시트-투-시트(sheet-to-sheet) 방식으로 라미네이팅한 후, 고온 가압하여 투명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D 광학 필터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한 3D 광학 필터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셔터 안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3D 구현시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교차 재생하고, 동기 신호를 셔터 안경으로 전송함으로써, 셔터 안경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에 따라 안경에 투과되는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재생되는 좌안용 영상은 좌안으로만, 우안용 영상은 우안으로만 통과되게 되며, 그 결과 양안 시차를 발생시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3D 광학 필터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3D 광학 필터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셔터 안경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송되는 동기 신호를 전송받아 안경으로 들어가는 빛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허용하고 차단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안용 영상이 재생될 때는 좌안용 셔터를 열고, 우안용 셔터를 닫아 우안으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고, 좌안으로만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우안용 영상이 재생될 때는 우안용 셔터를 열고, 좌안용 셔터를 닫아 좌안으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여 인식되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10 내지 14% 정도인데 반해, 본 발명의 3D 필터를 구비한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상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20% 내지 40% 정도로 매우 높다. 또한, CRF 필름과 같은 고가의 필름을 장착하지 않아도, 동등 수준의 콘트라스트비를 보인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유리 기판의 상면에 편광판 및 반사방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유리 기판 하부에 구리 메쉬 타입 전자파 차폐층, 네온 컷 염료를 포함하는 PSA 점착체층 및 근적외선 차단 필름(NIR 필름)을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전자파 차폐층을 형성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편광판 대신 CRF 필름을 장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PDP용 필름 필터(파나소닉 TH-P50VT2)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비교예 1~2의 광학 필터를 PDP TV(LG전자, 42PJ30)에 장착한 후, 셔터 안경 착용 전 후의 휘도 및 색감을 측정하였다.
휘도는 광학 필터 장착 전에 Full white 모드에서 휘도 측정기로 휘도값을 측정하고,
셔터 안경 착용 전,후의 휘도를 각각 측정한 다음 상기 필터 장착 전의 휘도값으로 나눈 값이며, 색감은 TV를 Off 한 상태에서 TV 위에 필터를 장착하고, 색차계로 필터의 Body color (L*, a*, b*)를 측정한 값이다. 측정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휘도 셔터 안경 착용 전 25.4 28.7 40.8 32.0
셔터 안경 착용 후 21.6 24.6 17.8 13.9
색감 L* 24.3 24.8 31.4 24.3
a* -1.2 -1.1 -0.2 -1.3
b* -4.3 -4.1 -6.2 -13.7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광학 필터를 사용할 경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 3D 광학 필터
10: 반사 방지층
20: 편광판
30: 유리층
40: 전자파 차폐층
50: 색 보정층
60: 근적외선 차단층

Claims (21)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근적외선 차단층; 및 네온 파장을 흡수하여 색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색 보정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층은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층은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위상차값이 없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보정층은 광 투과율이 50% 내지 85%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위상차값이 없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은 광 투과율이 70% 내지 9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과 색 보정층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층과 색 보정층은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염료 및 네온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2. 제1항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층, 기판 및 반사방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메쉬 필름 또는 도전막 필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비강화 유리 기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사율이 5% 미만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반지층은 위상차가 없는 기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반사형 편광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투과형 편광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
  19.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교차 재생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항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3D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송되는 동기 신호를 전송받아 안경으로 들어가는 빛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허용하고 차단하는 셔터 안경을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셔터 안경 착용 후의 휘도가 20% 내지 40%인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0100088036A 2010-09-08 2010-09-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20025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36A KR20120025866A (ko) 2010-09-08 2010-09-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36A KR20120025866A (ko) 2010-09-08 2010-09-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66A true KR20120025866A (ko) 2012-03-16

Family

ID=461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36A KR20120025866A (ko) 2010-09-08 2010-09-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5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17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포함되는 백 라이트 유닛
CN109300751A (zh) * 2018-10-29 2019-02-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屏的制备方法、立体显示屏及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17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포함되는 백 라이트 유닛
CN109300751A (zh) * 2018-10-29 2019-02-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屏的制备方法、立体显示屏及电子设备
CN109300751B (zh) * 2018-10-29 2023-10-1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屏的制备方法、立体显示屏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2413B2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incorporating a parallax barrier
JP3978515B2 (ja) 立体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20230359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rnal light management
JP2010151954A (ja) 偏光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93746B2 (ja) マイクロリターダフィルム
JP2014056228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CN105445951B (zh) 立体图像显示器
KR101298874B1 (ko) 편광 안경
GB2495174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mprising black matrix and black stripes
JP2012185499A (ja) マイクロリターダフィルム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KR20110124717A (ko)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일체화된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258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3d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2854631B (zh) 立体影像显示设备以及其形成方法
KR1018616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5681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7444983B2 (ja) 立体表示装置
KR2006000239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60868A (ko) 편광안경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593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290288B1 (ko) 광학필름,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입체안경 및 입체표시장치
KR101851627B1 (ko) 렌티큘러 어레이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345883B1 (ko) 편광안경식 입체영상 액정표시장치
CN217821103U (zh) 一种光学系统及可穿戴设备
TW201248198A (en)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mages
JP201913708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