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796A -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 Google Patents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796A
KR20120025796A KR1020100087917A KR20100087917A KR20120025796A KR 20120025796 A KR20120025796 A KR 20120025796A KR 1020100087917 A KR1020100087917 A KR 1020100087917A KR 20100087917 A KR20100087917 A KR 20100087917A KR 20120025796 A KR20120025796 A KR 2012002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dy portion
support cylinder
gripping
screw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호 최
Original Assignee
상 호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호 최 filed Critical 상 호 최
Priority to KR102010008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796A/ko
Publication of KR2012002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Screw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15Break membe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rea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체결작업을 위한 전동드라이버 장치에서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나사파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파지용 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와, 그것이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SCREWDRIVER BIT INCLUDING GRIP BALL AND ELECTRICAL POWER SCREWDRIV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동드라이버 장치에 삽입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몸체에 파지용 뭉치를 설치하여 손으로 잡고 마찰을 가할 수 있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드라이버 장치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목재나 금속 등 피가공물에 나사(스크류)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전동공구이다.
그러한 전동드라이버 장치는 충전용 배터리팩이나 AC 전원을 이용하는 전동공구로서,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와, 전원부, 작동버튼, 전동기 및 비트장착용 구동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동드라이버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체결용 나사에 가해지는 토크는 전동기의 용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필요시마다 그것을 정확히 조절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목재와 같이 체결대상이 약한 소재인 경우 강한 토크가 작용하여 그 소재에 생성되는 나사산이 파괴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소정 깊이까지만 벽체에 체결하기를 원하는 나사못의 체결작업에 있어서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브레이크가 없는 전동드라이버 장치(AC전원을 이용하는 유선전동공구의 경우가 많다)는 회전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가 완전히 정지하여 다음 작업으로 전환함에 있어 시간이 지체된다. 즉,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직후에 나사드라이버 비트를 물고 있는 구동척이 즉시 멈추지 않고 그 가속력에 의해 소정시간이 경과되고 나서야 멈추게 되므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나사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체결 작업을 위한 전동드라이버장치에서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나사파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파지용 뭉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를 제공한다.
상기 파지용 뭉치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나사파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사파지부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나사지지통체와, 상기 나사지지통체의 복귀 시 상기 나사지지통체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나사지지통체와 상기 몸체부가 서로 걸림되는 걸림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지지통체를 중심으로 상기 나사지지통체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나사지지통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파지용 뭉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걸림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후측부를 형성하는 다각형 단면과, 상기 나사지지통체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단면이 위치하여 걸림되는 다각형의 관통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드라이버 비트들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뭉치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이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둘레가 원형이 되는 원형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단면의 지름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뭉치의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파지부가 착탈되는 홀더부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파지부는 상기 홀더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사드라이버 비트는 전동드라이버 장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파지용 뭉치가 설치됨으로써 전동드라이버 장치의 동작시 손으로 상기 파지용 뭉치를 움켜쥐고 체결용 나사에 가해지는 토크를 손바닥(장갑면)과 파지용 뭉치의 마찰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파손될 수 있는 무른 모재에 체결용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 토크의 조절이 용이하다.
둘째, 브레이크가 설치되지 않은 전동공구에 있어서 하나의 체결용 나사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직후, 파지용 뭉치를 잡아 회전을 즉시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다음 체결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체결용 나사의 체결작업에 있어 작업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충전식 전동드라이버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원이 소진되면 더 이상 작업이 진행될 수 없을 때에도 파지용 뭉치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얼마 남지 않은 체결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넷째, 파지용 뭉치가 전동드라이버 장치의 손잡이 이외에 다른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중량의 전동드라이버을 양손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가 전동드라이버장치(20)에 장착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장착된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가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20)의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가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20)의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용 뭉치(150)의 변형된 외관을 도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가 전동드라이버장치(2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상기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동드라이버장치(20)에 장착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10)는,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110)와, 전동드라이버 장치에 결합되는 결합부(130)와, 상기 나사파지부(110)와 상기 결합부(130)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에 형성되는 파지용 뭉치(150)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파지부(110)는 통상 일(-)자 또는 십자(+)형태로 이루어져 체결용 나사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결합부(130)는 전동드라이버 장치의 구동척(22)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나사파지부(110)와 결합부(13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원형단면의 봉(棒)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몸체부(120)의 양단에 나사파지부(110)와 결합부(1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 나사파지부(110)는 교환을 위해 상기 몸체부(120)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20)에 나사파지부(110)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홀더부를 마련하고 그곳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20)의 중간부분에는 파지용 뭉치(150)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몸체부(12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몸체부(1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몸체부(120)의 외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짧은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이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용 뭉치(150)가 짧은 원기둥형상을 가지더라도 그 양단부(151,152)에서는 양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도 2의 도면부호 151 및 152와 같이 직선의 테이퍼 형상이 아닌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지름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손바닥으로 감싸 쥐기가 용이하므로 손바닥의 그립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 및 그것이 장착된 전동드라이버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목재 등에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30)을 체결하는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은 전동드라이버 장치(20)의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파지용 뭉치(150)을 감싸 잡는다.
이후, 구동스위치(24)를 누르면 구동척(22)가 회전하면서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몸체부(120) 및 나사파지부(110)에 토크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30)은 목표로 하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 중에 파지용 뭉치(150)와 그것을 감싸고 있는 손바닥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므로 나사파지부(110)에 전달되는 토크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파지용 뭉치(150)를 감싸고 있는 손바닥에 힘을 주어 마찰을 증대시키면 나사파지부(11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와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은 토크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전동드라이버장치에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고, 특히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30)이 체결되는 모재가 연약한 경우, 형성되는 나사산의 파손방지 측면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파지용 뭉치(150)를 잡는 손에는 작업용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안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30)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체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파지용 뭉치(150)는 다음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브레이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많은 경우 전동드라이버장치에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구동척(22)이 가속력에 의해 즉시 멈출 수 없고, 이에 따라 다음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손으로 움켜쥠으로써 브레이크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충전식 전동드라이버 장치(20)의 배터리가 작업 중 방전된 경우, 파지용 뭉치(150)가 수동식 나사드라이버의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용 뭉치(150)을 회전시킴으로써 체결용 나사 또는 나사못(30)의 마무리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없어도 수동으로 작업이 신속히 완료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파지용 뭉치(150)가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몸체부(120)를 감싸고 있는 나사지지통체(160)에 형성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110)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130)와, 나사파지부(110)와 상기 결합부(130)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는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170)과, 몸체부(11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탄성수단(170)에 의해 상기 결합부(130) 방향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사파지부(110)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복귀 시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몸체부(120)가 상기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몸체부(120)가 서로 걸림되는 걸림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나사지지통체(160)는 나사못(30)의 체결작업 초기에 나사못(30)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지지통체(160)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그 외부를 감싸고 있고, 그 후단부는 몸체부(121,122)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170)은 몸체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몸체부(120)의 외면에 형성된 스토퍼(126)와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 탄성수단(170)은 나사지지통체(160)가 전방으로 전진하면 나사지지통체(160)가 후방 즉 결합부(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나사드라이버 비트의 몸체부(120)는 나사파지부(110) 쪽의 원형단면부(121)와 결합부(130) 쪽의 다각단면부(122)로 나뉘어져 있다.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가 상기 원형단면부(121) 측에 위치하면 나사지지통체(160)가 몸체부(121)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복귀하여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가 다각단면부(122)에 위치하면 걸려서 구속됨으로써 몸체부(120)가 나사지지통체(160)와 일체로 회전한다.
파지용 뭉치(150)는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에 나사지지통체(160)를 중심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나사지지통체(16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나사지지통체(160)와 몸체부(12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걸리게 하는 수단으로,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20)의 후측부를 형성하는 다각형 단면과,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에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단면이 위치하여 걸림되는 다각형의 관통공(164)의 결합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하, 제2실시예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나사못(30)을 체결위치에 위치시키고 나사파지부(110)로 나사못(30)를 파지한 후, 나사지지통체(160)를 슬라이딩시켜 나사못(30) 주위를 포위한다. 이에 따라 나사못(30)은 기울어지더라도 주위를 포위한 나사지지통체(160)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구동스위치(24)를 눌러 나사드라이버 비트(10)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5의 확대된 그림과 같이,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가 몸체부(120)의 원형단면부(121)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몸체부(120)가 회전하더라도 정지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작업이 진행되어 나사못(30)이 일정깊이 이상 체결된 경우, 더 이상 나사못(30)의 지지가 불필요하므로 도 6과 같이, 나사지지통체(160)를 후퇴시키고,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를 몸체부(120)의 다각단면부(122)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도 6의 확대된 그림과 같이,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에 형성된 관통공(164)에 다각단면부(122)가 걸리게 되므로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몸체부(120)와 나사지지통체(16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는 파지용 뭉치(150)가 몸체부(120)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파지용 뭉치(150)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10) 및 그것을 장착한 전동드라이버 장치(20)는 초기 체결작업에서 나사못(3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나사지지통체(160)가 파지용 뭉치(15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상기에서 설명된 파지용 뭉치(150)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달걀모양의 볼(ball)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파지용 뭉치(150′)가 손바닥 내에서 회전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은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둘레가 원형인 원형단면이 되도록 파지용 뭉치(15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10; 나사드라이버 비트 20; 전동드라이버 장치
22; 구동척 24; 구동스위치
30; 나사못 110; 나사파지부
120; 몸체부 121; 원형단면부
122; 다각단면부 126; 스토퍼
130; 결합부 150,150′; 파지용 뭉치
151,152; 양 단부 160; 나사지지통체
162; 후단부 170; 탄성수단

Claims (8)

  1.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110)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130)와,
    상기 나사파지부(110)와 상기 결합부(130)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20)에는 상기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2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파지용 뭉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상기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20)에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3. 나사에 회전력을 가하는 나사파지부(110)와,
    전동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결합부(130)와,
    상기 나사파지부(110)와 상기 결합부(130)를 연결하는 봉(棒)상의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170)과,
    상기 몸체부(12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탄성수단(170)에 의해 상기 결합부(130) 방향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사파지부(110)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복귀 시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몸체부(120)가 상기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와 상기 몸체부(120)가 서로 걸림되는 걸림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나사드라이버 비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지지통체(160)를 중심으로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파지용 뭉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몸체부(120)의 후측부를 형성하는 다각형 단면과,
    상기 나사지지통체(160)의 후단부(162)에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단면이 위치하여 걸림되는 다각형의 관통공(1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뭉치(150)는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이 상기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둘레가 원형이 되는 원형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단면의 지름은
    상기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용 뭉치(150)의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파지부(110)가 착탈되는 홀더부가 상기 몸체부(120)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파지부(110)는 상기 홀더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사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KR1020100087917A 2010-09-08 2010-09-08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KR2012002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17A KR20120025796A (ko) 2010-09-08 2010-09-08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17A KR20120025796A (ko) 2010-09-08 2010-09-08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96A true KR20120025796A (ko) 2012-03-16

Family

ID=4613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917A KR20120025796A (ko) 2010-09-08 2010-09-08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5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261A (ko) 2017-10-16 2019-04-24 주식회사 아임삭 전동공구의 출력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261A (ko) 2017-10-16 2019-04-24 주식회사 아임삭 전동공구의 출력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57B1 (en) Tool for rapid loading of line onto a fishing reel
US20050218285A1 (en) Holder for storing air guns and other hand tools
US20100011915A1 (en) Spherical ratchet wrench
KR101947671B1 (ko) 전선 꼬임장치
KR20120025796A (ko) 파지용 뭉치가 구비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이 설치된 전동드라이버 장치
JP4953170B2 (ja) 電動工具
US20110162150A1 (en) Hand tool
US10730162B2 (en) Turntable cloth peeling jig
US7069823B1 (en) Auxilary handle device for use with conventional handheld screwdrivers
KR102015350B1 (ko)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102198389B1 (ko) 전동 드라이버
KR101069478B1 (ko) 나사 체결작업이 용이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KR102368410B1 (ko) 드릴비트 분리용 공구
US8857533B2 (en) Portable power wrench with a manually operated power control means
JP2010167531A (ja) レンチ工具
US7946314B1 (en) Power pliers for twisting wires
KR20110018184A (ko) 니퍼
KR20060112297A (ko) 렌치 홀더
JP2020028945A (ja) ドライバー
KR20160004502U (ko) 드릴척의 척핸들
JPH0634945Y2 (ja) レンチ取扱い用治具
CN210732331U (zh) 电极帽拆卸工具
JP2013252569A (ja) 締付け工具用補助具
JP2002254341A (ja) 電動工具
JP2016010825A (ja) 打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