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066A -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066A
KR20120024066A KR1020100086685A KR20100086685A KR20120024066A KR 20120024066 A KR20120024066 A KR 20120024066A KR 1020100086685 A KR1020100086685 A KR 1020100086685A KR 20100086685 A KR20100086685 A KR 20100086685A KR 20120024066 A KR20120024066 A KR 2012002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handle
circuit breaker
movem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592B1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5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7Details concerning lever type driving rod arrangements

Landscapes

  • Break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써 키이 록 어셈블리의 키이 록 상태에서는 도어 판의 핸들 삽입구 개방 이동을 금지함으로서 인입출동작을 봉쇄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크래들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바닥커버; 상기 바닥커버의 후위에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상기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DOOR PLATE); 상기 도어 판에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게 탄성력을 상기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을 상기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바닥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키이(KEY)에 의해 회전하는 록(LOCK)을 가진 키이 록 어셈블리(KEY LOCK ASSEMBL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DRAW-OUT SAFETY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키이 록에 의한 크래들(CRADLE)의 인입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중 공장과 같은 대규모 전력수용가의 전력 인입측에 변압기 후단에 설치되는 주회로차단기로서 기중차단기 또는 예컨대 변전소에서 고전압 회로의 개폐 및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진공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는 크래들(CRADLE)을 크게 구분되어 구성된다.
차단기 본체는 3상의 상별로 마련되는 가동접촉자 및 고정접촉자의 접점부와, 접점부의 가동접촉자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3상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개폐기구와, 개폐기구중 투입스프링을 축세(CHARGING)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는 액추에이터(actuator), 상기 3상의 가동접촉자를 동시 개폐 구동하도록 접속되는 개폐축을 포함한다.
크래들은,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회로차단기의 외부 전원측 및 부하측 선로를 접속하는 단자부와,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이동을 위한 인입출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입출장치는 크래들의 저부에 마련된 스핀들(spindle)의 회전력에 의해 인입출 동력을 얻고 있으며, 해당 스핀들은 스핀들의 전단부와 접속되는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조작력이 핸들을 통해 스핀들을 회전시켜 차단기 본체를 인입출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이동을 위한 인입출장치에 있어서 회로차단기가 투입 즉, 폐회로상태로 통전중인 상태에서 인출동작 또는 회로차단기를 점검 및 유지보수중일 때 인입동작을 하는 것을 봉쇄하여 전기적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서 인입출동작을 봉쇄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차단기 본체와,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출을 위한 크래들(CRADLE)을 갖는 회로차단기용으로서,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바닥커버(BOTTOM COVER);
상기 바닥커버의 후위에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상기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DOOR PLATE);
상기 도어 판에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상기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을 상기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바닥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상기 바닥커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 삽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키이(KEY)에 의해 회전하는 록(LOCK)을 가진 키이 록 어셈블리(KEY LOCK ASSEMBL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도어 판과 키이 록 어셈블리의 간단한 구성으로써 키이 록 어셈블리의 키이 록 상태에서는 도어 판의 핸들 삽입구 개방 이동을 금지함으로서 인입출동작을 봉쇄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정면과 핸들 도어장치의 후위에 위치한 인입출장치를 보여주는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바닥커버와, 도어판 및 키이 록 어셈블리가 분해된 상태로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도어판의 상세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바닥커버와, 도어판 및 키이 록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로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스프링 가압판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이고,
도 6은 핸들이 삽입될 때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도어판이 수평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정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바닥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7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장치를 측상부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중 바닥커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장치 및 핸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정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바닥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는 회로차단기 본체와,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출을 위한 크래들(CRADLE)(도 10의 부호 C 참조)을 갖는 회로차단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 본체는 3상 교류 전력회로용으로서 3개의 상에 각각 대응되게 3쌍의 가동접촉자 및 고정접촉자의 쌍과, 해당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쌍을 동시 개폐 구동하는 개폐기구(switching mechanism)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회로차단기 본체와 크래들(도 10의 부호 C 참조)은 구성과 작용은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54384호(발명의 명칭: 기중 차단기의 투입 스프링 자동 방세장치 및 투입 스프링 자동 방세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의 공보를 참조할 수 있으며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는 회로차단기가 투입 즉, 폐회로상태로 통전중인 상태에서 인출동작 또는 회로차단기를 점검 및 유지보수중일 때 인입동작을 하는 것을 봉쇄하여 전기적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므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정면과 핸들 도어장치의 후위에 위치한 인입출장치를 보여주는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기구(50)의 구성과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커버(BOTTOM COVER)(10)중 핸들 삽입구(10c)의 후위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스핀들(spindle)(51)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핀들(51)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며 스핀들(51)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51)의 나사부를 따라 바닥커버(10)에 접근하는 위치 또는 바닥커버(1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판(52)이 마련된다. 이동판(52)은 수직판부와 수평판부를 갖는 알파벳 "L"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52)은 수직판부에는 스핀들(51)이 관통하고 스핀들(51)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threaded opening)와, 이동판(52)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표시축(56)을 회전시키도록 위치표시축(56)에 접속되는 접속구부(부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이동판(52)의 수평판부에는 양측부에 각각 하나씩 한쌍의 래크(rack) 기어부가 마련된다. 이동판(52)의 수평판부상의 래크 기어부에 기어 접속되게 한 쌍의 제 1 피니언 기어(53)가 기어 축(54)에 축 지지되게 마련된다. 기어 축(54)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제 2 피니언 기어(53)가 축 지지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핸들(H)을 핸들 삽입구(10c)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핀들(51)의 단부에 접속하여 스핀들(51)을 회전시키면, 이동판(52)은 회전하는 스핀들(51)의 나사부를 타고 바닥커버(10)에 접근하는 위치 또는 바닥커버(1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판(52)의 수평판부에 마련된 래크 기어부에 맞물린 제 1 피니언 기어(53)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 축(54) 및 제 2 피니언 기어(53)도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제 2 피니언 기어(53)는 미도시한 상부의 드로우 기어(draw gear)와 기어접속되어 해당 드로우 기어를 구동하게된다. 드로우 기어에는 길게 안내 홈부가 마련되어 해당 안내 홈부에 차단기 본체의 측부에 고정된 구동돌부를 끼워서 인입위치, 인출위치 또는 시험위치로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개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2008년 12월 22일자로 등록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76409호(발명의 명칭: 인출형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구조)의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a, 10b는 바닥커버(10)를 크래들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가 설치될 수 있는 나사 구(도 4의 부호 10a1, 10b1 참조)가 마련된 고정단부를 지시하고, 부호 10d는 상기 위치표시축(56)의 바닥커버(10)측 노출단부로서 위치표시 화살표가 표시된 위치지시부를 지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4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에 포함되는 키이 록 어셈블리(KEY LOCK ASSEMBLY)를 지시하며 상세 구성과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커버(10), 도어 판(DOOR PLATE)(20), 복귀스프링(21), 스프링 가압판부(10e) 및 키이 록 어셈블리(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커버(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래들(도 10의 부호 C 참조)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도 10의 부호 H 참조)의 핸들 삽입구(10c)가 마련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의 인입, 인출, 시험 등의 현재 위치표시와 사용자에 의한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 조작을 허용하는 표시 및 조작반에 해당한다. 바닥커버(10)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 삽입구(10c), 고정단부(10a, 10b) 및 위치지시부(10d)를 전면에 구비하며, 도 5 및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면에 스프링 가압판부(10e)를 구비한다. 스프링 가압판부(10e)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 판(20)은 특히 도 4에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커버(10)의 후위에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 삽입구(10c)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핸들 삽입구(10c)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판으로 구성된다. 도어 판(20)의 상세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 판(20)은 바닥커버(10)의 후위에서 바닥 커버(10)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 판(20)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핸들 삽입구(10c)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차폐위치는 도 4에 있어서 도어 판(2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핸들 접속구부(20a)의 좌측 폐색벽부(부호 미부여)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를 차폐하는 위치이고, 개방위치는 도어 판(20)이 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핸들 접속구부(20a)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와 연통하는 위치이다. 도 4에 있어서 핸들 접속구부(20a)는 연동기구(도 2 및 도 3의 부호 40 참조)가 이동허용 위치일 때, 핸들(도 6 및 도 7의 부호 H 참조)을 삽입하면 상기 핸들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도어 판(20)을 개방위치로 구동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판(20)은 핸들 접속구부(20a)외에 스프링 시트부(spring seat portion)(20b)와, 장공부(20c)와, 안내 슈(guide shoe)(20d)와, 수평연장부(20e)를 포함한다.
스프링 시트부(spring seat portion)(20b)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21)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실시예상 도어 판(20)의 길이방향상 중앙 상부에 마련된다.
장공부(20c)는 바닥커버(10)의 상기 지지기둥부(도 5의 부호 10f 참조)가 삽입되어 도어 판(20)을 바닥커버(10)에 지지시키며 도어 판(20)의 이동을 한정하는 부분으로서 도어 판(20)중 스프링 시트부(20b)의 하위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안내 슈(20d)는 도어 판(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종단면이 알파벳 "T"자형인 지지부로서, 바닥커버(10)의 배면에 대응하게 마련되는 종단면이 엎드린 알파벳 "C"인 안내 레일(guide rail)(미도시)에 안내 슈(20d)가 끼워지지됨에 따라, 도어 판(20)이 안정적으로 이동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수평연장부(20e)는 도어 판(20)의 일 측 하단부, 도 3에서는 좌측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마련되어, 도 9 또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키이 록 어셈블리(40)의 중 록(lock)(40a)에 의해 가로막혀 도어 판(20)의 이동이 저지되거나 록(40a)에 의한 구속이 해방되어 도어 판(20)의 이동이 허용되는 구속작용 접수부로서 작용한다.
복귀스프링(21)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도어 판(20)에 탄성력을 부과한다. 복귀 스프링(21)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판(20)의 한 쌍의 스프링 시트부(20b)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복귀 스프링(21)은, 도 5 및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바닥커버(10)중 스프링 시트부(도 3의 부호 20b 참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10e)에 의해 가압되어, 평상시 도어 판(20)에 상기 차폐방향으로(도 5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참조) 탄성력을 부과한다. 복귀 스프링(2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가압판부(10e)는 핸들 접속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도어 판(20)에 부과하도록, 도어 판(20)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도 5의 부호 21 참조)을 가압하며 도 9에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커버(10)의 배면부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미리결정된 위치는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했을 때 한 쌍의 스프링 시트부(도 3의 부호 20b)중 좌측의 것에 근접한 위치에서 복귀 스프링(21)을 압축되도록 도 5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미는 위치이다. 스프링 가압판부(10e)는 일종의 칸막이로서 바닥커버(10)의 내부공간에서 바닥커버(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가로지르게 위치고정되게 바닥커버(10)와 별체로 또는 바닥커버(10)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 2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이 록 어셈블리(40)는 바닥커버(10)에 있어서 핸들 삽입구핸들 삽입구(10c)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키이 록 어셈블리(40)는,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도어 판(2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도어 판, 특히 도어 판(20)의 수평연장부(20e)를 가로막아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진다. 또한, 키이 록 어셈블리(40)는 키이(KEY)(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록(LOCK)을 가진다. 더욱 상세히, 키이 록 어셈블리(40)는 도 8 , 도 9 및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이 록 회전축부(40b)와, 록(4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 회전축부(40b)는 주변의 지지부(부호 미부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미도시의 키이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이다. 록(40a)은 키이 록 회전축부(40b)에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접속부재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록(40a)은 도어 판(2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도어 판(20), 특히 도어 판(20)의 수평연장부(20e)를 가로막아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로 키이 록 회전축부(40b)의 회전에 따라 회동가능한 부재이다. 록(40a)은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구가 중앙에 형성된 원호형의 예컨대 금속재와 같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된 몸체판부와, 해당 몸체판부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는 연장 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호 30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와 연통하는 핸들 관통구를 가지며 바닥커버(10)와 도어 판(20)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레버(handle lever)를 지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의 동작을 도 8과 도 11을 주로 참조하고 여타 도면을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가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출을 허용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키이를 가진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의 권한자가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이 록 어셈블리(40)에 미도시한 키이를 삽입하여 록(40a)을 이동허용 위치, 즉 록(40a)이 도어 판(20)의 수평연장부(20e)를 가로막는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도어 판(2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로 조작한다.
이와 같은 이동허용 위치로 키이 록 어셈블리(40)의 록(40a)이 회동 조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하면, 핸들(H)은 도 10의 핸들레버(30)의 상기 핸들 관통구를 통해 진입하여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위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도어 판(20)의 핸들 접속구부(20a)와 접촉함에 따라, 도 4에 있어서 복귀스프링(2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도어 판(20)을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도 11에서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핸들(H)은 핸들 접속구부(도 3의 부호 20a 참조)를 통과하여 도 1에 있어서 후위의 인입출기구(50)중 스핀들(51)의 접속홈부와 접속되고, 핸들(H)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핀들(5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의 후위에 위치한 크래들(도 10의 부호 C 참조)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가 접속하는 인입위치(connect position), 크래들(C)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는 분리되지만 차단기 본체의 제어전원은 공급되는 시험 위치(test position) 그리고 크래들(C)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도 분리되고 차단기 본체의 제어전원 공급도 차단되는 인출위치(disconnect position)으로 차단기 본체의 위치이동 조작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가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출을 금지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키이를 가진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의 권한자가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이 록 어셈블리(40)에 미도시한 키이를 삽입하여 록(40a)을 이동구속 위치, 즉 도어 판(20)의 수평연장부(20e)를 가로막아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로 조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닥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하여, 핸들(H)이 도 10의 핸들 레버(30)의 핸들 접속구부를 통과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록(40a)이 도어 판(20)중 수평연장부(20e)의 좌측 수평방향 이동을 가로막음에 따라, 핸들(H)의 후속 진입이 저지된다. 따라서, 핸들(H)의 선단부는 핸들 접속구부(도 4의 부호 20a 참조)을 통과하지 못하고 저지되어 후위의 인입출기구(50)중 스핀들(51)의 접속홈부와도 접속되지 못하고, 핸들(H)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공회전만 할 뿐, 스핀들(51)은 회전되지 않고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조작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므로, 키이 록 어셈블리(40)를 이동구속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동작을 봉쇄하여, 조작자(사용자) 및 회로차단기 후단의 부하회로를 전기적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된다.
10: 바닥커버 10c: 핸들 삽입구
20: 도어 판 20e: 수평연장부
21: 복귀스프링 40: 키이 록 어셈블리
40a: 록 40b: 키이 록 회전축부

Claims (2)

  1.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크래들(CRADLE)과, 상기 크래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입 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인출 위치로 이동가능한 회로차단기 본체를 갖는 회로차단기용으로서,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바닥커버(BOTTOM COVER);
    상기 바닥커버의 후위에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상기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DOOR PLATE);
    상기 도어 판에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게 탄성력을 상기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을 상기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바닥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상기 바닥커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 삽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키이(KEY)에 의해 회전하는 록(LOCK)을 가진 키이 록 어셈블리(KEY LOCK ASSEMBL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록 어셈블리는,
    키이에 의해 회전가능한 키이 록 회전축부; 및
    상기 키이 록 회전축부에 접속되어, 상기 도어 판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한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로 상기 키이 록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동가능한 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20100086685A 2010-09-03 2010-09-03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KR10141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85A KR101412592B1 (ko) 2010-09-03 2010-09-03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85A KR101412592B1 (ko) 2010-09-03 2010-09-03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066A true KR20120024066A (ko) 2012-03-14
KR101412592B1 KR101412592B1 (ko) 2014-06-26

Family

ID=4613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685A KR101412592B1 (ko) 2010-09-03 2010-09-03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37A (ko) * 2015-05-13 2016-1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KR20170077646A (ko) * 2015-12-28 2017-07-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위치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95B1 (ko) * 2004-09-24 2006-04-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0852436B1 (ko) * 2004-12-23 2008-08-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KR200441993Y1 (ko) * 2007-06-14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장치
KR100854382B1 (ko)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37A (ko) * 2015-05-13 2016-1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KR20170077646A (ko) * 2015-12-28 2017-07-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위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592B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8878B1 (en) Circuit breake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of circuit breaker
US8288669B2 (en) Electric switchgear
US8283585B2 (en) Electric switchgear
US4086452A (en) Isolating switch shutter assembly for high voltage motor starter
US843184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evering assembly therefor
JP4848018B2 (ja) 電力用閉鎖配電盤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20140084321A (ko) 스위치 기어
KR20110087155A (ko)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US3015756A (en) Enclosed switchboard employing switch carrier for dismantling transformers
KR101466977B1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KR20120024066A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US3470422A (en) Electrical instrumentation and switchgear panels
US3716684A (en) Portable circuit breaker levering device for metal-clad switchgear
US2795739A (en) Safety door for drawout switchgear
CN102169767A (zh) 开关柜联锁机构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EP3217493B1 (en) Withdrawable arc eliminator with an interlock device
KR20180077920A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JP2010041789A (ja) 引出形開閉器用シャッタ装置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117973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0742292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접지구조
KR20100101989A (ko) 가동배리어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장치
KR101522263B1 (ko) 기중 차단기의 인출 방지 장치 및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