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991A -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 Google Patents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991A
KR20120023991A KR1020100086477A KR20100086477A KR20120023991A KR 20120023991 A KR20120023991 A KR 20120023991A KR 1020100086477 A KR1020100086477 A KR 1020100086477A KR 20100086477 A KR20100086477 A KR 20100086477A KR 20120023991 A KR20120023991 A KR 20120023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sk
weight
gel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류근석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8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3991A/ko
Publication of KR2012002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a)알긴산나트륨 1.0 내지 10.0 중량%, b)습윤제 1.0 내지 30.0 중량%, c)필름형성제 1.0 내지 10.0 중량%, d)수렴제 0.1 내지 20 중량%, e)보존제 0.1 내지 0.5 중량%, 및 f)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 마스크를 이용함으로써, 피부 자극 없이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고,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피부 세정, 보습효과 및 피지 제거 등과 같은 우수한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Cosmetic composition of Gel type mask pack and Mask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 편리성이 개선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피부관리, 특히 안면피부관리를 위하여 미용 성분이 함유된 젤타입 또는 크림타입 마스크팩, 분말형태의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마스크팩 또는 시트(sheet) 형태의 마스크팩 (이하 '시트마스크' 이라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 또는 시트 마스크의 마스크 방법으로는 안면을 클렌징하는 단계, 기능성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기능성 성분(cosmetic ingredient)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또는 시트마스크를 도포하거나 또는 부착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 또는 시트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마스크는 제거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시트와 피부 표면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으로 흡수하는 현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시트 마스크의 낮은 밀착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젤타입의 마스크팩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젤타입의 마스크팩은 물에 의해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과정에서 기능성 성분이 함께 씻겨 나갈 수 있으며 수분이 손실되어 마스크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높고, 마스크팩의 제거가 용이한 마스크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팩 사용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 팩을 제거할 수 있고,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 알긴산나트륨 1.0 내지 10.0 중량%,
b) 습윤제 1.0 내지 30.0 중량%,
c) 필름형성제 1.0 내지 20.0 중량%,
d) 수렴제 0.1 내지 20 중량%,
e) 보존제 0.1 내지 0.5 중량% 및
f)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제가 모노 글리세린, 디 글리세린, 트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및 소르비톨과 같은 다가 알코올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의 M/G(만누론산 및 L-글루론산의 존재량 비)비율은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제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실리카, 탈크 및 규조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향, 아로마오일, 비타민C 유도체, 로즈힙오일, 백합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마치현추출물, 베타글루칸, 해조추출물,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다시마파우더, 라벤더꽃가루, 위치하젤수 및 해양심층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상에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 마스크를 부착하는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5.0 중량%, 염화칼슘 1.0 내지 10.0 중량%, 메칠파라벤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향, 아로마오일, 비타민C 유도체, 로즈힙오일, 백합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마치현추출물, 베타글루칸, 해조추출물,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위치하젤수 및 해양심층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시트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높고, 보다 우수한 피부 세정, 보습효과, 안색정화, 모공축소와 같은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기에 편리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마스크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포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시트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을 포함한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생분해성이고, 무독성의 갈조류 유래 천연 다당류이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물과 혼합시 부피가 팽윤되므로,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다가 금속이온(예를 들어, Ca2 +)에 의해 겔화가 발생하여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형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이 혼합된 점성이 있는 혼합물을 의미하고, 상기 겔은 상기 알긴산나트륨과 금속이온이 반응하여 형성된 알긴산칼슘(Ca-Alginate)을 의미한다.
상기 알긴산은 2종 이상의 우론산 중합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α-(1→4)-L-글루론산과 β-(1→4)-D-만누론산으로 구성된 직쇄 공중합체이다. 상기 알긴산은 분자 속에 우론산의 카르복시기(COOH-)가 존재하고 있어 산의 성질을 가진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상기 우론산의 카르복시기(COOH-)가 나트륨염(COONa)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중합도가 50 내지 90이며, 바람직하게는 80일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분자량(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4000 mol/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mol/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mol/g일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피부 도포 시 쉽게 흘러내릴 수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피부 도포시 발림성이 좋지 않고, 끈적임이 심해 피부 도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만누론산과 글루론산의 비(이하 M/G비율)는 만누론산과 L-글루론산의 존재량 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마스크 팩의 겔의 강도를 결정하는 인자이다. 상기 M/G비율은 0.5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M/G비율이 0.2 미만이면,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성이 낮아져 피부 도포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내릴 수 있고, 0.5를 초과하면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겔의 강도가 약하여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탈착시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습윤제를 포함한다.
상기 습윤제는 모노 글리세린, 디 글리세린 및 트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르비톨과 같은 다가 알코올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마스크팩의 필름에 신축성과 탄력성을 부여하고, 피부 도포 후 경화 단계에서 피부에 부드러운 유연성을 갖게하여 피부에서 마스크팩의 일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상기 조성물에 대해 5.0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경화시 피막이 딱딱한 필름이 형성되고, 피부 유연효과가 떨어지며, 1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필름의 피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제로서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알긴산나트륨을 물에 분산할 경우에 알긴산나트륨 파우더에 의한 분진 발생을 방지하고, 물의 활성도를 조절하여 방부제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상기 조성물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알긴산나트륨의 분진 발생이 많아질 수 있고, 또한, 방부 기능이 저하되어 방부제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10.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필름형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형성제가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경화 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필름의 강도를 높여주므로, 상기 필름의 균일한 제거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1.0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필름의 강도가 약해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과량의 필름형성제에 의해서 필름이 딱딱해지고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제, 보존제 및 여분의 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렴제로서 에탄올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도포 시 청량감을 부여하고, 수렴역할을 하며,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1.0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서 메칠파라벤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정제수이며 수분감, 보습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서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실리카, 탈크, 규조토와 같은 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피지를 흡수하여 피부세정효과를 높이고, 제형의 백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체는 상기 성분들 중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향, 추출물과 같은 1종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 아로마오일, 비타민C 유도체, 로즈힙오일, 백합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마치현추출물, 베타글루칸, 해조추출물,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다시마파우더, 라벤더꽃가루, 위치하젤수 및 해양심층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마스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 방법은 도포 단계 및 시트 마스크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 단계는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입가, 눈가를 제외한 얼굴 전체 또는 원하는 부위에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트 마스크 부착 단계는 상기 도포된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상에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친된 시트 마스크를 랩핑 하듯이 부착한다.
상기 시트 마스크가 부착되면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며 경화된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시트 마스크의 제거함으로써 경화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칼슘은 염화칼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칼슘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알긴산나트륨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한다. 상기 염화칼슘은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거시 피부 자극은 약하나 겔형성이 잘 되지 않아 잔류물을 남길 수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강한 젤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팩을 제거할 수 있으나, 피부 점막에 대한 자극과 피부 자극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5.0 중량%, 메칠파라벤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향 추출물과 같은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 아로마오일, 비타민C 유도체, 로즈힙오일, 백합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마치현추출물, 베타글루칸, 해조추출물,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위치하젤수 및 해양심층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방법은 시트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는 도포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시트 마스크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트 마스크를 부착한 이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경화되어 피부 표면에 유연한 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마스크와 접촉 부위는 겔화 반응에 의해서 시트 마스크와 결합된다. 상기 시트 마스크의 제거와 동시에 상기 경화된 화장료 조성물도 함께 피부에서 벗겨지고 피부의 노폐물 등이 제거된다. 상기 일정 시간은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는 시간이며, 10분 이상일 수 있고, 20 내지 3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은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시트 마스크에 함침시켜 이용하기에,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과 접촉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마스크의 제거와 동시에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서 제거될 수 있기에 팩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4
제1 조성물: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1 조성물: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10.000 15.000 15.000 15.000 10.000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2.000 5.000 5.000 5.000 2.000
마치현 추출물 2.000 2.000 2.000 2.000 2.000
해양 심층수 - 0.100 0.100 0.100 -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 0.100 0.100 0.100 0.100
폴리비닐피롤리돈 1.000 3.500 3.500 10 3.500
에탄올 3.000 3.000 3.000 3.000 3.000
펜틸렌글라이콜 0.500 0.500 0.500 0.500 0.5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00 0.100 0.100 0.100 0.100
메칠파라벤 0.150 0.150 0.150 0.150 0.150
아로마 오일 - 0.100 0.100 0.100 -
향료 0.050 0.050 0.050 0.050 0.05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00 5.000 5.000 5.000 5.000
알긴산 나트륨 2.700 2.700 2.700 2.700 2.700
티타늄디옥사이드 - 1.500 1.500 1.500 1.500
실리카 - 2.000 2.000 2.000 2.000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 1.000 1.000 1.000 1.000
다시마 분말 0.100 - - -
M/G 0.5 0.5 0.2 0.5 0.8
실시예 5
제2 조성물: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실시예 5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5.000
부틸렌글라이콜 3.000
염화칼슘 2.000
해양 심층수 1.000
위치 하젤수 0.100
베타-글루칸 0.500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2.000
백합추출물 0.010
비타민C유도체 0.050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50
다시마추출물 0.100
마치현추출물 2.000
아로마오일 0.002
에탄올 3.000
메칠파라벤 0.150
클로페네신 0.150
페녹시에탄올l 0.200
시험예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을 얼굴에 골고루 펴서 도포하고, 실시예 5의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 시킨 시트 마스크(부직포 시트)를 부착시키고, 20 분 이후에 팩을 제거하였다. 20 내지 30대 여성 피검자 60명을 10명씩 실험을 하였다.
항목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시험예 4
제1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제2 조성물 실시예 5 실시예 5 실시예 5 실시예 5
제2 조성물 적용 방법 시트 마스크 에 함침 시트 마스크 에 함침 시트 마스크 에 함침 시트 마스크에 함침
비교시험예 1 및 2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을 얼굴에 골고루 펴서 도포하고, 실시예 5의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무 또는 도포하고, 20 분 이후에 팩을 제거하였다. 20 내지 30대 여성 피검자 20명을 10명씩 실험을 하였다.
비교시험예 3
비교예 1에 따른 제1 조성물을 얼굴에 골고루 펴서 도포하고, 실시예 5의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 시킨 시트 마스크(부직포 시트)를 부착시키고, 20 분 이후에 팩을 제거하였다. 20 내지 30대 여성 피검자 20명을 10명씩 실험을 하였다.
항목 비교 시험예 1 비교 시험예 2 비교 시험예 3
제1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1 비교예 1
제2 조성물 실시예 5 실시예 5 실시예 5
제2 조성물 적용 방법 분무 도포 시트 마스크에 함침
시험 결과
시험예 및 비교 실험예의 실시 후 피검자들에 의해 느껴지는 정도에 대한 관능 검사를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을 내었다. 단, 5점 척도로 평가 시 만족도가 높은 경우 5점, 만족도가 낮은 경우 1점으로 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 나타내었다.
항목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시험예 4 비교 시험예 1 비교
시험예 2
비교 시험예 3
편리성 4.8 4.7 4.7 4.8 2.8 3.1 4.5
보습효과 4.5 4.4 4.4 4.2 3.1 3.2 4.5
안색정화 4.7 4.9 4.9 4.9 2.2 2.4 4.7
피부자극 4.5 4.3 4.3 4.0 3.8 3.2 4.5
제거율 90% 95% 99% 99% 60% 80% 7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마스크팩은 보습효과 및 안색 정화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여 기능성 성분의 흡수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시트 마스크에 함침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무 또는 도포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무 자극이 적으면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시트 마스크를 이용하면 분무 또는 도포에 비해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피부세정, 보습효과, 안색정화, 모공축소 등의 피부개선효과가 높다.
본 발명에 의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균일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Claims (8)

  1. a)알긴산나트륨 1.0 내지 10.0 중량%,
    b)습윤제 1.0 내지 30.0 중량%,
    c)필름형성제 1.0 내지 10.0 중량%,
    d)수렴제 0.1 내지 20 중량%,
    e)보존제 0.1 내지 0.5 중량% 및
    f)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제가 모노 글리세린, 디 글리세린, 트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및 소르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나트륨의 M/G(만누론산 및 L-글루론산의 존재량 비)비율이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제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실리카, 탈크 및 규조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상에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 마스크를 부착하는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시트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5.0 중량%, 염화칼슘 1.0 내지 10.0 중량%, 메칠파라벤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향, 아로마오일, 비타민C 유도체, 로즈힙오일, 백합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마치현추출물, 베타글루칸, 해조추출물, 소듐하이아루노네이트, 위치하젤수 및 해양심층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방법.
KR1020100086477A 2010-09-03 2010-09-03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KR20120023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77A KR20120023991A (ko) 2010-09-03 2010-09-03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77A KR20120023991A (ko) 2010-09-03 2010-09-03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991A true KR20120023991A (ko) 2012-03-14

Family

ID=4613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477A KR20120023991A (ko) 2010-09-03 2010-09-03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399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27B1 (ko) * 2013-06-05 2014-03-10 (주)이미인 표면 경화막을 가진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419B1 (ko) * 2015-04-02 2015-12-23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80042984A (ko) * 2016-10-19 2018-04-27 박현 닥터 메디 프로 비장탄 물광 마스크팩
CN108014052A (zh) * 2018-01-10 2018-05-11 黎海娣 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87613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넥스트디에스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90075323A (ko) * 2017-12-21 2019-07-01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KR20200068838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378928A1 (en) * 2019-03-11 2021-12-09 Oxygen Innovation SRL Cosmetic kit and its use as a make-up product
KR20220102845A (ko) * 2021-01-14 2022-07-21 (주)진코스텍 해수를 함유하는 상변화 미용팩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27B1 (ko) * 2013-06-05 2014-03-10 (주)이미인 표면 경화막을 가진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419B1 (ko) * 2015-04-02 2015-12-23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80042984A (ko) * 2016-10-19 2018-04-27 박현 닥터 메디 프로 비장탄 물광 마스크팩
KR20180087613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넥스트디에스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90075323A (ko) * 2017-12-21 2019-07-01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CN108014052A (zh) * 2018-01-10 2018-05-11 黎海娣 面膜及其制备方法
CN108014052B (zh) * 2018-01-10 2020-08-04 黎海娣 面膜及其制备方法
KR20200068838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378928A1 (en) * 2019-03-11 2021-12-09 Oxygen Innovation SRL Cosmetic kit and its use as a make-up product
KR20220102845A (ko) * 2021-01-14 2022-07-21 (주)진코스텍 해수를 함유하는 상변화 미용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3991A (ko)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EP2979685B1 (en) Film 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off film mask
KR101207556B1 (ko)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US20060198805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Masks for Skin Improvement
KR100730321B1 (ko) 패치형태의 리프팅용 2제형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및 사용방법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1987B1 (ko) 젤 형태의 모델링 마스크 팩 화장료 조성물
KR100854017B1 (ko) 편리성이 향상된 피부 마스크 방법
KR100849100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67019A (ko) 필링 화장 재료 및 그의 사용 방법
JPH02311408A (ja) 皮膚用ゲル状組成物
KR102257814B1 (ko) 마스크팩 조성물, 모델링 마스크팩 및 피부미용 마스킹 방법
JPH11302124A (ja) パック化粧料
KR20190034753A (ko)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246863B1 (ko)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0057A (ko) 아미겔이 함유된 2제형 이산화탄소팩 조성물
KR20090008544A (ko) 알긴산 염 비드를 함유하는 스크럽 조성물
JP2000219618A (ja) ゴマージュ化粧料
KR101659300B1 (ko) 거품 마스크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거품 마스크 팩
CN112294674A (zh) 一种纯植物深层清洁氨基酸洁面慕斯
KR20190038186A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8838A (ko)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752A (ko)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8096105A (zh) 一种强效止血、清利湿热牙膏及其制备方法
KR101179591B1 (ko)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