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91B1 -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 Google Patents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91B1
KR101179591B1 KR1020120004811A KR20120004811A KR101179591B1 KR 101179591 B1 KR101179591 B1 KR 101179591B1 KR 1020120004811 A KR1020120004811 A KR 1020120004811A KR 20120004811 A KR20120004811 A KR 20120004811A KR 101179591 B1 KR101179591 B1 KR 10117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aline
acid
cosmetic
cream
mas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곽명헌
김성용
차민진
박미미
채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앤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제제를 포함하고, 산 제제와 반응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Basic cream for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 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에 관한 것이다.
경피 경점막에 흡수되는 이산화탄소는 피부나 피하 조직, 근육의 혈행을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화함으로써 미용 및 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피부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기 위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화장료로는 이산화탄소를 배합한 이산화탄소 함유 화장료, 사용시 조제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함유 화장료는 그 제조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손실이 없거나 또는 손실이 적은 보존 용기의 가격이 비싸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 사용시 조제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료에는 이들 문제점이 적어 보다 실용적인 이점이 있다.
사용시 조제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료로는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하여 CO2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장료가 알려져 있었으며, 여기서 알칼리의 제제로는 주로 점증제를 이용하여 겔 형태로 만들어져 왔으며, 산의 제제는 주로 파우더상이거나 용매에 녹여 액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알칼리의 제제가 겔의 형태인 경우에는 겔 형태로 알칼리의 성분을 나타내어 산과 결합하기 전까지 피부에 직접 펴 발라져 자극을 유발한다는 문제점과 제형인 젤 형태가 알칼리의 함량에 따라 제형이 흐트러지며 이에 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알칼리 성분의 원료 함량에 제약이 있어 실제 사용하는 겔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의 제제가 파우더상인 경우에는 파우더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여 반응의 균일성이 확보되지 아니하여 특정부분에서는 급격한 반응이 일어나는 반면 그렇지 못한 곳은 반응이 미미하여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산의 제제가 액상 자체일 경우에는 액상이 흘러내리는 불편함과 반응액의 손실을 가져와 제대로 효과를 부여하지 못하며 게다가 액상이 알칼리 제제와 반응이 급격하게 이뤄져 반응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7324호(발명의 명칭 :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에는 알칼리성 겔(Gel)과 산성 분말(Powder)을 혼합시켜 화학적 반응에 의해 탄산가스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알칼리성 제제가 겔 형태로 되어 있어 피부자극 및 제형의 안정성 문제가 있다. 또한, 산성 제제가 파우더상으로 되어 있어 알칼리 제제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국소적으로 뭉쳐 존재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8698호(발명의 명칭 :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용 조성물)에는 함수 점성 조성물에 이산화탄소가 기포형으로 포함되어 있는 점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어 제형의 안정성과 피부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서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 및 피부 자극의 완화를 탁월하게 도모할 수 있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서 산 제제와 알칼리 제제의 반응의 지속성을 탁월하게 개선시켜 꾸준한 반응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매우 편리한 방법으로 산 제제를 공급할 수 있는 화장용 산성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각질연화, 피부톤 개선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및 산성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칼리 제제를 포함하고, 산 제제와 반응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제공한다.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알칼리성 겔은 증점제를 사용하여 제조됨에 따라 pH에 따른 겔 형태의 구현에 제약이 많아 알칼리 제제의 함유량에 한계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알칼리 겔을 얼굴에 도포시 대략 20~25g 정도의 많은 양을 사용해야 했으며 점증제의 종류에 따라 제형의 안정성도 일정하지 않았다. 게다가 점증제, 알칼리 제제 등이 직접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얼굴에 도포시 따끈거린다는 피부자극의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겔 형태가 아닌 크림 형태로 알칼리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알칼리 겔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수중유 유화형태의 크림으로 벤토나이트를 함유함으로써 크림의 pH가 8~9인 제형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벤토나이트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전체에 대하여 1 ~ 2중량%, 바람직하게는 1.3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벤토나이트가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전체에 대하여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제형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기 힘들고, 2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뚜렷한 효능?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알칼리 제제의 함량도 기존 겔 형태가 함유할 수 있는 양의 2~3배를 함유할 수 있어 피부에 도포하는 크림의 양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대략 10~15g만 사용하여도 충분히 CO2 발생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수중유 크림이므로, 겔의 형태에서는 포함되기 힘든 유상(오일)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어 알칼리 제제의 피부 직접 접촉에 의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고, 피부에 밀착감과 부착감을 부여하여 알칼리 제제의 흘러내림에 의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의 제제와의 밀착감을 증대시킬 수 있어 CO2 가스 발생 화장품 조성물의 효과, 예를 들면 각질 연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에 포함되는 알칼리 제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알칼리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전체에 대하여 10 ~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가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얼굴에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다량 도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뚜렷한 효능?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일 예로 소듐바이카보네이트 15g,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0.8g, 비즈왁스1.5g, 스테아릴알코올1.5g, 세틸알코올2.0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0.6g,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6g,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0.6g, 폴리소르베이트60 0.8g,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g,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5.0g,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g, 디메치콘 0.5g, 디소듐이디티에이 0.02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g, 베타인0.1g, 아스코르빈산 0.005g, 부틸렌글라이콜 2.0g, 글리세린 7.0g, 벤토나이트 1.3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 100g으로 구성하여 수중유(O/W)형의 크림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산 제제로써 산성 마스크 시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산성 마스크 시트는 산 제제액을 포함하고 알칼리 제제와 반응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산성 마스크 시트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제제와 반응하여 CO2가스를 발생시키는 산의 제제를 액상으로 만들어 마스크 시트에 침적시켜 건조시킨 것으로, 산의 제제의 유효성분이 침적된 산성 마스크 시트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얼굴에 바른 후 상기 산성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덮으면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하여 CO2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때 알칼리 제제와 산의 제제의 밀착감이 탁월하게 증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산성 마스크 시트는 시트 전체에 산 제제액이 골고루 균일하게 침적되어 있으므로 얼굴 전체에서 산과 알칼리 반응이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만나서 뭉칠 염려나 산 제제액이 얼굴에 흘러내리는 염려가 없다. 또한, 마스크 시트로 얼굴 전체를 덮어주므로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얼굴 피부 깊숙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며, 피부의 수분을 충분히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산의 제제와 알칼리 제제의 반응의 지속성을 탁월하게 개선시켜 꾸준한 반응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산성 마스크 시트에 사용되는 산 제제액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칼리 제제와 반응하여 CO2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산 제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산 제제액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을 산 제제액 전체에 대하여 30 ~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구연산이 산 제제액 전체에 대하여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뚜렷한 효능?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산성 마스크 시트에서 사용되는 마스크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마스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산성 마스트 시트는 일 예로 구연산(citric acid) 40g, 부틸렌글라이콜 0.5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100g을 구성하여 완전 용해하여 산 제제액을 만든 후 부직포 마스크 시트(2~3g/매)에 상기 산 제제액 12g을 침적시킨 후, 상온(25~30도)에서 산성 마스크 총 중량 무게가 8~10g이 되도록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 및 피부 자극의 완화를 탁월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피부에의 밀착감이나 부착감을 탁월하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알칼리 제제의 흘러내림에 의한 손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산과 알칼리 반응에 의한 CO2가스의 발생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각질연화, 피부톤 개선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알칼리 제제를 다량 함유하여도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얼굴에 소량 도포하여도 CO2가스의 발생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산성 마스크 시트를 함께 사용하면 산 제제와 알칼리 제제의 반응의 지속성을 탁월하게 개선시켜 꾸준한 반응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매우 편리한 방법으로 산 제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의 알칼리성 수중유 크림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크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도 2는 비교 제조예 1의 알칼리 겔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트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도 3은 비교 제조예 2의 알칼리 겔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트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 알칼리성 수중유 유화 크림의 제조
소듐바이카보네이트 15g,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0.8g, 비즈왁스1.5g, 스테아릴알코올1.5g, 세틸알코올2.0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0.6g,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6g,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0.6g, 폴리소르베이트60 0.8g,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g,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5.0g,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g, 디메치콘 0.5g, 디소듐이디티에이 0.02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g, 베타인0.1g, 아스코르빈산 0.005g, 부틸렌글라이콜 2.0g, 글리세린 7.0g, 벤토나이트 1.3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 100g으로 구성하여 알칼리성 수중유(O/W) 유화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 알칼리 겔의 제조
글리세린 7.0g, 카보머 0.56g, 소듐알지네이트1.95g, 부틸렌글라이콜 1.5g, 트리에탄올아민2.5g, 아스코르빈산 0.005g, 소듐바이카보네이트 6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 100g으로 구성하여 알칼리 겔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 알칼리 겔의 제조
글리세린 7.0g, 카보머 0.56g, 소듐알지네이트1.95g, 부틸렌글라이콜 1.5g, 트리에탄올아민2.5g, 아스코르빈산 0.005g, 소듐바이카보네이트 15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 100g으로 구성하여 알칼리 겔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 산성 마스크 시트의 제조
구연산(citric acid) 40g, 부틸렌글라이콜 0.5g, 보존제 미량, 정제수 잔량으로 총100g으로 구성하여 완전 용해시켜 산 제제액을 만든 후, 부직포 마스크 시트(2~3g/매)에 상기 산 제제액 12g을 침적시켰다. 이후, 상온(25~30도)에서 건조하여 산성 마스크 시트의 총 중량 무게가 8~10g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 알칼리성 수중유 유화크림과 산성 마스크 시트의 사용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알칼리 수중유 유화크림 10g을 얼굴에 고루 펴 바른 후 상기 참조예에서 제조된 산성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고루 밀착시키켜 CO2 가스를 발생시켰다. 15 ~ 20분 후 반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면 시트를 떼어낸 후 미온수로 깨끗이 씻어냈다.
비교예 1 : 알칼리성 겔과 산성 마스크 시트의 사용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알칼리 겔 25g을 얼굴에 고루 도포한 후 상기 참조예에서 제조된 산성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고루 밀착시키고 CO2 가스를 발생시켰다. 20 ~ 25분 후 반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면 시트를 떼어내고 미온수로 깨끗이 씻어냈다.
비교예2 : 알칼리성 겔과 산성 마스크 시트의 사용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알칼리 겔 10g을 고루 펴 바른 후 상기 참조예에서 제조된 산성 마스크 시트를 밀착시켜 CO2 가스를 발생시켰다. 20 ~ 25분 후 반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면 시트를 떼어내고 미온수로 깨끗이 씻어냈다.
실험예 1 :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의 사용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의 사용결과를 비교평가하였다. 피검자 5명에 대하여 사용자극도, 반응의 균일성 및 반응의 지속성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기준은 0(매우불만족) ~ 9(매우만족)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사용 자극도 반응의 균일성 반응의 지속성
실시예




피검자 1 7 6 7
피검자 2 7 7 8
피검자 3 8 6 7
피검자 4 7 7 7
피검자 5 6 7 7
평균 7.0 6.6 7.2
비교예 1




피검자 1 6 6 6
피검자 2 5 7 5
피검자 3 5 7 6
피검자 4 7 6 6
피검자 5 5 8 5
평균 5.6 6.8 5.4
상기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비교예 1의 반응의 균일성은 6.6, 6.8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사용 자극도는 실시예와 비교예 1에서 7.0, 5.6으로 실시예는 자극의 정도가 매우 약하여 만족스러웠으며, 반응의 지속성에서도 실시예와 비교예 1에서 각각 7.2, 5.4로 실시예에서의 지속성이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알카리 겔과 비교시 반응의 균일성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자극도는 매우 낮고 지속성은 매우 높아, CO2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알카리 제제의 제형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의 제형의 안정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비교 제조예 1, 2의 알칼리 겔의 제형의 안정성을 비교평가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비교 제조예 1, 2의 알칼리 겔을 각각 상기 참조예의 산성 마스크 시트에 도포한 후, 점도와 밀착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점도는 Brookfield Viscometer RV No.6, 6rpm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점도 50,000 cps 30,000 cps 11,000 cps
도 1은 제조예의 알칼리성 수중유 크림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크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이에 의하면 제조예의 알칼리성 수중유 크림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크 시트에 밀착되어 흘러내림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는 비교 제조예 1의 알칼리 겔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트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이에 의하면 비교 제조예의 알카리 겔이 산성 마스크 시트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점도가 묽어 많은 양이 흘러내림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비교 제조예 2의 알칼리 겔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트 시트에 도포된 경우의 사진이다. 이에 의하면 비교 제조예의 알칼리 겔이 참조예의 산성 마스크 시트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점도가 묽어 흘러내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알카리 제제의 원료인 소듐바이카보네이트의 양을 15g 유지하여도 점도 하락으로 인한 제형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비교예 2의 알카리 겔의 경우에는 소듐바이카보네이트의 양이 15g 함유할 경우 점도 하락이 일어나 사용시 흘러내림이 많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의 알카리 겔의 경우에는 점도의 하락은 적으나 사용량이 25g으로 많아 두텁게 발리며 손실분이 발생하여 실제 반응에 참여하는 소듐바이카보네이트의 양이 손실될 수 있었다.
이상 종합하면, 본 발명의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종래의 알카리 겔에 비해 소듐바이카보네이트의 양을 많이 함유할 수 있어 실제로 얼굴에 사용하는 경우 기존 알카리 겔에서 사용하는 양보다 2~3배 정도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알칼리 겔에 비하여 유상(오일)성분이 함유되어 피부 밀착감이 우수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료로 사용시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알칼리 제제 및 벤토나이트를 함유하는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과,
    산 제제액을 함유하는 화장용 산성 마스크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상기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전체에 대하여 1 ~ 2 중량% 함유되며,
    상기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을 얼굴에 도포한 후 상기 화장용 산성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덮으면, 상기 알칼리 제제와 상기 산 제제액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은 수중유(O/W)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품.
KR1020120004811A 2011-11-02 2012-01-16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KR101179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3365 2011-11-02
KR1020110113365 201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591B1 true KR101179591B1 (ko) 2012-09-05

Family

ID=4707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811A KR101179591B1 (ko) 2011-11-02 2012-01-16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9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4363B2 (en) Cosmetic rinsable mask type composition for skin care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EA021133B1 (ru) Образующие тонкий слой жидк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высвобож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в кожу и волосяной покров головы
CN107693381A (zh) 一种含有柔性纳米脂质体的巴布贴面膜
KR20120023991A (ko) 젤형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방법
KR20170051344A (ko)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06892A (zh) 一种两剂型面膜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JP2003286129A (ja) 痩身シート材
CN108635253A (zh) 一种婴幼儿蛋黄油化妆品
KR101168138B1 (ko) 피부 마스크팩
KR101179591B1 (ko) 화장용 알칼리성 크림
EP3607934A1 (en) Body cosmetic
KR20160037016A (ko) 흰머리 예방, 새치복원 및 빠른 발모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7190B1 (ko)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4753A (ko)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612463B1 (ko) 각질연화용 패치
KR101983701B1 (ko) 피부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얼굴 윤곽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2964A (ja) フィブロイン含有シート
EP3607933B1 (en) Body cosmetic
KR20130060618A (ko)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KR20180055375A (ko) 2액형 모델링 팩 조성물
KR102081974B1 (ko)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CN108066239B (zh) 一种diy可剥离面膜及其制备方法
JP2011132203A (ja) 保湿用化粧料シート
KR101315321B1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