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999A -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999A
KR20120021999A KR1020100082329A KR20100082329A KR20120021999A KR 20120021999 A KR20120021999 A KR 20120021999A KR 1020100082329 A KR1020100082329 A KR 1020100082329A KR 20100082329 A KR20100082329 A KR 20100082329A KR 20120021999 A KR20120021999 A KR 2012002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cylinder
upper plate
manhole
ground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023B1 (ko
Inventor
김은태
이동훈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6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of the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박스와 전장 박스가 필요 없으며 동력전달을 위한 케이블과 신호전달용 케이블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둘째,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길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맨홀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맨홀을 통과하기 위해 미리 지지 다리의 길이에 따른 회전 반경을 확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셋째, 장비의 구조상 전?후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이 모두 가능하므로 맨홀을 통과하는 것은 물론 맨홀을 통과하여 다음 블록으로 이동했을 때 론지와 론지 사이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Variable purpose heavy load transfer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출원인의 기존 특허출원 제10-2008-0059073호의 선체블록 맨홀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를 보여준다.
종래기술은 사람이 운반하기 어려운 중량물을 장비의 상단에 올리고 선체블록 내부의 맨홀을 통과하여 이동시켜 주는 장비이다.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 모터는 총 12축이며, 서보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맨홀을 통과하기 위한 높이 조절이 자유롭다. 또한 지지하는 다리가 전?후진으로 움직일 수 있어 맨홀을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맨홀을 통과하기 위하여 지지 다리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축수가 12축이어서 별도의 조작 박스와 전장 박스가 필요하며 동력전달을 위한 케이블과 신호전달용 케이블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맨홀을 통과하기 위해 지지 다리를 90도로 접어서 회전하는데, 이때 지지 다리를 접기 전에 미리 지지 다리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지지 다리의 길이에 따른 회전 반경을 확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장비의 구조상 전진 및 후진만 가능한 한계가 있다.
넷째, 맨홀을 통과하여 다음 블록으로 이동했을 때 회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론지와 론지 사이를 이동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상판을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로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한 개가 설치되며,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며,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며, 전?후진부 및 회전부의 작용으로 상기 상판 상에서 전?후진 및 회전하게 되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상판을 따라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부;
상기 상판 상에서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지면을 따라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맨홀 전면에 근접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전단부 및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중앙부 및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후단부 및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상기 상판 상에서 전진하여 제 1 론지를 건너 제 1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상판을 전진시켜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제 2 론지를 건너 제 2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상기 상판 상에서 전진하여 제 3 론지를 건너 제 3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박스와 전장 박스가 필요 없으며 동력전달을 위한 케이블과 신호전달용 케이블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둘째,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길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맨홀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맨홀을 통과하기 위해 미리 지지 다리의 길이에 따른 회전 반경을 확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셋째, 장비의 구조상 전?후진 및 회전이 모두 가능하므로 맨홀을 통과하는 것은 물론 맨홀을 통과하여 다음 블록으로 이동했을 때 론지와 론지 사이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격벽 및 맨홀이 설치된 선체블록 개념도.
도 2는 론지가 설치된 선체블록 개념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체블록 맨홀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j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의 선체블록 내부 운영 시나리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는 상판과, 상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상판을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수단은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 전?후진부, 회전부 및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송장치의 각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모습 및 각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보여준다.
이송장치는 구동을 위한 메인 밸브(13)를 자체에 탑재하고 있는 바, 작업자는 이러한 메인 밸브(13)를 통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등을 수동으로(Manual) 조작할 수 있다.
1.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상판(4)의 아래 중앙부에 한 개가 설치된다.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한다. 도 5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 6은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준다.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비롯하여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이에 대해서는 후술함)는 모두 상판(4)에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만약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만 접히게 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몸체 하단이 상판(4)을 향하여 점점 위로 올라가면서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지면에 그대로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과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물론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다시 펼쳐지게 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몸체 하단이 지면을 향하여 점점 아래로 내려오면서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모두 지면에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의 무게를 함께 지탱하게 된다.
한편,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 외곽에는 도 4와 같이 자바라(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의 몸통을 먼지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의 강성도 함께 보완할 수 있다.
2.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상판(4)의 아래에서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된다.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도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마찬가지로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한다. 도 5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 6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비롯하여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모두 상판(4)에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만약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만 접히게 되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는 몸체 하단이 상판(4)을 향하여 점점 위로 올라가면서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지면에 그대로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과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물론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다시 펼쳐지게 되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는 몸체 하단이 지면을 향하여 점점 아래로 내려오면서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모두 지면에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의 무게를 함께 지탱하게 된다.
또한 만약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만 접히게 되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몸체 하단이 상판(4)을 향하여 점점 위로 올라가면서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는 지면에 그대로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과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물론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다시 펼쳐지게 되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몸체 하단이 지면을 향하여 점점 아래로 내려오면서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모두 지면에 버티고 서서 상판(4) 및 상판(4)에 탑재된 중량물의 무게를 함께 지탱하게 된다.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는 전?후진부 및 회전부(이에 대해서는 후술함)의 작용으로 상판(4) 상에서 전?후진 및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와 달리 전?후진 및 회전 작용을 하지 않는다.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전?후진을 통하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 또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회전을 통하여 이송장치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전진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은 늘어나게 되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후진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전진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간의 간격은 줄어들게 되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후진하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간의 간격은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이송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전방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반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서서히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우측으로 회전(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서서히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장치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후방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반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서서히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우측으로 회전(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서서히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회전에 따르면 이송장치가 곡률을 그리지 아니하고 곧바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이송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모두 전방에 대하여 좌측으로 90도 회전(반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곧바로 직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우측으로 90도 회전(시계 방향)하면 이송장치는 곧바로 직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외곽에도 도 4와 같이 자바라(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몸통을 먼지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강성도 함께 보완할 수 있다.
3. 전? 후진부
전?후진부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상판(4)을 따라 전?후진하게 한다.
이러한 전?후진부는 전?후진부 에어모터(5a,5b)와, 리드스크류(미도시)와, LM 가이드 및 LM 블록(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후진부 에어모터(5a,5b)와 리드스크류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공압을 이용하여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때, 리드스크류는 전?후진부 에어모터(5a,5b)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꾼다.
따라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와 연결된 전?후진부 에어모터(5a)가 구동하여 리드스크류가 전진하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도 전진하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이 늘어나게 되며, 다시 리드스크류가 후진하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도 후진하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간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와 연결된 전?후진부 에어모터(5b)가 구동하여 리드스크류가 후진하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도 후진하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간의 간격이 늘어나게 되며, 다시 리드스크류가 전진하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도 전진하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간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한편, LM 가이드 및 LM 블록도 상판(4) 하면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LM 가이드 및 LM 블록은 전?후진부 에어모터(5a,5b) 및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또는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상판(4)의 전?후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4. 회전부
회전부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상판(4) 상에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회전부는 회전부 에어모터(6a,6b)와, 턴테이블(7a,7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부 에어모터(6a,6b)는 상판(4) 하면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상단의 턴테이블(7a,7b)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공압을 이용한 동력으로 턴테이블(7a,7b)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턴테이블(7a,7b)은 회전부 에어모터(6a,6b)의 작용으로 회전하면서 하단에 부착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또는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측의 턴테이블(7a)과 연결된 회전부 에어모터(6a)가 작용하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측의 턴테이블(7b)과 연결된 회전부 에어모터(6b)가 작용하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턴테이블(7a,7b)에는 회전형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써 턴테이블(7a,7b)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동부
이동부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지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또는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면 이에 따라 이송장치 전체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결국 이동부는 이송장치의 이동을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부는 공압모터(8a,8b)와, 구동바퀴(9a,9b)와, 동력전달수단(10a,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압모터(8a,8b)는 공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는데, 정회전 및 역회전을 변환해 가며 구동할 수 있다. 공압모터(8a,8b)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작용한다.
구동바퀴(9a,9b)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하단에 장착되며, 공압모터(8a,8b)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구동바퀴(9a,9b)는 베벨기어(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압모터(8a,8b)의 구동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동력전달수단(10a,10b)은 공압모터(8a,8b)의 구동력을 구동바퀴(9a,9b)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수단(10a,10b)도 공압모터(8a,8b)와 마찬가지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작용한다. 따라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측의 동력전달수단(10a)은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측의 공압모터(8a)의 구동력을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의 하단에 장착된 구동바퀴(9a)로 전달하게 되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측의 동력전달수단(10b)은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 측의 공압모터(8b)의 구동력을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하단에 장착된 구동바퀴(9b)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10a,10b)은 샤프트와 이를 감싸고 있는 외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구부러지거나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변하는 과정에서도 파손되거나 이상 작동이 발생함이 없이 계속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하단에는 구동바퀴(9a,9b)가 장착되는 것과는 달리,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 하단에는 회전형 캐스터 바퀴(11)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의 구동 모드는 전후 구동, 좌우 구동이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거나 상판(4) 상에서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는 자체적으로 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거나 상판(4) 상에서 좌우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회전형 캐스터 바퀴(11)를 이용하여 모든 방향으로의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6. 이송장치의 선체블록 내부 운영 시나리오
도 9는 이송장치의 선체블록 내부 운영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도 1)이나 론지(도 2)를 통과하여 필요한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도 9에서, a→b→i 과정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필요한 장소로 이송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이동, 상하 방향 길이 조절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함).
그리고 도 9에서, b→c→d→e→f→g→h 과정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필요한 장소로 이송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회전, 이동, 상하 방향 길이 조절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함).
7. 선체블록의 맨홀 통과
이하에서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h는 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를 맨홀 전면에 근접시킨다.
다음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판(4)의 전단부 및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를 아래로 펼쳐 내려 구동바퀴(9a)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음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판(4)의 중앙부 및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아래로 펼쳐 내려 회전형 캐스터 바퀴(11)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음에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판(4)의 후단부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아래로 펼쳐 내려 구동바퀴(9b)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이송장치는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8. 선체블록의 론지 통과
이하에서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j는 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상판(4) 상에서 전진하여 제 1 론지를 건너 제 1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를 아래로 펼쳐 내려 구동바퀴(9b)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음에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을 전진시켜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제 2 론지를 건너 제 2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과정에서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의 구동바퀴(9a,9b)가 지면에 닿아 아무런 이동이 없이 정지해 있는 상태로서 고정점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3)가 전?후진부의 작용으로 후진을 하고자 하면 그 반작용으로 상판(4) 및 이에 부착된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1)를 아래로 펼쳐 내려 회전형 캐스터 바퀴(11)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음에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를 위로 접어 올린다.
다음에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가 상판(4) 상에서 전진하여 제 3 론지를 건너 제 3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2)를 아래로 펼쳐 내려 구동바퀴(9a)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시 상기 도 8b 내지 도 8j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송장치는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8a, 8b : 공압모터
2 :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9a, 9b : 구동바퀴
3 :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 10a, 10b : 동력전달수단
4 : 상판 11 : 회전형 캐스터 바퀴
5a, 5b : 전?후진부 에어모터 12 : 자바라
6a, 6b : 회전부 에어모터 13 : 메인 밸브
7a, 7b : 턴테이블

Claims (6)

  1.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 및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상판을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로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한 개가 설치되며,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며, 다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위로 접혀 올라가거나 아래로 펼쳐져 내려가는 과정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며, 전?후진부 및 회전부의 작용으로 상기 상판 상에서 전?후진 및 회전하게 되는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상판을 따라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부;
    상기 상판 상에서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지면을 따라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부는,
    공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후진부 에어모터;
    상기 전?후진부 에어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전?후진부 에어모터 및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또는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상기 상판의 전?후로 안내하는 LM 가이드 및 LM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공압을 이용한 동력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에어모터 및;
    상기 회전부 에어모터의 작용으로 회전하면서 하단에 부착된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또는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함께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공압모터;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 및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공압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바퀴 및;
    상기 공압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5.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맨홀을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맨홀 전면에 근접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전단부 및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중앙부 및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후단부 및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맨홀을 통과하여 맨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방법.
  6. 상기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선체블록의 론지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상기 상판 상에서 전진하여 제 1 론지를 건너 제 1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3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상판을 전진시켜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제 2 론지를 건너 제 2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위로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상기 상판 상에서 전진하여 제 3 론지를 건너 제 3 론지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실린더를 아래로 펼쳐 내려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중량물 이송방법.
KR1020100082329A 2010-08-25 2010-08-25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120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29A KR101201023B1 (ko) 2010-08-25 2010-08-25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29A KR101201023B1 (ko) 2010-08-25 2010-08-25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99A true KR20120021999A (ko) 2012-03-09
KR101201023B1 KR101201023B1 (ko) 2012-11-14

Family

ID=461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29A KR101201023B1 (ko) 2010-08-25 2010-08-25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4690A (zh) * 2018-10-18 2019-01-1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尾轴压紧螺母装配工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61B1 (ko) 2015-06-02 2017-05-29 주식회사 흥진티엔디 블록 이송대차
KR101635342B1 (ko) 2016-05-02 2016-06-30 노계훈 다중 진동형 땅속작물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34B1 (ko) 2004-02-09 2006-01-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로봇운반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4690A (zh) * 2018-10-18 2019-01-1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尾轴压紧螺母装配工装
CN109204690B (zh) * 2018-10-18 2020-05-0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尾轴压紧螺母装配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023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13600A1 (en) Remotely operated machine with manipulator arm
CN102029615B (zh) 并联机构及其平移支链
KR101008150B1 (ko) 중대형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트롤리
CN107225564B (zh) 一种可蜷缩的蛇形机械臂
CN104440937B (zh) 工业机器人
CN105813568A (zh) 具有调节器的x光装置
KR102206418B1 (ko) 로봇암
CN102672714B (zh) 高刚度高精度五坐标并联动力头
KR101201023B1 (ko)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EP3715838A1 (en) Vehicle-mounted radiation inspection system
CN102490179A (zh) 一种具有三转动和一平动自由度的并联机构
JP2016203332A (ja)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US11858573B2 (en) Steerable drive wheel
ITBO20110221A1 (it) Dispositivo per movimentare e posizionare un membro nello spazio
CN103565462B (zh) 用于医疗设备的回转布线装置及具有其的医疗设备
CN102581848A (zh) 具有三转动一平动自由度并联定位平台
CN102408066A (zh) 一种起重机及其变位装置
CN108290715A (zh) 电梯轿厢支撑结构
US20230060424A1 (en) Lift arm arrangements for power machines
CN102632498B (zh) 空间全对称三转动一平动并联机构
CN201801315U (zh) 一种起重机及其变位装置
CN205380679U (zh) 机器人头部结构
CN104876094A (zh) 直驱电梯立体转向机构
WO2021239145A1 (zh) 一种加速器及车载式辐射成像设备
CN203591271U (zh) 用于医疗设备的回转布线装置及具有其的医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