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011A -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011A
KR20120021011A KR1020100085017A KR20100085017A KR20120021011A KR 20120021011 A KR20120021011 A KR 20120021011A KR 1020100085017 A KR1020100085017 A KR 1020100085017A KR 20100085017 A KR20100085017 A KR 20100085017A KR 20120021011 A KR20120021011 A KR 2012002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service
service
le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367B1 (ko
Inventor
김준규
한상대
채동욱
성영훈
한명관
양근복
이두식
김우현
김윤상
정진용
김수현
조동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법무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법무부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법무부장관)
Priority to KR102010008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국가별 검색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함과 더불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고, 그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초기에 제공하고,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Intergrated law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국가별 검색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함과 더불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고, 그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서, 예를 들면,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검색어를 포함하는 기사, 검색어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이미지 등의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검색 시스템은 다수의 웹사이트 또는 웹문서들의 주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주소와 더불어 간략 내용까지도 제공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그 내용을 보고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만족할 만한 정보를 얻을 때까지 검색된 사이트들을 이동해가며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일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해외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를 통해 얻고자 할 경우에는 그 검색어를 검색 요청자가 일일이 해당 국가의 언어로 번역한 후, 해당 국가의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번역된 해당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검색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 엔진 리스트 별 검색어 처리식을 생성하고, 검색어 처리식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웹 서버로 전송한다. 웹 서버는 복수 개의 검색 엔진 서버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한 화면에 재구성하고, 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여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웹 서버에 의존적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각종 기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웹 브라우저에서 다중 검색을 실행하므로, 하나의 검색 결과를 하나의 웹 브라우저 창에 표시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표시된 검색 결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검색 결과들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국가별 검색 결과 정보를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함과 더불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며, 그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프레임 내에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Thread)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시키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배치 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쓰레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자신에게 대응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초기에 제공하고, 상기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관련 문서(민원, 행정문헌 등)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관련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나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결과를 화면 상에 있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는 정보지도 서비스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민원정보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 상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배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배치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상기 각각의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배치 메뉴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각각 배치하여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치 메뉴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하나의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메뉴와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삭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고 나머지 프레임을 재배열 하며, 상기 생성 메뉴가 선택되면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과 함께 화면 상에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얻기 위한 특정 기능을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때, 상기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 정보 서비스부에 전달하여,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 정보 서비스부가 상기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를 각각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동향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은, (a)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도록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특정 서비스에 따라 각각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를 각각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로 상기 검색어에 근거한 정보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 및 상기 민원정보 서비스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해 상기 각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서 이동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치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단순한 자료 검색 수준을 넘어서 검색 결과에 근거해 자료의 동향과 분석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법제정보의 종류에 따른 여러 사이트를 반복하여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합 검색 옵션”을 이용하여 평소 관심있는 법제정보만 보이도록 설정하거나, 각 서비스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최적화시켜서 효율적인 법제정보 검색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정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보 서비스의 배치 상태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중심으로 쉽게 얻을 수 있고,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 정의 정보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면 프레임 각각에 대해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각각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 입력란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에 따라 각각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배치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에 근거한 각각의 법률 정보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각각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원하는 프레임을 선택하여 이동하기 위해 화면이동 메뉴를 하나 이상의 프레임과 함께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는 한 번의 검색으로 국내 판례, 법령, 논문, 민원, 행정정보와 미국, EU,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의 판례와 법률을 모두 찾을 수 있는 통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통합 검색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법제정보의 종류에 따라 검색어를 중심으로 한 주요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는 구글, 네이버 등과 같이 검색어와 일치하는 문헌정보를 나열하는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검색어를 이용하여 찾은 문헌정보를 스스로 분석하고 추론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능형 서비스는 주로 거시적 시각에서 법제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세부적으로는 사용자가 구글, 네이버 등에서는 얻을 수 없거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얻을 수 있는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해양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도 검색어와 관련된 법제정보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120)을 통해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연결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단말기나 노트북 단말기 등의 유선용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이동 통신망과 같은 무선망에 연결되는 핸드폰, PDA 등의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110)가 유선용 단말기일 경우 유선 통신망이 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10)가 이동 단말기나 무선용 단말기일 경우 무선 통신망이 될 수 있다.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하여 법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등의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각 프레임 내에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Thread)를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시킨다.
각각의 쓰레드는 독립된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각각의 쓰레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자신에게 대응되어 있는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면 프레임 각각에 대해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각각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초기에 제공하고,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예컨대, 제1 쓰레드가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예컨대, 제1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예컨대, 제2 쓰레드가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예컨대, 제2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예컨대, 제3 쓰레드가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예컨대, 제3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예컨대, 제4 쓰레드가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예컨대, 제4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전술한 제1 쓰레드 내지 제4 쓰레드 이외에 서비스를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제5 쓰레드 내지 제n 쓰레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법령" 서비스를 위한 제5 쓰레드를 추가하고, "판례" 서비스를 위한 제6 쓰레드를 추가하며, "논문" 서비스를 위한 제7 쓰레드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쓰레드가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각각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동작은 서로 연관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1 쓰레드의 실행 결과가 제1 프레임에 나타나는 것보다 제3 쓰레드의 실행 결과가 제3 프레임에 먼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마이페이지(MyPage)를 운영하여, 사용자로부터 마이페이지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페이지에 대해 "번역제안"과 "오류제안" 등으로 구성하고, 사용자로부터 미국,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외국 법제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해당 국가 언어로 자동 번역한 번역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번역어가 사용될 때, 사용자가 올바르다고 생각되는 번역어를 입력하여 재검색을 할 수 있고, "번역제안"을 통해 그 오류를 수정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나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불편한 점이나 시스템 상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오류제안"을 통하여 다양한 제안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인터페이스부(310), 정보지도 서비스부(320),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정보 서비스부(340), 민원정보 서비스부(350) 및 서비스 제어부(360) 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10)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형태로 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기능과,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결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인터페이스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받고,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결과를 화면 상에 있는 각각의 프레임에 출력한다.
물론,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정보지도 서비스부(320)는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인터페이스부(310)의 화면 상에 있는 하나의 프레임, 예컨대, 제1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한다.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화면 상에 있는 예컨대, 제2 프레임에 제공한다.
동향 정보 서비스부(340)는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예컨대, 제3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민원정보 서비스부(350)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예컨대, 제4 프레임에 제공한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 상에 각각의 프레임의 배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배치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배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각각의 프레임을 선택된 배치 메뉴에 따라 화면 상에 각각 배치하여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배치 메뉴는 각각의 프레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메뉴와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메뉴를 포함하고, 서비스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삭제 메뉴가 선택되면, 각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고 나머지 프레임을 재배열 하며, 생성 메뉴가 선택되면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여 각각의 프레임과 함께 화면 상에 재배열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지도 서비스부(320)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정보 서비스부(340) 및 민원정보 서비스부(350)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얻기 위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 기능을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지도 서비스부(320)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정보 서비스부(340)가 관련어를 추출하는 방식은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또한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법령, 판례, 논문, 민원 정보에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출하는데, 이때 '관련어'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로 검색한 결과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검색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용어를 선정한 것이다. 이러한 관련어가 필요한 이유는 수많은 검색결과에서 사용자가 찾으려는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검색된 결과의 분류가 필요하고 관련어로 분류한 경우에 좀 더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가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때,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서비스 제어부(360)는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정보지도 서비스부(320)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 정보 서비스부(340) 및 민원 정보 서비스부(350)에 전달하여, 정보지도 서비스부(320)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 정보 서비스부(340) 및 민원 정보 서비스부(350)가 새로운 검색어로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를 각각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법령 서비스부와 판례 서비스 및 논문 서비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법령 서비스부는 법령에 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판례 서비스부는 판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논문 서비스부는 논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논문 서비스부는 논문에 관한 전문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임의의 전문가 선택 시 해당 전문가에 대한 주제어 관련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논문 서비스부는 검색어 및 관련어에 대해 각 국가별 국가법제지도 등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논문” 서비스 내에 “국가법제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국가법제지도는 관련어 또는 국가명으로 논문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사용자가 국가법제지도를 클릭하면 검색어 및 관련어를 XY축으로 나타내고 국가명을 나타낸다. 이때, XY축에 나타낸 관련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찾으려는 검색어에 대하여 독일이 존재하면 그 국가명을 클릭해서 관련 논문을 볼 수 있다. 만일, 그 논문이 TEXT 형식이라면 왜 그 논문이 검색어에 대하여 독일에 관련되어 있다고 선택했는지 근거가 되는 문장을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논문을 다 읽어보지 않아도 검색어와 독일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논문의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자동으로 한 논문에서 주제어를 추출하는 기능이 있으며, 그 주제어를 모아서 분석함으로써 일정 주제에 대하여 특정 전문가가 연구를 많이 하였다는 추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후 상단 메뉴에서 "논문"을 클릭한 후 화면 왼쪽 하단의 전문가 서비스에 표시된 인명을 클릭하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해당 인명을 전문가로 선정한 이유와 관련 논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법령, 판례, 논문, 민원 정보에서 자동으로 연도별 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법령의 시행일, 판례의 선고일, 논문의 게재일, 민원의 신청일을 기준으로 연도별 구분하여 그래프로 제시하여 해당 검색어에 대하여 시간적 흐름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그래프를 클릭하면 해당 연도의 내용만 재검색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 형태의 법률 정보 사이트(가)를 제공하고, 법률 정보 사이트의 웹페이지 상에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도록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한다(S410).
이때, 법률 정보 사이트는 도 5의 (나)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검색어 입력란을 화면 상에 제공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 입력란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420).
이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에 따라 각각 제공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S430).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에 따라 각각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배치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를 각 프레임마다 실행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한다(S440).
즉,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예를 들면, '항공운송'이란 검색어에 대해 제1 쓰레드를 통해 정보 지도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에 제공함과 더불어, 제2 쓰레드를 통해 다차원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2 프레임에 제공하며, 제3 쓰레드를 통해 동향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제3 프레임에 제공하며, 제4 쓰레드를 통해 판례 DB 등으로부터 검색어가 포함된 법률 조문을 획득하여 제4 프레임에 제공하거나, 제5 쓰레드를 통해 법령 DB 등으로부터 검색어가 포함된 법률 조문을 획득하여 제5 프레임에 제공하거나, 제6 쓰레드를 통해 논문 DB 등으로부터 검색어가 포함된 논문 정보를 획득하여 제6 프레임에 제공하거나, 제7 쓰레드를 통해 행정문헌 DB 등으로부터 검색어가 포함된 행정문헌 정보를 획득하여 제7 프레임에 제공하거나, 제8 쓰레드를 통해 이용자 가이드 정보를 제8 프레임에 제공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에 근거한 각각의 법률 정보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각각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정보지도 서비스부(320)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330), 동향정보 서비스부(340) 등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추출하기 위해,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또한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한다.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가 정보 지도 서비스인 경우에, 입력받은 '항공운송'이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제1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가 다차원 정보 서비스인 경우에, '항공운송'이란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2 프레임에 제공한다.
이때,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다차원 정보 서비스를 실행한 상태에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 등을 각각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가 동향 정보 서비스인 경우, '항공운송'이란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제3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로 제4 쓰레드를 통해 판례 DB로부터 '항공운송'이란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문헌 정보를 획득하여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로 제5 쓰레드를 통해 법령 DB로부터 '항공운송'이란 검색어가 포함된 법령문헌 정보를 획득하여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로 제6 쓰레드를 통해 논문 DB로부터 '항공운송'이란 검색어가 포함된 논문문헌 정보를 획득하여 도 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로 제7 쓰레드를 통해 행정문헌 DB로부터 '항공운송'이란 검색어가 포함된 행정문헌 정보를 획득하여 도 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 정보 서비스의 하나로 제8 쓰레드를 통해 이용자 가이드 정보를 도 7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프레임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또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각 서비스 창들을 "통합검색옵션"을 통해 ON/OFF 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각 서비스 창의 파란색 부분을 클릭해서 손을 떼지 않고 움직이도록 하여 각 서비스 창의 위치를 사용자 취향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상단 메뉴에서 "행정문헌"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가지식포털과 대한민국전자정부가 보유한 자료에 대한 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자동으로 국가지식포털과 대한민국전자정부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법령, 판례에 한하여 미국,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법제정보도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자동으로 번역하여 각 국가의 기관과 단체에 전송하며, 해당 기관과 단체의 보유자료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로서 검색어에 근거한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 동향 정보 서비스, 행정문헌 서비스 및 민원정보 서비스 등을 각각의 프레임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해 각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서 이동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화면이동 메뉴(810)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원하는 프레임을 선택하여 이동하기 위해 화면이동 메뉴를 하나 이상의 프레임과 함께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이동 메뉴(810)를 통해 곧바로 원하는 프레임 화면을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을 선택 및 이동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시켜 재배열 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130)은 전술한 정보지도 서비스와 다차원정보서비스, 동향정보 서비스 이외에 법령 서비스(820), 판례 서비스(830), 논문 서비스(840), 민원 서비스, 행정문헌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법령 서비스(820)는 검색어에 대한 국내외 법률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국내외 법령 DB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 미국,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기관과 단체의 웹페이지를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검색어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검색을 실행하며, 그 검색결과에서 관련어를 최대 10개까지 추출하여 제시하고 연도별 법령추이도 제시할 수 있다.
판례 서비스(830)는 검색어에 대한 국내외 법률을 찾기 위해 사용하며, 국내외 판례 DB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 미국,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기관과 단체의 웹페이지를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검색어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검색을 실행하며, 그 검색결과에서 관련어를 최대 10개까지 추출하여 제시하고 연도별 판례추이도 제시할 수 있다.
논문 서비스(840)는 검색어에 대한 국내 법학논문을 검색하여 제공하며,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최대 10까지 추출하고 연도별 논문의 동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검색어에 대한 전문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논문 내용에서 국가별 정보를 추출하여 국가법제지도 서비스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에 대해 미국의 경우를 언급한 논문을 찾고 싶다면 "국가법제지도"를 클릭하여 미국을 선택하면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고, 관련 전문가를 찾을 경우 좌측의 "전문가" 명단을 클릭하여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련어문장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논문 전체를 읽지 않고서도 검색어가 포함된 문장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검색어가 포함된 문장을 자동으로 추출하며, 논문에 특정 국가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국가정보를 원그래프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손해배상에 대하여 논문에 해당 문장이 있으면 그 문장을 추출하고 그 문장에 미국, 영국, 독일 등 특정 국가가 언급되어 있으면 그 국가를 원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논문을 읽지 않고서도 논문에서 어떤 나라를 주로 다루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국가법제지도" 서비스에서는 논문의 내용에서 추출한 국가명과 관련어를 XY그래프로 나타내어 제시한다. 검색어와 관련어를 바꾸어가며 해당 국가를 언급하고 있는 논문을 찾을 수 있고, 논문의 원문이 있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문장단위로 잘라서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다. "전문가" 서비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자동으로 추출한 주제어를 중심으로 논문을 많이 쓴 인명 정보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주제어를 세분화하여 제시함으로써 부적절한 전문가 정보를 전달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사용자가 그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해배상의 전문가로 제시되어 클릭했는데, 해당 인명의 주제어 순위에서 손해배상이 11번째 정도에 불과하다면 해당 인명은 다른 연구자보다는 손해배상의 연구를 많이 하였지만 해당 인명의 전체 연구 관심사 중에 손해배상 분야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손해배상 주제어가 상위에 있지만 손해배상을 클릭하여 제시된 논문의 면면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해배상에 대한 전문가가 아닐 수 있다는 고려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단순히 일정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가 많다고 하여 전문가로 선정하지 않는다. 개별 논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주제어라고 선정한 논문의 수가 많아야 전문가로 선정되기 때문에 어떤 분야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주제어로 선정할 용어가 없어서 전문가 정보가 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민원 서비스는 국민신문고 등 정부부처로 제기된 민원 중 민원인이 공개한 내용을 대상으로 검색결과를 제시하고 관련어 추출 및 연도별 동향을 제공할 수 있다. 민원정보는 2002년 이후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클릭하면 정부부처의 답변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행정문헌은 국가지식포털, 대한민국전자정부, 국회의안정보가 보유한 정보 중에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국가지식포털, 대한민국전자정부, 국회의안정보 DB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법제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취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국가별 검색 결과 정보를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함과 더불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며, 그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에 대해 각 분야별 특정 정보 서비스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개별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분야별 검색 결과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에 대해 단순한 자료 검색 수준을 넘어서 자료의 동향과 분석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 배치한 화면에 따라 모두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30 :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310 : 인터페이스부
320 : 정보지도 서비스부 330 :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340 : 동향정보 서비스부 350 : 민원정보 서비스부
360 : 서비스 제어부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프레임 내에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Thread)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시키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배치 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쓰레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자신에게 대응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초기에 제공하고, 상기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며,
    다른 하나의 쓰레드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관련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관련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나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결과를 화면 상에 있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는 정보지도 서비스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민원정보 서비스부;
    를 포함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 상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의 배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배치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상기 각각의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배치 메뉴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각각 배치하여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메뉴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하나의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메뉴와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삭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각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고 나머지 프레임을 재배열 하며, 상기 생성 메뉴가 선택되면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과 함께 화면 상에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얻기 위한 특정 기능을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할 때, 상기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 정보 서비스부에 전달하여,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민원 정보 서비스부가 상기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를 각각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지도 서비스부와 상기 다차원 정보 서비스부 및 상기 동향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9. (a)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도록 검색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검색 입력 화면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특정 서비스에 따라 각각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를 실행하여, 실행한 결과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근거해 논문이나 판례, 법령, 민원 등에 대한 각 검색 결과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에 시각적인 세계 지도 형태의 정보 지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재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새로운 검색어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정보 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와 동향 정보 서비스와 민원 정보 서비스를 각각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판례, 법령, 논문, 민원 등의 국내 정보에 대한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는,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민원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이 포함된 해당 민원 정보를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특정 법률정보 서비스로 상기 검색어에 근거한 정보지도 서비스와 다차원 정보 서비스, 상기 동향 정보 서비스 및 상기 민원정보 서비스를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해 상기 각각의 프레임을 화면 상에서 이동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치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100085017A 2010-08-31 2010-08-31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0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7A KR101200367B1 (ko) 2010-08-31 2010-08-31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7A KR101200367B1 (ko) 2010-08-31 2010-08-31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11A true KR20120021011A (ko) 2012-03-08
KR101200367B1 KR101200367B1 (ko) 2012-11-14

Family

ID=4612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17A KR101200367B1 (ko) 2010-08-31 2010-08-31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8324A (zh) * 2014-12-11 2015-03-11 云南师范大学 基于d-s证据理论的多传感器信息融合方法
KR101664454B1 (ko) 2015-06-23 2016-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KR101886007B1 (ko) * 2017-11-21 2018-08-06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0145557A1 (ko) * 2019-01-08 2020-07-16 캣벨컴퍼니 주식회사 법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법안 모니터링 방법
KR102540944B1 (ko) * 2022-12-16 2023-06-07 (주)유알피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문서관리 및 통합 검색 지원 디지털 콘텐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26B1 (ko) 2014-07-17 2016-02-01 주식회사 에프에스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KR102009649B1 (ko) 2018-08-21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9651B1 (ko) 2018-09-13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관련 법령범위가 전산적으로 설정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0546B1 (ko) 2018-09-20 2019-07-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위법령과 하위법령의 개별 조항간 직계여부를 전산적으로 설정하여 건축규정 법령을 매핑시키는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6722A (ko) 2021-11-24 2023-05-3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법률정보 검색 장치
KR102526211B1 (ko) 2023-01-17 2023-04-27 주식회사 코딧 입력된 법률문서 혹은 국회문서에 대하여 유사한 법률문서 혹은 국회문서를 추출하는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8324A (zh) * 2014-12-11 2015-03-11 云南师范大学 基于d-s证据理论的多传感器信息融合方法
CN104408324B (zh) * 2014-12-11 2017-06-13 云南师范大学 基于d‑s证据理论的多传感器信息融合方法
KR101664454B1 (ko) 2015-06-23 2016-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KR101886007B1 (ko) * 2017-11-21 2018-08-06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9103220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인텔리콘연구소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0145557A1 (ko) * 2019-01-08 2020-07-16 캣벨컴퍼니 주식회사 법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법안 모니터링 방법
KR102540944B1 (ko) * 2022-12-16 2023-06-07 (주)유알피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문서관리 및 통합 검색 지원 디지털 콘텐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367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67B1 (ko)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064028B2 (en) Custom rendering of webpages on mobile devices
CA2702651C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documents
Jürgens et al. Espacenet, Patentscope and Depatisnet: A comparison approach
US1014036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JPH05128157A (ja) 文書検索装置
Hamborg et al. Matrix-based news aggregation: exploring different news perspectives
KR100885945B1 (ko) 지능형 자동인식 툴바 검색 방법 및 검색 시스템
US20160162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90119283A1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and Enhancing Electronic File Searching
JP5185402B2 (ja) 文書検索装置、文書検索方法、及び文書検索プログラム
JPWO2007046445A1 (ja) 検索装置及び検索方法
JP200707259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Eisenstein et al. Topicviz: Semantic navigation of document collections
KR20140110214A (ko) 의료질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eepanasseril PubMed alternatives to search MEDLINE: an environmental scan
Niu Faceted search in library catalogs
Bainbridge et al. Interactive context-aware user-driven metadata correction in digital libraries
JP201221239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3250703A (ja) 地域情報伝達システム
KR100839619B1 (ko)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
KR20100117837A (ko) 결과를 비주얼 및 가상화면으로 출력 및 조작하는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041A (ko) 인터넷 검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결과를 화면에 제공하는 방법
Kimball The GeoRef database: A detailed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ree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