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912A -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912A
KR20120020912A KR1020100084844A KR20100084844A KR20120020912A KR 20120020912 A KR20120020912 A KR 20120020912A KR 1020100084844 A KR1020100084844 A KR 1020100084844A KR 20100084844 A KR20100084844 A KR 20100084844A KR 20120020912 A KR20120020912 A KR 2012002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ax
tax invoice
irs
repor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489B1 (ko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4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매출처로부터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매출처로 비용 지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출처로부터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국세청 인증을 통하여 전자 세금계산서의 진위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허위 발행 또는 전산 오류로 미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원천 봉쇄 및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금융사고를 차단하여 매입처의 금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TAX INVOICE BASED ON NATIONAL TAX SERVICE}
본 발명은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지불 시 국세청으로의 신고 조회를 통해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비용 지급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세금계산서는 매출처에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때에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매입처로 교부하는 세금영수증이다. 부가가치세법은 납세의무자로 등록한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때에는 거래시기(供給時期)에 부가가치세법 제16조의 법정사항을 기재한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국세청에서는, 2010년 1월 1일부터 기업의 납세협력비용을 절감하고 사업자간(B2B)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자 세금계산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전자 세금계산서는 기존에 종이로 발행되어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매출처와 매입처 간에 주고받게 돼 있는 세금계산서를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거래방식이다.
이러한 전자 세금계산서 제도에 따르면 공급자(매출처)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부터 표준인증을 받은 자체 발행시스템 구축사업자(ERP) 또는 세금계산서 중계사업자(ASP) 등의 대용량 연계대상사업자 등을 통하여 공급받는자에게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또한 대용량 연계대상사업자는 전자 세금계산서를 국세청에 전송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출처 서버(100)는 매입처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 가능하며, 국세청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 또는 연동된 경우로서, 매출처 서버(100)에서는 기 구축된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사업자를 통해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는 매입처 서버(200)로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게 된다(S102). 이에 매입처 서버(200)에서는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승인 응답을 매출처 서버(100)로 전송한다(S104).
그리고 매출처 서버(100)는 기 설정된 기한 내로 국세청 서버(300)에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하게 된다(S106).
이후, 매입처 서버(200)의 지출 시스템(220)에서는 금융기관을 통한 인터넷 뱅킹 등을 통해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별다른 확인 없이 해당 비용을 매출처 서버(100)로 지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출처와 매입처 간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식에 있어서는, 매출처에서 매입처로 전자 세금계산서를 교부한 후 즉시 국세청에 전송함을 원칙으로 하되,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15일까지는 국세청에 전송되어야 한다.
전자 세금계산서의 교부시점과 국세청의 전송시점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실제로 전자 세금계산서의 국세청 전송시점은,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과 동시에 국세청에 전송하는 경우, 매입처의 전자 세금계산서 승인 이후 국세청에 전송하는 경우, 전자 세금계산서의 발행 이후 일정한 시간 지난 후 자동 전송의 3가지 경우 등이 있으며, 이는 매출처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매입처 입장에서는 매출처가 국세청에 대한 전자 세금계산서의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실제 거래를 뒷받침하는 전자 세금계산서인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공급자로의 비용을 지출할 수 있다.
즉, 비용 지급 전 허위 혹은 무효증빙을 토대로 비용 지출이 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것으로, 실제 존재하지 않는 거래를 대상으로 무효인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 발생한 거래의 거래처, 금액 등을 변경하여 지급내역을 부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입처 즉, 기업의 입장에서 교부 받은 전자 세금계산서의 진위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 할 수 없기 때문에 거래마다 사전에 모든 금융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지불 시 국세청으로의 신고 조회를 통해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비용 지급을 수행할 수 있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유정보를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ing)방식으로 국세청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신고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 비용 지급을 수행할 수 있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매출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확인 시스템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상기 매출처 서버로 지급하는 지출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시스템은, 매주, 매일, 매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된 주기대로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는 XML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시스템은,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유 정보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또는 계산서 발행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는, 국세청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 국세청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출 시스템은,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인 경우,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한 매출처 서버로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매출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상기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상기 매출처 서버로 지급하는 과정을 포함 한다.
그리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매주, 매일, 매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된 주기대로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전자세금계산서는 XML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유 정보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또는 계산서 발행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는, 국세청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 국세청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급하는 과정은,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비신고 전자 세금계산서인 경우,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한 매출처 서버로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매출처로부터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국세청 인증을 통하여 전자 세금계산서의 진위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허위 발행 또는 전산 오류로 미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원천 봉쇄 및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금융사고를 차단하여 매입처의 금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의 처리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의 처리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입처 서버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지불 시 국세청으로의 신고 조회를 통해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비용 지급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유정보를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ing)방식으로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신고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의 처리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
매출처 서버(100) 및 매입처 서버(200)는 서로 간에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국세청 서버(300)와도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 또는 연동된 경우로서, 매출처 서버(100)에서는 기 구축된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사업자를 통해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는 매입처 서버(200)로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게 된다(S202).
이때, 매입처 서버(200)는 이메일 방식으로 XML형태의 표준화된 전자 세금계산서가 첨부되어 송부받을 수 있다.
이에 매입처 서버(200)는 매입처 서버(200)로 발행되어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승인 응답을 매출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204). 여기서 매입처 서버(2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승인 응답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매출처 서버(100)는 기 설정된 기한 내로 국세청 서버(300)에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하게 된다(S206). 구체적으로 매출처 서버(100)에서의 전자 세금계산서를 국세청 서버(300)에 전송하는 시점은,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함과 동시에 국세청 서버(300)에 전송하는 경우, 매입처 서버(200)로부터 전자 세금계산서 발생에 대한 승인 이후 국세청 서버(300)에 전송하는 경우 및 전자 세금계산서의 발행 이후 일정한 시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국세청 서버(300)에 전송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이는 매출처 서버(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매입처 서버(200)는 매출처 서버(100)로부터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자 세금계산서 확인 시스템(240) 내에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구성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고유 정보를 스크린 스크래핑 기술을 이용하여 국세청 서버(300)로 전송하며, 신고 조회 즉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가 매출처 서버(100)를 통해 신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08).
추후 국세청 서버(300)로부터 신고 조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며, 이를 토대로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가 국세청 서버(300)에 신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매입처 서버(200)의 지출 시스템(220)에서는 국세청 서버(300)로부터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금융기관을 통한 인터넷 뱅킹 등으로 매출처 서버(100)에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게 된다(S2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입처 서버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입처 서버(200)는 지출 시스템(220) 및 전자 세금계산서 확인 시스템(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세금계산서 확인 시스템(240)은 국세청 서버(300)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등록 및 승인 확인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전자 세금계산서 등록부(242), 스크린 스크래핑부(244) 및 전자 세금계산서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세금계산서 등록부(242)는 매출처 서버(100)로부터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를 등록하게 되며, 등록된 전자 세금계산서는 전자 세금계산서 데이터베이스(25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스크린 스크래핑부(244)는 전자 세금계산서 데이터베이스(250) 내에 저장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국세청 서버(300)에 승인 조회를 요청할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국세청 조회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유 정보 추출부(246) 및 국세청 조회부(2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정보 추출부(246)는 전자 세금계산서 파일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XML 형태의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는 전자 세금계산서 화면 상에서 필요한 자료만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등에 대한 자료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유 정보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또는 계산서 발행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국세청 조회부(248)는 고유 정보 추출부(246)를 통해 추출된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300)에 접속한 후, 송부하여 전자 세금계산서의 신고 여부를 조회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국세청 서버(300)에 접속(예컨대, 로그인, 사용자 공인 인증 수행)한 후,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고유 정보를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국세청 서버(300)에서는 수신한 고유 정보에 대한 신고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된 결과를 국세청 조회부(248)가 전송받을 수 있다.
국세청 조회부(248)는 고유 정보 추출부(246)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예컨대, 매주, 매일, 매시 정각 등)로 전자 세금계산서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국세청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국세청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신고 조회 결과 정보는 1) 국세청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 2) 국세청에 신고 되지 않은 전자 세금계산서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과 같은 정보에 대해서는 지출 시스템(220)으로 전달하여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비용에 대한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국세청 서버(300)로부터 승인 조회 결과 2)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지출 시스템(220)으로 전달하여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비용에 대한 지급을 수행하지 않거나,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매출처 서버(100)로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지출 시스템(220)은 매출처 서버(100)로부터 발행 받은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는 것으로서, 지출 제어부(222) 및 지출 내역 데이터베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출 제어부(222)는 전자계산서 확인 시스템(240)의 국세청 조회부(248)로부터 조회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지출 내역 데이터베이스(224)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지출 제어부(222)는 각 매출처 서버로 지급할 비용 지급 예정 내역을 지출 내역 데이터베이스(224)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지출 제어부(222)는 지출 내역 데이터베이스(224)를 참조하여 사용자 설정 또는 지출 시스템(220) 내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지급 예정 내역들을 설정된 기한 내로 해당 매출처 서버(100)에 순서대로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출 제어부(222)는 국세청 조회부(248)로부터 조회 결과 중 미신고된 지급 예정 내역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매출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미지급 내역 정보는 지출 내역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행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 지불 시 국세청으로의 신고 조회를 통해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해서만 비용 지급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매출처 서버 200 : 매입처 서버
220 : 지출시스템 222 : 지출 제어부
224 : 지출내역 DB 240 : 전자 세금계산서 확인 시스템
242 : 전자 세금계산서 등록부 244 : 스크린 스크래핑부
246 : 고유정보 추출부 248 : 국세청 조회부
250 : 전자 세금계산서 DB 300 : 국세청 서버

Claims (14)

  1. 매출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확인 시스템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상기 매출처 서버로 지급하는 지출 시스템
    을 포함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시스템은,
    매주, 매일, 매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된 주기대로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는
    XML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시스템은,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
    상기 고유 정보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또는 계산서 발행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
    상기 신고 여부 결과는,
    국세청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 국세청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
    상기 지출 시스템은,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신고 여부 결과,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인 경우,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한 매출처 서버로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8. 매출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상기 고유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확인된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비용을 상기 매출처 서버로 지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매주, 매일, 매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된 주기대로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
    상기 수신한 전자세금계산서는
    XML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스크린스크래핑 방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신고 여부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
    상기 고유 정보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성 일자와, 일련번호, 승인 번호 또는 계산서 발행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
    상기 신고 여부 결과는,
    국세청에 신고된 전자 세금계산서, 국세청 미신고 전자 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
    상기 지급하는 과정은,
    상기 신고 여부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신고 여부 결과, 비신고 전자 세금계산서인 경우, 해당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한 매출처 서버로 지급 불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방법.
KR1020100084844A 2010-08-31 2010-08-31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8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44A KR101185489B1 (ko) 2010-08-31 2010-08-31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44A KR101185489B1 (ko) 2010-08-31 2010-08-31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12A true KR20120020912A (ko) 2012-03-08
KR101185489B1 KR101185489B1 (ko) 2012-10-02

Family

ID=4612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44A KR101185489B1 (ko) 2010-08-31 2010-08-31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26B1 (ko) * 2012-11-02 2015-01-05 웹케시 주식회사 지원금 정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1976B1 (ko) * 2021-08-13 2022-03-10 주식회사 유니포스트 실시간 매입전표 작성을 지원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71B1 (ko) 2004-09-30 2005-11-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상의 세금계산서 역발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26B1 (ko) * 2012-11-02 2015-01-05 웹케시 주식회사 지원금 정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1976B1 (ko) * 2021-08-13 2022-03-10 주식회사 유니포스트 실시간 매입전표 작성을 지원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489B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7911C1 (en) In-lane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20160328705A1 (en) Mediated conversion of cryptographic currency and other funding sources to gold
CN110100258A (zh) 用于处理来自用户车辆的数据消息的系统和方法
US201600050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a produ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CA242962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settling, printing and guaranteeing checks at a remote location
CA2584793A1 (en) Point-of-sale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 bill payment
US20150154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credits from third parties for redemption at member retailers
CN102365650A (zh) 一种安全的电子金融资金转账系统
CN110622189A (zh) 用于提供数字收据的高效方法和系统
KR102077714B1 (ko) 인증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 대리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14043A (ko) 계좌번호가 연동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주문 결제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685A (ko) 대금 지급 관리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116989B1 (ko) 면세점 구매 내역 기반의 실시간 사전 및 사후 인센티브 정산 시스템
KR101185489B1 (ko)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JP6494168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
KR20180026899A (ko) 온라인 사후 면세점의 세금 즉시 환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94623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CN112602103A (zh) 用于处理资金支出交易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US10515420B2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handling and stor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point-of-sale
KR20100103755A (ko) 매출금 선지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101423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processing
KR101590630B1 (ko) 공동구매 키 제공 방법
KR100486446B1 (ko) 계좌이체 거래에 따른 소득공제용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