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611A -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베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베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611A
KR20120020611A KR1020100084323A KR20100084323A KR20120020611A KR 20120020611 A KR20120020611 A KR 20120020611A KR 1020100084323 A KR1020100084323 A KR 1020100084323A KR 20100084323 A KR20100084323 A KR 20100084323A KR 20120020611 A KR20120020611 A KR 2012002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r
silage
bale
forag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680B1 (ko
Inventor
이인현
조남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to KR102010008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6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silage, e.g. upgrading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18Loading or distribu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베일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일측이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와, 베일러의 챔버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바닥부위에 컨베이어부를 노출하는 적재함부를 포함한다. 적재함부는 컨베이어부의 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난 후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컨베이어부 쪽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베일 시스템{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AND BALING SYSTEM}
본 발명은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인 베일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범용 베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일리지는 가축의 먹이가 되는 조사료작물을 저장한 것으로서, 기온의 영향을 적게 받고 영양 손실이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사일리지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많은 옥수수, 청보리, 총체벼 등과 같은 조사료작물에 적합하다. 특히, 옥수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청예 사료작물 중 생력 기계화에 적합하고 단위면적당 가소화양분총량(TDN)이 가장 높다. 조사료작물 중 볏짚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자급률이 떨어지고 있는 국내 실정에서는 조사료작물로서 옥수수가 적극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사일리지는 사일로에 저장하는 방식과 베일(곤포)로 형성하여 저장하는 방식이 있다. 사일로에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으나, 시설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사료를 가축에 급여시 공기접촉으로 부패가 쉽고 사이로에서 축사까지 이동시에도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각형이나 원통형으로 압축, 결속하고 나서 비닐로 감는 베일 사일리지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베일 사일리지의 제조에서는 작물의 영양 상태를 고려한 수확시점의 선택뿐만 아니라 베일 내에 공기의 유입이 최소화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유입된 공기는 저장 중 부패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료작물을 예를 들어 15mm 이내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베일장치가 이동하면서 작물을 절단 픽업하거나 지면에 놓인 작물을 픽업하는 이동식 보다는 미리 절단된 조사료작물을 베일장치로 공급하는 방식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유럽에서는 베일 제조기술이 매우 발달하여 베일 성형과 동시에 랩핑을 수행할 수 있는 베일러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럽에서 개발된 베일러는 주로 건초용으로 제작된 대형 베일러로서 국내에 많이 보급된 중형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견인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협소한 경작지가 많은 우리네 실정에는 부적합하다. 더구나 대형 베일 사일리지는 가축에 급여하고 남은 잔량 사일리지가 공기에 노출되어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 등에서 미리 절단된 조사료작물을 공급장치를 통해 베일러로 공급하는 사일리지용 베일 장치가 옥수수, 수수류 등 만 이용하는 전용기로 개발되어 이용이 한정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매우 복잡한 장치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농가 보급이 제한적이다. 더구나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장치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공급장치로 적재하기 위해 별도의 기계장치가 더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형 장치는 산지 등이 많고 평균 단위 경작지가 상대적으로 작은 국내 실정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구조는 대부분 공급컨베이어가 베일러에 붙박이로 고정되어 있어 옥수수 등 한작물만 사용하는 전용기로 짧은 기간만 이용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효율이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형 베일러에 적용할 수 있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일러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치된 베일러에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급 이송량을 조절함으로써 정량의 조사료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많은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서도 적재함부에 남겨지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부재의 고장이 최소화되어 동작신뢰성이 높은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결합된 베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일러에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장치는: 일측이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바닥부위에 상기 컨베이어부를 노출하는 적재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일측이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연결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챔버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과,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의 기어에 감김으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2개의 체인과, 상기 2개의 체인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열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지날 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적재함부 내에 수용된 조사료작물을 상기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체인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적재함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난 후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컨베이어부 쪽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회동을 위한 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부는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공급되는 조사료작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의 아래에는 밑으로 떨어지는 조사료작물을 받는 받이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는 외부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클러치이어서, 상기 베일러에 결합 시 베일러의 동작과 연동한다.
다르게는 상기 컨베이어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결합된 베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일반적인 베일러에 결합되어 정치식 베일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이용하므로 특히 경사지에서는 이동식에 비해 조사료의 손실을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평지에서는 옥수수 수확기와 이동식하면서 사일리지 베일러 작업도 가능토록 하였으며 특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료공급부를 착탈 후 베일러에 픽업장치를 부착하면 일반 목초, 볏짚, 청예작물 등 사료작물에 가동식으로 이용되는 베일러에 가능함으로써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베일러를 정치식과 이동식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는 범용의 베일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통상의 베일러에서 기존의 픽업장치 등의 위치에 그대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정량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공급 이송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서도 적재함부에 남겨지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적재함이 회동가능한 접이식(접자식)이어서 이동시에는 접은 형태로 이동이 가능하여 공간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일러 탈부착식이면서도 결합되는 베일러의 동작과 자동으로 연동이 이루어진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중형 베일러에 적합하고, 별도의 중대형 적재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공급장치를 채택하면 이동식 보다 월등한 작업량을 달성하면서도 조사료작물의 손실이 적고, 재배지의 지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재배현장에서 곧바로 사일리지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베일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로서, 적재함부의 접이식(접자식) 회동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고, 도 6c는 일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채용된 기어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서 일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후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기존의 이동식 베일러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정치식 베일 시스템으로 이용된다. 물론 베일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장치 및 베일 시스템은 베일러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보다 조사료작물의 손실이 적고 사일리지 제조에 더 효과적이다.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서도 특별한 적재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간편하다. 이러한 공급장치와 시스템은 기존 베일러를 이동식과 정치식의 범용 활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가 베일러(3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로서, 적재함부(120)의 회동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부(1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고, 도 6c는 일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에 채용된 기어축(11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도 1a 및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일러(3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30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예로 든 베일러(300)는 트레일러(미도시) 등에 견인되어 이동하면서 원형 베일을 생산할 수 있는 베일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베일러(300)는 크기가 대형, 중형, 소형 등 스틸, 벨트 타입 등 크기와 형식에 관계없이 모든 원형 베일러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베일러(3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은 견인 이동되어 곤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베일러에 결합되어 이동식 및 정치(定置)식으로 범용으로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컨베이어부(110)와 적재함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정치(定置)된 베일러(300)에 연결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적재함부(120)에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 컨베이어부(110)가 베일러(300)로 적합한 량의 작물을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부(110)는 그 일측(전단부)이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베일러(300)는,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챔버입구(E)를 통해 조사료작물이 유입되면 회전이송부(390)에 의해 챔버(340) 내로 도입되어 챔버(340) 내에서 원형(원통형) 베일로 형성된 후, 뒷문프레임(320)을 개방하여 배출한다. 계속적으로 챔버입구(E)를 통해 작물이 챔버(340) 내로 공급되고, 챔버(340) 내의 작물들이 회전하는 롤(330) 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서의 베일러(300)는 그 동작을 위한 동력을 외부장치, 즉 트레일러(미도시)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베일러(300)는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에 의해 견인되어 논이나 밭에서 이동하면서 베일을 형성(생성)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베일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치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후술되는 제2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베일러(300)는 기존에 장착되어 지면에 놓인 작물을 걷어 올리는 픽업장치 등이 제거되고, 그 대신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가 장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이미 구비하고 있는 베일러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베일러(300)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10은 앞프레임이고, 360은 히치를 나타낸다. 히치(360)는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 200)와의 연결에 이용되며, 이는 베일러(300)가 트레일러에 연결될 때 이용되던 요소이다. 또한 도면부호 350은 베일러의 바퀴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110)는 필요에 따라서 결합 가능한 모든 베일러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형 베일러에 적합한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컨베이어부(110)는 결합요소(119)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요소(119)는 예를 들어 기존의 픽업장치 등이 결합되는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베일러의 크기에 특별한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베일러들은 회전이송부(390)에 작물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오거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거 수단 외에도 챔버 앞에서 작물의 방향을 챔버입구(E)쪽으로 모아지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부(110)는, 도 6a 내지 6c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평판형 베이스판(1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판(111)은 후술되는 적재함부(120)의 바닥을 겸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판(111)의 길이방향의 전방과 후방에는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축(112)이 구비된다. 이들 기어축(112)의 양단부에는 기어(113) 또는 풀리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전후방의 기어(113) 또는 풀리에 체인(114) 또는 벨트가 챔버입구(E) 방향 쪽으로 무한회전을 하도록 감긴다. 체인(114) 또는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111)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인 제작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베이스판(11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프레임(122)으로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면에 비교적 미끄러운 소재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c에서는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된 것이다. 도 6c에서 체인(114)이 베이스판(111)의 상면과 상면 아래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양쪽 체인(114) 또는 벨트에는 다수개의 스크래퍼(115)가 연결된다. 스크래퍼(115)들은 그 양단부가 양쪽 체인(114) 또는 벨트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판(111)의 상면을 가로지르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시에 베이스판(111) 상에 놓인 작물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111) 상면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바(bar) 형태로 설치된다. 다수개의 스크래퍼(115)들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체인(114) 또는 벨트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된다. 따라서 스크래퍼(115)들이 베이스판(111)의 위와 아래에 모두 위치하게 되며, 회전 시에 베이스판(111)의 상면과 아래를 지나게 된다. 스크래퍼(115)들은 작물들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凹'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부(11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14)이 베이스판(111)의 양측단 부위로부터 소정거리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크래퍼(115)들의 휨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베이스판(111)과 적재함부(120)의 후술되는 측벽(121)들과의 경계부분에 있는 조사료작물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어축(112)은 베이스판(111)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2개 이외에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재함부(120)는 그 바닥부위에 상술한 컨베이어부(110)를 노출하도록 설치되며, 이렇게 컨베이어부(110)가 바닥부위에 노출됨으로써 적재함부(120)에 적재된 작물을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 이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재함부(120)는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설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도어(124)와 더불어 적재함부(120)와 챔버입구(E) 사이에 도입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 이송 및 공급되는 조사료작물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적재함부(120)는 상술한 컨베이어부(110)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측벽(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벽(121)은 조사료작물의 적재량을 늘이기 위해, 컨베이어부(110)의 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다시 상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로써 최대한으로 많은 양을 적재한 상태에서 베일러(300)에 계속적으로 조사료작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채용된 적재함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측벽(121)이 컨베이어부(110) 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벽(12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측벽(121)들이 모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부(110)의 베이스판(111)의 측면에 힌지요소(122)와 같은 회동결합요소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측벽(121)들의 회동을 위해 각각 실린더(126)를 구비한다. 이 실린더(126)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때, 이를 테면 마지막 단계에서 적재함부(120)에 적재된 조사료작물의 잔량을 컨베이어부(110) 쪽으로 모아주기 위해 실린더(126)를 가동하여 측벽(121)들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이식의 구성은 이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접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측벽(121)들은, 도시한 제1실시예에서는 각이진 모서리를 갖는 형태로서 양측으로 넓어진 폭 부위만큼 앞쪽 벽부위(123)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측벽(121)들이 라운드와 같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재함부(120)는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 공급되는 조사료작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124)는 상술한 앞쪽 벽부위(123) 사이에 설치된다. 도어(124)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공급되는 조사료작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결합된 베일러(300)의 처리 용량에 따라 공급되어야 하는 조사료작물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적정량 보다 많은 양이 공급될 경우에는 챔버입구(E) 앞에서 조사료작물이 적체 될 것이고, 적정량 보다 적은 양이 공급될 경우에는 베일 성형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도어(124)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부(110)의 도입부분의 측면에 설치되는 양측 가이드벽(125)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끼임 결합되는 방식을 채택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컨베이어부(110) 아래에는 밑으로 떨어지는 조사료작물을 받기 위한 받이부를 구비한다. 받이부는 컨베이어부(110)의 체인(114)의 위치 등에서 일부 밑으로 낙하는 조사료작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ㅗ' 형 고정구(127a)를 다수개 배치하고, 그 사이에 판재(127b)들을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110) 도입부분에는 적재함부(120) 외부로 베이스판(111)이 노출연장되어 베일러(300)에 결합된다. 이 도입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벽(125)이 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설치된다. 가이드벽(125) 사이에는 가로대(12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가로대(128)에는 베일러(300)와의 결합을 위해 베일러(300)의 히치(360)가 연결된다. 또한 가로대(128)에는 외부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요소로서, 기어박스(131), 축(132) 등을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장치는 트레일러일 수 있다. 트레일러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은 기어박스(131), 축(132), 기어(134, 135, 117), 체인(136) 등에 의해 컨베이어부(110)의 기어축(112)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동력전달요소에는 전자클러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클러치(133)는 베일러(300)의 동작과 연동하도록 베일러(300)의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자체에 베일러(300)로부터 동작에 관한 전기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전자클러치(133)가 그 제어를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클러치(133)는 베일러(300)의 작동 개시와 함께 컨베이어부(110)가 동작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고, 하나의 베일이 완성되어 베일러(300)가 그를 배출하는 동안에는 동력을 끊어서 컨베이어부(11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견인 이동을 위한 바퀴(141, 142)를 구비한다. 특히, 바퀴(141, 142)들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와 같은 견인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링크부(143)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이동 시를 제외하고 베일러(300)와 연결되어 공급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발(144)을 구비할 수 있다. 바퀴(142)와 고정발(144)은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철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공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고정발(144)을 펴고 바퀴(142)를 접기 위해 공급장치(100)의 후방쪽을 들어 올리는 유압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서 일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a 및 1b에 도시된 베일러(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일 성형을 위한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같은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는 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는 컨베이어부(210)와 적재함부(2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부(2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관한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일러(30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기존의 베일러(300)의 픽업장치 등을 탈거한 후 그 부위에 컨베이어부(210)의 전단 부위를 연결함으로써 결합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적재함부(220)는 컨베이어부(210)의 일부분에 조사료작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적재함부(220)의 바닥 부위에는 컨베이어부(210)의 요소이기도 한 베이스판(211)이 위치된다. 이 베이스판(211)의 양측단부에 적재함부(220)의 측벽(221)이 연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량을 최대한 늘이기 위해 측벽(221)은 베이스판(21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측벽(221)의 하부 부위는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컨베이어부(21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인(214)이 베이스판(211)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판(211)의 상부과 하부를 감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판(211)의 전단과 후단 부위에는 기어축(212)이 각각 배치되고, 기어축(212)에 두쌍의 기어(213)가 전단과 후단 부위의 기어축(212)에 설치된다. 이 기어(213)에 체인(214)이 각각 감기게 되어 베이스판(211)의 상부와 하부를 감는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체인(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크래퍼(215)가 연결된다. 이 스크래퍼(215)들은 마찬가지로 베이스판(211)을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스크래퍼(215)들은 베이스판(211)의 상면에 밀착되어 적재함부(220) 내에 수용된 조사료작물을 베일러(300)로 이송시키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체인(214)은 각각 양측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판(211)의 해당 부위에는 홈이 마련되어 베이스판(211)의 위에 배치되는 체인(214) 부분은 그 홈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를 취한다. 결과적으로 양 체인(214)은 스크래퍼(215)들의 양단부위가 아닌 안쪽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적재함부(220)의 측벽(221)과의 경계부분에 체인(214) 등의 배치를 위한 복잡한 구조가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되어, 측벽(221)과 베이스판(211)의 연결 등이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그 경계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조사료작물이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실시예의 상술한 스크래퍼(215)들은 그 경계부분을 비교적 잘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더욱이, 양단부가 체인에 결합된 기존의 스크래퍼들은 가운데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고 나면 그 부위에서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양 체인(214)이 중심부위에 가까이 접근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적재함부(220)의 회동구조를 채택하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잔량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으로 조사료작물의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트레일러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지만, 유압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을 채용한다. 즉, 유압실린더(234) 또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벨트, 체인, 및 기어(217) 등의 요소들을 통해 체인(214)이 감긴 기어축(2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234) 또는 유압모터의 RPM 제어를 통해 컨베이어부(2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실질적으로 강력한 파워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는 이동되는 방식보다는 정치되어 이용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간단한 구조의 유압식 동력전달 구성과 더불어서 컨베이어부(210)의 도입부분, 즉 적재함부(220)를 제외한 부위의 구조에 제약이 덜하게 되어, 기존 베일러의 부속 장치들을 개조하지 않고서 그대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부가 일반적인 판형 벨트(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형 벨트가 베이스판의 위와 아래를 회전하면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 200)는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형베일러에 최적인 구성을 가지게 되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국내와 같이 산지와 좁은 지형에 논과 밭이 많은 현실에서는 정치식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요긴하게 이용될 것이며,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이러한 국내 상황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게 되어 적재함부(120, 220)에 적재하기 위한 중형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무난한 보급 및 사용의 확대가 기대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20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110, 210: 컨베이어부 111, 211: 베이스판
112, 212: 기어축 113, 213, 117, 217: 기어
114, 214: 체인 115, 215 : 스크래퍼
116: 프레임 119: 결합요소
120, 220: 적재함부 121, 221: 측벽
122: 힌지요소 123: 앞쪽 벽부위 124: 도어
125: 가이드벽 126: 실린더 127a: 고정구
127b: 판재 128: 가로대 131: 기어박스
132: 축 133: 전자클러치 134, 135: 기어
136: 체인 141, 142: 바퀴 143: 링크부
234: 유압실린더 300: 베일러 310: 앞프레임
320: 뒷문프레임 330: 롤 340: 챔버
E: 챔버입구 360: 히치 390: 회전이송부

Claims (10)

  1. 베일러에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일측이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바닥부위에 상기 컨베이어부를 노출하는 적재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일측이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연결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챔버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과,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의 기어에 감김으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2개의 체인과, 상기 2개의 체인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열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지날 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적재함부 내에 수용된 조사료작물을 상기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체인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안쪽에 배치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난 후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컨베이어부 쪽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회동을 위한 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부는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공급되는 조사료작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아래에는 밑으로 떨어지는 조사료작물을 받는 받이부가 더 설치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외부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클러치이어서, 상기 베일러에 결합 시 베일러의 동작과 연동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10. 상기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결합된 베일 시스템.
KR1020100084323A 2010-08-30 2010-08-3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KR10121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323A KR101211680B1 (ko) 2010-08-30 2010-08-3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323A KR101211680B1 (ko) 2010-08-30 2010-08-3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611A true KR20120020611A (ko) 2012-03-08
KR101211680B1 KR101211680B1 (ko) 2012-12-12

Family

ID=4612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323A KR101211680B1 (ko) 2010-08-30 2010-08-3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6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77A1 (en) * 2015-07-31 2017-02-09 Orkel Development As Compactor for bulk material
CN108295984A (zh) * 2017-12-31 2018-07-20 贵州大学 一种水产饲料生产用多功能粉碎装置
KR102041486B1 (ko) * 2018-09-07 2019-11-06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EP3797579A1 (fr) * 2019-09-24 2021-03-31 Vincent Bourguet Module de bottelage stationna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484B1 (ko) * 2019-12-26 2021-10-29 주식회사 린도 건초 파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0327B2 (ja) 2006-07-04 2012-04-18 株式会社タカキタ 細断型ロールベーラ
JP4680137B2 (ja) 2006-07-07 2011-05-11 株式会社タカキタ 細断型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被成形材料の供給制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77A1 (en) * 2015-07-31 2017-02-09 Orkel Development As Compactor for bulk material
CN107848234A (zh) * 2015-07-31 2018-03-27 奥克尔发展股份公司 用于散装材料的压实机
US10814574B2 (en) 2015-07-31 2020-10-27 Orkel Development As Compactor for bulk material
CN108295984A (zh) * 2017-12-31 2018-07-20 贵州大学 一种水产饲料生产用多功能粉碎装置
KR102041486B1 (ko) * 2018-09-07 2019-11-06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EP3797579A1 (fr) * 2019-09-24 2021-03-31 Vincent Bourguet Module de bottelage stationn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680B1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680B1 (ko)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EP1372372B1 (en) A baler
KR101403857B1 (ko) 농업용 사각 베일러
US6199781B1 (en) Animal feed processor
CN110641761B (zh) 打捆系统
KR20160004128U (ko) 베일 형성을 위한 베일러
US20160286727A1 (en) Multi-conveyer silage cart and method for removing silage from the front end of same
CN106572638B (zh) 农产品打包机
CN105123132A (zh) 一种圆草捆捡拾车
US3952895A (en)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US4428707A (en) Round bale feeder
US7311040B2 (en) Cylindrical baling press
US3951288A (en)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KR101275736B1 (ko) 컨베이어 구조를 가지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US6431480B1 (en) Square bale processor
US4019644A (en)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KR200465117Y1 (ko)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AU647474B2 (en) A bale feeder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20110086333A (ko) 조사료 압축 및 결속 장치
KR101083826B1 (ko) 베일러
KR20110086486A (ko) 롤을 가지는 원형베일 성형장치
CA2282895C (en) Animal feed processor
US3966063A (en)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US11690323B2 (en) Agricultural baler with pivotable roll having external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