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857B1 - 농업용 사각 베일러 - Google Patents

농업용 사각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857B1
KR101403857B1 KR1020130059840A KR20130059840A KR101403857B1 KR 101403857 B1 KR101403857 B1 KR 101403857B1 KR 1020130059840 A KR1020130059840 A KR 1020130059840A KR 20130059840 A KR20130059840 A KR 20130059840A KR 101403857 B1 KR101403857 B1 KR 10140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y
unit
pickup
pick
pick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돈
조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102013005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57B1/ko
Priority to CN201410221861.2A priority patent/CN10417060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 A01D89/001Pick-up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 A01D89/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0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부의 폭보다 긴 길이의 건초를 미리 절단하지 않고 바로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부수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에 농기계와 연결하여 견인되도록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견인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건초를 걷어올리도록 설치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걷어 올려진 건초를 절단하여 베일챔버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베일챔버의 후방에 건초를 사각형상으로 압축하도록 설치하는 플런저로 구성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를, 구동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다수개의 픽업핑거를 가지는 핑거샤프트가 장착되는 캠트랙이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고, 상기 이송부의 외측벽에 픽업부에 의하여 픽업된 건초가 걸림되지 않도록 절개한 진입홀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사각 베일러{SQUARE BALER}
본 발명은 농업용 사각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한 곡물의 줄기, 건초 등을 집초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어 배출하는 사각베일러를 개선하여 긴 길이의 건초를 용이하게 집초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베일러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면서, 예초 되어 지면에 나열되거나 비산 되어 있는 건초(볏짚이나 사료용 초목, 알갱이의 수확인 끝난 옥수수대 등)를 수거하여 더미(Stack)로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일러는 건초를 수확하여 원통형상의 더미로 만드는 원형베일러와 건초를 수확하여 사각형상(육면체)의 더미로 만드는 사각 베일러로 구부되며, 특히 원형베일러의 경우에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상의 더미 외부에 랩으로 밀봉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랩핑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각 베일러의 경우에도 가축의 사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초를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고 있으나, 옥수수와 같이 작물의 알갱이 수확이 끝나고 남게 되는 굵고 딱딱하면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원형 베일러로는 작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사각 베일러를 이용해서도 실질적으로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도 5에 도시된 통상적인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사각 베일러(1)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에 견인되도록 프레임(2)의 전방에 견인부(3)가 구비되고, 상기 견인부(3)에는 농기계의 동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부(4)가 함께 구비된다.
프레임(2)의 전방 일측에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픽업부(5)가 구비되어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건초를 걷어올리도록 하고, 상기 픽업부(5)에 의하여 걷어올려진 건초는 픽업부(5)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송부(6)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면서 베일챔버(7)로 이송된다.
상기 베일챔버(7)로 이송된 건초는 동력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플런저(8)에 의하여 사각(육면체)형상으로 압축되며, 건초의 압축밀도는 베일챔버(7)내에 있는 인장바(Tension Bar)에 의하여 조절되며, 베일길이 측정휠에 의하여 베일의 길이가 조절되고 베일이 일정한 길이(크기)로 성형 되면 내부에 구비되는 결속장치에 의하여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결속할 때에는 결속상태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매듭장치(Twine Knotter)가 있고, 결속된 더미는 베일챔버(7) 후방으로 차례로 밀려나가 베일슈트(Bale Chute, 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제 10 - 1232873 - 0000 호 특허 제 10 - 0443654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74904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경우 픽업부의 폭이 2미터 이내이고, 양측에 픽업플레이트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건초를 픽업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건초를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결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벼, 보리, 밀 등과 같이 성장완료된 키가 1미터 전후인 경우에는 예초 후 건조되었을 경우에는 길이와 부피가 줄어들고 줄기 자체가 연질이기 때문에 별도의 절단작업 없이도 쉽게 압축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옥수수와 같이 키가 큰 작물의 경우 크게는 3미터 이상까지 자라고 성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곡물을 수확이 끝난 후 옥수수 대를 베어 건조한 상태에서도 성장한 상태의 길이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 경질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절단 또는 파쇄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옥수수 대의 길이가 픽업부의 폭보다 더 길기 때문에 픽업부에 의하여 베일러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와 같이 길고 경질의 건초를 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파쇄 또는 절단작업을 통하여 건초의 길이를 픽업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만든 상태에서 공급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베일러는 작업 전 별도의 절단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농업 기계화 또는 자동화 실현이 불가능하고,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긴 길의 건초를 절단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건초의 절단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것은 물론, 많은 먼지와 이물질에 의하여 호흡기질환과 절단과 파쇄에 따르는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의 절단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단장치나 파쇄장치를 구비하여야 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투자로 인한 농업 이익이 감소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에 농기계와 연결하여 견인되도록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견인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건초를 걷어올리도록 설치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걷어 올려진 건초를 절단하여 베일챔버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베일챔버의 후방에 건초를 사각형상으로 압축하도록 설치하는 플런저로 구성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를, 구동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다수개의 픽업핑거를 가지는 핑거샤프트가 장착되는 캠트랙이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고, 상기 이송부의 외측벽에 픽업부에 의하여 픽업된 건초가 걸림되지 않도록 절개한 진입홀을 형성하여;
픽업부의 폭보다 긴 길이의 건초를 미리 절단하지 않고 바로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부수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일러의 픽업부 폭보다 긴 길이의 건초도 용이하게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를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초를 예비작업을 통하여 절단 또는 파쇄하여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피로를 경감하고, 불필요한 설비와 장치를 중복 투자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농가의 일손을 도우면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도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도시한 B방향에서 본 측면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도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를 도시한 B방향에서 본 측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농업용 사각 베일러(100)는, 농기계와 연결하여 견인되도록 프레임(101)의 전방에 동력전달부(102)를 가지는 견인부(103))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 일측에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건초를 걷어 올리는 픽업부(105)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부(105)의 후방에는 걷어 올려진 건초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베일챔버(106)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07)를 설치하고, 상기 베일챔버(106)의 후방에는 건초를 사각형상으로 압축하는 플런저(108)가 설치되고, 상기 플러저(108)의 후방에는 사각형상으로 결속된 더미를 배출하기 위한 베일슈트(109)를 가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픽업부(105)를 개선하여 픽업부(105)의 폭보다 긴 길이의 건초를 바로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픽업부(105)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110)를 구동축(111)의 양측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다수개의 픽업핑거(112,113)를 가지는 핑거샤프트(114)가 장착되는 캠트랙(115)이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고, 이송부(107)의 외측벽(116) 또한 긴 길이의 건초가 픽업부(105)에 의하여 픽업되더라도 걸림되지 않도록 개략 <형상으로 절개한 진입홀(117)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플레이트(110)와 픽업핑거(112,113)의 전측 상부에 픽업부(105)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픽업되는 건초가 픽업부(105) 외부(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갈퀴(118)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포팅암(120)과 연결한다.
상기 서포팅암(120)은, 긴 길이의 건초가 픽업되는 데 지장이 없도록 개략 ⊂형상이 되도록 하단에 바퀴(121)를 장착하여 이송부(107) 방향으로 상향 되고 아웃플레이트(110)의 전,후측을 브라켓(122)으로 고정하여 로어바(123)를 구비한다.
상기 로어바(123)에는 선단에 수평갈퀴(118)의 외측단부를 갈퀴판(124)으로 연결하여 후미가 이송부(107) 방향으로 상향된 경사부(125)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125)의 후미는 로어바(123)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부(126)를 형성한 어퍼바(127)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로어바(123)와 어퍼바(127)가 분리된 상태에서 용접고정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로어바(123)와 어퍼바(127)가 밴딩과 절곡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어퍼바(127)의 전방과 픽업부(105)의 인플레이트(128)에는 픽업부(105)의 전방으로 하향된 가이드암(129)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암(129)에는 픽업되는 건초가 수평갈퀴(118)와 간섭되지 않고 픽업부(105)의 상측으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유도플레이트(130)를 고정한다.
상기 유도플레이트(130)는 어퍼바(127)와 인플레이트(128)에 고정된 가이드암(129)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바(131)에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개략 ∪형상을 유지하여 픽업되는 건초가 수평갈퀴(118)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32)의 후방으로는 픽업핑거(112,113)에 의하여 픽업되는 건초가 픽업부(105)의 상측과 수평갈퀴(118)의 후방으로 안전하게 유도하는 유도판(133)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유도판(133)은 픽업핑거(112,113)가 건초를 픽업할 때 닿이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픽업핑거(112,113)가 회전하는 반경보다 큰 라운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사각 베일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업용 사각 베일러(100)를 견인부(103)를 이용하여 농기계와 연결하고 동력전달부(102)를 통하여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픽업부(105)와 이송부(107), 플런저(108)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지로 이동한 후 농기계를 이용하여 농업용 사각 베일러(100)를 이동시키면 픽업부(105)에 의하여 지면에 위치한 건초를 픽업하여 걷어올리고, 픽업부(105)에 의하여 걷어 올려진 건초는 이송부(107)를 통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면서 베일챔버(106)로 피딩된다.
베일챔버(106)로 공급된 건초는 플런저(108)에 의하여 가압 되어 소정의 형상(직육면체)으로 만들어짐과 아울러 결속되어 배출되어 지는 동작은 이미 공개되어 주지된 사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아웃플레이트(110)의 크기를 축소 하고 이송부(107)의 외측벽(116)에 진입홀(117)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건초를 픽업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업부(105)의 외측부에 위치한 아웃플레이트(110)의 크기를 축소함과 아울러 이송부(107)의 외측벽(116)에 진입홀(117)을 형성함으로써 픽업부(105)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건초가 픽업핑거(112,113)에 의하여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걷어올려지게 되더라도 픽업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걷어 올려진 긴 길이의 건초의 일부는 이송부(10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픽업부(105)와 이송부(107)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송부(107)를 구성하는 피더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 절곡되면서 베일챔버(106)로 공급될 때 딸려 들어가는 형태로 공급되므로 미리 긴 길이의 건초를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 없이 바로 베일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긴 길이의 건초가 걷어 올려질 때에는 서포팅암(120)과 인플레이트(128)에 고정된 가이드암(129)으로 유지되는 유도플레이트(130)에 의하여 건초가 바로 수평갈퀴(118)로 상승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픽업부(105)의 후방을 통하여 이송부(107)로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이 또한 픽업을 용이하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된다.
즉, 건초가 픽업되면서 픽업핑거(112,113)와 수평갈퀴(118) 사이에 끼이거나 걸림되어 순조롭게 이송부(107)로 이송되지 못하고 적체되는 것을 유도플레이트(130)가 방지하게 되므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픽업부(105)를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110)와 수평갈퀴(118)가 건초를 픽업하는 과정에서 픽업되는 건초와 농업용 사각 베일러(100)의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픽업부(105)의 외측부위가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서포팅암(120)에 의하여 방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의 픽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시 서포팅암(120)의 경우, 지면과 연접되는 바퀴(121)를 장착한 로어바(123)가 아웃플레이트(110)를 브라켓(122)으로 연결하여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고, 일측이 인플레이트(128)에 고정된 수평갈퀴(118)와 유도플레이트(130)는 어퍼바(127)와 결합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건초를 픽업하여 베일링하는 과정에서도 픽업부(105)가 안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픽업부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건초도 용이하게 픽업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예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부수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농업용 사각 베일러 105; 픽업부
106; 베일챔버 107; 이송부
108; 플런저 110; 아웃플레이트
112,113; 픽업핑거 117; 진입홀
118; 수평갈퀴 120; 서포팅암
121; 바퀴 123; 로어바
127; 어퍼바 128; 인플레이트
129; 가이드암 130; 유도플레이트

Claims (4)

  1. 프레임의 전방에 농기계와 연결하여 견인되도록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견인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건초를 걷어올리도록 설치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걷어 올려진 건초를 절단하여 베일챔버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베일챔버의 후방에 건초를 사각형상으로 압축하도록 설치하는 플런저로 구성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를, 구동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다수개의 픽업핑거를 가지는 핑거샤프트가 장착되는 캠트랙이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고;
    상기 이송부의 외측벽에 픽업부에 의하여 픽업된 건초가 걸림되지 않도록 절개한 진입홀을 형성하여 픽업부의 폭보다 긴 길이의 건초를 미리 절단하지 않고 바로 픽업하여 사각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플레이트와 픽업핑거의 전측 상부에 픽업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갈퀴의 외측에는 아웃플레이트와 수평갈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포팅암을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암은, 하단에 바퀴를 장착하여 이송부 방향으로 상향 되고 아웃플레이트의 전,후측을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로어바와;
    선단에 수평갈퀴의 외측단부를 갈퀴판으로 연결하여 후미가 이송부 방향으로 상향된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후미는 로어바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부를 형성하여 상기 로어바의 후미와 연결되는 어퍼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의 인플레이트와 서포팅암을 구성하는 어퍼바에는 픽업부의 전방으로 하향된 가이드암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암에는 픽업되는 건초가 수평갈퀴와 간섭되지 않고 픽업부의 상측으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유도플레이트를 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사각 베일러.
KR1020130059840A 2013-05-27 2013-05-27 농업용 사각 베일러 KR10140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840A KR101403857B1 (ko) 2013-05-27 2013-05-27 농업용 사각 베일러
CN201410221861.2A CN104170600B (zh) 2013-05-27 2014-05-23 农业用方形压捆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840A KR101403857B1 (ko) 2013-05-27 2013-05-27 농업용 사각 베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857B1 true KR101403857B1 (ko) 2014-06-09

Family

ID=5113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840A KR101403857B1 (ko) 2013-05-27 2013-05-27 농업용 사각 베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3857B1 (ko)
CN (1) CN104170600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286B1 (ko) 2014-11-18 2015-03-30 권오묵 사각 베일러
CN104770143A (zh) * 2015-05-03 2015-07-15 张兴莲 打捆机防堵死捡拾器装置
KR20150144112A (ko) 2014-06-16 2015-12-24 주식회사 명성 베일러용 픽업유닛과 초퍼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결합장치
CN106304974A (zh) * 2015-12-18 2017-01-11 郭传轻 一种铲斗清秆机及装有该机的秸秆打捆机组
CN109511385A (zh) * 2018-11-26 2019-03-26 东北农业大学 一种钢辊式圆捆打捆机
KR102263267B1 (ko) * 2020-09-03 2021-06-10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랩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9726B (zh) * 2015-06-18 2016-08-3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侧牵引式棉秆拔秆压捆机
CN105519313B (zh) * 2015-12-25 2017-04-26 安徽苜邦农业装备有限公司 方捆式打捆机
CN106218941B (zh) * 2016-08-21 2018-09-18 哈工大机器人集团(广州)知识产权投资控股有限公司哈尔滨分公司 一种履带式码垛机器人
CN108834581A (zh) * 2018-07-17 2018-11-20 益文杰 一种高效率的农业秸秆打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54B1 (ko) 2002-08-01 2004-08-11 (주)광산엠.티.시 베일러의 진동감소기
KR20110011949A (ko) * 2009-07-29 2011-02-09 동조물산주식회사 목초 및 볏짚 수거용 원형베일러 로터의 목초 및 볏짚 감김 방지 장치
KR20120087708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러의 픽업장치
KR20120108330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아세아텍 농업용 콤비 베일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9276C2 (de) * 1998-07-01 2001-01-04 Krone Bernhard Gmbh Maschf Aufsammelpresse für landwirtschaftliches Erntegut
JP2001190148A (ja) * 2000-01-14 2001-07-17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
CN201518607U (zh) * 2009-09-29 2010-07-07 张延� 茎叶压捆机
TR201210346T1 (tr) * 2010-03-25 2013-01-21 Cnh America Llc Çekme tipi pamuk biçerdöveri ve balya makines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54B1 (ko) 2002-08-01 2004-08-11 (주)광산엠.티.시 베일러의 진동감소기
KR20110011949A (ko) * 2009-07-29 2011-02-09 동조물산주식회사 목초 및 볏짚 수거용 원형베일러 로터의 목초 및 볏짚 감김 방지 장치
KR20120087708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러의 픽업장치
KR20120108330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아세아텍 농업용 콤비 베일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112A (ko) 2014-06-16 2015-12-24 주식회사 명성 베일러용 픽업유닛과 초퍼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결합장치
KR101507286B1 (ko) 2014-11-18 2015-03-30 권오묵 사각 베일러
WO2016080684A1 (ko) * 2014-11-18 2016-05-26 권오묵 사각 베일러
US10188041B2 (en) 2014-11-18 2019-01-29 Oh Muk KWON Square baler
CN104770143A (zh) * 2015-05-03 2015-07-15 张兴莲 打捆机防堵死捡拾器装置
CN106304974A (zh) * 2015-12-18 2017-01-11 郭传轻 一种铲斗清秆机及装有该机的秸秆打捆机组
CN109511385A (zh) * 2018-11-26 2019-03-26 东北农业大学 一种钢辊式圆捆打捆机
KR102263267B1 (ko) * 2020-09-03 2021-06-10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랩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70600A (zh) 2014-12-03
CN104170600B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857B1 (ko) 농업용 사각 베일러
CN106358605B (zh) 高效能履带式捡拾打捆机及其草捆自动堆垛系统
US9439353B2 (en) Pull-type cotton harvester and baler
US20090017885A1 (en) Cro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2668808A (zh) 一种秸秆收获粉碎式压捆机
CN104996073A (zh) 秸秆收割、压缩、打包一体机
KR101384787B1 (ko) 베일러의 픽업장치
CN212013667U (zh) 不间断作业秸秆粉碎圆捆机
KR20080113535A (ko) 자주식 원형베일러
KR101507286B1 (ko) 사각 베일러
CN205336928U (zh) 一种收割机配套的秸杆打捆机
CN102763518B (zh) 背负式瓜籽联合收获机
CN113115645A (zh) 不间断作业秸秆粉碎圆捆机
CN206698742U (zh) 打捆机进料装置及玉米果穗秸秆联合收获机
CN203851481U (zh) 自行走玉米秸秆收割粉碎打捆一体机
US9003966B2 (en) Square baler with improved airflow past the knotters
CN111436275A (zh) 一种履带式构树收获打捆一体机
KR101338492B1 (ko) 베일러의 사료작물 오버로드 방지 시스템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CN201846614U (zh) 一种新型玉米收获机割台
CN217608412U (zh) 秸秆揉碎方捆打捆机
CN212306183U (zh) 一种秸秆饲料化捡拾加工设备
CN212544625U (zh) 一种履带式构树收获打捆一体机
CN218277860U (zh) 一种自走式茎穗兼收、打捆一体机
CN219087834U (zh) 一种玉米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