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310A -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310A
KR20120020310A KR1020100083856A KR20100083856A KR20120020310A KR 20120020310 A KR20120020310 A KR 20120020310A KR 1020100083856 A KR1020100083856 A KR 1020100083856A KR 20100083856 A KR20100083856 A KR 20100083856A KR 20120020310 A KR20120020310 A KR 2012002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pulley
electric motor
central axis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266B1 (ko
Inventor
기성훈
Original Assignee
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성훈 filed Critical 기성훈
Priority to KR102010008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2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5/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10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놀이기구의 베이스와 베이스 중심축;
베이스 중심축과 놀이기구 회전판을 연결하는 회전판 중심축;
회전판 중심축과 고정된 놀이기구 회전판;
놀이기구 회전판 위에 설치되는 수평부재 중심축;
양단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가 각각 배치되어 수평부재 중심축에 설치된 수평부재;
상기 의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가 인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평부재에 구비되는 구동부재, 구동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수평부재에 배치되는 발전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이용한 전동기의 회전력을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link work)와 제1 전동기와 수평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제1 전동기의 회전력을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를 이용해 시소운동으로 변환하여, 수평부재를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놀이기구;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감속 기어가 포함된 제2 전동기;
상기 제2 전동기의 회전력을 회전판 중심축에 전달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중심축과 놀이기구 회전판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에 의해 시소운동과 회전 운동으로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이나 상용 전력에 의해 움직이는 회전식의 놀이기구를, 구동부재 및 발전기,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link work), 회전부재에 의한 자가 발전에 의해 놀이기구를 구동시킴으로 탑승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인력에 의해 전기가 발생 되고,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배터리)에 저장하여 놀이터의 가로등 및 놀이터에 부속된 공용 화장실의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환경을 보호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Ride capable of moving round and also up and down by self-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놀이터에는 아이들이 타고 놀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대부분은 아이들의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된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아서 놀이기구를 타고 장시간 자신의 에너지를 소비하며 놀이를 즐긴다.
이러한 놀이기구에 소비되는 아이들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 가능한 흥미로운 놀이기구를 제작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시킬 수도 있어 탑승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는 회전판을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 놀이기구 회전판 위에 고정된 수평부재 중심축; 양단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가 각각 배치된 수평부재; 상기 의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가 인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평부재에 구비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평부재에 배치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감속기어가 포함된 제1 전동기; 상기 전동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link work)를 이용하여 수평부재를 시소 운동으로 작동시키는 링크장치(link work)와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놀이기구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가 포함된 제2 전동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페달과 크랭크축과 제1 풀리;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된 제2 풀리;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는 제2 풀리가 회전할 때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 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소리나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 및 발광 가능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된 전기를 축전지(배터리)에 저장하여 놀이터의 가로등의 전력이나 공용 화장실의 전력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에 의하면,
첫째, 수동으로 움직이는 어린이 놀이터의 회전식 놀이기구를 구동부재 및 발전기에 의한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탑승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둘째, 구동부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풀리와 밸트, 페달, 페달 크랭크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셋째, 인력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고, 구동부재 및 발전기는 폐자전거 및 폐자동차,폐가전의 부품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넷째, 발생된 전기로 음향 출력부에서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여 탑승 즐거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발생된 전기로 조명부에서 발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탑승 즐거움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배터리)에 저장하여 놀이터의 가로등 및 놀이터에 부속된 공용 화장실의 전력으로 사용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환경을 보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형태로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으로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 운동으로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100)는 수평부재 중심축(110), 수평부재(120), 놀이기구 회전판(130), 운동변환 링크장치(140), 베이스 중심축(150), 회전판 중심축(160), 롤러(170), 베이스(180), 구동부재인 제1 풀리(200c), 페달(200a), 페달 크랭크(200b), 제1 밸트(210), 제2 풀리(220), 발전기(230), 전력 분배기(300), 수평 부재의 시소운동을 위한 감속기어를 포함한 제1 전동기(240), 회전판의 회전을 위한 감속기어를 포함한 제2 전동기(250) 및 회전부재; 제3 풀리(260a), 제4풀리(260c), 제2 밸트(26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가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놀이기구는 놀이기구(100)는 회전형 놀이기구를 자가 발전에 의해 회전 및 시소운동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하부 베이스(180)는 지면(GL)에 고정되어 놀이기구(100)를 지지한다. 수평부재 중심축(11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자형일 수도 있고,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평부재(120)의 시소 동작을 위한 감속 기어를 포함한 제1 전동기(240)는, 수평부재(120)의 좌측 또는 우측 한곳에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140a, 140b)에 의해 감속기어를 포함한 제1 전동기(240)와 수평부재(120)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의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140a, 140b)는 감속기어를 포함한 전동기(240)의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수평부재(120)가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수평부재(120)는 축의 형상으로서 양단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500)가 각각 배치된다.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평축(120)에는 손잡이(5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 제1 풀리(200c)는 의자(500)의 일측에 배치되며, 탑승자가 인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수평부재(120)에 구비된다.
이때, 구동부재는 제1 풀리(200c), 제2 풀리(220) 및 제1 밸트(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재는 기어나 체인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풀리와 밸트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기(130)에 직접 페달(200a)과 페달 크랭크(200b)를 설치하여 직접 발전기(130)을 회전시켜 발전할 수 있다.
즉, 구동부재는 제1 풀리(200c)는 페달(200a)과 페달 크랭크(200b)를 구비한다. 밸트(210)은 제1 풀리(200c)와 제2 풀리(220)를 연결한다.
또한, 발전기(230)는 구동부재 제1 풀리(200c), 제2 풀리(220),밸트(21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수평부재(120)에 배치된다.
발전기(230)는 앞서 설명한 구동부재 제1 풀리(200c)의 구동력이 밸트(210)에 의해 발전기의 축과 연결된 제2 풀리(220)의 회전력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발전기(230) 역시 폐자동차의 부품 또는 폐가전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다.
발전기(230)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전선(310)을 통해 전력 분배기(300)에 공급되며, 수평부재(120)의 시소 운동을 위한 제1 전동기(240) 에 전선(310)을 통해 전기를 공급한다.
감속 기어를 포함한 제1 전동기(240)는, 수평부재(1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140a,140b)와 기계적인 연결에 의해 수평부재(120)에 연결되며,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140a,140b)는 제1 전동기(240)의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수평부재(120)가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놀이기구 회전판(130)의 회전운동을 위한 감속 기어를 포함한 제2 전동기(250)는, 회전판(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된다.
놀이기구 회전판(130)의 회전운동을 위한 감속 기어를 포함한 제2 전동기(250)에 사용되는 전력은 앞서 설명한 발전기(230)가 구동부재 제1 풀리(200c)의 구동력이 밸트(210)에 의해 발전기의 축과 연결된 제2 풀리(220)의 회전력으로 발전기(230)가 회전함으로 발생되는 전기를 분배기(300)와 전선(310)을 통해 공급 받는다.
이때 제2 전동기(250)의 회전력은 회전부재인; 제3 풀리(260a)와 제2 밸트(260b)에 의해 제4 풀리(260c)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4 풀리(260c)와 결합된 회전판 중심축(160)은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 중심축(160)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판(130)은 회전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중심축(150)에는 회전판 중심축(160)의 회전운동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 시키기 위한 베어링이 설치되며, 베이스(180)와 회전판 중심축(160) 간의 이탈을 방지 시킨다.
또한 놀이기구 회전판(130) 하부에 설치된 롤러(170)는 베이스(180)의 궤도를 따라 회전함으로 놀이기구 회전판(130)을 안정되게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발생된 전기는 놀이기구 내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400)가 구비된 경우, 발전기(230)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소리나 음악을 출력할 수 있고, 조명부(410)가 구비된 경우에는 놀이기구(100) 상에서 발광이 가능하다. 조명부(410)의 조명은 전구, LED 등 다양한 조명으로 이용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이나 상용 전력으로 움직이는 회전식 놀이기구를 자가 발전에 의해 동작하게 함으로서 탑승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배터리)에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익과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놀이기구
110...수평부재 중심축
120...수평부재
130...놀이기구 회전판
140...운동변환 링크장치(크랭크) 140a...링크장치(원판 크랭크)
140b...링크장치(막대 크랭크)
150...베이스 중심축
160...회전판 중심축
170...회전 롤러
180...베이스
200a...구동부재 페달
200b...구동부재 페달 크랭크
200c...구동부재 제1 풀리
210...제1 밸트
220...제2 풀리
230...발전기
240...감속기어를 포함한 제1 전동기
250...감속기어를 포함한 제2 전동기
260...회전부재 260a...제3 풀리
260b...제2 밸트
260c...제4 풀리
300...전력 분배기
310...전선
400...음향출력부
410...조명출력부
500...의자
510...손잡이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된 놀이기구의 베이스와 베이스 중심축;
    베이스 중심축과 놀이기구 회전판을 연결하는 회전판 중심축;
    회전판 중심축과 고정된 놀이기구 회전판;
    놀이기구 회전판 위에 설치되는 수평부재 중심축;
    양단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가 각각 배치되어 수평부재 중심축에 설치된 수평부재;
    상기 의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가 인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평부재에 구비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평부재에 배치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 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감속기어가 포함된 제1 전동기;
    상기 제1 전동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운동변환 장치인 링크장치(link work)를 이용하여 수평축을 시소 운동으로 작동시키는 링크장치(link work);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감속 기어가 포함된 제2 전동기;
    상기 제2 전동기의 회전력을 회전판 중심축에 전달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중심축과 놀이기구 회전판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에 의해 시소운동과 회전 운동으로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사용되는,
    상기 구동부재는,
    페달과 크랭크축과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밸트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제2 풀리가 회전할 때 발전기의 축과 연결된 제2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
  3. 상기 발전기와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배기는,
    1대 이상의 발전기에서 자가 발전으로 발생한 전기를 전동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이때 분배기에는 다이오드 및 역류 방지 콘덴서, 과전류방지 여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 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소리나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 및/또는 발광이 가능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 가능한 놀이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 되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
KR1020100083856A 2010-08-30 2010-08-30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KR10122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56A KR101222266B1 (ko) 2010-08-30 2010-08-30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56A KR101222266B1 (ko) 2010-08-30 2010-08-30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310A true KR20120020310A (ko) 2012-03-08
KR101222266B1 KR101222266B1 (ko) 2013-01-16

Family

ID=461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856A KR101222266B1 (ko) 2010-08-30 2010-08-30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2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9249A (zh) * 2014-11-20 2015-03-11 浙江大学 一种可以骑行方式使用的跷跷板
CN109011594A (zh) * 2018-08-22 2018-12-18 重庆兀派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按钮的跷跷板
CN109045711A (zh) * 2018-08-22 2018-12-21 重庆兀派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转把的跷跷板
KR20200042679A (ko) 2018-10-16 2020-04-24 김철수 놀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67B1 (ko) * 2014-02-28 2015-06-11 김준엽 시소의 균형 자동 맞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484U (ja) * 1983-03-28 1984-10-08 泉陽興業株式会社 シ−ソ−
GB2270006B (en) * 1993-10-09 1996-05-22 Stuart Edward Saunders Up and down merry-go-round
KR200245361Y1 (ko) * 2001-05-09 2001-10-15 최만일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9249A (zh) * 2014-11-20 2015-03-11 浙江大学 一种可以骑行方式使用的跷跷板
CN109011594A (zh) * 2018-08-22 2018-12-18 重庆兀派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按钮的跷跷板
CN109045711A (zh) * 2018-08-22 2018-12-21 重庆兀派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转把的跷跷板
KR20200042679A (ko) 2018-10-16 2020-04-24 김철수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266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266B1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
CN202637995U (zh) 一种通过绳体围绕握把作圆弧转动以发光的玩具
EP1053167A1 (en) Electricity generation for pedalled vehicles
JP3180154U (ja) 自転車発電機の駆動装置
KR101222391B1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
JP3163417U (ja) 自転車発電装置
KR20120026765A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윙식 놀이기구
US8579672B2 (en) Lighting for wheels
CN103089554B (zh) 健身器发电系统
KR20120022459A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레일식 놀이기구
TWM527847U (zh) 腳踏車之發電結構
KR101143936B1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놀이기구
CN108973522B (zh) 一种自发电、发光的轮毂
CN201030902Y (zh) 炫彩自行车
US11005339B1 (en) Spinning amusement park ride with onboard power generation
KR20130046008A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놀이기구
KR100877538B1 (ko) 자전거의 보조 동력장치
WO2008097067A1 (es) Triciclo electrico con sistema de traccion de catarinas
CN201329925Y (zh) 带有发光体的健身车
KR101185000B1 (ko) 자가 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풍력 발전장치 및 수력 발전장치
KR200376642Y1 (ko) 변속 자전거의 발광장치
KR20120004977U (ko) 자전거용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KR100913138B1 (ko) 스트로크가 발생하는 수직, 수평 회전 운동기구용 발전장치
KR20120108375A (ko)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운동 놀이기구
CN105344102A (zh) 一种发电跷跷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