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040A -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 Google Patents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040A
KR20120020040A KR1020110020771A KR20110020771A KR20120020040A KR 20120020040 A KR20120020040 A KR 20120020040A KR 1020110020771 A KR1020110020771 A KR 1020110020771A KR 20110020771 A KR20110020771 A KR 20110020771A KR 20120020040 A KR20120020040 A KR 2012002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vacuum cleaner
bedding
protrus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791B1 (ko
Inventor
채연지
채병태
Original Assignee
채연지
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연지, 채병태 filed Critical 채연지
Publication of KR2012002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연결가능하면서 침구라든지 카페트 및/또는 의류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먼지 및/또는 유해세균을 포함하는 오물을 털어서 진공청소기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헤드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침구류(이불, 침대매트리스)와 카페트 및 의류를 포함하여 청소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해 상부커버와 그 상부커버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흡기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실제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타격판을 포함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에 대해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종단에 연결호스가 결합되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격판의 저면에는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돌기와, 상기 타격돌기의 주변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기공, 상기 흡기공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페이스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판의 외주변 에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흡기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타격판의 저면은 청소대상물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경우 비산되는 먼지라든지 오염물이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타격돌기와 외주변 사이에서 양측으로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에 연결가능하면서 침구라든지 카페트 및/또는 의류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을 직접 타격하여 먼지 및/또는 이물질을 털어서 진공청소기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다수인이 이용하는 상업시설의 정해진 공간의 바닥에서 진공흡입력으로 먼지라든지 오물(즉, 쓰레기)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청소기가 널리 보급되어 청소에 관해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한 진공청소기는 바닥이나 특정의 틈새(예컨대 창틀의 틈새 등)에서 먼지 또는 오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기능은 상당히 양호한 편이지만, 침대 매트리스라든지 이불 등의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에서 먼지 또는 유해 세균(예컨대 집진드기 등)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소제하는 기능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즉, 침대 매트리스라든지 이불과 같은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의 경우에는 먼지나 유해세균 등의 오물이 직조된 조직내에 침투되기 쉽고, 그 때문에 기존의 진공청소기에 설계된 진공흡입력만으로는 그 조직내에 침투된 먼지 및/또는 유해세균(대표적으로 집진드기 또는 집먼지진드기)등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흡착해내기 어렵다.
또, 개라든지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사육하는 가정의 경우에는 그 애완동물에서 떨어지는 털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의 조직내에 침투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한 애완동물의 털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침구류나 카페트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그 오물에 의존하여 번식하는 유해세균(즉, 집진드기)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이라든지 비염이나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지만, 그러한 애완동물의 털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직조된 조직내에 침투된 경우에는 진공청소기의 진공흡입력만으로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등의 청소대상물에서 먼지라든지 오물을 흡착해내기 위해 진공흡입헤드의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설치해서 그 솔레노이드의 상하 진동에 의해 침구류 또는 카페트를 두드려서 먼지라든지 오물을 흡착하는 구조가 제안된 상태이다.
그러나,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방향의 진동력을 발생해서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등의 청소대상물을 청소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그 청소대상물의 조직내에 침입된 먼지라든지 오물에 진동력을 전달해서 진공흡착하기 때문에 단지 진공흡착의 경우에 비해 다소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솔레노이드의 상하 진동은 실제 청소대상물을 두드려서 털어주는 형태이기 보다는 그 표면을 반복적으로 눌러주는 형태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 청소대상물의 조직내에 침입된 먼지라든지 오물, 냄새 및/또는 진드기 등을 충분히 털어내어 흡착하지는 못하게 된다.
한편, 아파트로 대표되는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서 예컨대 침구류를 털어서 먼지라든지 오물을 제거하는 경우도 상정되지만, 최근에는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서 침구류를 털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사례도 있는 한편, 침구류를 털다가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안전사고도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침구류의 청결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침구류(예컨대, 이불, 침대매트리스 등)라든지 카페트 및/또는 의류 등의 청소대상물을 직접 타격하여 그 청소대상물에 쌓이거나 침투된 먼지나 유해세균 등의 오물을 털어서 진공청소기에 진공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청소대상물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침구류(이불, 침대매트리스)와 카페트 및 의류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해 타격부와 파지부 및 그 타격부와 파지부에 내부적으로 연통되는 연결호스를 통해 진공청소기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침구 청소용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를 구성하는 타격판의 저면에는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돌기와, 상기 타격돌기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돌기의 타격에 의해 부유되는 먼지와 유해세균을 포함하는 오물이 흡입되는 다수의 흡기공, 상기 타격판의 외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에 따라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돌기는 상기 외주연에 비해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판의 저면에서 상기 타격돌기와 상기 외주변 사이는 양측으로 아치(Arch)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타격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타격돌기는 그 타격판의 중앙에 단일로 형성되거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로 형성된다.
또 상기 파지부와 상기 연결호스의 사이에는 집진필터가 수납된 집진함이 부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의하면, 그 흡입헤드를 진공청소기에 연결하고 그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파지부를 잡고서 직접 침구류(예컨대, 이불 또는 침대 매트리스 등), 카페트 또는 의류 등의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판의 저면에 형성된 타격돌기가 청소대상물을 우선적으로 타격하여 먼지라든지 유해세균 등의 오물을 털어주고, 그 털어낸 오물은 저면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상기 진공청소기 측으로 흡입됨으로써 침구류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을 직접 두드려 그 표면 및 내부에 침투된 오물까지도 털어내어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측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저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를 설명하기 위해 대비적으로 참고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를 나타낸 도면.
도 10과 도 11은 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10)는 실제 청소대상물(예컨대, 침구류 등)을 타격하는 타격부(20)와, 그 타격부(20)에 의해 타격을 실행하기 위한 파지부 (把持部)(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격부(20)와 상기 파지부(30)는 상호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中空)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하는 흡입헤드(10)는 진공청소기의 본체(도시는 생략)에 연결하여 사용하여 하게 되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30)의 종단과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이에는 연결호스(도시는 생략)(후술하는 도 10과 도 11에서 '60' 참조)가 개재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타격부(20)는 상부커버(22)와 그 상부커버(22)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도록 결합되는 타격판(24)으로 이루어지는 바, 필요한 경우 상기 상부커버(22)와 상기 타격판(24)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타격판(24)의 저면에서 대체로 중앙에는 실제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대표적으로 이불)에 타격을 가하여 먼지라든지 오염물을 털어주기 위한 타격돌기(40)가 형성되고, 그 타격판(24)의 외주연에는 진공청소기(도시 생략)의 작동시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타격돌기(40)의 타격에 의해 부유되는 먼지라든지 유해세균 등의 오물이 진공청소기측으로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흡기구(26)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돌기(40)의 주변에는 그 타격돌기(40)에 의해 털어진 먼지라든지 오염물이 흡입되는 다수의 흡기공(42)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돌기(40)는 상기 타격판(24)의 외주연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즉, 도 2 참조)됨으로써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를 청소하기 위해 타격하는 경우 그 타격돌기(40)가 우선적으로 침구류에 접촉되어 침구류의 표면이나 조직 내에 침투된 먼지라든지 유해세균 등의 오물을 용이하게 털어내게 된다.
또, 상기 타격판(24)의 저면에는 상기 흡기공(42)에 중첩되지 않도록 다수의 스페이스돌기(도 3에서 '44' 참조)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바, 그 스페이스돌기(44)는 해당하는 흡입헤드(10)에 의해 침구류를 타격하여 청소하는 경우 진공청소기 본체의 흡입력에 의해 침구류가 달라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기공(42)으로부터의 흡기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기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스돌기(44)는 상기 타격돌기(40)의 타격 시에 청소대상물이 상기 타격판(24)의 저면에 흡착되어 상기 흡기공(42)을 막는 현상이 초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판(24)의 저면은 평면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상기 타격돌기(40)에 의해 청소대상물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경우 비산되는 먼지라든지 오염물이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타격돌기(40)와 외주변사이에는 양측으로 아치(Arch)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즉, 도 4 내지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파지부(30)에는 공기의 흡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조절구(32)가 형성되고, 그 종단에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호스(도시는 생략)(도 10과 도 11에서 '60' 참조)가 일체로 결합되는 호스연결구(34)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는 상기 파지부(30)의 종단에 갖추어진 호스연결구(34)에 연결호스가 결합되고, 그 연결호스를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연결하면 청소대상물로서의 예컨대 침구류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를 작동시키고서 상기 파지부(30)를 잡고 상기 타격부(20)에 의해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도 4 내지 도 6에서 '50')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타격판(24)의 타격돌기(40)가 우선적으로 침구류(50)를 타격(도 4와 도 5 참조)하고나서 시차적으로 그 외주변이 침구류(50)에 접면되게 된다(도 6 참조).
그러면, 상기 타격돌기(40)에 의해 털어진 먼지라든지 오염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일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다수의 흡기공(42)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파지부(30)의 내부와 연결호스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에 갖추어진 필터 내에 집진된다.
대비적으로, 도 7과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타격돌기(40a)와 외주연(40b)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정하면,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50a)를 타격하는 경우 타격돌기(40a)와 외주연(40b)이 동시에 침구류(50a)에 접촉되게 되고, 그에 따라 외주연(40b)에 의해 침구류(50a)로부터 먼지 등의 오물이 외부적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어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바와 같이 타격돌기(40)가 외주연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되는 구조는 침구류(50)를 타격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타격돌기(40)가 침구류(50)에 접촉되고나서 시차적으로 외주연이 침구류(50)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타격돌기(40)의 타격에 의해 비산된 먼지 등의 오물이 외주연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그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흡기구(2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더불어 진공청소기측으로 흡입됨으로써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의 표면과 조직 내에 침투된 먼지라든지 유해세균 등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타격판(24)의 대체로 중앙에 상기 타격돌기(40)가 형성된 구조이지만,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를 청소하는 경우 보다 넓은 타격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타격돌기(52)가 상호 이격되어 분산되어 배치된 구조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타격판(24)의 외주연에는 최소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흡기구(26)가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작동 시 외기가 흡입되어 먼지나 유해세균 등의 오물이 진공청소기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다수의 타격돌기(52)들이 상기 타격판(20)의 외주연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됨으로써 각 타격돌기(52)들이 우선적으로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고나서 시차적으로 그 외주연이 청소대상물에 접촉되게 되고, 그에 따라 청소대상물의 타격시 먼지라든지 유해세균 등의 오물이 외부적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최소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10)에서 상기 타격부(20)에 연설된 상기 파지부(30)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호스연결구(34)에는 실제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는 연결호스(60)의 일측이 연설되고, 그 연결호스(60)의 타측에는 청소기연결구(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연결구(34)와 상기 연결호스(60)의 일측 사이에는 집진함(64)이 개재되는 바, 그 집진함(64)은 커버(66)의 개방시 인출/인입이 집진필터(68)가 수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집진필터(68)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의하면 청소대상물(대표적으로 침구류)의 내부에 깊숙히 침투된 먼지라든지 오염물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털어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뵨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타격돌기(40)는 청소대상물의 타격시 우선적으로 그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도록 상기 외주변에 비해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바, 그러한 타격돌기(40)의 형상은 청소대상물의 타격 청소에 유리하도록 상정되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에서 예시된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게 된다.
10: 흡입헤드, 20: 타격부,
22: 상부커버, 24: 타격판,
26: 흡기구, 30: 파지부.
34: 호스연결구, 40,40a: 타격돌기,
42: 흡기공, 44: 스페이스돌기,
50: 침구류(청소대상물), 60: 연결호스,
62: 청소기연결구, 64: 집진함,
68: 집진필터.

Claims (4)

  1. 침구류(이불, 침대매트리스)와 카페트 및 의류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해 타격부와 파지부 및 그 타격부와 파지부에 내부적으로 연통되는 연결호스를 통해 진공청소기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침구 청소용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를 구성하는 타격판의 저면에는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돌기와,
    상기 타격돌기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돌기의 타격에 의해 부유되는 먼지와 유해세균을 포함하는 오물이 흡입되는 다수의 흡기공,
    상기 타격판의 외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에 따라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돌기는 상기 외주연에 비해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의 저면은 상기 타격돌기와 상기 외주변 사이는 양측으로 아치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타격돌기는 그 타격판의 중앙에 단일로 형성되는 구조와, 상호 이격되게 분산 배치된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연결호스의 사이에는 집진필터가 수납된 집진함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KR1020110020771A 2010-08-27 2011-03-09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KR101407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3298 2010-08-27
KR1020100083298 2010-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040A true KR20120020040A (ko) 2012-03-07
KR101407791B1 KR101407791B1 (ko) 2014-06-17

Family

ID=4612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71A KR101407791B1 (ko) 2010-08-27 2011-03-09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98A (ko) 2014-07-23 2016-02-02 김왕식 와이퍼방식 청소용 청소기 헤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19Y1 (ko) * 1999-06-28 2004-08-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 헤드
KR100526115B1 (ko) * 2003-11-21 2005-1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100671834B1 (ko) * 2004-03-18 2007-0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용도 전환기능를 갖는 진공청소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98A (ko) 2014-07-23 2016-02-02 김왕식 와이퍼방식 청소용 청소기 헤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791B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24B1 (ko)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CN201523596U (zh) 可梳理动物皮毛的吸尘器
JP7203437B2 (ja) ビーズを用いた塵埃吸引装置
MX2007011804A (es) Dispositivo de restauracion de superficie suave y metodo de uso.
CN106264363A (zh) 附带刷的吸入筒的清扫用具
KR20110052032A (ko) 다관절 로봇 진공청소기
CN104688135B (zh) 一种应用于吸尘器上的附件结构
JP200728276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120020040A (ko)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KR101528370B1 (ko)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흡입헤드
KR200408281Y1 (ko) 침구류 털이용 진공청소기 청소봉
KR20120060288A (ko) 자동털기기능을 갖춘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100104455A (ko) 청소대상물 타격 방식의 청소장치
CA2834105A1 (en) Mattress cleaning and venting method and system
JP5104966B2 (ja) 電気掃除機
CN209122072U (zh) 刷体、清洁刷及一种吸尘器
JP3152723U (ja) 靴清掃用集塵装置
JPH0639621Y2 (ja) 抜け毛等の回収装置
KR200461691Y1 (ko) 진공청소기
KR100832555B1 (ko) 먼지흡입기
JP2007330444A (ja) 塵取り様電気掃除機用ノズル
KR200466328Y1 (ko) 삽입형 먼지 제거기
CN211244814U (zh) 一种小儿呼吸道简易清洁装置
CN218302829U (zh) 一种可吸毛的便携式宠物毛梳
CN205923895U (zh) 一种加强型除螨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