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79A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9379A KR20120019379A KR1020110083441A KR20110083441A KR20120019379A KR 20120019379 A KR20120019379 A KR 20120019379A KR 1020110083441 A KR1020110083441 A KR 1020110083441A KR 20110083441 A KR20110083441 A KR 20110083441A KR 20120019379 A KR20120019379 A KR 201200193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ens
- plant
- light sourc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257 Cucumis mel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21V9/32—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재배(생육)되는 재배 판의 전 영역에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균일하게 조사(배광)되도록 하고 아울러 식물 재배 환경이 바뀌더라도 배광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홀(hole); 및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재배 대상 식물로 가이딩(guiding)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딩되는 광이 상기 재배 대상 식물로 조사되는 면적,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 및 상기 가이딩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렌즈의 탈/부착 또는 렌즈의 교체만을 통해 광원에 대해 어떠한 변경을 가하지 않더라도 재배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 빛이 조사되는 면적 및 빛의 진행 경로를 다양한 식물 재배 환경에 맞게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홀(hole); 및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재배 대상 식물로 가이딩(guiding)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딩되는 광이 상기 재배 대상 식물로 조사되는 면적,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 및 상기 가이딩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렌즈의 탈/부착 또는 렌즈의 교체만을 통해 광원에 대해 어떠한 변경을 가하지 않더라도 재배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 빛이 조사되는 면적 및 빛의 진행 경로를 다양한 식물 재배 환경에 맞게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이 재배(생육)되는 재배 판(cultivation plane)의 전 영역에 광원(light source)으로부터의 빛이 균일하게 조사(배광)되도록 하고 아울러 식물 재배 환경이 바뀌더라도 배광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여기서 식물이라 함은 농작물, 꽃 등을 포함한 최광의 개념이다)을 재배하면서 해당 식물의 재배 환경(그 예로 해당 식물의 생육기, 작형, 재배 시설 등)에 따라 요구되는 배광 특성(예를 들어 조사되는 광량 등)이 달라지므로 그에 맞는 최적의 배광이 필요한데, 특히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 판의 전 영역에 걸쳐 조사되는 광량을 동일하게 하는 것 즉, 균제도를 높이는 것이(동일 광량을 유지하는 것이) 배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재배 식물의 배광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거나 재배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존 방안들은 균제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개수의 광원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단일 광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밖에 없는 균제도의 저하 문제를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소모 전력의 상승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데, 최근에는 소모 전력을 줄이고자 식물 재배 광원으로 LED(Light Emitted Diode)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LED는 에너지(소모 전력) 절약의 차원에서 차세대 발광 물질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식물 재배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모 전력의 절약은 꾀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균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전히 광원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야 하고 LED 조명 장치의 구현에는 특수한 모양의 방열판 등의 채용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여전히 높아 이는 고스란히 식물 재배 비용의 비약적인 상승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식물 재배에서는 구현 및 배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백열등 내지 형광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열등 내지 형광등의 경우에도 LED와 대비할 때 소모 전력이 현저히 높아 비용 우월적인 측면이 결과적으로는 없다.
아울러 기존의 방안들은, 광원으로 LED를 채용하건 다른 것을 채용하는가에 관계없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사방 퍼짐 속성으로 인해 소모 전력 대비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현저히 낮아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이는 빛의 진행 경로 조절 메커니즘이 부재하기 때문이며, 아울러 광원의 수직 하방에 위치한 식물에의 광량이 다른 부분에 위치한 식물에의 광량보다 현저히 높아 비정상 생육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해당 식물 재배 환경이 변화되는 경우가 식물 재배에 있어서 대부분 발생하는데, 기존의 방안들에 의하면 식물 재배 환경의 변화에 따른 배광의 변경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즉, 조명 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거나 조명 장치의 배치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등 배광의 변경에 요구되는 작업이 매우 번잡스럽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대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 판의 전 영역에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균일하게 배광되도록 하고 아울러 식물 재배 환경이 바뀌더라도 배광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광원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홀(hole); 및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재배 대상 식물로 가이딩(guiding)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광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딩되는 광이 상기 재배 대상 식물로 조사되는 면적,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 및 상기 가이딩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는 하나의 렌즈 또는 둘 이상의 렌즈 단위로 개별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별 모듈은 상기 광 가이드에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개별 모듈에 장착되는 렌즈는 광학적 특성이 다른 렌즈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구현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는(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빛을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는 렌즈 체결단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렌즈의 탈/부착 또는 렌즈의 교체만을 통해 광원에 대해 어떠한 변경을 가하지 않더라도 재배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 빛이 조사되는 면적 및 빛의 진행 경로를 다양한 식물 재배 환경에 맞게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조명 기구의 교체 내지는 추가가 없이도 작물이나 작형의 변화(식물 재배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식물 재배 조명을 위한 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다수의 홀(12)이 형성된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 개별 모듈(15)의 사시도 및 각 개별 모듈(15)에 렌즈가 장착된 일례들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될 수 있는 렌즈의 일부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광원(43)에서 조사되는 빛의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에 의한 광로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가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된 경우의 적용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다수의 홀(12)이 형성된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 개별 모듈(15)의 사시도 및 각 개별 모듈(15)에 렌즈가 장착된 일례들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될 수 있는 렌즈의 일부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광원(43)에서 조사되는 빛의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에 의한 광로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가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된 경우의 적용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1)은 광원(13)을 둘러싸고 불투명체이며, 그 내부는 전반사 거울 등으로 구현되어 소모 전력 대비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높이고 전력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는 결국 빛의 사방 퍼짐 속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비효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최대한 재배 대상 식물(재배 판)에 집광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광원(13)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에너지 절약 측면 및 식물의 생육에 적당한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의 일 측면에는 홀(hole, 12)이 형성되며, 단일로 또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도 2에는 그 예로 하우징의 저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됨을 보였다). 이 홀(12)에 광원(13)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재배 대상 식물의 재배 판(cultivation plate)으로 가이딩(guiding)하는 광 가이드(14)가 연결된다. 광 가이드(14)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집광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또 다른 일환이다.
광 가이드(14)에는 가이딩되는 광이 상기 재배 대상 식물로(재배 판에) 조사되는 면적,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 및 가이딩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렌즈가 단수 또는 복수로 체결될 수 있다(도 1 및 도 2에는 그 예로 복수로 체결된 예를 보였다). 이때 렌즈는 하나의 렌즈 또는 둘 이상의 렌즈 단위로 개별 모듈(15)의 형태(DSLR 카메라의 대물통 렌즈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 개별 모듈(15)의 몇 가지 구현 예를 제시하였는데, (a)는 개별 모듈(15)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며, (b)는 하나의 오목 렌즈가 개별 모듈(15)로, (c)는 하나의 오목 렌즈와 하나의 볼록 렌즈가 조합되어 개별 모듈(15)로, (d)는 하나의 볼록 렌즈가 개별 모듈(15)로, (e)는 두 개의 볼록 렌즈와 하나의 오목 렌즈가 조합되어 개별 모듈(15)로 구현된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b) 내지 (e)는 (a)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를 제시한 것이다. 이 경우 광가이드(14)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모듈(15)이 상호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각 개별 모듈(15)은 상호간에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렌즈의 개별 모듈(15) 형태로의 구현은 각 개별 모듈(15) 단위로 상기한 면적, 광량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느 모듈에는 전혀 렌즈를 끼우지 아니하던가 어느 모듈에는 볼록 렌즈를 어느 모듈에는 오목 렌즈를 어느 모듈에는 두 개의 렌즈를 끼우는 등 다양한 렌즈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개별 모듈(15)에 구비되는 렌즈는 광학적 특성이 다른 렌즈로 교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광학적 특성의 예로는 초점 거리, 렌즈의 두께, 굴절률 등을 들 수 있다.
개별 모듈(15)이 복수 개 상호 연결되어 광 가이드(14)가 구현되는 점, 각 개별 모듈(15)이 상호간에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현되는 점 및 각 개별 모듈(15)에 구비되는 렌즈를 광학적 특성이 다른 렌즈로 교환 가능한 점은 동일 재배 식물이더라도 식물 재배 환경이 바뀌어 배광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배광의 변경을 위한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식물 재배 환경의 변화에 따른 배광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조명 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거나 조명 장치의 배치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등 배광의 변경에 요구되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대규모적으로 이루어지고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변화되는 식물 재배 환경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여 결국 식물의 비정상 생육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세 가지 점은 개별 모듈(15)의 탈/부착만으로 또는 개별 모듈(15)에 장착된 렌즈의 교체만을 통해 광원을 동일한 조건으로 유지하여도(광원에 대한 어떠한 변경 조치가 없이도),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 빛이 조사되는 면적 및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진행 경로 등)에 맞게 배광을 용이하게 조절(제어)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조명 기구의 교체 내지는 추가가 없이도 작물이나 작형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식물 재배 광원으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광량의 조절은 예를 들어 개별 일 모듈(15)에 이미 구비된 렌즈를 굴절률이 다른 렌즈로 교체하거나 초점 거리가 다른 렌즈로 교체하거나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의 조합으로 렌즈를 구현하되 두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개별 모듈(15)을 탈/부착하는 것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사 면적의 조절은 예를 들어 이미 구비된 렌즈의 앞단에 오목 렌즈를 추가 부착하여 조사 면적을 넓히거나 반대로 볼록 렌즈를 추가 부착하여 조사 면적을 좁히거나 하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진행 경로의 조절은, 이 조절은 특히 균제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것인데, 균제도의 제고는 재배 판의 전 영역에 동일 광량을 미치게 하는 것이므로 개별 모듈(15) 모두를 도 3의 (c)에 제시된 렌즈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하면 개별 모듈(15)을 통과한 빛의 퍼짐성이 없어지고 직진성만 남으므로 재배 판의 전 영역에 동일 광량을 미치게 하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제시된 조명 장치의 실시예는 하우징(41), 하우징(41)의 하부에 체결된 리플렉터(42), 리플렉터(42)에 의해 둘러싸인 광원(43) 및 렌즈 체결단(44)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플렉터(42)는 도 1에 제시된 하우징(11)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는 전반사 거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소모 전력 대비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높이고 전력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는 결국 빛의 사방 퍼짐 속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비효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최대한 재배 대상 식물(재배 판)에 집광시키기 위함이다.
렌즈 체결단(44)은 렌즈가 탈/부착되는 되는 곳으로 도 4에는 렌즈의 체결 방식이 스크류 방식으로 구현된 예를 보이고 있다. 물론 스크류 방식이 아닌 끼움식, 착탈식 등 등 렌즈가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의 체결 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광원(43)은 복수(도 4에 제시됨)일 수도 아니면 단수일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로 LED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될 수 있는 렌즈의 일부 예를 제시한 도면이며, 도 6은 광원(43)에서 조사되는 빛의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에 의한 광로를 제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5에 제시된 각 렌즈가 렌즈 체결단(44)에 체결된 경우의 적용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도 6의 (a)의 경우, 도 8은 도 5와 도 6의 (b)의 경우, 도 9는 도 5와 도 6의 (c)의 경우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도,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렌즈 또는 둘 이상의 렌즈 단위로 개별 모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배광 특성의 일례로 들 수 있는 재배 대상 식물로 조사되는 면적,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 및 상기 가이딩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도 5(a)에 제시된 렌즈는 중간 부분의 오목 렌즈와 외곽 부분의 볼록 렌즈로 결합된 렌즈로서, 도 6(a)에 제시된 광로를 참조해보면, 광원(43)에서 조사된 빛이 중간 부분을 통과하면 오목 렌즈의 특성에 의해 빛의 경로가 퍼지게 되며 외곽 부분을 통과하면 볼록 렌즈의 특성에 의해 빛의 경로가 좁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집광’과 '조사 영역의 확산’이라는 두 가지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재배 면적이 비교적 넓고 균제도의 확보가 어느 정도 필요한 식물(예를 들어 국화)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렌즈라고 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5(a)에 제시된 렌즈를 체결한 조명 기구를 통해 재배 대상 식물에 빛을 조사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θ1은 대략 60도 안팎이며 재배 판의 길이는 3미터 내외 정도이다.
도 5(b)에 제시된 렌즈는 오목 렌즈로 광원(43)의 개별 단위마다 오목 렌즈가 체결되어 있다. 도 6(b)에 제시된 광로를 참조해보면, 광원(43)의 개별 단위에서 조사된 빛이 오목 렌즈의 특성에 의해 빛의 경로가 퍼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조사 영역의 광범위한 확산(개별 렌즈를 통한 확산형 배광 효과)’이라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재배 면적이 매우 넓은 식물(예를 들어 참외, 딸기 등)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렌즈라고 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5(b)에 제시된 렌즈를 체결한 조명 기구를 통해 재배 대상 식물에 빛을 조사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θ2는 대략 90도 안팎으로 조사 영역이 매우 넓으며 재배 판의 길이는 4.5미터 내외 정도이다.
도 5(c)에 제시된 렌즈는 볼록 렌즈로서, 도 6(c)에 제시된 광로를 참조해보면, 광원(43)에서 조사된 빛이 볼록 렌즈의 특성에 의해 빛의 경로가 좁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집광도(집광 효과)의 제고’라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재배 면적이 좁고 집중적으로 배광을 받아야 하는 식물(예를 들어 육묘 등)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렌즈라고 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5(c)에 제시된 렌즈를 체결한 조명 기구를 통해 재배 대상 식물에 빛을 조사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θ3은 대략 30도 안팎으로 조사 영역이 매우 좁은 대신 집광의 효과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재배 판의 길이는 1.5미터 내외 정도이다.
이처럼 도 4 내지 도 9에 제시된 실시예도 렌즈의 교체만을 통해 광원을 동일한 조건으로 유지하여도(광원에 대한 어떠한 변경 조치가 없이도) 재배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 빛이 조사되는 면적 및 식물에 조사되는 빛의 진행 경로를 다양한 식물 재배 환경(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제어)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조명 기구의 교체 내지는 추가가 없이도 작물이나 작형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식물 재배 광원으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홀(hole); 및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재배 대상 식물로 가이딩(guiding)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딩되는 광을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고,
상기 렌즈는 중간부분이 오목렌즈로 이루어지고, 외곽 부분이 볼록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상기 오목렌즈를 통과하면 상기 광이 확산하고, 상기 볼록렌즈를 통과하면 상기 광이 집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딩되는 광을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고,
상기 광원이 복수 개 있는 경우, 상기 광원마다 오목렌즈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구현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빛을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는 렌즈 체결단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체결단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고,
상기 렌즈는 중간부분이 오목렌즈로 이루어지고, 외곽 부분이 볼록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빛이 상기 오목렌즈를 통과하면 상기 빛이 확산하고, 상기 볼록렌즈를 통과하면 상기 빛이 집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체결단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재배 대상 식물에 요구되는 배광 특성에 따라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체결되고,
상기 광원이 복수 개 있는 경우, 상기 광원마다 오목렌즈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441A KR101175544B1 (ko) | 2011-08-22 | 2011-08-22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441A KR101175544B1 (ko) | 2011-08-22 | 2011-08-22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2622 Division | 2010-08-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9379A true KR20120019379A (ko) | 2012-03-06 |
KR101175544B1 KR101175544B1 (ko) | 2012-08-22 |
Family
ID=4612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3441A KR101175544B1 (ko) | 2011-08-22 | 2011-08-22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554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7078A (ko) * | 2020-09-17 | 2022-03-24 |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 식물생장조명장치 |
KR20220137563A (ko) | 2021-04-02 | 2022-10-12 | 주식회사클라인즈 | 식물 재배용 엘이디 조명장치 |
WO2023113077A1 (ko) * | 2021-12-17 | 2023-06-22 | 주식회사 엔씽 | 광 집중 형 식물공장 시스템 |
KR102684924B1 (ko) * | 2023-02-23 | 2024-07-16 | 주식회사 리우로직스 |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 생육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37345A1 (en) | 2006-12-12 | 2008-06-12 | Randal Lee Wimberly | Par² lighting fixture |
-
2011
- 2011-08-22 KR KR1020110083441A patent/KR10117554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7078A (ko) * | 2020-09-17 | 2022-03-24 |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 식물생장조명장치 |
KR20220137563A (ko) | 2021-04-02 | 2022-10-12 | 주식회사클라인즈 | 식물 재배용 엘이디 조명장치 |
WO2023113077A1 (ko) * | 2021-12-17 | 2023-06-22 | 주식회사 엔씽 | 광 집중 형 식물공장 시스템 |
KR102684924B1 (ko) * | 2023-02-23 | 2024-07-16 | 주식회사 리우로직스 |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 생육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5544B1 (ko)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4243B2 (en) | Horticultural light module assembly | |
US20130021797A1 (en) | Illumin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JP6810312B2 (ja) | 生物成長範囲に合わせた照明の可能な生物育成システム及び生物育成用照明装置 | |
US11013187B2 (en) | Method of illuminating a horticultural intracanopy space | |
KR101175544B1 (ko)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
KR20200089429A (ko) | Led 식물 성장램프 및 led 식물 성장램프가 장착된 수경재배기 | |
KR102248309B1 (ko) | 식물조명용 광학장치와 해당 광학장치가 포함된 식물재배장치 | |
KR20120069070A (ko) | 광가이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 |
CN204573661U (zh) | 带有可移动支架的植物助长灯组件 | |
WO2013168575A1 (ja) | 植物栽培器 | |
JP4897065B2 (ja) | 植物栽培用照明装置 | |
JP5812965B2 (ja) | 人工光利用型植物工場向け照明装置 | |
RU269374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и облучения ростков картофеля | |
KR101290801B1 (ko) | 식물 재배용 광원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 |
CN214801013U (zh) | 一种可灵活安装灯具的植物种植支架 | |
EP3777520A1 (en) | Indoor agriculture system | |
CN207778094U (zh) | 一种用于植物培养的平行光场发生装置 | |
KR101327819B1 (ko) | 광섬유 조명장치를 이용한 식물성장기구 | |
KR101021442B1 (ko) | 식물재배용 엘이디전등장치 | |
KR20220137563A (ko) | 식물 재배용 엘이디 조명장치 | |
JP2013126379A (ja) | 植物病害防除用照明器具 | |
JP2015019654A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170016592A (ko) | 다중 관절 구조를 갖는 led 조명 장치 | |
TWM466497U (zh) | 植物栽植設備 | |
JP2016136879A (ja) | 植物栽培棚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