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161A -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되는 핵분열 원자로 - Google Patents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되는 핵분열 원자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161A
KR20120018161A KR1020117027244A KR20117027244A KR20120018161A KR 20120018161 A KR20120018161 A KR 20120018161A KR 1020117027244 A KR1020117027244 A KR 1020117027244A KR 20117027244 A KR20117027244 A KR 20117027244A KR 20120018161 A KR20120018161 A KR 2012001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uel body
nuclear fuel
closure member
nucl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234B1 (ko
Inventor
챨스 이 알펠드
존 로저스 길레랜드
로더릭 에이 하이드
무리엘 와이 이시카와
데이비드 지 맥알레스
나탄 피 마이어볼드
클라렌스 티 테그리니니
토마스 알랜 위버
챨스 휘트머
빅토리아 와이 에이치 우드
로웰 엘 주니어 우드
죠지 비 짐머맨
Original Assignee
시리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386,524 external-priority patent/US944362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59,857 external-priority patent/US915946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59,856 external-priority patent/US965967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59,855 external-priority patent/US9704604B2/en
Application filed by 시리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시리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1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044Fuel elements with porous or capillary structu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22Fuel elements with fissile or breeder material in contact with coolan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2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 G21C1/022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r properties of the core
    • G21C1/026Reactors not needing refueling, i.e. reactors of the type breed-and-burn, e.g. travelling or deflagration wave reactors or seed-blanket reac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actors or parts thereof
    • G21C21/02Manufacture of fuel elements or breeder elements contained in non-active casing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041Means for removal of gases from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213Means for the storage or removal of fission ga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연료집합체는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폐쇄부재를 포함한다.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되어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도록 된다. 또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되는 핵분열 원자로{NUCLEAR FISSION REACTOR WITH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분열 원자로의 작동에서, 알려진 에너지의 중성자들은 높은 원자질량을 갖는 핵종(nuclide)에 의해 포집된다. 결과적인 화합물 핵은, 2개의 낮은 원자질량의 핵분열 편(fragment)을 포함하는 핵분열 생성물들 및 붕괴(decay) 생성물들로 분리된다. 모든 에너지의 중성자들에 의하여 그러한 핵분열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핵종들은, 우라늄-233, 우라늄-235 및 플루토늄-239이고, 이들은 분열성(fissile) 핵종들이다. 예컨대, 0.0253 eV(전자 볼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열 중성자들은 U-235 원자핵의 핵분열에 사용될 수 있다. 핵분열 가능한 (fertile) 핵종들인, 토륨-232 및 우라늄-238의 핵분열은, 적어도 1 MeV(백만 전자 볼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고속 중성자들을 제외하고, 유도 핵분열을 경험하지 않는다. 각 핵분열로부터 방출된 전체 운동에너지는 약 200 MeV이다. 이러한 운동에너지는 결국은 열로 변환된다.
또한, 초기의 중성자원으로 시작한 핵분열 공정은, 추가적인 중성자들을 유리시킬 뿐만 아니라 운동에너지를 열로 변환한다. 이는 연속적인 열 방출에 의해 수반되는 자기유지(self-sustaining)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흡수된 각 중성자에 대하여, 핵분열 가능한 원자핵이 고갈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중성자가 유리된다. 이러한 현상은, 발전을 하는 데에 차례로 사용되는 연속적인 열을 생산하는 통상적인 원자로에서 사용된다.
원자로의 작동 동안에 핵분열 생성물의 축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1981년 8월 25일, Lane A. Bray 등의 명의로 특허된 미국특허 제4,285,891호(명칭: "조사된 연료로부터 핵분열 가스들을 제거하는 방법")는, 적어도 1000℃의 상승된 온도로 가열된 연료에 의해 수소함유 불활성 가스를 먼저 통과시키고 또 다음 상승된 온도인 연료에 의해 불활성 가스만 홀로 통과시킴으로써 조사된(irradiated) 연료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시도는, 1993년 12월 7일, Bernard Bastide 등의 명의로 특허된 미국특허 제5,268,947호(명칭: "산화물에 근거한 핵분열 생성물들을 위한 트랩을 포함하는 핵연료 요소들")에 개시된다. 이 특허는, 금속 피복으로 둘러싸인 소결된 펠릿들을 포함하고, 또 펠릿들이 핵분열 생성물들을 위한 약제(agent)를 함유하거나 또는 코팅되거나 또는 피복이 내부적으로 약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분열 생성물들의 추출을 허용하는 핵연료 요소를 개시한다. 핵분열 생성물들은, 고온에서 안정한 화합물들로 산소화된 추출 약제로 형성함으로써 추출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가 제공되는바, 이는 다공성 핵 연료체(nuclear fuel body)를 폐쇄하도록 된 폐쇄부재 (enclosure)와, 이 폐쇄부재에 결합되고 또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도록 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가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되고 또 핵 연료체가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복수의 기공(pore)들을 형성하는 폐쇄부재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되고 또 핵 연료체로부터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가능하게 제거하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서 연소파동의 존재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복수의 기공들을 형성하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폐쇄부재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서 연소파동의 존재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되고 또 핵 연료체가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들을 형성하는 폐쇄부재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되고 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가능하게 제거하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제공하고,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되고 또 핵 연료체가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들을 형성하는 폐쇄부재를 제공하고, 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고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사용하고,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 따르면,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이는 그 내부에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되고 또 핵 연료체가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들을 형성하는 폐쇄부재를 사용하고, 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고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징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폐쇄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되면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도록 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특징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하여,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가능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특징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하여,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이중 목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 추가하여, 다양한 다른 방법 및/또는 장치 관점들이, 본 개시의 본문(예컨대,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상세설명) 및/또는 도면들과 같은 가르침에 설명되고 또 기재된다.
상기 내용은 요약이고 또 그래서 상세내용의 단순화, 일반화, 포함, 및/또는 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요약이 단지 예시적이고 또 어떠한 방식의 제한이 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상기에서 기재된 예시적인 관점, 실시예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관점, 실시예 및 특징들이 도면 및 이하의 상세설명을 참조로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가, 본 개시의 주제를 특별히 지적하고 또 분명히 요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써 종결되지만, 개시는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로서, 이는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 배치된 다공성 핵 연료체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들에 존재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들을 또한 도시한다.
도 2는, 명료함을 위해 확대된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들을 형성하는 핵 연료체의 일부의 확대도로서, 이는 개방-셀 기공들에 존재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들을 또한 도시한다.
도 2a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를 갖는 핵 연료체의 일부의 확대도로서, 입자들 및 채널들은 명료함을 위해 확대되었고, 이는 채널들 내에 존재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들을 또한 도시한다.
도 3은, 제2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제4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밀봉가능한 용기에 배치된 복수의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들 및 시스템들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6a는, 파손가능한 장벽을 갖는 제1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6b는, 피스턴 구조에 의해 파손가능한 장벽을 갖는 제2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밀봉가능한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부위들을 갖는 복수의 제6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들 및 시스템들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7A는, Y자형상 파이프접합에 의하여 서로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공급부재, 제2공급부재 및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7B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입구 서브조립체 및 출구 서브조립체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7C는, 다공성 핵 연료체에 결합된 입구 서브조립체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출구 서브조립체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7D는, 핵 연료체에 결합된 복수의 입구 서브조립체와, 입구 서브조립체들의 각각의 하나에 결합된 복수의 펌프들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또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출구 서브조립체를 또한 도시한다.
도 7E는, 제7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로서, 이는 복수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 배치된 다공성 핵 연료체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에 존재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들을 또한 도시한다.
도 8은, 제8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9는, 제9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선 10-10을 따른 도면이다.
도 11은, 제10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2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면선 14-14을 따른 도면이다.
도 15는, 제13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선 16-16을 따른 도면이다.
도 17은, 제14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선 18-18을 따른 도면이다.
도 19는, 제1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0는, 제16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Q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의 플로우차트들이다.
도 22A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거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3A 내지 도 23CK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의 플로우차트들이다.
이하의 상세설명에서, 첨부도면들이 참조되고 이들은 그 일부를 형성한다.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기호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부품들을 가리킨다. 상세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 제시된 주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형식적인 개요제목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개요제목들은 설명 목적을 위한 것이고, 또 다른 타입의 주제가 출원을 통하여 논의될 수 있다(예컨대, 장치(들)/구조(들)이 공정(들)/작동들 제목 아래에 기재될 수 있고 및/또는 공정(들)/작동들이 장치(들)/구조(들) 제목 아래에 기재될 수 있다; 및/또는 단일의 토픽의 기재들이 2개 이상의 토픽 제목들에 걸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형식적인 개요제목들의 사용은 어떤 형태로든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 여기에 기재된 주제는 종종 기타 다른 구성부품 내에 포함된 또는 연결된 다른 구성부품들을 나타낸다. 그와 같이 서술된 구성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또 사실 동일한 기능성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한다. 개념적인 의미에서, 동일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부품들의 임의의 배열이 효과적으로 "관련"되어서 원하는 기능성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특별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기에 조합된 임의의 2개의 구성부품은 서로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어서, 구조 또는 중간 구성부품과는 상관없이 원하는 기능성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그렇게 연관된 임의의 2개의 구성부품은, 원하는 기능성을 얻기 위하여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된" 또는 "작동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또한 볼 수 있다. 작동적으로 결합가능한 특별한 예들은, 물리적으로 합치할 수 있는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부품들,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 가능한,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부품들,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 가능한 구성부품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부품들은 여기서 "에 구성된", "에 구성가능한", "에 작동가능한/작동적인", "적응된/적응가능한""에 가능한", "에 합치할 수 있는/합치된"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당업자들은 "에 구성된"은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않는 한, 일반적으로 활성상태 구성부품들 및/또는 비활성상태 구성부품들 및/또는 대기상태 구성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원자로 작동 동안의 열 축적은, 연료집합체가 팽창하는 것을 야기하여 원자로 코어 구성부품들의 오정렬, 연료 클래딩(cladding) 파열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연료 클래딩 크리이프(creep) 및 원자로 작동 동안에 연료 팽윤(swelling)으로 이어진다. 이는 연료가 열분해(crack)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열화하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료 열분해는, 연료-클래드 기계적인 상호작용과 같은 연료-클래딩 실패기구를 앞설 수 있고, 또 핵분열 가스 방출로 이어진다. 핵분열 가스 방출은 정상적인 방사능 수준들 보다 더 높은 결과로 된다.
핵분열 생성물들은 핵분열과정 동안에 생성되고 또 연료에 축적될 수 있다. 핵분열 가스를 포함하는 핵분열 생성물들의 축적은, 바람직하지 않은 양의 연료집합체의 팽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료집합체의 팽창은, 차례로, 연료 크래킹 및 주변환경으로 핵분열 생성물의 동반 방출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원자로 설계에 통합된 안전여유 및 제조 동안의 정확한 품질관리가 이러한 위험들을 최소 수준으로 감소시키지만,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위험들을 훨씬 더 감소시키는 것이 여전히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 우라늄-235, 우라늄-233 또는 플루토늄-239와 같은 핵분열 핵종의 핵분열에 기인한, 또는 토륨-232 또는 우라늄-238과 같은 핵종의 급속 핵분열에 기인한 열을 생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10으로 지시된 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하의 기재로부터, 연료집합체(10)가 핵분열 과정 동안에 생성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제어된 제거를 또한 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비교적 소형이고 제거가능한 핵분열 점화기(17)에 의하여 개시된 진행 연소파동(16)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에 관하여, U0233, U-235 또는 PU-239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핵분열 가능한 재료의 적당한 동위원소 농축을 포함하는 핵분열 점화기 (17)는, 연료집합체(10)에서 소정의 위치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점화기(17)에 의하여 중성자들이 방출된다. 점화기(17)에 의하여 방출된 중성자들은, 핵분열 연료집합체(10) 내에서 분열성 및/또는 핵분열 가능한 재료에 의해 포획되어 핵분열 연쇄반응을 개시한다. 점화기(17)는, 원한다면, 일단 연쇄반응이 자기유지되면 제거될 수 있다.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10) 내에서 연소파동의 제어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가능하게 방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연료집합체의 임의의 실시예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한 구성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는, 함께 출원계류 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11/605, 943 (Roderick A. Hyde 등의 명의로 2006년 11월 28일 출원되고 명칭이 "장기간 작동을 위한 자동화된 원자력 반응로")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고, 이 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 전체 개시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연료집합체(10)는, 그 내부에 다공성 핵 연료체(40)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30)을 갖는 폐쇄부재(20)를 포함한다. 연료체(40)는, 우라늄-235, 우라늄-233 또는 플루토늄-239와 같은 상기에서 언급된 분열성 핵종을 포함한다. 그 대신에, 연료체(40)는, 상기에서 언급된 토륨-232 및/또는 우라늄-238과 같은 핵분열 가능한 핵종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핵분열 과정 동안에 상기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분열성 핵종으로 변형될 것이다. 추가적인 변형예는, 연료체(40)가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핵종들의 미리 정해진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연료체(40)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생성할 수 있는바, 이는 요오드 동위원소, 브롬, 세슘, 칼륨, 루비듐, 스트론튬, 크세논, 크립톤, 바륨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다른 가스상 또는 휘발성 재료일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공성 핵 연료체(40)는 우라늄, 토륨, 플루토늄 또는 이들의 함금을 실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핵 연료체(40)는, 일산화 우라늄(UO), 이산화 우라늄(UO2), 이산화 토륨(ThO2)(또한 토륨 산화물로 불림), 3산화 우라늄(UO3), 우라늄 산화물-플루토늄 산화물(UO-PuO), 8산화 3우라늄(U3O8) 및 그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화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변형예로, 연료체 (40)는, 우라늄의 탄화물(UCx), 또는 토륨의 탄화물(ThCx)을 실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체(40)는, 우라늄 1탄화물(UC), 우라늄 2탄화물(UC2), 우라늄 일배반 탄화물(U2C3), 토륨 2탄화물(ThC2), 토륨 탄화물(ThC) 및 그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탄화물로 만들어진 폼(foam)재료일 수 있다. 우라늄 탄화물 또는 토륨 탄화물은, 연료체(40)를 형성하기 위하여 니오븀 탄화물(NbC) 및 지르코늄 탄화물(ZrC)의 기지(matrix)에 스퍼터링될 수 있다. 니오븀 탄화물 및 지르코늄 탄화물을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이들이 우라늄 탄화물 또는 토륨 탄화물을 위한 내화성의 구조적 기판(substrate)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연료체(40)는, 우라늄 질화물(U3N2), 우라늄 질화물-지르코늄 질화물(U3N2-ZrN4), 우라늄-플루토늄 질화물((U-Pu)N), 토륨 질화물(ThN), 우라늄-지르코늄 합금(UZr)및 이들의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화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도 2와 2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연료체(40)는, 연료체(40)내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복수의 상호 연결된 개방-셀 기공(5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듯이, "개방-셀 기공"이란 용어는, 각 기공(50)이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기공(50)들과 상호연결되고, 그리하여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가 직접 기공(50)들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방-셀 기공(50)은, 섬유형상, 막대와 같은, 웹과 같은 또는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료체(40) 내에 배치된다. 변형예로 연료체(40)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간극 (interstitial)채널(65)를 형성하는 연료입자(63)(소결된 비이드 또는 채워진 구와 같은)의 모음에 의하여 형성된 다공성 연료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방-셀 기공(50)은, 폼 및 다공성 특성들의 혼합물을 갖는 연료재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공(50)들에 관한 이하의 기재는 또한 채널(65)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와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연소파동(16)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초기에 기공(50)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존재할 수 있고 또 자연적으로 증발되어 핵 연료체(40)를 통해 확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공(50)들의 적어도 약간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40)의 기공(50)들을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은 약 10초 와 1,000초 사이일 수 있다. 대신에,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은, 기공(50)들의 미리 정해진 구성에 따라 약 1초와 10,000초 사이일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파이프부(70)에 의해서와 같이 폐쇄부재(20)에 결합된 것은, 가압된 헬륨 가스와 같은 제1유체를 포함하는 제1체적(90)을 형성하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이다. 대신에, 제1유체는, 네온,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임의의 적합한 가압된 불활성 가스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제1유체는 액체 납(Pb), 나트륨(Na), 리튬(Li), 수은(Hg)과 같은 적합한 액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충분히 기재되듯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는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 및 열을 제어가능하게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환언하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는 다공성 핵 연료체(40)를 통해 제1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유체가 연료체(40)를 순환하는 동안에, 열과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이 연료체(40)로부터 제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100으로 표기된, 제2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2실시예는, 열교환기(110)가 폐쇄부재(20)와 연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연료집합체(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열교환기(110)는, 연료체(40)로부터 열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제1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제2유체를 함유할 수 있는 내부(130)를 형성하는 쉘(120)을 포함한다. 제2유체는, 제1유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다. 내부(130)에 배치된 것은, 2개의 개방 단부를 갖는 복수의 U자형 튜브(132)(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이다. 이와 관련하여, U자형 튜브(132)의 한쪽 단부는 개구부(134)를 갖고 또 U자형 튜브(132)의 다른 쪽 단부는 다른 개구부(136)를 갖는다. 개구부(134, 136)들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의 제1체적(90)을 점유하는 제1유체와 유체연통한다. 튜브(132)내에 존재하는 제1유체의 냉각된 부위와 다공성 핵 연료체(40)에서 제1유체의 가열된 부위 사이에 밀도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온도차가, 튜브(132)내에 존재하는 제1유체의 냉각된 부위와 다공성 핵 연료체(40)에서 제1유체의 가열된 부위 사이에 밀도차를 야기할 것이다. 유체 밀도의 차는, 차례로, 더 차가운 유체부위가 더 뜨거운 유체부위보다 물리적으로 더 높거나 또는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더 차가운 유체부위의 분자들이 더 뜨거운 유체부위의 분자들로 교체되게 할 것이다. 그리하여, 더 차갑고 더 뜨거운 유체부위들의 상호교체가 일어나고 또 연료집합체(100)와 핵 연료체(40)를 매개하여 제1유체를 순환시키는 자연대류 흐름을 유발할 것이다. 또한, 튜브(132)는 이러한 자연대류를 향상시키는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U자형상이다. 따라서, 자연대류는, 제1유체의 더 차갑고 더 뜨거운 유체부위들 사이의 실질적인 온도차에 기인하여 제1유체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존한다. 제1유체가 튜브(132)를 통해 순환함에 따라, 제1유체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온도로 된 제2유체는, 펌프(도시 안 됨)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입구노즐(140)을 통해 내부(130)로 유입되게 된다. 다음, 제2유체는 출구노즐(150)을 통해 내부(130)를 떠난다. 제2유체가 열교환기(110)로 유입되어 배출됨에 따라, 보다 낮은 온도의 제2유체가 복수의 U자형 튜브(132)를 폐쇄한다. 튜브(132)의 벽들을 통한 전도성 열전달이, 튜브(132)를 순환하는 제1유체와 튜브(132)를 폐쇄하는 제2유체 사이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된 제1유체는 더 차가운 제2유체에 자신의 열을 넘겨준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이 제2실시예의 연료집합체(100)는, 제1유체가 자연대류에 의하여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또는 밸브들이 없이 작동가능하다. 펌프 및 밸브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제2실시예의 연료집합체의 제조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는 한편, 제2실시예의 연료집합체(100)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10)는, 원한다면, 증기 발생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110) 내에서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제2유체의 일부는 출구노즐(15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제2유체가 물일 때)로 기화할 수 있다. 출구노즐(15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증기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터빈-발전기 장치(도시 안 됨)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료체(40)로부터 열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주로 제거하도록,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190으로 표기된 제3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제3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190)는, 그 한쪽 단부에서 제1체적(90)과 연통하고 또 다른 쪽 단부에서 원심펌프인 제1펌프(210)의 입구에 일체로 연결된 제2파이프부(200)을 포함한다. 이 목적에 적합한 그러한 펌프는, 예컨대 스위스, 윈터터어 소재의 Sulzer Pumps, Ltd. 로부터 구입가능한 타입일 수 있다. 제1펌프(210)의 출구는 제3파이프부(220)에 연결되고, 이는 이어 연료체(40)와 연통된다. 또한, 열교환기(110)는 제3파이프부(220)를 통해 흐르는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3파이프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전히 도 4를 참조하면, 연료체(40)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펌프(210)가 구동된다. 제1펌프(210)는, 제2파이프부(200)로부터 또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에 의하여 형성된 제1체적(90)으로부터, 앞서 언급된 헬륨가스와 같은 유체를 인출한다. 제1펌프(210)는, 제3파이프부(220)로부터 유체를 펌핑한다. 제3파이프부(220)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연료체(4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또는 다중)의 개방-셀 기공(50)에 의하여 수납된다. 개방-셀 기공(50)을 통해 흐르는 유체는, 연료체(40)에 의하여 생성된 열을 획득한다. 유체가 제1펌프(210)에 의하여 개방-셀 기공(50)을 통해 펌핑됨에 따라 강제된 대류 연전달에 의하여 열이 획득된다. 제1펌프(210)가 작동됨에 따라, 연료체(40)를 통해 흐르면서 대류 열전달을 겪는 유체는, 펌프(210)의 펌핑작용으로 인하여, 인출되어, 제1파이프부(70)를 매개로 제1체적(90)내로, 그 다음 제2파이프부(200)를 매개로 제3파이프부(220)내로 유입되어 열교환기(110)에 의하여 열이 제거된다. 또한, 연료체(40)와 제1체적(90)사이에 유체가 순환하는 동안에, 연료체(40)에서 생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일부는 제거되어 제1체적 내에 잔류하고, 이에 따라 연료체(40)에 존재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양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저하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제1체적(90)은,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된 유체가 체적(90)으로 유입됨에 따라 핵분열 생성물(15)을 보유하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재료(225)로 채워질 수 있다. 핵분열 생성물 제거재료는, 크세논(Xe)과 크립톤(Kr)을 제거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은(AgZ) 으로 한정되고, 또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재료는, 세슘(Cs), 루비듐(Rb), 요오드(I2), 텔러륨(Te) 및 이들의 혼합물의 방사성 동위원소들을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 실리콘(SiO2)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의 금속 산화물들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3실시예의 연료집합체(190)를 사용하는 이점은, 제1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단지 펌프(210)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무런 밸브들도 필요하지 않다. 밸브들이 존재하지않는 것은, 제3실시예의 연료집합체(190)의 제조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제3실시예의 연료집합체 (190)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230으로 표기된 제4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은, 연료체(40)로부터 앞서 언급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뿐만 아니라 열의 제거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30)는, 열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향상된 제거를 위하여 수단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3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1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4파이프부(240)는 제1체적(90)과 연통하는 단부와 또 제2펌프(250)의 흡입구에 일체로 결합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제2펌프(250)의 배출구는 제6파이프부(260)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6파이프부(260)는 이어 제1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280)에 의해 형성된 제2체적(270)과 연통된다. 제4실시예의 연료집합체(230)의 작동 동안에, 펌프(210)는 제1체적(90)으로부터 제1유체를 펌핑하고, 제2파이프부(200)를 통하여,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연료체(40)를 통하여, 제1파이프부(70)를 통하여, 다시 제1체적(90)으로 제1유체를 펌핑한다. 제1유체가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흐름에 따라, 유체는 그 열을 열교환기(110)내의 제2유체로 넘겨준다. 제1펌프(210)는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후에 작동을 중지하게 될 수 있다. 제2펌프(250)는, 제4파이프부(240)를 통하여, 제5파이프부(260)를 통하여, 그리고 제1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280)에 의해 형성된 제2체적(270)내로 그와 혼합된 제1유체를 포함하여 핵분열 생성물(15)을 인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연료체(40)로부터 제거되고 또 후속적인 외부 폐기를 위하여 제1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280)에 보유되거나 또는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280)내의 핵분열 생성물 (15)은 원한다면 본래 위치에 남을 수 있다. 이러한 제4실시예 연료집합체(230)에서, 단지 펌프(210, 250)들 만이 필요하다. 아무런 밸브들은 필요없다. 밸브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제4실시예의 연료집합체(230)의 제조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는 한편, 제4실시예의 연료집합체 (230)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의 연료집합체(230)의 다른 이점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이 제2체적(270)에 분리되고 또 후속적인 외부폐기를 위하여 제거되거나 도는 제 위치에 남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290으로 표기된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단지 3개만이 도시됨)가 있을 수 있다. 압력용기 또는 봉쇄용기와 같은 밀봉가능한 용기(310)가, 연료집합체(290)로부터 방사능 입자, 가스 또는 액체들이 주변 환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를 폐쇄한다. 용기(310)는, 그러한 방사능 누출의 위험을 감소하고 또 필요한 압력부하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사이즈 및 두께의 강철, 콘크리트 또는 기타 재료일 수 있다. 비록 하나의 용기(310)가 도시되었지만,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로부터 방사능 입자, 가스 또는 액체들이 누출되는 것을 추가로 보장하기 위하여, 용기(310)를 폐쇄하는, 즉 하나의 용기가 다른 용기를 폐쇄하는, 추가적인 봉쇄용기들이 있을 수 있다. 용기(310)는, 그 내부에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가 배치되는 공간(320)을 형성한다.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는, 이하에서 보다 충분히 기술되듯이, 열축적의 제어된 제거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 제어된 제거를 또한 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연료집합체(290)는,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330으로 표시된, 컴팩트한, 조합된, 폐루우프의, 이중목적의 열 제거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제거회로를 포함한다. 이중목적의 회로(330)는, 연료체(40)로부터 열뿐만 아니라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330)는 먼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제거하고 그리고 다음에 열을 제거하도록 또는 그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그래서, 회로(330)는 열과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연속해서 제거할 수 있다.
도 6을 또다시 참조하면, 이중목적 회로(330)는, 유체공급원을 포함한 제1체적을 형성하는 앞서 언급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을 포함한다. 제1파이프부(70)는, 이 제1파이프부(70)의 한쪽 단부에서 연료체(40)와 연통하고 또 제1파이프부(7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원심펌프인 제3펌프(340)의 입구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3펌프(340)의 출구는 제6파이프부(350)에 연결되고, 이는 이어서 제1체적(90)과 연통된다. 제2파이프부(200)는, 이 제2파이프부(200)의 한쪽 단부에서 제1체적(90)과 연통하고 또 제2파이프부(20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제1펌프(210)의 입구에 일체로 연결된다. 펌프(340, 210)들은, 홀로 작동하는 어느 하나의 펌프(340, 210)가 이중목적 회로(330) 내에서 감소된 그러나 충분한 유체의 유량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펌프(340, 210)가 없거나, 꺼지거나 또는 달리 작동하지 않더라도 이중목적 회로는, 이중목적 회로(330)를 매개로 한 유체순환 능력을 여전히 보유한다. 유체가 이중목적 회로(330)를 통해 순환함에 따라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7파이프부(360)와 폐쇄부재(20) 사이의 제3파이프부(220)에 열교환기(355)가 배치된다. 열교환기(355)는, 열교환기(1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7파이프부(360)에와 같이, 파이프부(70, 200, 220, 350)들 중의 임의의 하나에 연결된 것은 제2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이다. 제2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는,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보유하고 또 분리하기 위한 제3체적(380)을 형성한다. 제2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는, 제7파이프부(360)에 의해 제3파이프부(220)에 결합된다. 제7파이프부(36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것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제3체적(380)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나,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제3체적(380)으로의 반대방향 흐름은 허용하지 않기 위한 모터로 작동되는 제1역류 방지밸브(390)이다. 모터로 작동되는 제1역류 방지밸브(390)는,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 또는 제어유닛(400)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변형예로, 밸브(390)는 모터로 작동될 필요는 없고, 그러나 적합한 다른 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이러한 역류 방지밸브는 예컨대, 스위스, 바아르 소재의 Emerson Process Manufacture, Ltd. 로부터 구입가능하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연료체(40)에 의하여 생성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분리하기 위하여 제3체적(380)내에 포집되고 또 보유된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제3파이프부(2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또 역류 방지밸브(390)와 폐쇄부재(20)사이에 삽입된 것은, 모터로 작동되는 제2역류 방지밸브(410)이다. 제2역류 방지밸브(410)는, 폐쇄부재(20)로의 유체 흐름은 허용하나, 폐쇄부재(20)로부터 제3파이프부(220)로의 유체의 역류는 허용하지 않는다. 모터로 작동되는 제2역류 방지밸브(410)는,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유닛(400)의 작용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파이프부(70), 제3펌프(340),제6파이프부(350), 열교환기(355),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 제2파이프부(200), 제1펌프(210), 제3파이프부(220), 제7파이프부(360), 제2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 제1역류 방지밸브(390), 제2역류 방지밸브(410), 제어유닛(400) 및 연료체(40)는 함께 이중목적 회로(330)를 형성한다. 지금 보다 상세히 기재되듯이, 이중목적 회로(330)는, 연료체(40)의 개방-셀 기공(50)을 통하여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어서, 열 및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연료체(40)로부터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의 이점은, 이중목적 회로(330)가 펌프(210, 340), 밸브(390, 410) 및 제어유닛(400)의 제어된 작동에 의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과 열을 선택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의 기재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연료체(40)의 다양한 작동특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 또는 중성자 속(flux) 검출기(412)(단지 하나만이 도시됨)가 연료체(40)에 배치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그러나 한정함이 없이, 검출기(412)는 연료체(40)에서 중성자 개체수 레벨의 작동특성과 연소파동(16)의 파워레벨 및 /또는 위치를 검출하기에 적합해질 수 있다. 검출기(412)는 제어유닛(400)에 결합되고, 이 제어유닛(400)은 검출기(412)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연료체(40)에서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핵분열 생성물 압력검출기(413)(단지 하나만이 도시됨)가 연료체(40)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어유닛(400)은,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가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하는 시간의 양에 따라 및/또는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와 관련된 임의의 시간계획에 따라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 및 열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밸브(390, 410)들을 작동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어유닛(400)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제어기는, 예컨대 미국, 일리노이주, 엘름허스트 소재의 Stolley and Orlebeke, Incorporated 로부터 입수가능한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중성자속 검출기들은, 미국, 매사츄세츠주, 월댐 소재의 Thermo Scientific, Incorporated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또 적합한 압력검출기는,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즈 소재의 Kaman Measuring System, Incorporated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밸브체(415)를 갖는, 일반적으로 414a로 표기된 제1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는, 원한다면 밸브(390 및 또는 410)에 대하여 교체될 수 있다. 대신에, 앞서 언급된 역류방지밸브(390, 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414a)와 조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중공 밸브체(415) 내에 배치된 것은, 파괴가능한 복수의 장벽 또는 멤브레인(416)이고, 이들은 얇은 탄성중합체 또는 얇은 단면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멤브레인(416)들은 미리 정해진 시스템 압력을 받게 되면 파괴되거나 파열된다. 각 멤브레인(416)은, 체결구(418)들에 의해서 같이 복수의 지지부재(415)들 중의 각각의 하나에 장착된다. 변형예로, 밸브(390 또는 410)들 중의 어느 하나는, 일반적으로 419로 표기된 피스턴 구조에 의하여 파괴할 수 있는 파괴가능한 장벽 또는 멤브레인(416)을 갖는, 일반적으로 414b로 표기된 제2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일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다이어프램 밸브(41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밸브(390, 410)와 조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피스턴 구조(419)는 멤브레인(416)을 파괴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피스턴(419a)를 갖는다. 각 피스턴(419a)은 모터(419b)에 의하여 이동가능하다. 모터(419b)는 제어유닛(400)에 연결되어, 제어유닛(400)이 모터(419b)를 제어한다. 따라서, 각 피스턴(419a)은 작업자가 제어유닛(400)을 조작함에 따른 작동운동에 의하여 멤브레인(416)을 파괴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다. 밸브(414b)들은, 미국, 펜실배니아주, 이리이 소재의 Solenoid Solutions, Incorporated 로부터 입수가능한 고객주문 설계된 밸브일 수 있다. 그러나 원한다면, 밸브(414a, 414b)들은 다이어프램밸브 보다는 오히려 체크밸브들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서,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들의 제거를 위한 이중목적 회로(330)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회로(330)는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들 뿐만 아니라 열을 선택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밸브(390, 41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유닛(400)의 작용에 의해서와 같이, 제1밸브(390)는 개방되고 또 제2밸브(410)는 폐쇄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들은 연소파동(16)에 의하여 연료체(40)에 생성되고 또 개방-셀 기공(50)들에 존재한다. 제3펌프(340)는, 제어유닛(400)에 의해서와 같이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여, 개방-셀 기공(50)들에 의하여 포집된 핵분열 생성물(15)들은 제1파이프부(70)를 통하여, 제6파이프부(350)로 그런 다음 제1체적(90)으로 유입된다. 제1펌프(210)는 제1체적(90)으로부터 그리고 제2파이프부(200)를 통해 핵분열 생성물(15)들을 인출하게 된다. 제1펌프(210)는 제2파이프부(200)로부터 그리고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15)들을 펌핑한다. 제3파이프부(220)를 따라 흐르는 핵분열 생성물(15)들은, 제1밸브(390가 개방되고 또 제2밸브(410)가 폐쇄되었기 때문에 제2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로 전환된다.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후에, 필요하다면, 연료체(40)로부터 핵분열 생성물(15)들의 제어를 재개하기 위하여 제1밸브(390가 폐쇄되고 또 제2밸브(410)가 개방된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여, 연료체(40)로부터 열의 제거를 위한 회로(330)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연료체(40)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유닛(400)의 작용에 의해서와 같이, 제1밸브(390)는 폐쇄되고 또 제2밸브(410)는 개방된다. 제1펌프(210)와 제3펌프(340)가 동작하고, 이들도 또한 제어유닛 (400)의 작용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제1펌프(210)는, 앞서 언급된 헬륨가스와 같은 유체를, 제1파이프부(200)를 통하여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에 의하여 형성된 제1체적(90)으로부터 인출한다. 제1펌프(210)는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유체를 펌핑한다. 이미 언급된 열교환기(355)는, 유체에 의하여 이송된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는, 제1밸브(390)가 폐쇄되어있기 때문에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로 전환되지 않는다. 제3파이프부 (22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는, 다공성 연료체(4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또는 다중의) 개방-셀 기공(50)들에 의하여 수용된다. 개방-셀 기공(50)들에 의하여 수용된 유체는, 연료체(40)에 의하여 생성된 열을 획득한다. 열은, 유체가 개방-셀 기공(50)들을 통해 흐름에 따라 대류 열전달에 의하여 얻어진다. 대류 열전달이 연료체(40) 내에서 일어남에 따라, 제어유닛(400)에 의해서와 같이 제3펌프(340)가 작동된다. 제3펌프(340)가 작동됨에 따라, 연료체(40)에 존재하고 또 대류 열전달을 경험하고 있는 유체는 제1파이프부(70)를 매개로 제1체적(90)으로 유입된다.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를 사용하는 이점은, 컴팩트한 이중 목적 회로(330)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선택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 그 다음 열을 제거하거나 또는 그 반대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제어유닛(400)에 의하여 그리고 열교환기(355)에 의하여 펌프(210, 340) 및 밸브(390, 410)들의 제어된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420으로 표기된 제6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제6실시예의 연료집합체(420)는, 다음의 구성부품들이 실질적으로 용기(310) 외부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제5실시예의 연료집합체(290)와 동일하다: 즉, 제1파이프부(70), 제3펌프(340), 제6파이프부(350),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 제2파이프부(200), 제1펌프(70), 제3파이프부(220), 제1밸브(390), 열교환기(355), 제7파이프부(360), 제2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370), 제2밸브(410) 및 제어유닛(400). 몇몇 경우에서, 이러한 구성부품들을 용기(310) 외부에 배치하는 것은, 그러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보수장비 및 원자로 작업원들을 용기(310) 내의 방사선 레벨에 노출시킴이 없이 이들 구성부품들을 더 용이한 보수를 위하여 보다 쉽게 접근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 공급원 또는 제1구성(422), 제2유체 공급원 또는 제2구성(423) 및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들은, Y자 형상의 파이프 접합(424)에 의하려 작동적으로 함께 결합된다. 제1유체 공급구성(422)은,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공급할 수 있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가 핵 연료체(40)의 개방-셀 기공(50)들을 통해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핵 연료체(40)의 기공(50)들에 의하여 획득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적어도 일부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가 기공(50)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제거된다. 또한 제2유체 공급구성(423)은, 열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공급할 수 있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가 핵 연료체(40)의 기공들을 통해 열 제거유체를 순환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핵 연료체(40)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가 핵 연료체(40)를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40)로부터 제거된다.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수소(H2), 헬륨(He), 이산화탄소(CO2) 및/또는 메탄(CH4)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된다. 열 제거유체는, 수소(H2), 헬륨(He), 이산화탄소(CO2),나트륨(Na), 납(Pb), 나트륨-칼륨(NaK), 리튬(Li), "경수(light water)"(H2O), 납-비스무드(Pb-Bi)합금, 및/또는 불소-리튬-베릴륨(FLiBe)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구성(422) 및 제2구성(423)은, 그 구성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 쌍의 역류방지밸브(도시 안 됨)가 구성(422,423)들의 각각 하나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바, 이는 체적(90)으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 및 열 제거유체의 흐름은 제어하나, 체적(90)으로부터의 역류 또 제1구성(422) 또는 제2구성(423) 어느 하나로 복귀는 제어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구성(422)과 제2구성(423)은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 및 열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구성(422)과 제2구성(423)은,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 및 열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각각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 및 열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한 쌍의 펌프(도시 안 됨)가 제1구성(422)과 제2구성(423)에 결합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 서브조립체(426)를 대신 포함할 수 있다. 입구 서브조립체(426)로부터 체적(90)으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입구 서브조립체(426)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 사이에 밸브(426')가 삽입될 수 있다. 체적(90)과 연통하고 또 연료체(40)에 연결된 제4펌프(340')가, 이어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다공성 핵 연료체(40)로 펌핑할 수 있다. 다공성 핵 연료체(40)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출구 서브조립체(427)가 또한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3펌프(340)가 작동되어 핵 연료체(40)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회수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유입한다. 그 다음,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출구 서브조립체 (427)로 유입된다. 출구 서브조립체(427)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구 서브조립체(427)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 사이에 다른 밸브(427')가 삽입될 수 있다. 작동 도중에, 밸브(427')는 폐쇄되고 또 밸브(426')는 개방되면, 입구 서브조립체(426)내의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펌프(340')에 의하여 체적(90) 또 그 다음 연료체(40) 내로 흡입된다.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가 입구 서브조립체(426)로부터 실질적으로 고갈되면, 펌프(340')는 정지하게 된다. 다음, 밸브(426')가 폐쇄되고 밸브(427')는 개방된다. 다음, 펌프(340)가 작동하여 연료체(40)로부터 체적(90) 내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흡입한다. 그 후,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출구 서브조립체 (427)로 유입된다. 원한다면,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와 출구 서브조립체 (427) 사이에 열교환기(355)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폐쇄부재(20)에 결합된 입구 서브조립체(426)를 대신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펌프(340a)가 입구 서브조립체 (426)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파이프(426', 70a)들을 매개하여 연료체(40)로 펌핑한다.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다른 선택적인 펌프(340b)에 의해서와 같이, 연료체(40)로부터 파이프(70b)를 통하여 인출되고 그런 다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흐른다. 거기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선택적인 펌프(340c)에 의해 펌핑되고, 그리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파이프(427')를 통해 출구 서브조립체(427)로 흐른다. 원한다면, 펌프(340a, 340b, 340c)들의 일부 또는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원한다면, 열교환기(355)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와 출구 서브조립체(42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대신에 다공성 핵 연료체(40)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복수의 출구 서브조립체(428a, 428b, 428c)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출구 서브조립체(412a, 428b, 428c)의 각각의 하나에 결합된 복수의 펌프(429a, 429b, 42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429a, 429b, 429c)들은, 파이프(70a, 70b, 70c)를 따라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출구 서브조립체(412a, 428b, 428c)의 각각의 하나로 펌핑하도록 구성된다.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펌프(70')의 펌핑작용 때문에 파이프(71)를 통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흐른다. 거기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펌프(429d)의 펌핑작용 때문에 파이프(7427')를 통해 저장소(427)로 흐른다. 원한다면, 열교환기(355)는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와 출구 서브조립체(42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핵 분열성 핵종의 핵분열로 인한 열을 생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430으로 표기된 제7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7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은, 복수의 폐쇄부재(20a, 20b, 20c)가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과 유사하다. 폐쇄부재(20a, 20b, 20c)의 각각은 복수의 파이프부(72a, 72b, 72c)의 각각의 하나에 의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에 연결된다. 제7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430)은, 다른 점에서는 제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10)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438으로 표기된 제8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8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438)은, 이중목적 회로(330)가 일반적으로 440으로 표기된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와, 일반적으로 450으로 표기된 별개의 열 제거 흐름 경로로 교체된 점에서, 제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290) 및 제6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420)와 다르다. 열 제거 흐름 경로(450)의 목적은, 연료체(40)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것이다.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440)의 목적은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들을 제거하고 또 분리하는 것이다. 열 제거 흐름 경로(450)는, 제1체적(90)을 형성하는 앞서 언급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를 포함한다. 제1체적(90)은, 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헬륨과 같은 유체를 함유한다. 제1파이프부(70)는, 이 제1파이프부(70)의 한쪽 단부에서 연료체(40)와 연통되고 또 제1파이프부(7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제3펌프(340)의 입구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3펌프(340)의 출구는 제6파이프부(350)에 연결되고, 이는 이어서 제1체적(90)과 연통된다. 제2파이프부(200)는, 이 제2파이프부(200)의 한쪽 단부에서 제1체적(90)과 연통하고 또 제2파이프부(20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제1펌프(210)의 입구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1펌프(210)의 출구는 제3파이프부 (220)에 연결되고, 이는 이어 연료체(40)와 연통된다. 또한, 열교환기(355)는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3파이프부(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파이프부(70), 제3펌프(340), 제6파이프부(350),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 제2파이프부(200), 제1펌프(210), 제3파이프부(220), 연료체(40) 자체 및 열교환기 (355)가 함께 열 제거 흐름 경로(450)를 형성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열 제거 흐름 경로(450)는 열교환기(355)와 연료체(40)의 개방-셀 기공(50)들을 통해 열 제거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고, 그리하여 연료체(40)로부터 열이 제거된다.
여전히 도 8을 참조하면,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440)는, 연료체(40)와 연통하는 그 한쪽 단부를 갖는 제1흐름 파이프(460)를 포함한다. 제1흐름 파이프(460)의 다른 쪽 단부는 원심펌프일 수 있는 제5펌프(470)의 입구에 연결된다. 제5펌프(470)의 출구는, 제2흐름 파이프(480)에 연결된다. 제2흐름 파이프(480)는 제3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500)에 의해 형성된 제4체적(490)과 연통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440)는 연료체(40)로부터 핵분열 생성물(15)을 제거하고 또 분리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연료체(40)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한 열 제거 흐름 경로(450)의 작동이 기재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료체(40)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펌프(210)와 제3펌프(340)가 동작하고, 이들은 제어유닛 (40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1펌프(210)는, 앞서 언급된 헬륨가스와 같은 열 제거 유체를, 제1파이프부(200)를 통하여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에 의하여 형성된 제1체적(90)으로부터 인출한다. 제1펌프(210)는 제3파이프부(220)를 통하여 유체를 펌핑한다. 제3파이프부 (22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는, 연료체 (4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또는 다중의) 개방-셀 기공(50)들에 의하여 수용된다. 개방-셀 기공(50)들에 의하여 수용된 유체는, 연료체(40)에 의하여 생성된 열을 획득한다. 열은, 유체가 개방-셀 기공(50)들을 통해 흐름에 따라 대류 열전달에 의하여 얻어진다. 대류 열전달이 연료체(40) 내에서 일어남에 따라, 제어유닛(400)에 의해서와 같이 제3펌프(340)가 작동된다. 제3펌프(340)가 작동됨에 따라, 연료체(40)에서 대류 열전달을 경험하고 있는 유체는 제3펌프(340)에 의해 제1파이프부 (70)를 매개로 인출되고 또 그 다음 제3펌프(340)에의해 제1체적(90)으로 펌핑된다. 제1펌프(210), 제3펌프(340) 및 제4펌프(470) 각각은 제어유닛(4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3파이프부(220)에 흐르는 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 이미 언급된 열교환기(355)는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한다. 펌프(340, 210)들은, 열 제거 흐름 경로(450)가 펌프(340) 단독으로, 펌프(210) 단독으로, 또는 펌프(340, 210) 공동으로 수행되도록 선택된다. 환언하면, 만일 펌프(340, 210)들중 어느 하나가 작동이 안되거나 또는 달리 사용할 수 없다면, 펌프(340, 210)들 중 어느 하나가 열 제거 유체를 감소된, 그러나 충분한 속도로 펌핑할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연료체(40)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의 제거 및 분리를 위한 제2흐름 경로(440)의 작동이 기재된다. 이에 관하여, 열 제거 흐름 경로(450)는, 펌프(210, 340)들을 비활성화하는 것과 같이 하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다음, 제5펌프(470)가 작동됨에 따라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이 제1흐름 파이프(460)로 흡입되고 그 다음 제2흐름 파이프(480)로 펌핑된다.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이 제2흐름 파이프(480)를 통해 펌핑됨에 따라, 유체는 제3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500)에 의하여 형성된 제4체적(490)으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은 연료체(40)로부터 제거되고 또 후속적인 외부 폐기를 위하여 제3핵분열 생성물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500)에 보유되거나 또는 저장소, 또는 보유탱크(280) 내의 핵분열 생성물 (15)은 원한다면 본래 위치에 남을 수 있다.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440)와 열 제거 흐름 경로(450)는 원한다면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15)은, 개방-셀 기공(50)들로부터 그 자신이 이동하여 또 제5펌프(470)의 도움없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15)의 고유한 휘발성질로 인해 기화함으로써 체적(9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 (440)는 펌프(470)로써 또는 펌프(470)없이 이행될 수 있다. 핵분열 생성물 흐름 경로(440)는, 이 흐름 경로(440)에 배치되고 또 제4체적(490)을 더 분리하기 위하여 제어유닛(40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차단밸브(도시 안 됨) 또는 역류방지밸브(또한 도시 안 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9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510)이 도시된다. 이 제9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51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516)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폐쇄부재(515)를 포함한다. 그 안에 혼입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15)을 갖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펌프(340)에 의하여 연료체(40)로부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로 흡입된다. 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프(220)에 열교환기(355)가 구비될 수 있다. 원통형 폐쇄부재(515)를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 (fuel profile)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여기서 "연료 프로파일"이란 용어는 분열성 재료, 핵분열 가능한 재료, 및/또는 중성자 감속재료의 기하학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1을 이제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20으로 표기된 제10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10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 (52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526)을 갖는 일반적으로 구형 폐쇄부재(525)를 포함한다. 구형 폐쇄부재(525)를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구형(spherical) 형상이 필요한 클래딩(cladding) 또는 폐쇄재료(20)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구형 폐쇄부재(525)를 사용하는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30으로 표기된 제11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10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 (53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545)을 갖는 일반적으로 반구형 폐쇄부재(540)를 포함한다. 반구형 폐쇄부재(540)를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용기(3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320)에 연료집합체의 충전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반구형 폐쇄부재(540)를 사용하는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50으로 표기된 제12실시예의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12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 (55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565)을 갖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형상 폐쇄부재(560)를 포함한다. 디스크 형상 폐쇄부재(560)를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70으로 표기된 제13실시예의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13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 (57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585)을 갖는 일반적으로 다각형(횡단면에서) 폐쇄부재(58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폐쇄부재(580)는 횡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각형 단면의 폐쇄부재(580)에 수반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집합체를 위한 많은 다른 기하학적 형태들에 의해 허용되는 것 보다 많은 연료집합체(570)들이 용기(310)의 공간(320)내에 채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각형 폐쇄부재(580)를 사용하는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90으로 표기된 제14실시예의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제14실시예에서, 연료집합체(590)는, 그 내부에 연료체(40)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벽(605)들을 갖는 평행 육면체형 폐쇄부재 (600)를 포함한다. 평행 육면체형 폐쇄부재(600)를 사용하는 잠재적인 이점은, 용기(310)의 공간(320)에 연료집합체의 충전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평행육면체형 폐쇄부재(600)를 사용하는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연료 프로파일들을 형상화하는 데에서 그 유용성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610으로 표기된 제15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료체(40)는 그 내부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연료 펠릿(pellet)(6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 펠릿(620)은 연료체(40)의 유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고밀도의 연료성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625로 표기된 제16실시예의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80)는 복수의 폐쇄부재(20)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방법들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 (10, 100, 190, 230, 290, 420, 430, 510, 520, 530, 550, 570, 590, 610 및 625)의 전형적인 실시예들과 관련된 예시적인 방법들이 이제 기재된다.
도 21A 내지 도 21C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이 구비된다.
도 21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30)이 블럭(640)에서 시작한다. 블럭(650)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66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폐쇄부재(20)에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방법(630)은 블럭(670)에서 정지한다.
도 21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71)이 블럭(672)에서 시작한다. 블럭(673)에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674)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675)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방법(671)은 블럭(676)에서 정지한다.
도 21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77)이 블럭(680)에서 시작한다. 블럭(6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7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7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블럭(715)에서,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677)은 블럭(720)에서 정지한다.
도 21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30)이 블럭(740)에서 시작한다. 블럭(75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76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77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블럭(780)에서,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730)은 블럭(790)에서 정지한다.
도 21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00)이 블럭(810)에서 시작한다. 블럭(82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83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84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블럭(850)에서,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800)은 블럭(860)에서 정지한다.
도 21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70)이 블럭(880)에서 시작한다. 블럭(8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9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9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블럭(920)에서,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870)은 블럭(930)에서 정지한다.
도 21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40)이 블럭(950)에서 시작한다. 블럭(96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97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9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다. 블럭(990)에서, 제어유닛은, 핵분열 원자로가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940)은 블럭(1000)에서 정지한다.
도 21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10)이 블럭(1020)에서 시작한다. 블럭(103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04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05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010)은 블럭(1060)에서 정지한다.
도 21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70)이 블럭(1080)에서 시작한다. 블럭(10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1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11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070)은 블럭(1120)에서 정지한다.
도 21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30)이 블럭(1140)에서 시작한다. 블럭(115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16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17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130)은 블럭(1180)에서 정지한다.
도 21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90)이 블럭(1200)에서 시작한다. 블럭(121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22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23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190)은 블럭(1240)에서 정지한다.
도 21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250)이 블럭(1260)에서 시작한다. 블럭(127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28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29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250)은 블럭(1300)에서 정지한다.
도 21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310)이 블럭(1320)에서 시작한다. 블럭(133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34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35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310)은 블럭(1360)에서 정지한다.
도 21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370)이 블럭(1380)에서 시작한다. 블럭(13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4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41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370)은 블럭(1420)에서 정지한다.
도 21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430)이 블럭(1440)에서 시작한다. 블럭(145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46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47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430)은 블럭(1480)에서 정지한다.
도 21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490)이 블럭(1500)에서 시작한다. 블럭(151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52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53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연속적으로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490)은 블럭(1540)에서 정지한다.
도 21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550)이 블럭(1560)에서 시작한다. 블럭(157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58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59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들을 형성하는 폼(foam)의 형태인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550)은 블럭(1600)에서 정지한다.
도 21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610)이 블럭(1620)에서 시작한다. 블럭(163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64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65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들을 형성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기공들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방법(1610)은 블럭(1660)에서 정지한다.
도 21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670)이 블럭(1680)에서 시작한다. 블럭(16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7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71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670)은 블럭(1720)에서 정지한다.
도 21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730)이 블럭(1740)에서 시작한다. 블럭(175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76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77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블럭(1780)에서, 폐쇄부재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들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730)은 블럭(1790)에서 정지한다.
도 21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800)이 블럭(1810)에서 시작한다. 블럭(182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83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84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기공들의 적어도 하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다. 방법(1880)은 블럭(1850)에서 정지한다.
도 21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860)이 블럭(1870)에서 시작한다. 블럭(188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89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90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0초와 약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860)은 블럭(1910)에서 정지한다.
도 21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920)이 블럭(1930)에서 시작한다. 블럭(194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95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96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초와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연료체를 구비한다. 방법(1920)은 블럭(1970)에서 정지한다.
도 21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971)이 블럭(1972)에서 시작한다. 블럭(1973)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1974)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1975)에서, 폐쇄부재는, 원통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971)은 블럭(1976)에서 정지한다.
도 21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980)이 블럭(1990)에서 시작한다. 블럭(200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01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020)에서, 폐쇄부재는, 다각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1980)은 블럭(2030)에서 정지한다.
도 21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040)이 블럭(2050)에서 시작한다. 블럭(206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07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08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2040)은 블럭(2090)에서 정지한다.
도 21A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100)이 블럭(2110)에서 시작한다. 블럭(212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13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14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2100)은 블럭(2150)에서 정지한다.
도 21A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160)이 블럭(2170)에서 시작한다. 블럭(218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19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20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2160)은 블럭(2210)에서 정지한다.
도 21A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220)이 블럭(2230)에서 시작한다. 블럭(224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25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2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의 위치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2220)은 블럭(2270)에서 정지한다.
도 21A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280)이 블럭(2290)에서 시작한다. 블럭(230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31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3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방법(2280)은 블럭(2330)에서 정지한다.
도 21A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340)이 블럭(2350)에서 시작한다. 블럭(236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37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3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2390)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 서브조립체가 구비된다. 방법(2340)은 블럭(2400)에서 정지한다.
도 21A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410)이 블럭(2420)에서 시작한다. 블럭(243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44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4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2460)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출구 서브조립체가 구비된다. 방법(2410)은 블럭(2470)에서 정지한다.
도 21A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480)이 블럭(2490)에서 시작한다. 블럭(250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51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5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253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저장소가 구비된다. 방법(2480)은 블럭(2540)에서 정지한다.
도 21A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550)이 블럭(2560)에서 시작한다. 블럭(257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58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5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260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2550)은 블럭(2610)에서 정지한다.
도 21A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620)이 블럭(2630)에서 시작한다. 블럭(264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65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6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가스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고 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방법(2620)은 블럭(2670)에서 정지한다.
도 21A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680)이 블럭(2690)에서 시작한다. 블럭(270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71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7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결합된다. 방법(2680)은 블럭(2730)에서 정지한다.
도 21A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740)이 블럭(2750)에서 시작한다. 블럭(276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77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780)에서, 방법은 펌프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2740)은 블럭(2790)에서 정지한다.
도 21A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800)이 블럭(2810)에서 시작한다. 블럭(282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83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84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와 다공성 핵 연료체 사이의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펌프가 일체로 결합된다. 방법(2800)은 블럭(2850)에서 정지한다.
도 21A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860)이 블럭(2870)에서 시작한다. 블럭(288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89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900)에서, 방법은 밸브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2860)은 블럭(2910)에서 정지한다.
도 21A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920)이 블럭(2930)에서 시작한다. 블럭(294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295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296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밸브가 삽입된다. 방법(2920)은 블럭(2970)에서 정지한다.
도 21A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980)이 블럭(2990)에서 시작한다. 블럭(300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301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302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밸브가 삽입된다. 블럭(303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역류방지밸브가 삽입된다. 방법(2980)은 블럭(3040)에서 정지한다.
도 21A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050)이 블럭(3060)에서 시작한다. 블럭(307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308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3090)에서, 방법은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3050)은 블럭(3100)에서 정지한다.
도 21A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110)이 블럭(3120)에서 시작한다. 블럭(313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314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315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3110)은 블럭(3160)에서 정지한다.
도 21A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170)이 블럭(3180)에서 시작한다. 블럭(319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320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321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블럭(322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파괴가능한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3170)은 블럭(3230)에서 정지한다.
도 21A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240)이 블럭(3250)에서 시작한다. 블럭(3260)에서, 앞서 언급된 방식으로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된다. 블럭(3270)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블럭(328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블럭(329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파괴가능한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3240)은 블럭(3300)에서 정지한다.
도 21A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310)이 블럭(3320)에서 시작한다. 블럭(33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3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방법(3310)은 블럭(3350)에서 정지한다.
도 21A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360)이 블럭(3370)에서 시작한다. 블럭(33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3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4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제어유닛이 결합된다. 방법(3360)은 블럭(3410)에서 정지한다.
도 21A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420)이 블럭(3430)에서 시작한다. 블럭(34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4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46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3420)은 블럭(3470)에서 정지한다.
도 21A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480)이 블럭(3490)에서 시작한다. 블럭(35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5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52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3480)은 블럭(3530)에서 정지한다.
도 21A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540)이 블럭(3550)에서 시작한다. 블럭(35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5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58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핵분열 가능한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3540)은 블럭(3590)에서 정지한다.
도 21A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600)이 블럭(3610)에서 시작한다. 블럭(36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6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영역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64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재료의 혼합물을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3600)은 블럭(3650)에서 정지한다.
도 21A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660)이 블럭(3670)에서 시작한다. 블럭(36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6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7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의 위치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660)은 블럭(3710)에서 정지한다.
도 21B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720)이 블럭(3730)에서 시작한다. 블럭(37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7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7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720)은 블럭(3770)에서 정지한다.
도 21B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780)이 블럭(3790)에서 시작한다. 블럭(38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8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8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780)은 블럭(3830)에서 정지한다.
도 21B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840)이 블럭(3850)에서 시작한다. 블럭(38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8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8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840)은 블럭(3890)에서 정지한다.
도 21B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900)이 블럭(3910)에서 시작한다. 블럭(39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9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394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900)은 블럭(3950)에서 정지한다.
도 21B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960)이 블럭(3970)에서 시작한다. 블럭(39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39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0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3960)은 블럭(4010)에서 정지한다.
도 21B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020)이 블럭(4030)에서 시작한다. 블럭(40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0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06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4020)은 블럭(4070)에서 정지한다.
도 21B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080)이 블럭(4090)에서 시작한다. 블럭(41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1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1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방법(4080)은 블럭(4130)에서 정지한다.
도 21B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140)이 블럭(4150)에서 시작한다. 블럭(41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1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175)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1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 서브조립체가 구비된다. 방법(4140)은 블럭(4190)에서 정지한다.
도 21B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200)이 블럭(4210)에서 시작한다. 블럭(42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2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2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2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출구 서브조립체가 구비된다. 방법(4200)은 블럭(4260)에서 정지한다.
도 21B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270)이 블럭(4280)에서 시작한다. 블럭(42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3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3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방법(4270)은 블럭(4320)에서 정지한다.
도 21B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330)이 블럭(4340)에서 시작한다. 블럭(43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3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3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380)에서, 열 제거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4330)은 블럭(4390)에서 정지한다.
도 21B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400)이 블럭(4410)에서 시작한다. 블럭(44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4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4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450)에서, 열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4400)은 블럭(4460)에서 정지한다.
도 21B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470)이 블럭(4480)에서 시작한다. 블럭(44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5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5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5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히트싱크(heat sink)가 결합되어, 이 히트싱크가 열 제거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 제거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방법(4470)은 블럭(4530)에서 정지한다.
도 21B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540)이 블럭(4550)에서 시작한다. 블럭(45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5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5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도록 결합된다. 블럭(45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열교환기가 결합되어, 이 열교환기가 열 제거유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 제거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방법(4540)은 블럭(4600)에서 정지한다.
도 21B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610)이 블럭(4620)에서 시작한다. 블럭(46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6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6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와 열 제거유체를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4610)은 블럭(4660)에서 정지한다.
도 21B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670)이 블럭(4680)에서 시작한다. 블럭(46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7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7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와 열 제거유체를 순차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결합된다. 방법(4670)은 블럭(4720)에서 정지한다.
도 21B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730)이 블럭(4740)에서 시작한다. 블럭(47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7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77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로부터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 유체를 펌핑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펌프가 일체로 연결된다. 방법(4730)은 블럭(4780)에서 정지한다.
도 21B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790)이 블럭(4800)에서 시작한다. 블럭(48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8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830)에서, 방법은 펌프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4790)은 블럭(4840)에서 정지한다.
도 21B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850)이 블럭(4860)에서 시작한다. 블럭(48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8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89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핵분열 생성물 저장소가 결합된다. 방법(4850)은 블럭(4900)에서 정지한다.
도 21B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910)이 블럭(4920)에서 시작한다. 블럭(49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49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49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결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방법(4910)은 블럭(4960)에서 정지한다.
도 21B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970)이 블럭(4980)에서 시작한다. 블럭(49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0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0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결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블럭(50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구성성분들이 결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해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방법(4970)은 블럭(5030)에서 정지한다.
도 21B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40)이 블럭(5050)에서 시작한다. 블럭(50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0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0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결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블럭(50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구성성분들이 결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해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5100)에서, 방법은 제1구성성분들과 제2구성성분들을 작동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구성성분들의 적어도 하나와 제2구성성분들의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다. 방법(5040)은 블럭(5110)에서 정지한다.
도 21B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120)이 블럭(5130)에서 시작한다. 블럭(51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1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160)에서, 방법은, 핵 연료체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이중목적 회로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5120)은 블럭(5170)에서 정지한다.
도 21B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180)이 블럭(5190)에서 시작한다. 블럭(52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2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2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결합한다. 방법(5180)은 블럭(5230)에서 정지한다.
도 21B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240)이 블럭(5250)에서 시작한다. 블럭(52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2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2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결합한다. 방법(5240)은 블럭(5290)에서 정지한다.
도 21B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300)이 블럭(5310)에서 시작한다. 블럭(53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3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34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들을 형성하는 폼(foam) 형태인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300)은 블럭(5350)에서 정지한다.
도 21C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360)이 블럭(5370)에서 시작한다. 블럭(53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3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40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360)은 블럭(5410)에서 정지한다.
도 21C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420)이 블럭(5430)에서 시작한다. 블럭(54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4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46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블럭(5470)에서, 폐쇄부재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를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420)은 블럭(5480)에서 정지한다.
도 21C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490)이 블럭(5500)에서 시작한다. 블럭(55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5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53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기공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방법(5490)은 블럭(5540)에서 정지한다.
도 21C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550)이 블럭(5560)에서 시작한다. 블럭(55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5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59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550)은 블럭(5600)에서 정지한다.
도 21C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610)이 블럭(5620)에서 시작한다. 블럭(56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6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65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기공의 하나 이상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다. 방법(5610)은 블럭(5660)에서 정지한다.
도 21C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670)이 블럭(5680)에서 시작한다. 블럭(56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7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71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0초와 약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670)은 블럭(5720)에서 정지한다.
도 21C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730)이 블럭(5740)에서 시작한다. 블럭(57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7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77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초와 약 10,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730)은 블럭(5780)에서 정지한다.
도 21C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790)이 블럭(5800)에서 시작한다. 블럭(58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8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83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통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790)은 블럭(5840)에서 정지한다.
도 21C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850)이 블럭(5860)에서 시작한다. 블럭(58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8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890)에서, 폐쇄부재는, 원통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850)은 블럭(5900)에서 정지한다.
도 21C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910)이 블럭(5920)에서 시작한다. 블럭(59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59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5950)에서, 폐쇄부재는, 다각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방법(5910)은 블럭(5960)에서 정지한다.
도 21C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970)이 블럭(5980)에서 시작한다. 블럭(59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0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010)에서, 방법은 밸브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5970)은 블럭(6020)에서 정지한다.
도 21C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030)이 블럭(6040)에서 시작한다. 블럭(60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0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07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밸브가 삽입된다. 방법(6030)은 블럭(6080)에서 정지한다.
도 21C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090)이 블럭(6100)에서 시작한다. 블럭(61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1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13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밸브가 삽입된다. 블럭(6140)에서, 방법은 역류방지밸브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방법(6090)은 블럭(6150)에서 정지한다.
도 21C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160)이 블럭(6170)에서 시작한다. 블럭(61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1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200)에서, 방법은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6160)은 블럭(6210)에서 정지한다.
도 21C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220)이 블럭(6230)에서 시작한다. 블럭(62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2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26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6220)은 블럭(6270)에서 정지한다.
도 21C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280)이 블럭(6290)에서 시작한다. 블럭(63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3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32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블럭(6330)에서, 방법은,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제어가능하게 파괴가능한 장벽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6280)은 블럭(6340)에서 정지한다.
도 21C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350)이 블럭(6360)에서 시작한다. 블럭(63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63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핵 연료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결합된다. 블럭(639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블럭(6400)에서, 방법은,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파괴가능한 장벽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6350)은 블럭(6410)에서 정지한다.
도 22A를 참조하면,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거를 위하여 예시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거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6420)은, 블럭(6430)에서 시작한다. 블럭(644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거는,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제어된다. 방법(6420)은 블럭(6450)에서 정지한다.
도 23A 내지 도 23CK를 참조하여,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이 제공된다.
도 23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460)이 블럭(6470)에서 시작한다. 블럭(648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49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방법(6460)은 블럭(6500)에서 정지한다.
도 23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510)이 블럭(6520)에서 시작한다. 블럭(65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5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5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510)은 블럭(6560)에서 정지한다.
도 23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570)이 블럭(6580)에서 시작한다. 블럭(659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60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6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6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570)은 블럭(6630)에서 정지한다.
도 23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640)이 블럭(6650)에서 시작한다. 블럭(666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67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6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6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640)은 블럭(6700)에서 정지한다.
도 23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710)이 블럭(6720)에서 시작한다. 블럭(67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7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7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7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710)은 블럭(6770)에서 정지한다.
도 23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780)이 블럭(6790)에서 시작한다. 블럭(680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81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8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83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780)은 블럭(6840)에서 정지한다.
도 23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850)이 블럭(6860)에서 시작한다. 블럭(68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8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8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9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방법(6850)은 블럭(6910)에서 정지한다.
도 23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920)이 블럭(6930)에서 시작한다. 블럭(694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695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68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블럭(696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6920)은 블럭(6970)에서 정지한다.
도 23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980)이 블럭(6990)에서 시작한다. 블럭(700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01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02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6980)은 블럭(7030)에서 정지한다.
도 23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040)이 블럭(7050)에서 시작한다. 블럭(706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07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08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핵분열 가능한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040)은 블럭(7090)에서 정지한다.
도 23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100)이 블럭(7110)에서 시작한다. 블럭(712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13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14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재료의 혼합물을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100)은 블럭(7150)에서 정지한다.
도 23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160)이 블럭(7170)에서 시작한다. 블럭(718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19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2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의 위치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160)은 블럭(7210)에서 정지한다.
도 23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220)이 블럭(7230)에서 시작한다. 블럭(724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25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26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폼의 형태인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220)은 블럭(7270)에서 정지한다.
도 23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280)이 블럭(7290)에서 시작한다. 블럭(730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31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32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복수의 기공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방법(7280)은 블럭(7330)에서 정지한다.
도 23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340)이 블럭(7350)에서 시작한다. 블럭(736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37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38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340)은 블럭(7390)에서 정지한다.
도 23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400)이 블럭(7410)에서 시작한다. 블럭(742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43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44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블럭(7450)에서, 폐쇄부재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들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400)은 블럭(7460)에서 정지한다.
도 23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470)이 블럭(7480)에서 시작한다. 블럭(749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50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51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기공들의 적어도 하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다. 방법(7470)은 블럭(7520)에서 정지한다.
도 23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530)이 블럭(7540)에서 시작한다. 블럭(755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56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57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0초와 약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530)은 블럭(7580)에서 정지한다.
도 23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590)이 블럭(7600)에서 시작한다. 블럭(761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62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63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초와 약 10,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590)은 블럭(7640)에서 정지한다.
도 23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650)이 블럭(7660)에서 시작한다. 블럭(76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6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690)에서, 폐쇄부재는, 원통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650)은 블럭(7700)에서 정지한다.
도 23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710)이 블럭(7720)에서 시작한다. 블럭(77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7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750)에서, 폐쇄부재는, 다각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710)은 블럭(7760)에서 정지한다.
도 23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770)이 블럭(7780)에서 시작한다. 블럭(779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80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81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770)은 블럭(7820)에서 정지한다.
도 23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830)이 블럭(7840)에서 시작한다. 블럭(785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86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87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7830)은 블럭(7880)에서 정지한다.
도 23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890)이 블럭(7900)에서 시작한다. 블럭(791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92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93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 내에 수용된다. 방법(7890)은 블럭(7940)에서 정지한다.
도 23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7950)이 블럭(7960)에서 시작한다. 블럭(79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79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79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방법(7950)은 블럭(8000)에서 정지한다.
도 23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010)이 블럭(8020)에서 시작한다. 블럭(80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0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0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806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입구 서브조립체를 사용하여 다공성 핵 연료체에 공급된다. 방법(8010)은 블럭(8070)에서 정지한다.
도 23A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080)이 블럭(8090)에서 시작한다. 블럭(810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11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1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813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출구 서브조립체를 사용하여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방법(8080)은 블럭(8140)에서 정지한다.
도 23A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150)이 블럭(8160)에서 시작한다. 블럭(81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1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1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820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에 수용된다. 방법(8150)은 블럭(8210)에서 정지한다.
도 23A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220)이 블럭(8230)에서 시작한다. 블럭(824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25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2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8270)에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로부터 공급된다. 방법(8220)은 블럭(8280)에서 정지한다.
도 23A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290)이 블럭(8300)에서 시작한다. 블럭(831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32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33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사용된다. 방법(8290)은 블럭(8340)에서 정지한다.
도 23A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350)이 블럭(8360)에서 시작한다. 블럭(83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3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3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도록 사용된다. 방법(8350)은 블럭(8400)에서 정지한다.
도 23A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410)이 블럭(8420)에서 시작한다. 블럭(84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4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450)에서, 방법은 펌프를 작동하는 것을 포함한다.방법(8410)은 블럭(8460)에서 정지한다.
도 23A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470)이 블럭(8480)에서 시작한다. 블럭(849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50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5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일체로 연결된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와 다공성 핵 연료체 사이에 유체가 순환된다. 방법(8470)은 블럭(8520)에서 정지한다.
도 23A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530)이 블럭(8540)에서 시작한다. 블럭(855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56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570)에서, 방법은 밸브를 작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8530)은 블럭(8580)에서 정지한다.
도 23A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590)이 블럭(8600)에서 시작한다. 블럭(861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62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63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방법(8590)은 블럭(8640)에서 정지한다.
도 23A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650)이 블럭(8660)에서 시작한다. 블럭(867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68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69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블럭(8700)에서, 역류방지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방법(8650)은 블럭(8710)에서 정지한다.
도 23A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720)이 블럭(8730)에서 시작한다. 블럭(874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75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760)에서, 방법은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을 작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8720)은 블럭(8770)에서 정지한다.
도 23A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780)이 블럭(8790)에서 시작한다. 블럭(880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81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82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사용된다. 방법(8780)은 블럭(8830)에서 정지한다.
도 23A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840)이 블럭(8850)에서 시작한다. 블럭(886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87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88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사용된다. 블럭(8890)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파괴가능한 장벽이 사용된다. 방법(8840)은 블럭(8900)에서 정지한다.
도 23A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910)이 블럭(8920)에서 시작한다. 블럭(8930)에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사용된다. 블럭(8940)에서,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895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사용된다. 블럭(8960)에서,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파괴가능한 장벽이 사용된다. 방법(8910)은 블럭(8970)에서 정지한다.
도 23A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980)이 블럭(8990)에서 시작한다. 블럭(90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0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방법(8980)은 블럭(9020)에서 정지한다.
도 23A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030)이 블럭(9040)에서 시작한다. 블럭(90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0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07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제어유닛을 작동함으로써 제어된다. 방법(9030)은 블럭(9080)에서 정지한다.
도 23A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090)이 블럭(9100)에서 시작한다. 블럭(91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1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13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090)은 블럭(9140)에서 정지한다.
도 23A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150)이 블럭(9160)에서 시작한다. 블럭(91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1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19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150)은 블럭(9200)에서 정지한다.
도 23A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210)이 블럭(9220)에서 시작한다. 블럭(92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2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25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핵분열 가능한 재료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210)은 블럭(9260)에서 정지한다.
도 23A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270)이 블럭(9280)에서 시작한다. 블럭(92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3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310)에서,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재료의 혼합물을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270)은 블럭(9320)에서 정지한다.
도 23A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330)이 블럭(9340)에서 시작한다. 블럭(93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3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37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의 위치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330)은 블럭(9380)에서 정지한다.
도 23A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390)이 블럭(9400)에서 시작한다. 블럭(94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4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43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390)은 블럭(9440)에서 정지한다.
도 23A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450)이 블럭(9460)에서 시작한다. 블럭(94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4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4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450)은 블럭(9500)에서 정지한다.
도 23A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510)이 블럭(9520)에서 시작한다. 블럭(95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5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5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510)은 블럭(9560)에서 정지한다.
도 23A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570)이 블럭(9580)에서 시작한다. 블럭(95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6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6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570)은 블럭(9620)에서 정지한다.
도 23A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630)이 블럭(9640)에서 시작한다. 블럭(96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6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67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9630)은 블럭(9680)에서 정지한다.
도 23B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690)이 블럭(9700)에서 시작한다. 블럭(97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7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730)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 내에 수용된다. 방법(9690)은 블럭(9740)에서 정지한다.
도 23B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750)이 블럭(9760)에서 시작한다. 블럭(97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7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7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방법(9750)은 블럭(9800)에서 정지한다.
도 23B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810)이 블럭(9820)에서 시작한다. 블럭(98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8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8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입구 서브조립체를 사용하여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방법(9810)은 블럭(9860)에서 정지한다.
도 23B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870)이 블럭(9880)에서 시작한다. 블럭(98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9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9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출구 서브조립체를 사용하여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방법(9870)은 블럭(9920)에서 정지한다.
도 23B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930)이 블럭(9940)에서 시작한다. 블럭(99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99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9970)에서,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방법(9930)은 블럭(9980)에서 정지한다.
도 23B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990)이 블럭(10000)에서 시작한다. 블럭(100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0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030)에서,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040)에서, 열 제거유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 내에 수용된다. 방법(9990)은 블럭(10050)에서 정지한다.
도 23B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60)이 블럭(10070)에서 시작한다. 블럭(100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0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100)에서,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110)에서, 열 제거유체는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로부터 공급된다. 방법(10060)은 블럭(10120)에서 정지한다.
도 23B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130)이 블럭(10140)에서 시작한다. 블럭(101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1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170)에서,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18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히트싱크를 사용하여 열 제거유체로부터 열이 제거되어, 히트싱크가 열 제거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방법(10130)은 블럭(10190)에서 정지한다.
도 23B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200)이 블럭(10210)에서 시작한다. 블럭(102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2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240)에서, 핵분열 연료집합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게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25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열 제거유체로부터 열이 제거되어, 열교환기가 열 제거유체와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방법(10200)은 블럭(10260)에서 정지한다.
도 23B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270)이 블럭(10280)에서 시작한다. 블럭(102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3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31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와 열 제거유체를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270)은 블럭(10311)에서 정지한다.
도 23B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312)이 블럭(10313)에서 시작한다. 블럭(10314)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315)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316)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와 열 제거유체를 순차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312)은 블럭(10317)에서 정지한다.
도 23BL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318)이 블럭(10319)에서 시작한다. 블럭(103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3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340)에서, 방법은 펌프를 작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10318)은 블럭(10350)에서 정지한다.
도 23BM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360)이 블럭(10370)에서 시작한다. 블럭(103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3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4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펌프가 일체로 연결된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와 핵 연료체의 기공들 사이에서 유체가 펌핑된다. 방법(10360)은 블럭(10410)에서 정지한다.
도 23BN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420)이 블럭(10430)에서 시작한다. 블럭(104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4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46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사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에 의하여 획득되고 또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방법(10420)은 블럭(10470)에서 정지한다.
도 23BO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480)이 블럭(10490)에서 시작한다. 블럭(105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5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52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사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에 의하여 획득되고,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53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열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복수의 제2구성성분들이 사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방법(10480)은 블럭(10540)에서 정지한다.
도 23BP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550)이 블럭(10560)에서 시작한다. 블럭(105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5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5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복수의 제1구성성분들이 사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에 의하여 획득되고,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60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열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복수의 제2구성성분들이 사용되어,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리하여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열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된다. 블럭(106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구성성분과 적어도 하나의 제2구성성분이 동일하도록 제1구성성분들과 제2구성성분들이 사용된다. 방법(10550)은 블럭(10620)에서 정지한다.
도 23BQ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630)이 블럭(10640)에서 시작한다. 블럭(106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6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670)에서, 핵 연료체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이중목적 회로가 사용된다. 방법(10630)은 블럭(10680)에서 정지한다.
도 23BR을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690)이 블럭(10700)에서 시작한다. 블럭(107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7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73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690)은 블럭(10740)에서 정지한다.
도 23BS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750)이 블럭(10760)에서 시작한다. 블럭(107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7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790)에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핵 연료체의 기공들을 통하여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750)은 블럭(10800)에서 정지한다.
도 23BT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810)이 블럭(10820)에서 시작한다. 블럭(1083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84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85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폼(foam) 형태인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810)은 블럭(10860)에서 정지한다.
도 23BU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870)이 블럭(10880)에서 시작한다. 블럭(108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9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91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870)은 블럭(10920)에서 정지한다.
도 23BV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930)이 블럭(10940)에서 시작한다. 블럭(109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09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097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블럭(10980)에서, 폐쇄부재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를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0930)은 블럭(10990)에서 정지한다.
도 23BW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000)이 블럭(11010)에서 시작한다. 블럭(110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0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04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복수의 기공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방법(11000)은 블럭(11050)에서 정지한다.
도 23BX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060)이 블럭(11070)에서 시작한다. 블럭(110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0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100)에서,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하여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090)은 블럭(11110)에서 정지한다.
도 23BY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120)이 블럭(11130)에서 시작한다. 블럭(111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1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160)에서,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하나 이상의 기공들은,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다. 방법(11120)은 블럭(11170)에서 정지한다.
도 23BZ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180)이 블럭(11190)에서 시작한다. 블럭(112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2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22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0초와 약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180)은 블럭(11230)에서 정지한다.
도 23CA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240)이 블럭(11250)에서 시작한다. 블럭(112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2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280)에서,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초와 약 10,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240)은 블럭(11290)에서 정지한다.
도 23CB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300)이 블럭(11310)에서 시작한다. 블럭(113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3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340)에서, 폐쇄부재는, 핵 연료체를 통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핵 연료체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300)은 블럭(11350)에서 정지한다.
도 23CC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360)이 블럭(11370)에서 시작한다. 블럭(1138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39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340)에서, 폐쇄부재는, 원통형 기하구조를 갖는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360)은 블럭(11410)에서 정지한다.
도 23CD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420)이 블럭(11430)에서 시작한다. 블럭(1144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45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460)에서, 폐쇄부재는, 다각형 기하구조를 갖는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법(11420)은 블럭(11470)에서 정지한다.
도 23CE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480)이 블럭(11490)에서 시작한다. 블럭(1150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51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520)에서, 방법은 밸브를 작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11480)은 블럭(11530)에서 정지한다.
도 23CF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540)이 블럭(11550)에서 시작한다. 블럭(1156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57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58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방법(11540)은 블럭(11590)에서 정지한다.
도 23CG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600)이 블럭(11610)에서 시작한다. 블럭(1162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63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64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블럭(11650)에서, 역류방지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방법(11600)은 블럭(11660)에서 정지한다.
도 23CH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670)이 블럭(11680)에서 시작한다. 블럭(1169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70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710)에서,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사용된다. 방법(11670)은 블럭(11720)에서 정지한다.
도 23CI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730)이 블럭(11740)에서 시작한다. 블럭(1175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76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770)에서, 폐쇄부재와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제어가능하게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11730)은 블럭(11780)에서 정지한다.
도 23CJ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790)이 블럭(11800)에서 시작한다. 블럭(1181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82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830)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이 삽입된다. 방법(11790)은 블럭(11840)에서 정지한다.
도 23CK를 참조하면,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를 작동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850)이 블럭(11860)에서 시작한다. 블럭(11870)에서, 열을 발생하는 핵 연료체를 그 내부에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고, 핵 연료체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개방-셀 기공을 형성한다. 블럭(11880)에서, 핵 연료체의 기공들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또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인접한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복수의 영역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의 연소파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서 핵 연료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사용된다. 블럭(11890)에서, 방법은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파괴할 수 있는 장벽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11850)은 블럭(11900)에서 정지한다.
당업자는, 여기에 기재된 구성성분(예컨대 작동), 장치, 물건들 및 이들을 수반하는 논의가 개념적인 명확성을 위한 예로 사용되고 또 다양한 구성변경들이 고려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시된 특정한 예 및 그에 따른 논의는 그들의 보다 일반적인 종류들의 대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특정한 예의 사용은 그 종류의 대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또 특정한 구성성분(예컨대 작동), 장치, 물건들을 포함하지않는 것은 제한하는 것으로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당업자들은 앞선 특정한 예시적인 공정 및/또는 장치 및/또는 기술들은, 함께 제출된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와 같이, 여기 다른 곳에서 교시된 보다 일반적인 공정 및/또는 장치 및/또는 기술들의 대표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주제의 특별한 관점들이 도시되고 또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에게는, 여기의 교시를 기초로 하여 변경 및 수정들이 여기에 기재된 주제 및 더 확대된 관점들을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고, 그리하여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을 그 범위 내에 포괄하며, 또 수정들은 여기에 기재된 주제의 정신 및 범위 내라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기에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예컨대 특허청구범위의 본문)에 사용된 용어들은, "개방형" 용어(예컨대, "포함하는(including)"은,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갖는(having)" 은 "적어도 갖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포함한다(includes)"는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 해석되어야 한다 등)로 의도된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게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만일 특정한 개수의 도입된 특허청구항의 재인용이 의도된다면, 그러한 의도는 청구항에 명백하게 재인용될 것이고, 또 만일 그러한 재인용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한 의도가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이해에 대한 보조로서,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는 청구항 인용을 도입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 "하나 이상의"란 도입구들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들의 사용은, 심지어 동일한 청구항이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란 도입구들을 포함하고 또 "a" 또는 "an"(예컨대, "a" 및/또는 "an"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면, 부정관사 "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인용의 도입은 그렇게 도입된 청구항 인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한 청구항을 단지 하나의 그러한 인용을 포함하는 청구범위로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청구항 인용들을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된 정관사의 사용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심지어 특정한 숫자의 도입된 청구항 인용이 명백하게 인용된다면, 그러한 인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인용된 숫자(예컨대, 다른 수식어들 없이 단순한 "2개 인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인용 또는 2개 이상의 인용을 의미한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서, "A, B, 및 C 등의 적어도 하나"에 유사한 규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그 규칙(예컨대,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홀로, B홀로, C홀로, A 와 B 함께, A 와 C 함께, B 와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을 이해한다는 의미로 의도된다. "A, B, 또는 C 등의 적어도 하나"에 유사한 규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그 규칙(예컨대,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홀로, B홀로, C홀로, A 와 B 함께, A 와 C 함께, B 와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을 이해한다는 의미로 의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세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서 2개 이상의 대신하는 용어를 나타내는 이접적인 단어 및/또는 구는,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용어들의 하나, 용어들의 어느 하나, 양쪽 용어들을 포함할 가능성을 계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A 또는 B"란 구는, 일반적으로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대하여, 거기에 인용된 작동들은 일반적으로 임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작동 흐름들이 순차적으로 제시되었지만, 다양한 작동들은 설명된 것과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교번의 순서들의 예는,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겹치는, 중간에 끼우는, 가로채는, 재지시된, 증가의, 예비의, 보충의, 동시의, 거꾸로의 또는 기타 변형된 순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 반응하여" "관련된" 또는 기타 과거시제 형용사들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그러한 변형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 다양한 관점들 및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지만, 다른 관점들 및 실시예들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의 각 실시예는, 열 중성자 원자로, 고속 중성자 원자로, 중성자 증식 원자로, 고속 중성자 증식 원자로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집합체의 각 실시예는, 여러 핵 원자로의 설계에 유리하게 사용되기에 충분한 다양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여기에 제공된 것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하여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이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관점 및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며, 진정한 보호 범위 및 사상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진다.

Claims (44)

  1.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에서 연소파동의 존재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갖는 복수의 기공들을 형성하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폐쇄부재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하여 폐쇄부재에 결합된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성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의 위치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재료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핵분열 가능한 재료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형성하는 분열성 및 핵분열 가능한 재료의 혼합물을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파워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중성자 밀도 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압력레벨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와 관련된 시간계획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가 연속하여 작동된 시간의 양에 대응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그들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자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되고, 복수의 기공들의 적어도 일부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0초와 약 1,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약 1초와 약 10,000초 사이의 미리 정해진 응답시간 내에 다공성 핵 연료체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원통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각형 기하구조를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밀봉적으로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핵 연료체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가 다공성 핵 연료체를 통하여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순환시키는 동안에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에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로부터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출구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제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결합된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의 기공을 통해 가스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다공성 핵 연료체의 기공을 통해 액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와 상기 다공성 핵 연료체 간에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와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폐쇄부재와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는 제어 가능하게 파손 가능한 장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은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은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와 상기 유체제어 서브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제어 가능하게 파손 가능한 장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핵분열 성분의 제어된 제거 시스템.
KR1020117027244A 2009-04-16 2010-04-16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되는 핵분열 원자로 KR101856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86,524 2009-04-16
US12/386,524 US9443623B2 (en) 2009-04-16 2009-04-16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US12/459,857 US9159461B2 (en) 2009-04-16 2009-07-07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US12/459,856 US9659673B2 (en) 2009-04-16 2009-07-07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US12/459,856 2009-07-07
US12/459,855 US9704604B2 (en) 2009-04-16 2009-07-07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US12/459,855 2009-07-07
US12/459,857 2009-07-07
PCT/US2010/001157 WO2010132085A2 (en) 2009-04-16 2010-04-16 A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161A true KR20120018161A (ko) 2012-02-29
KR101856234B1 KR101856234B1 (ko) 2018-05-09

Family

ID=4305032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45A KR20110138285A (ko) 2009-04-16 2010-04-16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
KR1020117027247A KR20120018768A (ko) 2009-04-16 2010-04-16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0117027244A KR101856234B1 (ko) 2009-04-16 2010-04-16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이 제거되는 핵분열 원자로
KR1020117027240A KR101700464B1 (ko) 2009-04-16 2010-04-16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45A KR20110138285A (ko) 2009-04-16 2010-04-16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
KR1020117027247A KR20120018768A (ko) 2009-04-16 2010-04-16 진행파 핵분열 원자로에서 연소파동에 의해 방출된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 및 열의 제어된 제거를 위해 구성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40A KR101700464B1 (ko) 2009-04-16 2010-04-16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4) EP2419904A4 (ko)
JP (4) JP2012524266A (ko)
KR (4) KR20110138285A (ko)
CN (3) CN102460590B (ko)
RU (4) RU2530751C2 (ko)
WO (4) WO20101290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51B1 (ko) 2021-08-25 2022-05-09 주식회사 덴오믹스 구강질환 유발 세균 검출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4376B2 (en) 2011-11-18 2016-08-23 Terrapower, Llc Enhanced neutronics systems
JP2017505501A (ja) 2014-01-27 2017-02-16 テラパワー, エルエルシー 燃料要素の変形のためのモデル化
KR102478329B1 (ko) * 2014-12-31 2022-12-15 테라파워, 엘엘씨 플럭스-이동 반응성 제어 시스템
RU179703U1 (ru) * 2017-03-28 2018-05-25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иноградов Шаровая тепловыделяющая сборк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10598303B (zh) * 2019-09-06 2021-01-15 西安交通大学 建立堵流条件下快中子反应堆燃料组件网格模型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12156C (ko) * 1956-08-07
US3039948A (en) * 1958-03-14 1962-06-19 Krucoff Darwin Nuclear reactor with powdered fuel
NL289486A (ko) * 1963-02-26
US3322644A (en) * 1964-07-22 1967-05-30 Physies Internat Company Core element for a breeder nuclear reactor
FR1552306A (ko) * 1966-12-23 1969-01-03
US3459635A (en) * 1966-12-29 1969-08-05 Combustion Eng Containment pressure reduction system and radioactivity removal system for nuclear reactor installations
US3573168A (en) * 1967-05-16 1971-03-30 Atomic Energy Authority Uk Nuclear fuel venting elements for the discharge of fission gases
US3976542A (en) * 1969-10-03 1976-08-24 General Atomic Company Fuel element having variable orifice
DE2049573A1 (de) * 1970-10-09 1972-06-15 Nukem Gmbh Kernbrennstoff aus Uran-Plutonium-Karbid bzw. Uran-Plutonium-Nitrid
US4012490A (en) * 1972-07-25 1977-03-15 Airco, Inc. Removing radioactive noble gases from nuclear process off-gases
JPS5310237B2 (ko) * 1973-02-21 1978-04-12
US4330367A (en) * 1973-05-22 1982-05-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System and process for the control of a nuclear power system
US3964964A (en) * 1974-10-15 1976-06-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Identification of failed fuel element
US4093429A (en) * 1975-12-19 1978-06-0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separation system
US4285891A (en) 1979-12-31 1981-08-25 Exxon Nuclear, Inc. Method of removing fission gases from irradiated fuel
GB2163888B (en) * 1984-08-30 1988-06-22 Atomic Energy Authority Uk Fission gas plenum chamber for nuclear fuel element sub-assembly
FR2683373B1 (fr) 1991-10-31 1994-03-04 Pechiney Uranium Elements combustibles nucleaires comportant un piege a produits de fission a base d'oxyde.
US6233298B1 (en) * 1999-01-29 2001-05-15 Adna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mutation of nuclear reactor waste
US20050069075A1 (en) * 2003-06-04 2005-03-31 D.B.I. Century Fuels And Aerospace Services, Inc. Reactor tray vertical geometry with vitrified waste control
US7846499B2 (en) * 2004-12-30 2010-12-07 Asm International N.V. Method of pulsing vapor precursors in an ALD reactor
CN101090006B (zh) * 2006-06-16 2010-11-17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板翅型核燃料组件
US8971474B2 (en) * 2006-11-28 2015-03-03 Terrapower, Llc Automated nuclear power reactor for long-term operation
US7860207B2 (en) 2006-11-28 2010-12-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uel in a nuclear reactor
US9734922B2 (en) * 2006-11-28 2017-08-15 Terrapower,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dular nuclear fission deflagration wave reactor
US9275759B2 (en) * 2006-11-28 2016-03-01 Terrapower, Llc Modular nuclear fission reactor
US20080123797A1 (en) * 2006-11-28 2008-05-2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Automated nuclear power reactor for long-term operation
CN101939793B (zh) * 2007-09-26 2014-05-21 德尔诺瓦维斯公司 一种核反应堆
US9721679B2 (en) * 2008-04-08 2017-08-01 Terrapower, Llc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dapted to permit expansion of the nuclear fuel contained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51B1 (ko) 2021-08-25 2022-05-09 주식회사 덴오믹스 구강질환 유발 세균 검출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KR20230030509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덴오믹스 구강질환 유발 세균 검출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9009A2 (en) 2010-11-11
RU2537505C2 (ru) 2015-01-10
CN102460593A (zh) 2012-05-16
EP2419904A2 (en) 2012-02-22
EP2419906A4 (en) 2013-11-20
EP2419905A4 (en) 2013-10-30
KR101700464B1 (ko) 2017-01-26
KR20120011044A (ko) 2012-02-06
WO2010129012A2 (en) 2010-11-11
CN102460593B (zh) 2016-08-24
CN102460592B (zh) 2015-05-06
EP2419905A1 (en) 2012-02-22
WO2010129010A1 (en) 2010-11-11
CN102460590B (zh) 2016-01-13
RU2011143969A (ru) 2013-05-27
CN102460592A (zh) 2012-05-16
EP2419903A2 (en) 2012-02-22
WO2010129009A3 (en) 2011-01-27
JP2012524263A (ja) 2012-10-11
RU2530751C2 (ru) 2014-10-10
RU2011143978A (ru) 2013-05-27
RU2536181C2 (ru) 2014-12-20
RU2011143979A (ru) 2013-05-27
KR101856234B1 (ko) 2018-05-09
WO2010132085A3 (en) 2011-02-24
RU2537853C2 (ru) 2015-01-10
KR20120018768A (ko) 2012-03-05
EP2419906A2 (en) 2012-02-22
WO2010132085A2 (en) 2010-11-18
EP2419904A4 (en) 2013-11-13
JP2012524264A (ja) 2012-10-11
KR20110138285A (ko) 2011-12-26
CN102460590A (zh) 2012-05-16
CN102460589A (zh) 2012-05-16
RU2011143970A (ru) 2013-05-27
JP2012524265A (ja) 2012-10-11
JP2012524266A (ja) 2012-10-11
WO2010129012A3 (en)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1700B2 (en) Molten salt nuclear reactor
KR101700464B1 (ko)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제어된 제거를 위한 핵분열 원자로 연료집합체 및 그 시스템
US9443623B2 (en)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US20110075786A1 (en) Heat exchanger, methods therefor and a nuclear fission reactor system
US9221093B2 (en) Heat exchanger, methods therefor and a nuclear fission reactor system
US20110075788A1 (en) Heat exchanger, methods therefor and a nuclear fission reactor system
US9704604B2 (en)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JP2013506132A (ja) 熱交換器、その方法および核分裂原子炉システム
US9659673B2 (en)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and heat released by a burn wave in a traveling wave nuclear fission reactor and method for same
US9159461B2 (en) Nuclear fission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for controlled removal of a volatile fission product
Moore et al. Studies on air ingress for pebble bed reactors
Valentin et al. Pre-design of an AmBB pin loaded with 10% of americium
Ryazantsev et al. Operation of the IR-8 reactor with IRT-3M type fuel assemblies
Barthold Preconceptual ABC design definition and system configuration lay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