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660A -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 Google Patents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660A
KR20120017660A KR1020100080396A KR20100080396A KR20120017660A KR 20120017660 A KR20120017660 A KR 20120017660A KR 1020100080396 A KR1020100080396 A KR 1020100080396A KR 20100080396 A KR20100080396 A KR 20100080396A KR 20120017660 A KR20120017660 A KR 2012001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air
support
heigh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성 filed Critical 강대성
Priority to KR102010008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660A/ko
Publication of KR2012001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인솔의 아치부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수시로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치부 하면에 에어를 통해서 부피가 팽창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에어챔버를 통해서 수시로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shoe insole being regulated height of arch}
본 발명은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인솔의 아치부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수시로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에는 움푹 패인 아치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아치가 형성된 이유는 조그마한 발이 몸 전체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로서, 인간 뿐만 아니라 보행이 가능한 동물 및 조류도 형성되며, 아치의 움푹 패인 정도는 개개인마다 서로 상이하다.
이렇게 아치가 형성되지 않고 발바닥이 평평한 평발이라면 발과 무릎, 허리 통증의 원인이 되며, 근래에는 이러한 원인을 발에서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여 인류역사와 함께 발을 보호하는 신발 혹은 인솔이 발전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신발 및 깔창은 아치의 보호보다는 착용감이나 편안함 및 안정성에 많은 개선을 두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한 착용감이나 편안함 및 안정성과 더불어 발바닥의 아치가 무너지는 것을 예방하고, 발을 교정하므로써 피로감을 전반적으로 줄일 수 있는 아치 교정용 인솔 혹은 아치 지지용 패드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일률적으로 생산되므로 개개인마다 차이나는 아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움푹 패인 정도가 10mm 정도인 착용자가 20mm의 두께를 가지는 패드를 사용하게 되면 착용자는 오히려 보행시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인솔의 아치부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수시로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바닥 형상을 이루어 발이 닿게 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어느 일측에 상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닥부에 닿게 되는 발의 아치에 대응하게 되는 아치부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하면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정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아치부의 높낮이를 달리 하여 개개인 마다 상이한 아치에 맞게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주입된 에어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어 발 교정 및 피로감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용이한 지지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치부 하면에 에어를 통해서 부피가 팽창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에어챔버를 통해서 수시로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나"는 지지구의 종단면도.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개략적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나"는 지지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100)은 크게 바닥부(110), 아치부(120) 및 지지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닥부(110)는 착용자의 발이 닿게 되는 것으로 평면상 발바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아치부(120)는 바닥부의 어느 일측 바람직하게 좌측 혹은 우측에 상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닥부(110)에 닿게 되는 발의 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인솔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아치부(120) 하면에 접착제 혹은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되어서 에어가 주입되는 정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아치부(120)의 높낮이를 달리 하여 개개인 마다 상이한 아치에 맞게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주입된 에어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어 발 교정 및 피로감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의 "가" 및 "나"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40) 및 에어챔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40)는 상기 아치부(1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주입되는 에어량에 따라 부피가 조절되어 아치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에어 주입시 신속하게 상하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될 수 있도록 자바라 즉, 주름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140)는 주름관 형상을 가지기 위해 크게 하판(142), 제1외피(144) 및 제2외피(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판(142)은 단단한 재질로 판상,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가운데 부분에는 절곡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가 하측으로 개방되어진 돌출턱(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143)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50)가 장착되는 장착공(14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장착공(143a)에 장착된 에어챔버(150)가 돌출턱(143)의 개방구를 통해서 노출은 되나 하면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구현되어 에어챔버(150) 자체가 돌출턱(143)의 개방구 내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외피(144)는 비닐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142)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제1에어실(a)을 형성하고, 상기 제2외피(146)는 비닐소재로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외피(144) 상면에 부착되어 연통공(145)을 통해서 제1에어실(a)과 연통되는 제2에어실(a')을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판(142)과 제1외피(144)가 하나의 타원형 형상을 가지게 되고, 그 상면에 부착된 제2외피(146)가 타원형 형상으로 부착되므로 몸체(140)는 전체적으로 대략 주름관 형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판(142)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몸체(140)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어도 하판(142)은 형상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아치를 안정감 있게 지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계속해서, 상기 에어챔버(150)는 상기 몸체(140)의 하면 즉, 하판(142)에 형성된 돌출턱(143)의 장착공(143a)에 장착 구비되어서 몸체(140)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거나 이미 주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에어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이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하는데, 그 가운데 부분에는 하면으로 돌출된 노즐(152)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의 주입시 이 노즐(152)을 밀착하여야 주입됨은 물론이고 밀착 작용 없이 노즐(152)만을 밀게 되면 주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노즐(152)이 밀리게 되면 이미 주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 작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판(142)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43)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장착공(143a)을 형성하여서 장착공(143a)에 장착된 에어챔버(150)의 하면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지지구(130)는 도 3과 같이 작동된다.
즉,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40)의 하판(142)에 장착된 에어챔버(150)의 노즐(152)부분에 에어펌프(160)를 결합하여서 펌핑을 시작하게 되면, 몸체(140) 내부에 형성된 제1,2에어실(a,a')로 에어가 유입되어 "나"와 같이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에어를 더 주입하게 되면 "다"와 같이 팽창하게 되어 그 높이를 달리 하게 됨을 알 수 있는데, 이 팽창과정에서 몸체(140)가 주름관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상측 방향으로 보다 신속하게 팽창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150)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인솔(10)과 함께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며, 소형이므로 쉽게 휴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다"와 같이 팽창된 몸체(140)의 하판(142)에 장착된 에어챔버(150)의 노즐(152)을 밀게 되면 몸체(140) 내부로 주입되었던 에어가 빠지면서"나"와 "가"처럼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아주 손쉽게 몸체(140)의 팽창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결국, 상기 지지구(130)의 부피 팽창은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지지구(130)가 구비된 신발용 인솔(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아치부(120)에 지지구(130)가 부착된 본 발명의 인솔(100)을 파선으로 도시된 신발(200) 내부에 넣어두고 착용자는 이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그러면, 착용자의 발은 바닥부(110)에 닿게 되고, 아치는 아치부(12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130)에 의해서 지지되어 아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신발(200)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지지구(130)의 몸체(140) 하판(142)에 구비된 에어챔버(150)를 통해서 에어의 주입과 배출 작동을 반복하여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자신의 아치 높이에 맞게 즉, 가장 편안한 상태로 하여 착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40)의 하판(142)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에어 주입시에도 하판(142)은 최초 형태를 유지한 채 신발(200)의 밑창부(210) 상면에 닿게 되므로 안정감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만약, 상기 하판(142)을 단단한 재질인 아닌 제1,2외피(144,146)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였다 가정하면 에어 주입시 같이 팽창되어 볼록하게 되므로 안정감이 다소 줄어 들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착용자의 발 아치는 지지구(130)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아치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을 교정 및 장시간 보행에도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지지구(130)의 몸체(140)는 주름관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그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있으므로 보행시 발의 아치를 쿠션감 있게 지지하게 되므로 보행시 피로감을 더욱 완화시키게 될 것이다.
이런 상태로 장시간 보행하다 보면, 특히 아치를 지지하는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착용자들은 지지구(130)에 의해서 오히려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착용자는 인솔(100)을 외부로 꺼내 에어챔버(150)를 통해서 에어를 배출시켜 그 높낮이를 다시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재착용하면 되므로 언제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인솔(100)은 아치부(120) 하면에 에어를 통해서 부피가 팽창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구(1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인마다 차이가 나는 발바닥 아치의 패인 정도에 따라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각 개인별 특성에 맞게 아치를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수시로 아치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바닥의 교정 및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전반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130)의 부피 팽창 작용은 에어펌프(150)를 통해서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에어펌프(150)를 제공하여 휴대토록 할 수 있다 하였으나 휴대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에어펌프를 일체로 구비하는 지지구를 구현할 수 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 하기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1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지지구(1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몸체(140)의 일측에는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펌프(170)가 이송관로(180)를 통해서 연결되어 수시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170)의 어느 일면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공(미부호 설명)이 형성되며, 이송관로(180)에는 펌핑되어 몸체(140) 내부로 주입된 에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82)가 구비된다.
이렇게, 에어펌프(170)를 일체로 가지는 지지구(130')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120) 하면에 부착된 채 설치되어 신발(20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나 신발(200)의 밑창부(210) 상면에는 이송관로(180) 및 에어펌프(170)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홈(미부호 설명)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이송관로(180) 및 에어펌프(170)를 인솔(100)의 바닥부(120) 하면에 설치하게 되면 좋으나 통상 바닥부(120)의 두께가 에어펌프(17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므로 신발(200)의 밑창부(210)에 설치홈을 형성하여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다른 일실시예의 지지구(130')는 설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지지구(130') 보다 다소 불편함이 있음에는 틀림없으나 에어펌프(170)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별도로 휴대할 필요도 없고 분실에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의 인솔 110 : 바닥부
120 : 아치부 130 : 지지구
140 : 몸체 142 : 하판
143 : 돌출턱 143a : 장착공
144 : 제1외피 145 : 연통공
146 : 제2외피 150 : 에어챔버
160,170 : 에어펌프 180 : 이송관
182 : 체크밸브 200 : 신발
210 : 밑창부

Claims (1)

  1. 발바닥 형상을 이루어 발이 닿게 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어느 일측에 상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닥부에 닿게 되는 발의 아치에 대응하게 되는 아치부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하면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정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아치부의 높낮이를 달리 하여 개개인 마다 상이한 아치에 맞게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시 주입된 에어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어 발 교정 및 피로감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용이한 지지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KR1020100080396A 2010-08-19 2010-08-19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KR20120017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96A KR20120017660A (ko) 2010-08-19 2010-08-19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96A KR20120017660A (ko) 2010-08-19 2010-08-19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660A true KR20120017660A (ko) 2012-02-29

Family

ID=4583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96A KR20120017660A (ko) 2010-08-19 2010-08-19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9B1 (ko) * 2012-06-28 2013-10-04 김명열 아치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치 보형물
KR102643898B1 (ko) * 2023-11-09 2024-03-05 박준표 통풍 기능을 갖는 인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9B1 (ko) * 2012-06-28 2013-10-04 김명열 아치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치 보형물
KR102643898B1 (ko) * 2023-11-09 2024-03-05 박준표 통풍 기능을 갖는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100B1 (ko) 에어 주입량 및 배기량에 따라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신발용 인솔
US8256142B2 (en) Anatomically correct flexible contoured footbed insole
JP5711967B2 (ja) 履物用のインナーソールサポートシステム
US4187620A (en) Biomechanical shoe
US6851204B2 (en) Footwear sole with a stiffness adjustment mechanism
US6155998A (en) Walker
US20180255872A1 (en) Insole for footwear
JP2007307383A (ja) 履物製品のインサート
JP2006334395A (ja) 履物ソール
WO2005074834A3 (en) Walking brace
US20060080863A1 (en) Composite shoe sole
TWM536866U (zh) 緩衝墊及緩衝鞋墊
KR20120017660A (ko)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용 인솔
US6763613B2 (en) Foot airthotic
KR200406338Y1 (ko) 구두 안창
KR20050011001A (ko) 쿠션부가 형성된 맞춤형 신발 안창
CN107048576A (zh) 舒适自调鞋
CN209661902U (zh) 一种扁平足矫正机构及治疗鞋
CA3000518C (en) Footbed for use in open footwear for releasably retaining orthotic inserts
KR20220010806A (ko) 경도가 상이한 듀얼 솔 구조를 구비한 슬리퍼
KR20190131978A (ko) 높낮이 조절기능을 겸비한 탈부착용 기능성 신발깔창
CN207897989U (zh) 一种可调节松紧的鞋
CN206744699U (zh) 一种鞋垫
CN102379486A (zh) 减震、矫形、内增高鞋垫
KR102482898B1 (ko) 상변화물질을 갖는 신발깔창 및 그 제조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