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200A -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 Google Patents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200A
KR20120017200A KR1020100079750A KR20100079750A KR20120017200A KR 20120017200 A KR20120017200 A KR 20120017200A KR 1020100079750 A KR1020100079750 A KR 1020100079750A KR 20100079750 A KR20100079750 A KR 20100079750A KR 20120017200 A KR20120017200 A KR 20120017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
conductive
layer
conductive lines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110B1 (ko
Inventor
강보형
김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노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to KR102010007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레이어 패턴을 가진 정전용량 방식의 멀티 터치패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1레이어와, 상기 제1레이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인쇄되어져 있고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일치되게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이 일치되게 겹쳐져 있거나 혹은 상기 제1도전성 라인이 제2도전성 라인을 완전히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의 일단 또는 타단에 실버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방 전도성 접착액 또는 이방 전도성 필름으로 본딩하여 형성된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는 감지부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터치들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심축의 위치가 어긋남으로 발생하는 오차 문제와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더 나아가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Multi Touch Pad and Touch Screen}
본 발명은 두 개의 레이어 패턴을 가진 정전용량 방식의 멀티 터치패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방향의 패턴으로 인해 두 개의 레이어 패턴이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때 발생하는 중심축의 위치가 어긋남으로 발생하는 오차 문제와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인식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서,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등에 의한 터치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해석한 후 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장치로, 개인용 휴대기기, 노트북, 키오스크, 혹은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드는 작동방식에 따라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표면탄성파, 전자기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현재에는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멀티 터치 인식이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이 가장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여기서 멀티 터치 인식이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드는, 각각의 투명 매체 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가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여 배치됨으로, 사람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이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를 감지하고 2차원 평면상에서 접촉된 X,Y 좌표를 산출하여 멀티 터치를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투명 매체에 인쇄되어 있는 투명 도전성 라인은, 충분한 정전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마름모 형상이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쇄되어 있는 제1레이어의 도전성 라인과 제2레이어의 도전성 라인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하여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인쇄된 도전성 라인과 Y축 방향으로 인쇄된 도전성 라인이 교차하여 배치되면서, 일부 중심축이 어긋나게 되어 이웃한 도전성 라인과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 터치가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드는, 일부 중심축이 어긋나게 됨에 따라 패턴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 사이의 정전용량 값이 혹은 지연시간 값이 변하게 되어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고 불량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더불어 종래의 터치패드는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의 도전성 라인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두 번의 각기 다른 인쇄과정을 거처야 함으로 플랜트가 증대되게 되었고, 특히 두 레이어를 교차하여 배치시켜 주면서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쇄된 복수의 도전성 라인을 가진 두 개의 레이어가 교차하여 배치될 때, 중심축의 위치가 어긋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 문제와 작업공정이 복잡해 지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1레이어와, 상기 제1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전성 라인이 제2도전성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의 일단 또는 타단에 실버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방 전도성 접착액(ACA: Anisortopic Conductive Adhesive) 또는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rtopic Conductive Film)으로 본딩하여 형성된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는 감지부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터치들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도전성 라인이 LCD 액정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도전성 라인을 가진 윈도우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전성 라인이 제2도전성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 매체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도전성 라인이 인쇄된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중심으로 같이 겹쳐져 배치됨에 따라, 중심축이 어긋나 이웃한 도전성 라인과의 간격이 일정치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동일한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두개의 투명매체 중 어느 하나를 뒤집어,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복잡한 작업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터치패드의 ITO 패턴을 보여주는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패드의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의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터치패드가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터치패드의 단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매체에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도전성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이어와, 상기 제1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제2투명매체(21)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투명매체(11)와 제2투명매체(21) 사이에는 투명접착제 (OCA: Optically Clear Adhesive)나 혹은 UV접착액이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투명매체(11)와 제2투명매체(21)는 동일한 형상의 것으로, 두 개의 투명매체가 겹쳐져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도전성 라인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도전성 라인을 완전히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투명 매체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됨에 따라, 제1레이어의 제1도전성 라인(12)이 제2레이어의 제2도전성 라인(22)을 완전히 포함하고 있게 되어 두 레이어가 겹쳐지면서 중심축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발생하는 오차 문제와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복잡한 작업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4는 각각의 투명매체 위로 레이어를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한 후, 두 개의 투명매체 중 어느 하나를 좌우로 뒤집어서 겹쳐 놓음으로써, 제1도전성 라인(12)과 제2도전성 라인(22)이 어긋남이 없이 일치되게 겹쳐져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각각 투명매체 위로 동일한 레이어 패턴을 반복하여 형성하여 준 후, 동일한 두 장의 투명매체 중 어느 하나를 뒤집어 배치함으로써, 정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두 개의 레이어 패턴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체 완전히 일치되게 겹쳐져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레이어는 이격된 공간을 중심으로 하나는 투명매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또 다른 투명매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겹쳐져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투명매체 위로 동일한 레이어 패턴을 계속 반복하여 형성하여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향상되게 되고, 더불어 종래의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레이어 패턴을 형성하여 주기 위하여 작업환경을 변화시켜 주거나(참고로 작업환경이 변하게 되면 패턴이 균일하지 않게 된다.) 혹은 별도의 플렌트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이 동일하기 때문에 각각의 패턴별로 따로따로 보관하여 줄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즉, 투명 도전성 라인은 현미경으로 특수 용액을 첨가하여 보지 않는 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투명매체의 패턴이 각각 다를 경우에는 각각의 패턴별로 따로따로 보관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Layer)와 제2레이어의 도전성 라인은,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 혹은 노트북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지는 베젤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로 패턴이나 세로 패턴 혹은 대각선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도전성 라인 중 이웃한 도전성 라인들과의 간격은 일정하나 각각의 도전성 라인의 크기나 굵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도전성 라인마다 감지부(24)가 획득하는 값이 다르도록 차별성을 주도록 하였다.
여기서 도전성 라인은 금, 구리, 동 등과 같은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일정한 모양의 패턴을 형성한 후에 ITO(인듐 틴 옥사이드), AZO(Al doped Zinc Oxide), ATO(안티몬 틴 옥사이드)등의 고전도성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투명매체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이나 혹은 유리나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라인의 일단에는, 실버 페이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방 전도성 접착액(ACA: Anisortopic Conductive Adhesive) 혹은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rtopic Conductive Film)으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된 제1접합부(1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제1접합부는 베젤영역에 해당하며, 특히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14) 접착시 최대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도전성 라인의 타단에도 실버 페이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방 전도성 접착액 (ACA: Anisortopic Conductive Adhesive) 혹은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rtopic Conductive Film)으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된 제2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제2접합부는 베젤영역(Bezel)에 해당하며,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접합된 부위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특히 최대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접합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는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감지부(24)에 연결되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혹은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한 후 제어부로 알리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24)는 멀티플렉서(MUX)나 엠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상시 충방전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도전성 라인별로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확인하거나 혹은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다층 연성회로기판(MFPCB: Multi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져 베젤영역(Bezel)을 최소화하면서 일측으로 트레이스된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동시에 연결되어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이나 휴대폰, 노트북 혹은 PDA 등의 제어부에 해당하며, 상기 감지부를 통해 투명매체에 두개 이상의 손가락이 터치된 사실을 확인하고, 지정된 동작에 따라 화면을 확대하여 주거나 혹은 축소시켜 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의 패턴이 윈도우와 액정에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터치스크린이 분해되어 있는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준 것이며, 도 8은 상기 도 6의 터치스크린의 단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 도전성 라인(42)이 형성되어 있는 LCD 액정(41)과, 상기 제2도전성 라인(42)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도전성 라인(32)이 형성되어 있는 윈도우(31)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상기 액정(41)과 겹쳐져 배치되면서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같은 위치에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윈도우(31)와 액정(41)사이에는 혹은 액정과 제1레이어 사이에는 액정의 전자기장에 의해 터치영역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토록 차단하여 주는 차단필름이 위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와 액정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전성라인을 가진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되며, 상기 제1레이어의 제1도전성라인(32)가 제2레이어의 제2도전성라인(4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이어의 제1도전성라인(32)와 제2레이어의 제2도전성라인(42)은 일치되게 겹쳐져 배치될 수 있으나, 완전히 동일하게 겹쳐져 있도록 하기에는 레이어를 형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1도전성라인 또는 제2도전성라인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도전성라인 또는 제1도전성라인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로 겹쳐져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Layer)와 제2레이어의 도전성 라인(32, 42)은,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 혹은 노트북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지는 베젤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로 패턴이나 세로 패턴 혹은 대각선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복수 개의 도전성 라인 중 이웃한 도전성 라인들과의 간격은 일정하나 각각의 도전성 라인의 크기나 굵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도전성 라인마다 감지부(44)가 획득하는 값이 다르도록 하였다.
여기서 도전성 라인(32, 42)은 금, 구리, 동 등과 같은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일정한 모양의 패턴을 형성한 후에 ITO(인듐 틴 옥사이드), AZO(Al doped Zinc Oxide), ATO(안티몬 틴 옥사이드)등의 고전도성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윈도우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이나 혹은 유리나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라인(32)의 일단에는, 실버 페이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방 전도성 접착액(ACA: Anisortopic Conductive Adhesive) 혹은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rtopic Conductive Film)으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된 제1접합부(3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제1접합부(33)는 베젤영역에 해당하며, 특히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34) 접착시 최대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마찬가지로, 제2 도전성 라인(42)의 타단에도 실버 페이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방 전도성 접착액 (ACA: Anisortopic Conductive Adhesive) 혹은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rtopic Conductive Film)으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된 제2접합부(4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제2접합부(43)는 베젤영역(Bezel)에 해당하며,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접합된 부위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특히 최대한 단차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여 접합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토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부(33)와 제2접합부(43)는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감지부에 연결되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혹은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한 후 제어부로 알리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44)는 멀티플렉서(MUX)나 엠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라인별로 충방전이 이루어지면서 각 라인별로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확인하거나 혹은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다층 연성회로기판(MFPCB: Multi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져 베젤영역(Bezel)을 최소화하면서 일측으로 트레이스된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가 동시에 연결되어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이나 휴대폰, 노트북 혹은 PDA 등의 제어부에 해당하며, 상기 감지부를 통해 투명매체에 두개 이상의 손가락이 터치된 사실을 확인하고, 지정된 동작에 따라 화면을 확대하여 주거나 혹은 축소시켜 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1:터치패드 11:제1투명매체
12:제1도전성 라인 13:제1접합부
14:실버페이스트 15:연성회로기판
21:제2투명매체 22:제2도전성 라인
23:제2접합부 24:감지부
30:터치스크린 31:윈도우
32:제1도전성 라인 33:제1접합부
34:연성회로기판
41:액정 42:제2도전성 라인
43:제2접합부 44:감지부

Claims (8)

  1. 제1투명매체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1레이어와, 상기 제1레이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투명매체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도전성 라인을 가진 제2레이어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이 일치되게 겹쳐져 있거나 혹은 상기 제1도전성 라인이 제2도전성 라인을 완전히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의 일단 또는 타단에 실버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방 전도성 접착액 또는 이방 전도성 필름으로 본딩하여 형성된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는 감지부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터치들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매체에 형상되어 있는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은 동일한 것으로 이격된 공간을 중심으로 하나는 뒤집어져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매체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레이어는 동일한 형상이고, 각각의 도전성 라인들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크기나 굵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다층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5.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 도전성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LCD 액정과, 상기 제2도전성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도전성 라인을 가진 윈도우가 이격된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이 일치되게 겹쳐져 있거나 혹은 상기 제1도전성 라인이 제2도전성 라인을 완전히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 라인과 제2도전성 라인의 일단 또는 타단에 실버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방 전도성 접착액 또는 이방 전도성 필름으로 본딩하여 형성된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손에 들린 도전체가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1 투명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지연되는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는 감지부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터치들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31)와 액정(41)사이에는 차단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스크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액정에 형성되어 있는 레이어는 동일한 형상이고, 각각의 도전성 라인들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크기나 굵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스크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다층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KR1020100079750A 2010-08-18 2010-08-18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KR10115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750A KR101156110B1 (ko) 2010-08-18 2010-08-18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750A KR101156110B1 (ko) 2010-08-18 2010-08-18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00A true KR20120017200A (ko) 2012-02-28
KR101156110B1 KR101156110B1 (ko) 2012-06-20

Family

ID=4583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750A KR101156110B1 (ko) 2010-08-18 2010-08-18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4371A (zh) * 2013-05-20 2013-09-25 晟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ogs电容式触摸屏的制作方法
CN103324370A (zh) * 2013-05-20 2013-09-25 晟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全银浆过孔的ogs电容式触摸屏的制作方法
CN103995636A (zh) * 2014-05-30 2014-08-20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触摸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26B1 (ko) 2012-07-17 2015-01-13 전자부품연구원 듀얼 접속회로부를 갖는 단일막 터치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21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이노터치테크놀로지 터치 스크린
KR20090012514A (ko) * 2007-07-30 2009-02-04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KR101440291B1 (ko) * 2007-11-12 2014-09-18 (주)멜파스 터치스크린 장치, 접촉 감지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4371A (zh) * 2013-05-20 2013-09-25 晟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ogs电容式触摸屏的制作方法
CN103324370A (zh) * 2013-05-20 2013-09-25 晟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全银浆过孔的ogs电容式触摸屏的制作方法
CN103995636A (zh) * 2014-05-30 2014-08-20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触摸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110B1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7857B2 (ja) 圧力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スマートフォン
US8603574B2 (en) Curved touch sensor
US8808483B2 (en) Method of making a curved touch panel
KR101219998B1 (ko) 터치 스크린 스택업
EP2339434A2 (en) Touch-sensing panel including electrode-integrated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33768B2 (en)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enso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ensing lines having a plurality of crossing points that comprise a plurality of disconnecting points
KR101003498B1 (ko) 용량성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I394067B (zh) Multi - sensor touchpad
US20130176234A1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08402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2078924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70038661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77894A1 (en) Display with touch control function
KR101156110B1 (ko) 생산성이 향상된 멀티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JP6093897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自己容量型タッチパネル
KR101329340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
TWM510493U (zh) 觸控顯示裝置
KR101659476B1 (ko) 3차원 터치 스크린 패널
TWI567606B (zh) 觸控顯示裝置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KR101585934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KR101148531B1 (ko) 터치스크린
KR101494259B1 (ko) 복합터치 부가형 패널과 이를 이용한 터치 인식 방법
CN106557211B (zh) 一种三维触控总成
TWI809585B (zh) 懸浮觸控面板及懸浮觸控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