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297A -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297A
KR20120016297A KR1020117031609A KR20117031609A KR20120016297A KR 20120016297 A KR20120016297 A KR 20120016297A KR 1020117031609 A KR1020117031609 A KR 1020117031609A KR 20117031609 A KR20117031609 A KR 20117031609A KR 20120016297 A KR20120016297 A KR 2012001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light source
waveguide
particles
integrated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서 니코스키
미할 립스
Original Assignee
코넬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넬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코넬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2001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5Flow-through cuvet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5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radiation pressure, optical tweez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021/0346Capillary cells; Micro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5Flow-through cuvettes
    • G01N2021/058Flat flow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89Cavity or reson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01N21/7746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the waveguide coupled to a cavity resonator

Abstract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는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및 상기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내의 미소구 입자는 공동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광이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수천 번 순환할 수 있게 한다. 미소구 공진을 여기시키기 위한 나노스케일 포지셔닝을 위해 광학 트랩핑 및 수송이 이용된다. 분자에 대한 고감도 측정은,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전파되는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광대역 또는 초연속체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미소구가 트랩핑될 수 있으며 많은 WGM 공진은 가시 및 근적외 파장을 통해서 동시에 여기될 수 있다.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공진이 측정된 후에, 미소구는 광학 파워를 감소시킴으로써 해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은 다른 미소구에 대해 반복된다.

Description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INTEGRATED OPTOFLUIDIC SYSTEM USING MICROSPHER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9년 6월 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바이오센서"이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동시-계속중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1/182,868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이익을 청구한다.
(연방 지원되는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설명)
개시된 발명은 국립과학재단으로부터의 계약 제DGE-0654112호 하에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평면 기판 상에 통합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평면 기판 상에 통합되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입자를 분석하기 위해 트랩핑(trap) 및 수송하기 위한 광학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일 생체분자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해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hispering gallery mode :WGM)의 측정이 성공적으로 이용되었다[A.M. Armani, R.P. Kulkarni, S.E. Fraser, R.C. Flagan, K.J. Vahala, "광학 마이크로공동을 갖는 무라벨 단일 분자 검출(Label-free, single molecule detection with optical microcavities)," Science 317(5839), 783-787 (2007)]. WGM 검출 및 측정은 이러한 고감도를 달성하기 위해 원형 공동의 둘레 주위로의 광의 공진 순환을 이용한다. 그러나, WGM 검출 및 측정을 채용하는 장치에 광을 커플링시키는 것은 통상 테이퍼진 광섬유[F. Vollmer, D. Braun, A. Libchaber, M. Khoshsima, I. Teraoka, S. Arnold, "공진 마이크로공동의 광학 시프트에 의한 단백질 검출(Protein detection by optical shift of a resonant microcavity)," Appl. Phys. Lett. 80(21), 4057-4059 (2002)]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달성되며, 따라서 표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서는 완전한 통합 시스템이 제작될 수 있다.
소형화되어 평면 기판 상에 통합될 수 있고 표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 무라벨 초고감도 바이오센서가 당업계에서 요구된다.
본 출원의 섹션2 또는 임의의 다른 섹션에서의 임의의 참조문헌의 인용 또는 식별이 이러한 참조문헌이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허가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분석을 위해 개별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fluidically connected)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입자는 미소구(microsphere)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소구는 기능화(functionalize)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화된 미소구는 검체의 정체가 해명될 수 있도록 디코더 결합 리간드를 결합시킬 식별자 결합 리간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파관은 마이크로유체 채널로부터 입자를 광학적으로 트랩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입자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내에 트랩핑, 정지 또는 보유(retain)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랩핑된 입자는 도파관을 통해서 전파되는 광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기능적으로 커플링된 광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및 근적외 파장(visible and near-infrared wavelength)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supercontinuum) 광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분광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샘플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은 샘플 유입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취급 웰을 포함하며,
상기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는 샘플 유입구와 샘플 취급 웰 사이의 유체 접촉이 가능하도록 샘플 취급 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웰 유출구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는 동일한 포트이다.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이 방법은
도파관을 제공하는 단계;
도파관에 의해 입자를 광학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signature)을 여기시키는(exciting) 단계; 및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이다.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이 방법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입자를 도입하는 단계;
센서 구역 또는 검출기 구역에서 입자를 도파관에 의해 광학적으로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 및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 단계 이후에, 광학 파워를 감소시키거나 광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입자를 해제(releas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 광산란 사인은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 공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의 단계들은 제2 입자에 대해 반복된다.
표적 검체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이 방법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검체에 대해 친화력을 갖는 식별가능한 기능화 미소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능화 미소구를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도입하는 단계;
상기 기능화 미소구를 센서 구역 또는 검출기 구역에서 도파관에 의해 광학적으로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상기 기능화 미소구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로서, 이 단계는 기능화 미소구를 제1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일회 이상 여기시켜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은 기능화 미소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여기 단계;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화 미소구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
샘플 내에 검체가 존재하면 기능화 미소구와 적어도 하나의 검체 사이에 결합이 발생하는 경우에 기능화 미소구를 적어도 하나의 검체를 함유할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binding resonant light scattering signature)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를 제2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일회 이상 스캐닝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및 제2 분석 파장 범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스캐닝 단계;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기능화 미소구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과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공진 광산란 사인들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검체의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된 검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WGM 공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요소는 유사한 참조 부호로 지칭된다. 일부 예에서, 본 발명의 각종 태양은 본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과장되거나 확대되어 도시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설계를 도시한다.
도 2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의 3㎛ 미소구 및 도파관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3은 산화물 경계면에 대해 정지되고 고정 유지되는 미소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공진은 광 투과를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도 4는 광학유체 채널에서의 폴리스티렌 미소구의 광학 트랩핑 및 수송을 도시하는 현미경사진이다. 글래스[이산화규소 피복(silicon dioxide cladding), "산화물 피복(oxide clad)"] 경계면은 트랩핑된 미소구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도파관(현미경사진의 중심에 있는 수평선)은 채널 내의 유체와 직접 접촉된다. 산화물 피복 구역은 화살표에 의해 비피복 구역의 좌우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시도이다. 질화규소 도파관(silicon nitride waveguide)은 높은 상대 굴절율을 가질 수 있고 낮은 손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광대역 투과를 가능하게 한다. 삽입화(inset)는 이 실시예에서 도파관 200nm 높이와 2㎛ 폭에 대해 산화물 n=1.46 및 물 n=1.33인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30㎛ 높이와 300㎛ 폭을 갖는 PDMS 내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도시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시도이다.
도 7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시도이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미소구(n=1.59)가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소구를 도파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 구동 유동이 이용된다.
도 8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시도이다. 미소구는 도파관의 소산장(evanescent field)에 의해 트랩핑된다. 산란력이 미소구를 도파관을 따라서 수송한다.
도 9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시도이다. 광학 파워가 감소되고 미소구는 압력 구동 유동을 재개한다.
도 10은 통합 도파관에 의한 10㎛ 폴리스티렌 미소구의 트랩핑 및 수송을 도시하는 연속적인 현미경사진 화상이다.
도 11은 폴리스티렌 미소구를 트랩핑하는 통합 도파관의 수송 스펙트럼의 측정을 도시한다. 전송되는 신호에서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 공진을 명확히 볼 수 있다.
도 12는 표준 리소그래피 기술로 제작된 채널 도파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스템의 나노광학 부품, 즉 질화규소 도파관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는 전자빔(e빔)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평면 기판상에 질화규소 도파관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평면 기판은 실리콘 기판상에 실리카 층을 포함한다. 시스템의 마이크로유체 부품, 즉 PDMS 내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상에 레지스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제조하는 단계와 실리콘 웨이퍼-레지스트 상에 PDMS를 쏟아붓고 구워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노광학을 마이크로유체역학과 통합하는 단계는 질화규소 도파관 및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PDMS 내에서 플라즈마 세척하는 단계 및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도파관과 채널 사이의 접촉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진이 도면의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광학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마이크로유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따른 접촉식 정렬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부품 중의 광학 및 마이크로유체 부품을 정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질화규소 도파관에서의 850nm의 파장에서의 의사-TM 모드의 전계(Ey) 프로파일에 대한 3D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유전체 미소구에 대한 광학력은 미소구를 도파관 표면에 트랩핑시키는 횡방향 구배력(Fgrad), 및 미소구를 광 전파 방향(z축)을 따라서 추진시키는 종방향 힘(Fscatt)으로 분해될 수 있다.
도 18은 700nm 내지 1400nm의 도파관에 대한 효과적인 광대역 커플링을 도시하는 초연속체 소스(상부 궤적) 및 도파관 투과(하부 궤적)의 스펙트럼이다. 플롯 도시도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작동에서의 ~700nm 범위에 걸친 효과적인 광대역 커플링을 도시한다. 플롯 도시도는 측정된 입력(초연속체 소스, 상부 궤적)/~10dB의 출력(도파관 투과, 하부 궤적) 파워 손실을 도시한다.
도 19는 ~10mW의 유도 전력을 갖는 초연속체 광대역 광원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에서의 3㎛ 직경 폴리스티렌 미소구의 광학 트랩핑 및 수송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20은 ~2,000의 Q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광학적으로 트랩핑된 18㎛ 직경 폴리스티렌 미소구의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 공진을 도시하는 도파관 투과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21은 구형 공동에서의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에 대한 이론 곡선(실선)을 갖는 상이한 직경의 미소구에서의 실험적(원) 자유 스펙트럼 범위를 도시한다.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서 및 비제한적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 소섹션(subsection)으로 구분된다.
5.1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유체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및
도파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관은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단독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합한 마이크로유체 플랫폼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다른 분석 능력을 갖는 콤포넌트 온어칩(a component on a chip)(예를 들어 "랩온어칩(lab-on-a-chip)")을 형성할 수 있다. 칩 상의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의해 분석되는 입자 및/또는 검체(analyte)는 추가 분석 또는 특성화를 위해 칩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 또는 펌핑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미소구"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또는 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어떤 입자(구형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미소구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소구는 1㎛ 내지 1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용되는 입자의 직경은 입자의 재료 특성 및 이용되는 광의 파장에 종속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분석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hispering gallery mode: WGM)를 지지하는 임의의 입자 또는 구에 대해 작용할 것이다. 폴리스티렌 및 유리 입자에 있어서, 직경은 일반적으로 수 미크론 이상일 수 있다. 규소 미소구(silicon microsphere)는 보다 작을 수 있으며 여전히 이들 WGM을 지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수백 nm, 100nm-1mm 등의 범위). 본 발명의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입자의 크기에 대한 상한은 없다.
입자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도입되는 개별 부품일 수 있거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입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압력 구동 유동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분사된다. 입자를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에 도입 또는 이동시키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펌핑 또는 유체 유동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다수의 입자 또는 미소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입자 또는 미소구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추가 또는 도입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내의 미소구는 공동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광이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수천 번 순환할 수 있게 한다. 분자(생체분자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대한 고감도 측정은,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전파되는 공진, 예를 들면 높은 Q 팩터 WGM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미소구는 실리카, 규소(silicon), 질화규소, 산질화규소(silicon oxinitride),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유리 또는 폴리머와 같은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미소구는 기능화 또는 비기능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폴리스티렌 미소구가 이용된다. 다양한 직경의 폴리스티렌 미소구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되고 있다(예를 들면, Duke Scientific). 이들 미소구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10 mM 인산 완충액 중에서 제조되어 압력 구동 유동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분사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평면 기판을 포함한다. 석영, 실리카, 규소 또는 갈륨 비소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평면 기판 또는 "칩"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평면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이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미소구를 수송 및 배치하기 위해 평면 기판 상에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 형태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이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유체 채널은 센서 구역(본 명세서에 "감지 구역" 또는 "검출 구역"으로도 지칭됨)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미소구를 센서 구역으로 운송 또는 인도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구역에 트랩, 정지 또는 보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유체 채널은 평면 기판 상에 적층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층에 형성되는 채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유체 채널은 실리카(글래스)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마이크로유체 채널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합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도파관은 직선 도파관, 링 공진기, 다른 형태의 공동,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플라즈모닉스(plasmonics) 구조일 수 있다. 통합 도파관(들)은 마이크로유체 채널의 유동으로부터 입자 또는 미소구를 광학적으로 트랩핑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서는 이를 센서(또는 검출) 구역에서 정지 또는 보유시키거나 이를 도파관 내에서 광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또한 입자/미소구가 분석 또는 특성화되는 구역인 센서(또는 "감지" 또는 "검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입자는 경우에 따라 센서 구역에서 정지, 트랩 또는 보유될 수 있다. 입자는 또한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지만 광의 방향을 따라서 계속 이동하거나 푸시될 때 측정 또는 분석될 수도 있다.
미소구는 공동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광이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수천 번 순환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파관을 통과한 광은 이들 공진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통합 도파관(들)을 이용하여 센서(또는 검출) 구역에서 입자 또는 미소구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파관(들)을 통과한 광은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전파되는 공진, 예를 들면 높은 Q 팩터 WGM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공진 측정은 개별 분자(예를 들면, 생체분자)의 결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질화규소(Si3N4) 도파관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규소, 도핑된 글래스, 폴리머, SU8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도파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파관 및 마이크로유체 채널의 최적 치수는 용도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구조에 대해 상이한 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도파관 및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대한 이들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입자가 센서 구역에 도달할 때까지 입자를 광 전파 방향을 따라서 수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구역은 입자가 정지, 트랩 또는 보유되는 물리적 배리어 또는 경계면(예를 들면, 유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자(예를 들면, 미소구)는 그 분석을 위해 정지, 트랩 또는 보유되지 않는다. 입자는 정지됨이 없이 도파관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석 또는 측정될 수 있다.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입자를 다른 형태의 센서 구역, 예를 들면 전기화학적 측정을 수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구역으로 수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듯이, 도파관 내의 광의 파워 또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것은 입자가 도파관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센서 구역은 산화물 경계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구역은 입자 또는 미소구를 보유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경계면 또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구역은 입자를 정지 또는 보유하지 않거나, 및/또는 입자를 보유하는 표면 또는 경계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광학 트랩핑 방법은 광의 방향을 따라서 입자를 홀드하거나 푸시할 수 있다. 광의 파워 또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것은 입자가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구역은 전극, 광검출기, 온도 센서, 마이크로캔틸레버(microcantilever) 또는 MEMS 디바이스와 같은 공지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센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파관(들)을 통과한 광은 개별 분자의 바인딩을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생체분자가 분석 또는 모니터링된다. 생체분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생체분자, 즉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과 같은 거대 고분자뿐 아니라 일차 대사산물, 이차 대사산물 및 천연산물과 같은 소분자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유기체에 의해 생산되는 임의의 유기 분자일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생체분자에 대한 고감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칩 무라벨(on-chip, label-free) 바이오센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서는, 센서 구역에서 하나 이상의 미소구를 광학 트랩하기 위해 예를 들어 광대역 광원과 같은 광원이 하나 이상의 도파관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도파관에 기능적으로 커플링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을 도파관에 커플링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광을 발생하는 초연속체가 통합 도파관용 광원으로서 이용된다. 초연속체 광원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되고 있다(예를 들면, Fianium SC450). 초연속체 광원은 광범위한 파장(500nm 내지 1.5 미크론)에 걸쳐서 광을 발출한다. 초연속체 광원은 바람직하며, 입자 공진의 측정에 이용될 때 고정 파장 레이저 또는 튜닝가능한 레이저와 같은 주지의 광원에 비해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파장 레이저 또는 튜닝가능한 레이저도 광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초연속체 광원은 또한 예를 들어 LED 또는 수은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광대역 광원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이는 높은 출력을 갖지만, 공간 간섭성(spatial coherence)도 높으며, 공간 간섭성은 광을 도파관에 효과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도록 포커싱 다운시키는데 이용된다. 다른 광대역 광원(예를 들어, 전구)은 이 공간 간섭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비초연속체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도파관에 커플링시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즉, 커플링 과정에서 많은 광이 소실된다). 따라서, 초연속체 광원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소스이며, 온칩 분석을 수반하는 용도에서는 더 바람직하다.
미소구의 광학 트랩핑은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바, 미소구를 도파관에 이웃하여 정확히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을 미소구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광은 통합 도파관으로부터의 소산장을 이용하여 미소구의 WGM에 효과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도파관에 커플링되는 광의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한 도파관 치수 최적화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센서의 특정 실시예에서, 고출력 광대역 소스로부터의 광은 단일 모드 섬유 내에 커플링될 수 있고 이후 테이퍼진 렌즈 섬유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광자 칩(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음)과 같은 센서 내에 커플링될 수 있다. 고출력 광대역 소스는 ~2mW/nm의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475nm 내지 1500nm의 파장 범위를 제공하는 예를 들어 4W 섬유 펌핑된 초연속체 소스(Fianium SC450)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소스일 수 있다. 도파관 출력은 높은 개구수(NA)의 현미경 대물렌즈에 의해 수집되고 분광계(예를 들면, Ocean Optics)로 측정된다. 도파관 손실 및 출력 커플링 효율에 대한 기록된 출력 전력 측정 및 평가로부터, 질화규소 도파관 내의 유도 전력은 5mW 이하인 것으로 평가된다.
센서 구역으로부터 도파관을 통과한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 분광계(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및/또는 시중에서 구입 가능함)가 이용될 수 있다. 트랩핑된 미소구의 WGM 공진은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광은 미소구의 둘레 주위로 여러 번 전파되므로, 광과 주위 유체 사이의 상호작용 길이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특성(흡수 또는 굴절율 등)의 어떠한 변화도 이들 공진의 형상 변경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가시광선에서 중간-적외선에 걸치는 파장 범위에서 벌크 유체의 흡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고감도 장치를 제공한다.
WGM 공진의 분석과 관련하여 형광 및 산란 분광법[P. Li, K.B. Shi, Z.W. Liu, "백색광 광학 집게를 이용한 단일 입자의 조작 및 분광법(Manipulation and spectroscopy of a single particle by use of white-light optical tweezers)," Opt. Lett. 30(2), 156-158 (2005)]뿐 아니라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K.B. Shi, P. Li, Z.W. Liu, "초연속체 광학 트랩에서의 광대역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산란 분광법(Broadband coherent anti-stokes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in supercontinuum optical trap)," Appl. Phys. Lett. 90(14), 3 (2007)]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광대역 입자 특성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통합 마이크로유체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레이저 소스 또는 전력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완전히 내장(on-chip)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개별 분석을 위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의존하고 미소구를 수송하기 위한 광학 트랩핑에 의존한다.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에서의 센티미터 스케일 수송 이후에, 미소구는 도파관의 소산장의 붕괴에 의해 발생되는 주지의 구배력(gradient force)에 의해 트랩핑된다. 이 측방 구배력에 추가적으로, 입자를 광 전파 방향을 따라서 추진시키는 산란 및 흡수로 인한 주지의 축방향 힘이 존재한다[B.S. Schmidt, A.H.J. Yang, D. Erickson, M. Lipson, "마이크로유체 장치 내의 중실 코어 도파관 상에서의 광학유체 트랩핑 및 수송(Optofluidic trapping and transport on solid core waveguides within a microfluidic device)," Optics Express 15(22), 14322-14334 (2007)]. 이 광학 트랩핑 및 수송은 미소구 공진을 여기시키는데 필요한 나노스케일 포지셔닝을 위해 이용된다. 광대역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미소구가 트랩핑될 수 있으며 많은 WGM 공진이 가시 및 근적외 파장을 통해서 동시에 여기될 수 있다.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공진이 측정된 후에, 미소구는 광학 파워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유가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다른 미소구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도 2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의 3㎛ 미소구 및 도파관을 도시한다.
도 3은 산화물 경계면인 센서 구역에 대해 정지되고 고정 유지되는 미소구를 도시한다. 공진은 광 투과를 이용하여 이 센서 구역에서 분석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종래의 장치에서는, WGM을 여기시키기 위해 광섬유가 고정된 구에 이웃하여 정확하게 배치되며, 이는 통합 랩온어칩 용도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광학유체 채널(즉, 마이크로유체 채널 및 도파관을 포함하는 채널)에서의 폴리스티렌 미소구의 광학 트랩핑 및 수송을 도시하는 현미경사진이다. 글래스(산화물 피복) 경계면(센서 구역)은 트랩핑된 미소구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도파관(현미경사진의 중심에 있는 수평선)은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의 유체와 직접 접촉된다. 산화물 피복 구역은 화살표에 의해 비피복 구역의 좌우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내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질화규소(Si3N4)를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파관은 높은 상대 굴절율을 갖고 낮은 손실을 가지며, 이는 광대역 투과를 가능하게 한다. 삽입화는 도파관 200nm 높이와 2㎛ 폭에 대해 산화물 n=1.46 및 물 n=1.33을 도시한다. 산화규소의 굴절율(n=1.46) 및 물의 굴절율(n=1.33)에 비해 높은 질화규소의 굴절율(n=2.0)은 고도로 한정된 광학 모드 및 강한 소산장 구배를 초래하며 이는 입자의 효과적인 트랩핑을 가능하게 한다.
물 및 기타 유체, 예를 들어 생체분자, 세포, 세포추출물 및 기타 생체 물질에 이용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많은 적합한 임의의 수성 완충제(예를 들면,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가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PDMS 내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의 설계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유체 채널의 높이는 30㎛이고 폭은 300㎛이다.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대한 다른 적합한 치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도입된 폴리스티렌 미소구(n=1.59)를 도시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이 실시예에서는 미소구를 도파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 구동 유동이 이용된다. 입자를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다른 펌핑 또는 유체 유동 시스템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파관의 소산장에 의해 트랩핑된 미소구를 도시한다. 산란력이 미소구를 도파관을 따라서 수송한다.
도 3은 이 실시예에서 산화물 경계면인 센서 구역에 대해 정지되고 고정 유지되는 미소구를 도시한다. 센서 구역에서 광 투과를 이용하여 공진을 분석할 수 있다.
도 9는 광학 파워가 감소되고 미소구가 압력 구동 유동을 재개하는 지점을 도시한다.
미소구를 트랩핑하는 광도 그 WGM 공진을 여기시킨다. 도 10은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에서 유동하고 이후 도파관을 따라서 트랩핑 및 수송되는 10㎛ 직경 폴리스티렌 미소구를 도시하는 미소구 화상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11은 폴리스티렌 미소구를 트랩핑하는 동안의 도파관의 수송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투과에서의 침하(dip)는 미소구에 커플링되는 공진 파장에 명확히 일치한다.
채널 도파관을 이용하여 광을 WGM 공진 내에 효과적으로 커플링하는 것의 이 도시는, 생체분자가 미소구의 표면에 결합될 때 공진 형상 또는 위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 미소구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플랫폼은 현재의 주지된 WGM-기초 센서의 통합 문제를 해결하며, 랩온어칩 용도의 초고감도 바이오센서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유전체 입자의 WGM 공진의 이용 외에,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금이나 은과 같은 금속 입자를 트랩핑할 수 있다. 금속 입자는 그 표면 상에서의 결합 사건에 대해서도 민감한 표면 플라즈몬 공진을 가지며, 따라서 통합 광학유체 장치에 이용될 수 있고 및/또는 바이오센서의 기초를 형성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금속 입자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이용하기에 적합하고 광학 트랩핑 방법에 적합한 다른 입자는 규소 입자(silicon particle), 자기, 염색(dyed) 또는 형광 미소구(fluorescent microsphere) 또는 내부에 양자 도트가 통합된 미소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5.2 기능화 미소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다양한 용도에 대해 단일 입자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생체분자가 미소구의 표면에 결합될 때 공진 파장의 시프트가 모니터링되는 바이오센서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기능화 미소구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생체분자의 결합은 고감도로 검출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기능화 미소구는 비오틴 또는 스트렙타비딘과 같은 단백질과 복합된(conjugated) 미소구, 항체와 복합된 미소구, 및 아미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카르복시-설페이트기, 설페이트기 및/또는 히드록실레이트기와 기능화된 미소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소구는 특정 디코딩 또는 분석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식별자 결합 리간드(identifier binding ligand: IB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식별자 결합 리간드(IBL)는 생체분자의 정체의 해명을 촉진하기 위해 대응 디코더 결합 리간드(DBL)를 특이하게 결합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즉, IBL 및 대응 DBL은 결합 파트너 쌍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이하게 결합한다(specifically bind)"는 것은 IBL이 그 DBL을 대응 DBL과 다른 DBL(즉, 다른 IBL에 대한 DBL) 또는 시스템의 다른 성분 또는 오염물을 구별하기에 충분한 특이성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은 비특이성 결합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단계의 조건 하에 속박 유지되기에 충분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IBL 및 대응 DBL이 단백질 또는 핵산일 때, IBL이 그 DBL로 해리되는 해리 정수는 약 10-4 내지 10-6 M-1 미만일 것이며, 약 10-5 내지 10-9 M-1 미만이 바람직하고, 약 10-7 내지 10-9 M-1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IBL-DBL 결합 쌍은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BL이 단백질일 때, DBL은 단백질[특히 항체 또는 그 단편(FAb 등)을 포함] 또는 소분자를 구비하거나, 또는 그 반대도 성립한다(IBL이 항체이고 DBL은 단백질이다). 금속 이온-금속 이온 리간드 또는 킬레이트 쌍도 유용하다. 항원-항체 쌍, 효소 및 기질 또는 억제제, 다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쌍, 수용체-리간드, 상보형 핵산, 및 탄수화물과 그 결합 파트너도 적합한 결합 쌍이다. 핵산-핵산 결합 단백질 쌍도 유용하다.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 제5,270,163호, 제5,475,096호, 제5,567,588호, 제5,595,877호, 제5,637,459호, 제5,683,867호, 제5,705,337호, 및 관련 특허에 전반적으로 기재되어 있듯이, 핵산 "압타머(aptamer)"가 가상의 임의의 표적에 결합되기 위해 개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타머-표적 쌍이 IBL-DBL 쌍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합 화학(combinatorial chemistry) 방법에 기초한 결합 쌍의 개발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이 존재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IBL-DBL 쌍은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단일-스트랜드형 핵산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결합 리간드는 "식별자 탐침" 및 "디코더 탐침"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별자 탐침과 디코더 탐침은 약 4개 염기 쌍의 길이 내지 약 1000개 염기 쌍의 길이의 범위에 있으며, 약 6개 내지 약 100개 염기 쌍의 길이가 바람직하고, 약 8개 내지 약 40개 염기 쌍의 길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탐침은 특이하기에, 즉 상이한 IBL-DBL 쌍을 구별하기에 충분히 길지만 해리(필요할 경우 적합한 실험 조건 하에서) 및 효과적인 잡종화가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5.3 표적 검체
표적 검체(즉, 관심 대상인 검체)를 검출 또는 정량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샘플 조작, 폐기물 또는 시약을 위한 하나 이상의 웰; 유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웰을 향하고 이들 웰 사이에 제공되는 마이크로채널; 전기침투적, 전기유체역학적 또는 동전기적 펌프와 같은 온칩 펌프; 밸브; 및 검출 시스템 또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특징부는 마이크로유체 칩 또는 플랫폼의 공지된 부품이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단수 또는 복수의 샘플 또는 검체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샘플 내의 표적 검체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적 검체" 또는 "검체" 또는 문법적 등가물은 검출 대상이 되는 일체의 분자, 화합물 또는 입자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적 검체는 미소구 상의 결합 리간드 또는 기타 관능 분자에 결합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및 그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공지된 검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체는 생체분자를 포함하는 유기 및 무기 분자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검체는 환경 오염물(예를 들면, 농약, 살충제, 독소); 화학물(예를 들면, 용매, 폴리머, 유기물); 치료용 분자(예를 들면, 치료용 및 남용되는 약제, 항생제); 및 핵산, 호르몬, 사이토카인, 단백질(예를 들면, 효소, 항체, 항원,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지질, 탄수화물, 세포막 항원 및 수용체(예를 들면, 신경 수용체, 호르몬 수용체, 영양소 수용체 또는 셀표면 수용체 또는 그 리간드)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생체분자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표적 검체는 핵산이다. 본 명세서에서 "핵산"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문법적 등가물은 함께 공유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핵산은 일반적으로 이인산에스테르 결합(phosphodiester bond)을 가질 것이지만, 일부 경우에는 후술하듯이, 예를 들어 포스포르아미드, 포스포로싸이오에이트, 포스포로디싸이오에이트, O-메틸포포로아미다이트 결합, 및 펩티드 핵산 골격과 결합을 포함하는 대체 골격을 가질 수 있는 핵산 유사물이 포함된다. 다른 유사 핵산은 포지티브 골격; 비이온성 골격 및 비리보스(non-ribose) 골격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당을 함유하는 핵산 및 펩티드 핵산도 핵산의 정의에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듯이, 이들 핵산 유사물은 모두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천연 발생적인 핵산과 유사물의 혼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핵산 유사물의 혼합체, 및 천연 발생적 핵산과 유사물의 혼합체가 제조될 수도 있다.
핵산은 규정에 따라 단일 스트랜드형 또는 이중 스트랜드형일 수 있거나, 또는 이중 스트랜드형 또는 단일 스트랜드형 배열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DNA, 게놈 및 cDNA, RNA 또는 하이브리드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핵산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및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임의의 조합체, 및 우라실, 아데닌, 티민, 사이토신, 구아닌, 이노신, 크사타닌 하이포크사타닌, 이소사이토신, 이소구아민 등을 포함하는 염기들의 임의의 조합체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용어 "뉴클레오시드"는 뉴클레오티드와 뉴클레오시드 및 뉴클레오티드 유사물, 및 아미노 변성 뉴클레오티드와 같은 변성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뉴클레오시드"는 비천연 발생적인 유사 구조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 각각이 염기를 함유하는 펩티드 핵산의 개별 단위를 본 명세서에서 뉴클레오시드로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적 핵산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표적 핵산" 또는 "표적 배열" 또는 문법적 등가물은 핵산의 단일 스트랜드 상의 핵산 배열을 의미한다. 표적 배열은 유전자, 조절 배열, 게놈 DNA, cDNA, mRNA와 rRNA를 구비하는 RNA 등의 일부일 수 있다. 이는 긴 배열이 보다 특이하다는 이해 하에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샘플 핵산을 20개 내기 10,000개의 염기 쌍의 단편으로 파쇄 또는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대략 500개의 염기 쌍의 단편이 바람직하다. 잡종화 목적을 위해서는 작은 단편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당업자가 이해하듯이, 상보적인 표적 배열은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보다 큰 핵산 배열, 즉 유전자 또는 mRNA의 전부 또는 일부, 특히 플라스미드 또는 게놈 DNA의 제한 단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탐침(프라이머를 포함)은 샘플 내에서의 표적 배열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하기 위해 표적 배열로 잡종화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5.4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리소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2는 채널 도파관이 표준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어떻게 제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의 개요이다. 시스템의 나노광학 부품, 즉 질화규소 도파관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는 전자빔(e빔)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평면 기판 상에 질화규소 도파관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평면 기판은 실리콘 기판 상에 실리카 층을 포함한다. 시스템의 마이크로유체 부품, 즉 PDMS 내의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상에 레지스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제조하는 단계와 실리콘 웨이퍼-레지스트 상에 PDMS를 쏟아붓고 구워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노광학을 마이크로유체역학과 통합하는 단계는 질화규소 도파관 및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PDMS 내에서 플라즈마 세척하는 단계 및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도파관과 채널 사이의 접촉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면의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광학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전반적인 단계의 개요이다.
도 15는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의 마이크로유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전반적인 단계의 개요이다.
도 16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따른 접촉식 정렬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부품 중의 광학 및 마이크로유체 부품을 정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단계를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은, 5㎛의 열산화물이 그 위에서 성장하는 실리콘 웨이퍼인 평면 기판에서 시작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A. Gondarenko, J.S. Levy, M. Lipson, "고도 폐입 미크론-스케일 질화규소 고 q링 공진기(High confinement micron-scale silicon nitride high q ring resonator)," Opt. Express 17(14), 11366-11370 (2009)]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질화규소의 200nm 장치 층이 저압 화학기상증착을 이용하여 적층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와 후속되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에칭을 이용하여 2㎛ 폭의 도파관이 패턴화된다. 표준 소프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유체 채널이 제조된다. 30㎛ 높이와 300㎛ 폭의 채널이 마이크로유체 채널용 몰드로서 작용하도록 별도 실리콘 웨이퍼 상에 SU8로 패턴화된다. 몰드 위에 PDMS를 쏟아붓고 몇 시간 동안 구운 다음에 PDMS에 입구 구멍을 펀칭한다. 이후 도파관의 상부에 마이크로유체 채널이 정렬된다.
5.5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적 검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적 검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단계;
입자를 도파관에 의해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에 트랩핑하는 단계;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 여기시키는 단계; 및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측정 단계 이후에, 광학 파워를 감소시키거나 광의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입자를 해제 또는 해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광학 트랩핑 분석 방법과 달리, 이 방법은 입자 트랩핑 및 입자 분석 양자를 위해 동일한 광원을 채용할 수 있다. 동일 광원은 또한 입자를 추가 분석을 위해 다른 칩상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visible and near infrared)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진 광산란 사인은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 공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의 단계는 제2(다른) 입자에 의해 반복된다. 분석을 위한 입자의 트랩핑, 이동 및 해제는 광의 파워 또는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광원은 가시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특정 실시예에서, 입자는 적어도 하나의 표적 검체에 대해 친화력을 갖는 식별가능한 기능화 미소구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는 기능화 미소구를 제1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일회 이상 여기시켜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reference resonant light scattering signature)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은 기능화 미소구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상기 방법은 샘플 내에 검체가 존재할 경우 기능화 미소구와 적어도 하나의 검체 사이에 결합이 발생하는 조건 하에서 기능화 미소구를 적어도 하나의 검체를 함유할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를 제2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일회 이상 스캐닝하여 상기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및 제2 분석 파장 범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검체의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과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공진 광산란 사인들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된 검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WGM 공진이다.
하기 예는 예시적으로 및 비제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6. 예
6.1 예 1: 미소구의 온칩 초연속체 광학 트랩핑 및 공진 여기
이 예는 마이크로유체 플랫폼에서의 마이크로스케일 입자의 동시적인 광학 조작 및 분석을 나타낸다. 절연체 미소구에서의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는 질화규소 도파관으로부터의 소산장을 이용하여 여기되었다. 미소구를 도파관의 표면으로 트랩핑하고 그 공진 모드를 여기시키기 위해 초연속체 소스가 이용되었다. 모든 측정은 면내에서(in-plane)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랩온어칩 바이오센싱 용도를 위한 통합 광학유체 플랫폼을 제공한다.
6.1.1 서론
광학 트랩핑은 많은 생물학적 용도를 위한 마이크로스케일 입자의 조작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제시되었다[A. Ashkin 및 J.M. Dziedzic,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의 광학 트랩핑 및 조작(Optical trapping and manipulation of viruses and bacteria)," Science 235(4795), 1517-1520 (1987)]. 또한, 마이크로유체에 의해 제공되는 정밀 제어와 광학 트랩핑력의 조합은 기능이 증가된 광학유체 랩온어칩을 생성할 수 있다[D. Psaltis, S.R. Quake, CH. Yang, "마이크로유체역학 및 광학의 융합을 통한 광학유체 기술의 개발(Developing optofluidic technology through the fusion of microfluidics and optics)," Nature 442(7101), 381-386 (2006)]. 이 분야에서의 최근 진전은 광학 트랩핑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근접장 강도 구배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B.S. Schmidt, A.H.J. Yang, D. Erickson, M. Lipson, "마이크로유체 장치 내의 중실 코어 도파관 상에서의 광학유체 트랩핑 및 수송(Optofluidic trapping and transport on solid core waveguides within a microfluidic device)," Optics Express 15(22), 14322-14334 (2007); A.H.J. Yang, S.D. Moore, B.S. Schmidt, M. Klug, M. Lipson, D. Erickson, "서브-파장 슬롯 도파관에서의 나노입자 및 생체분자의 광학 조작(Optical manipulation of nanoparticles and biomolecules in sub-wavelength slot waveguides)," Nature 457(7225), 71-75 (2009); S. Kuhn, P. Measor, EJ. Lunt, B.S. Phillips, D.W. Deamer, A.R. Hawkins, H. Schmidt, "온칩 입자 분석을 위한 손실-기반 광학 트랩(Loss-based optical trap for on-chip particle analysis)," Lab Chip 9(15), 2212-2216 (2009); X.Y. Miao, B.K. Wilson, S.H. Pun, L.Y. Lin, "플라즈모닉스를 통한 미크론/서브미크론 크기 입자 및 생체분자의 광학 조작(Optical manipulation of micron/submicron sized particles and biomolecules through plasmonics)," Optics Express 16(18), 13517-13525 (2008)]. 광학 조작의 대부분의 실현에서는, 단일의 협대역 광원이 이용된다. 이 예는 현미경적 대상물의 특성화용 도구로서 통합 구조물 상에 광학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대역 광의 이용을 나타낸다. 소스의 광대역 속성을 이용하는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크로유체 환경에서의 트랩핑된 미소구의 스펙트럼 반응을 연구하였다.
단일의 현미경적 대상물을 동시에 조작 및 특성화하는 능력은 랩온어칩 용도에서 중요한 기능이다[D.L. Yin, E.J. Lunt, M.I. Rudenko, D.W. Deamer, A.R. Hawkins, H. Schmidt, "단일 입자 검출, 조작 및 분석을 위한 평면 광학유체 칩(Planar optofluidic chip for single particle detection, manipulation, and analysis)," Lab Chip 7(9), 1171-1175 (2007)]. 여기에 제시된 플랫폼은 개별 분석을 위한 절연체 마이크로입자 배치를 위해 광대역 소스로부터의 광학 힘과 마이크로유체 유동을 둘 다 이용한다.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의 수송에 이어서, 입자의 위치는 도파관의 소산장에 의해 발생되는 광학 힘에 의해 제어된다. 입사광 모멘텀의 변화로 인한 이들 방사력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듯이 횡방향 성분과 종방향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소산장 강도의 붕괴는 입자를 도파관으로 끌어당기는 구배 트랩핑력을 초래한다[A. Ashkin, "광선 광학 체제에서의 절연체 구에 대한 단일-빔 구배 레이저 트랩의 힘(Forces of a single -beam gradient laser trap on a dielectric sphere in the ray optics regime)," Biophys. J. 61(2), 569-582 (1992)]. 입사광 모멘텀의 입자 산란 및 흡수는 입자를 광 전파 방향으로 추진시키는 방사압력을 초래한다[A. Ashkin, "광선 광학 체제에서의 절연체 구에 대한 단일-빔 구배 레이저 트랩의 힘(Forces of a single-beam gradient laser trap on a dielectric sphere in the ray optics regime)," Biophys.J. 61(2), 569-582 (1992)]. 트랩핑 광원이 광대역이기 때문에, 트랩핑된 미소구의 스펙트럼 반응이 특성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강한 광학력의 발생 및 광대역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가지 설계 파라미터가 고려되었다. 도파 재료는 화학양론적 질화규소(Si3N4)였으며, 이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에서 흡수가 낮고, 저손실 도파관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A. Gondarenko, J.S. Levy, M. Lipson, "고도 폐입 미크론-스케일 질화규소 고q 링 공진기(High confinement micron-scale silicon nitride high q ring resonator)," Opt. Express 17(14), 11366-11370 (2009)]. 물(n=1.33)에 대해 높은 질화규소의 굴절율(n=2.0)은 강력한 구배 트랩핑력을 초래한다. 도파관의 치수는 200nm 높이와 2㎛ 폭이었으며 도파관 단부에서의 나노테이퍼는 광이 기초 의사(quasi)-TM 도파관 모드에 결합되도록 보장해 주었다. 광원은 시판되는 초연속체(SC) 소스(Fianium SC-450)이었으며, 이는 넓은 출력 스펙트럼(500nm 내지 2.0㎛)과 높은 평균 파워(~4 와트)를 발생하였다. 소스의 고도의 공간 간섭성[I. Zeylikovich, V. Kartazaev, R.R. Alfano, "마이크로구조 섬유에서의 초연속체 발생의 스펙트럼, 시간적 및 간섭 특성(Spectral, temporal and coherence properties of supercontinuum generation in microstructure fiber)," J. Opt. Soc. Am. B-Opt. Phys. 22(7), 1453-1460 (2005)]으로 인해, SC 광은 도파관 나노테이퍼와 모드 매치되기 위해 테이퍼진 렌즈 섬유에 의해 효과적으로 포커싱 다운될 수 있다. 도파관 투과 스펙트럼과 함께 SC 소스의 입력 스펙트럼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근적외선 스펙트럼에 걸친 파장에서 광을 효과적으로 커플링시키면서 도파관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서는 단지 10dB의 파워 손실이 측정되었다.
6.1.2 재료 및 방법
표준 마이크로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광학유체 장치를 제작하였다. 도파관 제작에 대한 상세는 A. Gondarenko, J.S. Levy, M. Lipson, "고도 폐입 미크론-스케일 질화규소 고q 링 공진기(High confinement micron-scale silicon nitride high q ring resonator)," Opt. Express 17(14), 11366-11370 (2009)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동일한 공정이 이용되어 근적외선에서 0.1dB/cm의 도파관 전파 손실이 나타났다. 30㎛ 높이와 300㎛ 폭을 갖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제작하였다.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는 PDMS를 관통하여 펀칭되었으며 채널은 통과하는 미소구를 도파관 소산장과 상호작용시킬 수 있도록 도파관에 직교 정렬되었다.
광대역 광이 광자 칩 상에 커플링되어 도파관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SC 소스의 자유 공간 출력이 단일 모드 편광 유지 섬유(Thorlabs P5-1550PM)에 커플링되었다. 테이퍼진 섬유는 도파관 입력에 버트(butt) 커플링되었으며, 도파관 의사-TM 모드를 여기시키기 위해 배향되었다. 도파관 출력은 색지움 현미경 대물렌즈(Olympus Plan 40X)에 의해 수집되고 편광 분석기(Newport 10GL08)를 통과하였다. 광은 이후 멀티모드 섬유에 커플링되었으며 그 스펙트럼은 분광계(Ocean Optics HR2000)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직경의 폴리스티렌 미소구(Duke Scientific n=1.59)는 응집 방지를 위해 탈이온(DI)수 중에서 계면활성제로 제작되었다. 미소구 용액은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로 분사되었으며, 유속은 미소구 용액 저장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되었다.
6.1.3 결과
다양한 직경의 미소구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을 통해서 유동하였으며, 도파관의 소산장에 의해 광학적으로 트랩핑 및 수송되었다. 도 19는 ~10mW의 유도 전력을 갖는 광대역 광을 이용한 3㎛ 직경 입자의 조작을 도시한다. 생체분자에 대한 광학적으로 유도되는 손상은 저흡수 근적외선 체제[Y. Liu, G.J. Sonek, M.W. Berns, B.J. Tromberg, "광학적으로 트랩핑된 세포의 생리학적 모니터링: 마이크로형광정량법을 이용한 1064-nm 레이저 집게에 의한 폐입 효과의 평가(Physiological monitoring of optically trapped cells: Assessing the effects of confinement by 1064-nm laser tweezers using microfluorometry)," Biophys. J. 71, 2158-2167 (1996)]에서의 작동과 함께 이용되는 비교적 낮은 광학 파워로 인해 이 시스템의 관심사가 아니어야 한다. 미소구의 대략 25%가 도파관에 의해 트랩핑되었으며; 이 트랩핑 효율은 채널 높이를 감소시키거나, 광학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유속을 늦춤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 미소구에 대한 광학 힘은 맥스웰 응력 텐서(tensor) 형식[B.S. Schmidt, A.H.J. Yang, D. Erickson, M. Lipson, "마이크로유체 장치 내의 중실 코어 도파관 상에서의 광학유체 트랩핑 및 수송(Optofluidic trapping and transport on solid core waveguides within a microfluidic device)," Optics Express 15(22), 14322-14334 (2007)]을 갖는 3D 무한 요소 분석을 이용하여 산출되었으며; 시뮬레이팅된 모드 결과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되어 있다. 5nm 도파관 분리와 850nm 트립핑 파장을 갖는 3㎛ 직경 입자에 있어서, 구배력 및 산란력은 각각 1.5nN/W와 0.21nN/W였다. 이들 수치는 질화규소 도파관[S. Gaugiran, S. Getin, J. M.Fedeli, J. Derouard, "광학 소산장에서의 소형 금속 입자에 대한 방사력의 편광 및 입자 크기 의존성. 반발 구배력 또는 흡인 구배력에 대한 증거(Polarization and particle size dependence of radiative forces on small metallic particles in evanescent optical fields. Evidences for either repulsive or attractive gradient forces)" Optics Express 15, 8146-8156 (2007)]에 대해 얻어진 이전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500nm 내지 20미크론 범위의 직경을 갖는 미소구의 트랩핑이 관측되었다.
광대역 광원의 강도 구배에 의해 트랩핑된 입자는 도파관 투과의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동시에 분석될 수 있다. 도 20은 18㎛ 폴리스티렌 미소구가 트랩핑되어 있는 동안의 도파관의 투과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곡선은 입자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때의 스펙트럼으로 정규화되었다. 투과된 스펙트럼은 트랩핑된 미소구의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에 대응하는 일련의 침하를 표시하였다. 미소구 둘레의 정수배인 파장이 미소구의 경계에서의 내부 전반사로 인해 축적되었다.
도 21은 상이한 직경의 미소구를 이용하여 측정된 자유 스펙트럼 영역을 도시한다. 미소구 밀도와 유체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단일 미소구는 투과된 스펙트럼의 분석을 단순화하기 위해 트랩핑되었다. 실선은 입자의 측정된 크기와 재료의 공지된 굴절율을 이용하여 산출된 WGM 공진[C.C. Lam, P.T. Leung, K. Young, "미(mie) 산란에서의 공진의 위치, 폭 및 강도에 대한 명시적 점근 공식(Explicit asymptotic formulas for the positions, widths, and strengths of resonances in mie scattering)," J. Opt. Soc. Am. B-Opt. Phys. 9(9), 1585-1592 (1992)]에 대한 이론적 곡선을 나타낸다. 데이터와 이론 곡선 사이의 일치는 이들 미소구의 기초 공진 공동 모드에 광이 커플링되었음을 확인해주었다. 따라서, 광대역 광은 입자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이용될 뿐 아니라, 입자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작용의 스펙트럼 사인(spectral signature)을 제공하였다. 공진 파장 및 선폭의 변화는 미소구 표면에 대한 생체분자의 흡착과 같은 국소 유체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6.1.4 고찰
이 예는 질화규소 도파관 및 광대역 초연속체 광원을 이용한 단일 마이크로스케일 입자의 동시적인 광학 트랩핑, 조작 및 분석을 나타낸다. 백색 광원이 통합 광학 트랩핑을 위해 이용되었는 바, 이는 증가된 기능을 갖는 신규 랩온어칩(lab-on-a-chip) 바이오센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형광 및 산란 분광법[P. Li, K.B. Shi, Z.W. Liu, "백색광 광학 집게의 이용에 의한 단일 입자의 조작 및 분광법(Manipulation and spectroscopy of a single particle by use of white-light optical tweezers)," Opt. Lett. 30(2), 156-158 (2005)]뿐 아니라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K.B. Shi, P. Li, Z.W. Liu, "초연속체 광학 트랩에서의 광대역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산란 분광법(Broadband coherent anti-stokes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in supercontinuum optical trap)," Appl. Phys. Lett. 90(14), 3 (2007)]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광대역 입자 특성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에서의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의 측정은 단일 생체분자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해[F. Vollmer, D. Braun, A. Libchaber, M. Khoshsima, I. Teraoka, S. Arnold, "공진 마이크로공동의 광학 시프트에 의한 단백질 검출(Protein detection by optical shift of a resonant microcavity)," Appl. Phys. Lett. 80(21), 4057-4059 (2002)] 성공적으로 이용되었다. 지금까지, 이들 높은 Q 팩터 장치에 대한 광 커플링은 테이퍼진 광섬유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표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서는 완전한 통합 시스템이 제작될 수 없다. 유동 미소구의 면내 도파관 여기의 이용은 WGM-기반 바이오센서를 완전히 통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예가 이전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수정예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조문헌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원용되며, 각각의 개별 공보, 특허 또는 특허출원이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원용되도록 구체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지시되는 것과 같은 정도로 모든 목적을 위해 원용된다.
어떤 공보의 인용은 출원일 이전의 그 개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전 발명에 의한 이러한 공보에 선행하도록 권한 부여되지 않음을 허용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2)

  1. 분석을 위해 개별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이며,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입자를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미소구인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구는 기능화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화된 미소구는 검체의 정체가 해명될 수 있도록 디코더 결합 리간드를 결합시킬 식별자 결합 리간드를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마이크로유체 채널로부터 입자를 광학적으로 트랩핑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내에 트랩핑, 정지 또는 보유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핑된 입자는 도파관을 통해서 전파되는 광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기능적으로 커플링된 광원을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인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인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분광계를 포함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샘플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은 샘플 유입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취급 웰을 포함하며,
    상기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는 샘플 유입구와 샘플 취급 웰 사이의 유체 접촉이 가능하도록 샘플 취급 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웰 유출구는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웰 유입구와 웰 유출구는 동일한 포트인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17.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방법이며,
    도파관을 제공하는 단계;
    도파관에 의해 입자를 광학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 및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인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인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1. 분석을 위해 입자를 트랩핑 및 수송하기 위한 방법이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입자를 도입하는 단계;
    센서 구역 또는 검출기 구역에서 입자를 도파관에 의해 광학적으로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 및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입자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 이후에, 광학 파워를 감소시키거나 광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입자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인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인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광산란 사인은 위스퍼링 갤러리 모드(WGM) 공진을 포함하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들은 제2 입자에 대해 반복되는 입자 트랩핑 및 수송 방법.
  28. 표적 검체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며,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스템은
    평면 기판;
    마이크로유체 채널;
    상기 마이크로유체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구역 또는 검출 구역; 및
    광이 전파되는 마이크로유체 채널과 통합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검체에 대해 친화력을 갖는 식별가능한 기능화 미소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능화 미소구를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에 도입하는 단계;
    상기 기능화 미소구를 센서 구역 또는 검출기 구역에서 도파관에 의해 광학적으로 트랩핑하는 단계;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에 의해 상기 기능화 미소구의 공진 광산란 사인을 여기시키는 단계로서, 이 단계는 제1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기능화 미소구를 일회 이상 여기시켜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은 기능화 미소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여기 단계;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화 미소구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
    샘플 내에 검체가 존재할 때 기능화 미소구와 적어도 하나의 검체 사이에 결합이 발생하는 경우, 기능화 미소구를 적어도 하나의 검체를 함유할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를 제2 분석 파장 범위에 걸쳐서 일회 이상 스캐닝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및 제2 분석 파장 범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스캐닝 단계;
    도파관 투과를 이용하여 기능화 미소구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을 측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과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공진 광산란 사인들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접촉되는 기능화 미소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검체의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된 검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검체의 결합 검출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공진 광산란 사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공진 광산란 사인은 WGM 공진인 표적 검체의 결합 검출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대역 광원이며, 상기 분석 파장 범위는 가시 및 근적외인 표적 검체의 결합 검출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가시 파장 및 근적외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표적 검체의 결합 검출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초연속체 광원인 표적 검체의 결합 검출 방법.
KR1020117031609A 2009-06-01 2010-05-28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KR20120016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86809P 2009-06-01 2009-06-01
US61/182,868 2009-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297A true KR20120016297A (ko) 2012-02-23

Family

ID=4329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09A KR20120016297A (ko) 2009-06-01 2010-05-28 미소구를 이용한 통합 광학유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51650B2 (ko)
KR (1) KR20120016297A (ko)
CN (1) CN102483422B (ko)
WO (1) WO201014136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176A (ko) * 2014-07-01 2017-03-02 옥트로릭스 비브이 유동 세포 계측 시스템 및 방법
US10512175B2 (en) 2013-04-12 2019-12-17 Amogreentech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thereby
US11092742B2 (en) * 2018-12-21 2021-08-17 IHP GmbH—Innovations for High Performance Microelectronics/Leibniz-Institut für innovative Mikroelektronik Photonic sensor chip, packaged photonic sensor device and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8939B2 (en) 2006-03-10 2016-12-27 Indx Lifecare, Inc. Waveguide-based optical scanning systems
US9976192B2 (en) 2006-03-10 2018-05-22 Ldip, Llc Waveguide-based detection system with scanning light source
GB0813090D0 (en) * 2008-07-17 2008-08-27 Univ St Andrews Optical trap
US8866065B2 (en) 2010-12-13 2014-10-21 Zena Technologies, Inc. Nanowire arrays comprising fluorescent nanowires
US8274039B2 (en) 2008-11-13 2012-09-25 Zena Technologies, Inc. Vertical waveguides with various functionality on integrated circuits
US9406709B2 (en) 2010-06-22 2016-08-0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for fabricating and using nanowires
US8748799B2 (en) 2010-12-14 2014-06-10 Zena Technologies, Inc. Full color single pixel including doublet or quadruplet si nanowires for image sensors
US8229255B2 (en) 2008-09-04 2012-07-24 Zena Technologies, Inc. Optical waveguides in image sensors
US8890271B2 (en) * 2010-06-30 2014-11-18 Zena Technologies, Inc. Silicon nitride light pipes for image sensors
US9515218B2 (en) 2008-09-04 2016-12-06 Zena Technologies, Inc. Vertical pillar structured photovoltaic devices with mirrors and optical claddings
US9343490B2 (en) 2013-08-09 2016-05-17 Zena Technologies, Inc. Nanowire structured color filter arrays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US9000353B2 (en) 2010-06-22 2015-04-0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Light absorption and filtering properties of vertically oriented semiconductor nano wires
US9082673B2 (en) 2009-10-05 2015-07-14 Zena Technologies, Inc. Passivated upstanding nano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546742B2 (en) 2009-06-04 2013-10-01 Zena Technologies, Inc. Array of nanowires in a single cavity with anti-reflective coating on substrate
US9478685B2 (en) 2014-06-23 2016-10-25 Zena Technologies, Inc. Vertical pillar structured infrared detector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US8735797B2 (en) 2009-12-08 2014-05-27 Zena Technologies, Inc. Nanowire photo-detector grown on a back-side illuminated image sensor
US8835831B2 (en) 2010-06-22 2014-09-16 Zena Technologies, Inc. Polarized light detec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s of the same
US9551650B2 (en) * 2009-06-01 2017-01-24 Cornell University Integrated optofluidic system using microspheres
US8614056B2 (en) * 2010-03-24 2013-12-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crofluidic method for measurement or detection involving cells or biomolecules
US9242248B2 (en) 2011-09-16 2016-01-2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Methods and devices for optical sorting of microspheres based on their resonant optical properties
US9841367B2 (en) 2011-09-16 2017-12-12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Methods and devices for optical sorting of microspheres based on their resonant optical properties
US9664500B2 (en) 2012-03-08 2017-05-30 Cornell University Tunable optofluidic apparatus, method, and applications
CA2872647A1 (en) * 2012-05-14 2013-11-21 Optofluidics, Inc. Methods of using near field optical forces
US9433941B2 (en) 2012-12-21 2016-09-06 Cornell University Microfluidic chip having on-chip electrically tunable high-throughput nanophotonic trap
US9687847B1 (en) 2013-02-13 2017-06-27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icrofluidic platforms for optical biosensing
CN104165841B (zh) * 2013-05-16 2016-12-28 上海交通大学 光纤端面无标记光学传感元件与微流体集成结构
EP2866000B1 (fr) * 2013-10-22 2020-03-11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optomécanique d'actionnement et/ou de détection du déplacement d'un élément mécanique, notamment pour la détection gravimétrique
US10018566B2 (en) 2014-02-28 2018-07-10 Ldip, Llc Partially encapsulated waveguide based sensing chips,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2916125A1 (en) * 2014-03-07 2015-09-09 One Drop Diagnostics Sàrl Fluorescence-detected assays on microfluidic chips
DE102014104595A1 (de) * 2014-04-01 2015-10-01 Michael Himmelhau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belfreien Detektion eines Analyten
US11181479B2 (en) 2015-02-27 2021-11-23 Ldip, Llc Waveguide-based detection system with scanning light source
WO2017018977A1 (en) * 2015-07-24 2017-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 guide for fluid testing cells
WO2017059425A1 (en) * 2015-10-01 2017-04-06 Ldip, Llc Waveguide-based detection system with scanning light source
CN106840361B (zh) * 2017-03-10 2023-05-26 中国计量大学 一种工作稳定的回音壁模式谐振器
EP3499215B1 (en) * 2017-12-15 2023-06-28 ams AG Particle density sensor using evanescent wave of waveguide
CN108398561A (zh) * 2018-02-07 2018-08-14 复旦大学 利用光学微腔生物传感器对化合物进行特异性检测的方法
EP3797324A4 (en) 2018-05-22 2022-03-02 Fluxus, Inc. FABRICATION OF WAVEGUIDE STRUCTURES
CN108872110B (zh) * 2018-07-04 2020-12-11 暨南大学 一种高折射率灵敏度光纤微流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9732203A (zh) * 2019-01-15 2019-05-1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利用微结构实现微球操控及激光推进效率提高的方法
DE102019106194B4 (de) * 2019-03-12 2020-12-03 Surflay Nanotec Gmbh Vorrichtung zur spektroskopischen Bestimmung der Bindungskinetik eines Analyten
CN110468027B (zh) * 2019-09-07 2022-04-1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同轴双波导光纤的细胞分选微流芯片
WO2024076376A1 (en) * 2022-10-07 2024-04-11 Fluxus, Inc. Optofluid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6938A (en) 1990-06-11 1996-03-05 Nexstar Pharmaceuticals, Inc. Nucleic acid ligands to HIV-RT and HIV-1 rev
US5567588A (en) 1990-06-11 1996-10-22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Solution SELEX
EP1493825A3 (en) 1990-06-11 2005-02-09 Gilead Sciences, Inc. Method for producing nucleic acid ligands
US5683867A (en) 1990-06-11 1997-11-04 Nexstar Pharmaceuticals, Inc.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blended SELEX
US5637459A (en) 1990-06-11 1997-06-10 Nexstar Pharmaceuticals, Inc.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chimeric selex
US5270163A (en) 1990-06-11 1993-12-14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for identifying nucleic acid ligands
US5705337A (en) 1990-06-11 1998-01-06 Nexstar Pharmaceuticals, Inc.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chemi-SELEX
US7266271B2 (en) * 1999-10-06 2007-09-04 Nomadics, Inc. System, probe and methods for colorimetric testing
US7211444B2 (en) * 2001-04-27 2007-05-01 Genetic Id Na, Inc. Waveguide and assay
US20030096081A1 (en) * 2001-10-19 2003-05-22 Lavallee Guy P. Integrated microfluidic, opt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1004178B (el) * 2001-11-29 2003-03-05 "����������" Ολοκληρωμενος οπτοηλεκτρονικος βιοαισθητηρας πυριτιου για ανιχνευση βιομοριων επισημασμενων με χρωμοφορες ομαδες ή νανοσωματιδια
WO2004100327A2 (en) * 2003-03-05 2004-11-1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hotonic crystal laser sources for chemical detection
US8563328B2 (en) * 2004-07-26 2013-10-22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Fiber-optic biosensor and biosensing methods
US8891575B2 (en) * 2004-11-30 2014-1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ptical feedback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US20070031819A1 (en) * 2005-04-26 2007-02-08 University Of Washington Microfluidic systems for bi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and methods thereof
US8270781B2 (en) 2005-10-28 2012-09-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optical detection of particles in fluid
US7693369B2 (en) * 2006-04-07 2010-04-06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Hollow core optical ring resonator sensor, sensing method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8400639B2 (en) * 2006-09-15 2013-03-1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devices for measurements using pump-probe spectroscopy in high-Q microcavities
US8552363B2 (en) * 2007-06-21 2013-10-08 Cornell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ly driven separations using fluid filled core optical fibers
WO2009131535A1 (en) * 2008-04-23 2009-10-29 Oesterlund Lars Optical sensor unit for evanescence wave spectroscopy
CN101358941A (zh) * 2008-08-22 2009-02-04 浙江大学 一种可裁剪的双面纳米带电极阵列集成传感器及制备方法
US9551650B2 (en) * 2009-06-01 2017-01-24 Cornell University Integrated optofluidic system using microspheres
WO2011106057A2 (en) * 2009-12-04 2011-09-01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Nanostructure biosenso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435803B2 (en) * 2011-11-21 2016-09-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Optical resonator diagnostic device and methods of 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2175B2 (en) 2013-04-12 2019-12-17 Amogreentech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thereby
KR20170023176A (ko) * 2014-07-01 2017-03-02 옥트로릭스 비브이 유동 세포 계측 시스템 및 방법
US11092742B2 (en) * 2018-12-21 2021-08-17 IHP GmbH—Innovations for High Performance Microelectronics/Leibniz-Institut für innovative Mikroelektronik Photonic sensor chip, packaged photonic sensor device and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6383A1 (en) 2012-08-02
US9551650B2 (en) 2017-01-24
US20170350809A1 (en) 2017-12-07
WO2010141365A2 (en) 2010-12-09
CN102483422B (zh) 2014-07-23
WO2010141365A3 (en) 2011-03-03
CN102483422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0809A1 (en) Integrated optofluidic system using microspheres
Vaiano et al. Lab on fiber technology for biological sensing applications
Yang et al. Micro-optics for microfluidic analytical applications
US7444053B2 (en) Integrated electrical and optical sensor for biomolecule analysis with single molecule sensitivity
US7248771B2 (en) Integrated sensor with electrical and optical single molecule sensitivity
US7693369B2 (en) Hollow core optical ring resonator sensor, sensing methods, and methods of fabrication
Hsiao et al. Computational study of photonic crystals nano-ring resonator for biochemical sensing
US8280214B2 (en) Nanowires and nanoribbons as subwavelength optical waveguides and their use as components in photonic circuits and devices
Yang et al. Optofluidic ring resonator switch for optical particle transport
Hawkins et al. Handbook of optofluidics
US7149396B2 (en) Apparatus for optical measurements on low-index non-solid materials based on arrow waveguides
Fard et al. Label-free silicon photonic biosensors for use in clinical diagnostics
Ozcelik et al. Optofluidic bioanalysi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US20090263912A1 (en) Nanowires and nanoribbons as subwavelength optical waveguides and their use as components in photonic circuits and devices
US7995890B2 (en) Device for light-based particle manipulation on waveguides
US9322995B2 (en) Optical force based biomolecular analysis in slot waveguides
Huang et al. Development of a monolithic total internal reflection-based biochip utilizing a microprism array for fluorescence sensing
Nordin Optical-resonator-based biosensing system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WO2012099848A1 (en) Fabry-perot based optofluidic sensor
Li et al. Hybrid plasmonic nanofocusing waveguide for on-chip SERS tweezer
JP2013096707A (ja) センシ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センシング装置、並びに、標的物を検出する方法
Wu et al. Whispering gallery mode biomolecular sensors
WO2018132564A9 (en) Photonic hybrid antenna devices and methods
US20210364442A1 (en) Raman photonic chip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ensing
Gordon Applications of Trapping to Protein Analysis and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