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61A -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 Google Patents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761A
KR20120015761A KR1020100078166A KR20100078166A KR20120015761A KR 20120015761 A KR20120015761 A KR 20120015761A KR 1020100078166 A KR1020100078166 A KR 1020100078166A KR 20100078166 A KR20100078166 A KR 20100078166A KR 20120015761 A KR20120015761 A KR 2012001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body
bracket
ladder
elas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성
Original Assignee
최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성 filed Critical 최윤성
Priority to KR102010007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761A/ko
Publication of KR2012001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9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uat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4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siliently, by means of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의 다양한 중량 및 중량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업시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비작업시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동용 바퀴구조체와 그것을 부착한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사다리 또는 작업대 다리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설치된 선회축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바퀴연결체와, 상기 바퀴연결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바퀴연결체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지지몸체에 설정된 크기 이상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하면 상기 바퀴가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바퀴연결체의 선회를 허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wheel structure for ladder or working desk}
본 발명은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다리 등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는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구조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이동용 바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다리, 작업대 등의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올라서면 작업대의 다리 저면이 지면에 닿아 안정되게 지지되나, 작업자가 내려서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돌출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그와 같이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사다리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사다리(1)의 다리 하부에 바퀴구조체가 설치되고 바퀴구조체의 몸체(4) 내부로 바퀴(2)가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퀴(2)는 몸체(4) 내에서 스프링(3)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서면 바퀴구조체에 가해지는 중량에 의해 바퀴(2)가 스프링(3)의 탄성력을 이기고 몸체(4)의 내부로 몰입되고, 작업자가 사다리에서 내려서면 스프링(3)에 의해 돌출된 바퀴(2)가 지면과 접촉됨과 함께, 사다리를 위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후 작업자가 사다리를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등에 공구나 작업도구를 걸어두거나 설치된 적재망에 올려두는 경우가 있고, 사다리의 이동시 그 상태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공구나 작업도구의 중량이 과중한 경우에는 작업대의 저면이 지면에 닿아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다리, 작업대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 중량도 다양하여 이동용 바퀴만을 구입하여 작업대 저면에 부착하려는 경우에, 작업대의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이동용 바퀴의 스프링이 작업대를 밀어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작업대의 중량에 따라 다양한 바퀴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다리 또는 작업대의 다양한 중량 및 중량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업 시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비작업시에는 작업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동용 바퀴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사다리 또는 작업대 다리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설치된 선회축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바퀴연결체와, 상기 바퀴연결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하면이 상기 지지몸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퀴연결체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지지몸체에 소정 크기의 하중 이상이 하방으로 작용하면 상기 지지몸체의 하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바퀴연결체의 선회를 허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 크기의 하중이 조절되도록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브라켓은 상기 다리에 부착되는 다리부착부와, 상기 지지몸체가 부착되는 지지몸체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부착부는 상측체결공과, 상기 상측체결공을 중심으로 호의 궤적을 가지는 하측의 호형장공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결합부는 상기 상측체결공과 상기 호형장공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케이스의 일부분에 상기 브라켓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몸체의 상기 하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형케이스의 표면에 미끄럼방지패드가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선회축을 감고 있는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바퀴연결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력조절수단에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탄성력조절수단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해 상기 타단의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지지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사다리나 작업대 등의 하부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올라선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해서 지지몸체가 바닥에 닿아 지지되고, 작업자가 내려선 경우에는 작업자의 하중이 제거되어 바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다리, 작업대의 자체중량 또는 공구의 탑재여부에 의해 부가된 중량에 따라 작업자가 올라서면 바퀴가 지면에 착지하고 작업자가 내려서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기존의 사다리나 작업대의 다리 하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이 구비되고 사다리나 작업대의 다리 사이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미끄럼방지부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를 넓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다리에 설치되는 경우, 사다리의 종류에 따라 양측의 벌어지는 사이각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다리에 설치된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가 사다리에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브라켓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가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탄성력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사다리 이외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대에 적용가능하나 이하 사다리에 부착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용 바퀴구조체가 부착된 사다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부착된 사다리는 사다리(1)의 다리 하부에 브라켓(40)이 볼트 및 너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상기 브라켓(40)에는 이동용 바퀴구조체가 고정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동용 바퀴구조체가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사다리에 작업자가 올라서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0)가 지면에 닿고 지지몸체(10)가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받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는 사다리 또는 작업대 다리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브라켓(40)과, 상기 브라켓(40)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40)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14)가 형성된 지지몸체(10)와, 상기 지지몸체(10)에 설치된 선회축(105)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바퀴연결체(30)와, 상기 바퀴연결체(30)의 타단에 결합되는 바퀴(20)와, 상기 바퀴(20)의 하면이 상기 지지몸체(10)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퀴연결체(30)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지지몸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하면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바퀴연결체(30)의 선회를 허용하는 탄성체(12)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력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몸체(10)는 중심에 상기 바퀴연결체(30)가 그것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선회축(105)을 구비하고 있고, 바퀴연결체(30)가 선회축(105)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지지몸체(10)는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케이스(11)를 구비하고, 양측이 막혀 있어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원통형케이스(11)의 일부분 즉 상부면에 브라켓(40)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결합부(14)는 브라켓(4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42)이 형성된 2개의 고정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케이스(11) 중 상기 선회축(105)을 기준으로 반대측 즉, 하면에 미끄럼방지패드(13)가 설치된다. 미끄럼방지패드(13)는 고무패드로 설치되는 것이고, 바닥과의 마찰을 증대시켜 사다리가 작업중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미끄럼방지패드(13)는 원통형케이스(11)의 굴곡을 따라 하면에 아치형상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설치되게 된다. 이는, 사다리의 양측이 벌어져 어떠한 각도가 되더라도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바퀴연결체(30)는 바퀴(20)와 지지몸체(1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다. 상기 바퀴연결체(30)는 상기 선회축(105)에 선회가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선회축(105)에 설치된 토션스프링(12)에 의해 바퀴(20)가 지면에 닿는 방향으로 회전탄성력을 받고 있다.
바퀴연결체(30)에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바퀴연결체(30)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 토션스프링(12)의 영향없이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레버(34)가 설치되어 스프링(343)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삽입봉(341)을 고정공(18)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18)은 지지몸체(10)의 원통형케이스(11)에 2곳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공(18)은 바퀴(2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위치와 지지몸체(10)의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바퀴연결체(30)가 선회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몸체(10)의 원통형케이스(11)에는 안내공(17)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는 본 실시예에서 토션스프링(12)이며, 바퀴연결체(30)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지지몸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하면 상기 바퀴(20)가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바퀴연결체(30)의 선회를 허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다. 토션스프링(12)은 선회축(105)을 감고 있는 상태에서 일단은 바퀴연결체(30)에 지지되고, 타단은 탄성력조절수단에 지지되고 있다.
상기 탄성력조절수단은 상기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토션스프링(12)의 상기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력조절수단은 지지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지지위치조절수단은 토션스프링(12)의 타단이 고정되고 있는 조절축(151)과 조절축(151)에 설치되는 받침블록(153)과 받침블록(153)을 밀기 위한 볼트조절체(15)와 볼트조절체(15)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지지몸체(10)의 원통형케이스(11)에 설치되는 고정너트(157)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력조절수단에는 상기 조절축(151)의 위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지몸체(10)에 형성되는 확인공(154)과 눈금(155)이 포함된다.
도 4는 사다리의 다리 하부에 고정되는 브라켓(4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40)은 사다리의 다리 하부에 부착되는 다리부착부(41)와, 상기 지지몸체(10)가 부착되는 지지몸체부착부(4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브라켓은 지지몸체(10)를 사다리, 작업대 등의 다리 하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의미하고 있다.
다리부착부(41)에는 사다리 등의 다리 하부에 구멍을 뚫어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공(45)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몸체부착부(42)에는 브라켓고정부(14)의 2개의 결합공(142)과 볼트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되기 위하여, 상측체결공(43)과 상기 상측체결공(43)을 중심으로 호의 궤적을 가지는 하측의 호형장공(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형장공(44)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의 다리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브라켓고정부(14)가 브라켓(40)의 상측결합공(43)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여 지지몸체(10)가 지면에 수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미끄럼방지패드(13)가 안정되게 착지 가능하다.
도 2의 미설명된 도면부호 6은 공구나 작업도구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망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사다리에 작업자가 올라선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사다리로부터 지지몸체(10)를 누르는 중량이 작용하게 되고, 지지몸체(10)는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강하여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바퀴연결체(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 작업하는 상태에서는 지지몸체(10)의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닿아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지지해 줄 수 있다.
한편, 도 6은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내려선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다리로부터 지지몸체(10)를 누르는 중량이 제거되고,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바퀴연결체(30)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서 바퀴(20)의 하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지몸체(10)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사다리의 하부가 상승하여 바퀴(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고정레버(34)를 선회시켜 삽입봉(341)이 지지몸체(10)의 고정공(18)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바퀴(20)의 구름운동에 의해 사다리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7은 작업중 사다리가 안정된 착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패드(13)이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바퀴(20)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바퀴연결체(30)의 고정레버(34)를 내려 삽입봉(341)이 상측에 있는 고정공(18)에 끼워짐으로써 바퀴(20)가 선회한 상태이고, 지지몸체(10)의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착지하여 사다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사다리의 이동용 바퀴구조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구조체를 사다리의 중량이나 사다리에 중량 도구의 적재여부에 따라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과정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중량의 적재물이 올려지거나 사다리의 중량에 의해 지지몸체(10)가 떠 있지 못한 상태로서, 이 상태는 작업자가 올라서지 않았음에도 지지몸체(10)를 누르는 하중이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을 이겨 지지몸체(10)의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이다.
이 경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조절체(15)를 돌려 전진시킴으로써 토션스프링(12)의 타측이 지지되고 있는 조절축(151)을 안쪽(시계방향)으로 밀게 되면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이 커진다. 이에 따라, 바퀴연결체(30)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탄성력이 증가하여 지지몸체(10)가 떠 오를 수 있다. 이 때, 지지몸체(10)에 형성된 눈금(154)을 통하여 탄성력의 증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다리에 걸리거나 적재되는 공구의 중량에 맞는 눈금량만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의 조절은 사다리의 4개의 다리에서 모두 진행되고, 눈금(155)를 이용하여 모두 탄성력의 증가량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경우와는 반대로 작업자가 올라서도 지지몸체(10)의 미끄럼방지패드(13)가 지면에 닿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볼트조절체(15)를 돌려 후퇴시킴으로써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사다리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이동용 바퀴구조체은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는 다른 종류의 작업대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사다리 10; 지지몸체
105; 선회축 11; 원통형케이스
12; 토션스프링 13; 미끄럼방지패드
14; 브라켓결합부 142; 결합공
15; 볼트조절체 151; 조절축
153; 받침블록 154; 확인공
155; 눈금 157; 고정너트
17; 안내공 18; 고정공
20; 바퀴 30; 바퀴연결체
34; 고정레버 341; 삽입봉
343; 스프링 40; 브라켓
41; 다리부착부 42; 지지몸체부착부
43; 상측결합공 44; 호형장공
45; 고정공

Claims (4)

  1. 사다리 또는 작업대 다리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브라켓(40)과,
    상기 브라켓(40)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40)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14)가 형성된 지지몸체(10)와,
    상기 지지몸체(10)에 설치된 선회축(105)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바퀴연결체(30)와,
    상기 바퀴연결체(30)의 타단에 결합되는 바퀴(20)와,
    상기 바퀴(20)의 하면이 상기 지지몸체(10)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퀴연결체(30)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지지몸체(10)에 소정 크기의 하중 이상이 하방으로 작용하면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바퀴연결체(30)의 선회를 허용하는 탄성체와,
    상기 소정 크기의 하중이 조절되도록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다리에 부착되는 다리부착부(41)와,
    상기 지지몸체(10)가 부착되는 지지몸체부착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부착부(42)는 상측체결공과, 상기 상측체결공을 중심으로 호의 궤적을 가지는 하측의 호형장공(44)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결합부(14)는
    상기 상측체결공과 상기 호형장공(44)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0)는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케이스(11)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케이스(11)의 일부분에 상기 브라켓결합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형케이스(11)의 표면에 미끄럼방지패드(13)가 상기 선회축(105)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선회축(105)을 감고 있는 토션스프링(12)이고, 상기 토션스프링(12)의 일단은 상기 바퀴연결체(3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력조절수단에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탄성력조절수단은
    상기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 조절을 위해 상기 타단의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지지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KR1020100078166A 2010-08-13 2010-08-13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KR20120015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66A KR20120015761A (ko) 2010-08-13 2010-08-13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66A KR20120015761A (ko) 2010-08-13 2010-08-13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61A true KR20120015761A (ko) 2012-02-22

Family

ID=4583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66A KR20120015761A (ko) 2010-08-13 2010-08-13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7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9820A (zh) * 2016-08-30 2017-10-27 合肥龙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改良结构的梯子
CN108930509A (zh) * 2018-07-09 2018-12-04 黎庆有 一种紧固性高的水利工程爬梯用可调节外置围护机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9820A (zh) * 2016-08-30 2017-10-27 合肥龙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改良结构的梯子
CN107299819A (zh) * 2016-08-30 2017-10-27 合肥龙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改良结构的梯子
CN107299820B (zh) * 2016-08-30 2018-11-30 绍兴柯桥三杰纺织品有限公司 一种梯子
CN107299819B (zh) * 2016-08-30 2018-11-30 绍兴柯桥富荣纺织有限公司 一种梯子
CN108930509A (zh) * 2018-07-09 2018-12-04 黎庆有 一种紧固性高的水利工程爬梯用可调节外置围护机构
CN108930509B (zh) * 2018-07-09 2020-07-24 吴松 一种紧固性高的水利工程爬梯用可调节外置围护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693B2 (en) Mobile base for a table saw
US11400503B2 (en) Circuit for conduit bender
KR101652001B1 (ko) 스프링로드식 바퀴구조체
JP6754134B2 (ja) 測長装置
US20110001098A1 (en) Utility jack
KR20120015761A (ko)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구조체
JP2014151369A (ja) ロボット
KR200479622Y1 (ko) 곡외판용 매그스위치 발판
KR101404974B1 (ko) 센서박스 거치용 카트
KR20000047479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차체 지지장치
KR20110096677A (ko) 캐스터
US10172447B2 (en) Adjustable height desktop workstation
CN213651732U (zh) 一种零部件检测用举升装置
CN110296309B (zh) 一种基于支架的调平辅助装置
JP6980516B2 (ja) ボード昇降装置
JP6786997B2 (ja) ワーク測定台
KR20240038440A (ko)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 바퀴 구조체
JP5184232B2 (ja) 重量物吊上装置
CN216339799U (zh) 自适应支承组件及具有其的挖掘机工作装置装配线
CN220248802U (zh) 一种测量装置
KR20110071692A (ko) 건설장비의 운전석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CN215244886U (zh) 三角琴装卸脚轮支撑车
KR102300833B1 (ko)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JPH0416721Y2 (ko)
CN209762572U (zh) 限位件、设备和升降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