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025A -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025A
KR20120015025A KR1020100077218A KR20100077218A KR20120015025A KR 20120015025 A KR20120015025 A KR 20120015025A KR 1020100077218 A KR1020100077218 A KR 1020100077218A KR 20100077218 A KR20100077218 A KR 20100077218A KR 20120015025 A KR20120015025 A KR 2012001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guide bush
detection device
detect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수
조동진
정희성
도상욱
윤창만
최수용
권종식
이태준
김종화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025A/ko
Publication of KR2012001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57Detection of tool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09Detection of broken to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5Monitoring tool breakage, life or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가공 툴과 같이 끝이 뾰족한 공구의 단부가 마모 또는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는 가이드부위와,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쉬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공구의 단부의 마모 또는 파손을 알기 위하여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방법으로 공구의 단부의 마모 또는 파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면 치과용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공구 등의 마모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서 공구의 교체시기를 즉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불량품의 가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으로 인한 검사 비용 및 불량 외부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어서 고객 품질 향상에 기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damage of tool tip}
본 발명은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가공 공구와 같이 끝이 뾰족한 공구의 단부가 마모 또는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CNC 선반으로 평균 10개 이상의 가공 공구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초정밀 제품으로서 공구의 상태가 제품정밀도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제조업체들이 경험에 의한 데이터 및 공구 제조업체의 스펙에만 의존하여 공구 교체 시기를 결정하고 있으며, 가공 도중에 공구 파손 발생시 즉시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공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구의 파손 또는 마모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는 가이드부위와,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쉬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공구의 단부의 마모 또는 파손을 알기 위하여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가 일정길이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에 의하여 돌출된 길이에 비례하여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스트레인게이지인 또는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감지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가 일정한 길이 이상일 때만 작동하는 온-오프(on-off) 스위치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방법으로 공구의 단부의 마모 또는 파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면 치과용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공구 등의 마모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서 공구의 교체시기를 즉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불량품의 가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으로 인한 검사 비용 및 불량 외부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어서 고객 품질 향상에 기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작동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작동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는 가이드부쉬(10)와, 감지부(20)와, 표시수단(3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쉬(10)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구(1)가 관통공(11)에 삽입되었을 때 공구(1)의 단부(3)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지부(20)는 가이드부쉬(10)의 일면에 설치되어 공구(1)의 단부(3)의 마모 또는 파손을 알기 위하여 공구(1)의 단부(3)가 외부로 돌출된 양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20)는 켄틸레버보(21)와 접지(23)를 구비한다. 켄틸레버보(21)는 평상시는 접지(23)에 접촉하여 있지만, 공구(1)의 단부(3)가 관통공(11)에 삽입되면 공구(1)의 단부(3)에 의하여 켄틸레버보(21)가 휘어져서 접지(23)와 분리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켄틸레버보(21)에서 접지로 전류가 흐르지만 정상적인 공구(1)가 가이드부쉬(10)의 관통공(11)에 삽입되면 단부(3)가 켄틸레버보(21)를 가압하여 켄틸레버보(21)와 접지(23)의 연결이 단절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표시수단(30)은 가이드부쉬(10)에서 외부로 돌출된 공구(1)의 단부(3)가 일정 길이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즉 표시수단(30)에 의하여 공구(1)의 단부(3)가 파손 또는 마모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켄틸레버보(21)에서 접지(23)로 전류가 흐르면 표시수단(30)이 광을 발산을 하지만 켄틸레버보(21)에서 접지(23)로 전류가 차단되면 표시수단(3)이 광을 발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수단(30)에 표시된 광을 보고서 공구(1)의 단부(3)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수단(30)으로 LED광을 사용하였지만, 광뿐만 아니라 소리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수단(30)으로 공구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감시하는 공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시 모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구 모니터링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어 감시 모니터에 공구(1)의 마모나 파손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공구(1)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가공시 공구(1)의 단부는 마모 또는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공구(1)의 단부가 마모 또는 파손이 일어 났는지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 경우 만약 공구(1)의 단부가 마모 또는 파손이 일어난 경우 이 공구(1)에 의하여 생산된 임플란트는 전량 불량이 되고 만다. 그래서 공구(1)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몇 개 이상 가공한 후 공구(1)를 도 1에 도시된 공구의 단부 파손감지장치에 삽입하여 공구(1)의 단부(3)의 파손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의 단부(3)가 정상적이면 공구(1)의 단부(3)가 켄틸레버보(21)를 굽혀서 켄틸레버보(21)와 접점(23)의 접촉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표시수단(30)에서 광이 발산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공구(1)의 단부(3)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의 단부(3)가 마모 또는 파손된 경우 공구(1)를 가이드부쉬(10)의 관통공(11)에 삽입하더라도 공구(1)가 켄틸레버보(21)를 가압하지 못한다. 이 경우 켄틸레버보(21)와 접점(23)은 계속 연결되어 있으므로 표시수단(30)에는 계속해서 광이 발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구(1)의 단부(3)가 마모 또는 파손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감지부(20)로서 켄틸레버보(21)와 접점(23)을 사용하였지만, 가이드부쉬(10)의 외부로 돌출된 공구(1)의 단부(3)의 길이에 비례하여 변형하는 스트레인게이지나 정전용량형 감지기가 사용될 수 있다. 스르레인게이지의 경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값을 사용하여 공구(1)의 단부(3)가 어느 정도 마모 또는 파손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형 감지기의 경우 두 접점 사이의 간격이 벌이지면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며, 이러한 정전용량(capacitance)의 차이를 감지하여 공구(1) 끝단의 마모 또는 파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지부(20)로 켄틸레버보(21) 외에 양단지지보나 멤브레인 형태의 구조물 또는 온-오프(on-off) 스위치도 사용될 수 있다.
1 : 공구 3 : 공구의 단부
10 : 가이드부쉬 11 : 관통공
20 : 감지부 21 : 켄틸레버보
23 : 접점 30 : 표시수단

Claims (5)

  1.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쉬와,
    상기 공구의 단부의 마모 또는 파손을 알기 위하여 상기 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면에 설치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가 일정길이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에 의하여 돌출된 길이에 비례하여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스트레인게이지 또는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공구의 단부가 일정한 길이 이상일 때만 작동하는 온-오프(on-off)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KR1020100077218A 2010-08-11 2010-08-11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KR20120015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218A KR20120015025A (ko) 2010-08-11 2010-08-11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218A KR20120015025A (ko) 2010-08-11 2010-08-11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025A true KR20120015025A (ko) 2012-02-21

Family

ID=4583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218A KR20120015025A (ko) 2010-08-11 2010-08-11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0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945B2 (en) Modular measurement probe
EP264795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object
CN101970979B (zh) 接触触发式测量探针
US9371852B2 (en) Electronic screw and screw torque sensing device
US10591268B2 (en) Feeler for workpieces being machined
KR101626458B1 (ko) 공작기계의 공구이상 검출장치
KR101611299B1 (ko) 자동화 기계장치의 이상 가공 유무 감지방법
JP5642748B2 (ja) 放電加工機の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6703831B1 (en) Dual eddy current probe for detecting geometrical differences especially as related to threaded apertures and studs
CN110849261A (zh) 跳动测量系统以及跳动测量方法
CN111451838A (zh) 机床、管理系统及工具劣化检测方法
KR101407861B1 (ko)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방법
CN204413762U (zh) 刀具检测装置
KR20120015025A (ko) 공구의 단부 파손 감지장치
JP2008145329A (ja) 測定器
KR20070059521A (ko)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및 그 이물질감지방법
CN206056563U (zh) 一种不锈钢板表面光洁度在线检测装置
KR101564627B1 (ko) 와이어소 가공상태 감시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와이어소
CN104180782B (zh) 自适应在线快速测量仪
JP7492448B2 (ja) 試験装置の検査方法、及び、試験装置
KR102384395B1 (ko)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209707090U (zh) 一种带扭力过载保护机构的扭力测试机
JP2021146362A (ja) ロールの表面状態の計測装置
JP2008254057A (ja) 半田鏝先クリーナー
KR101051236B1 (ko) 에이치형강의 플랜지팁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