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544A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544A
KR20120012544A KR1020100074551A KR20100074551A KR20120012544A KR 20120012544 A KR20120012544 A KR 20120012544A KR 1020100074551 A KR1020100074551 A KR 1020100074551A KR 20100074551 A KR20100074551 A KR 20100074551A KR 20120012544 A KR20120012544 A KR 2012001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guide
guide whee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255B1 (ko
Inventor
사공영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8Used wire dispos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체결 홀(214)이 형성된 스테이 블록(210), 스테이 블록(210)의 상측에 절연을 위해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216), 세라믹 블록(216)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w)가 긴장되게 지지하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 스테이 블록(210)에 체결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에서 진출되는 와이어(w)가 진입되어 하부 암 유닛(17)쪽으로 와이어(w)를 배출하는 가이드 휠 유닛(230). 가이드 휠 유닛(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w)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휠(240) 및 가이드 휠 유닛(230)에서 와이어(w)가 배출되는 쪽에 설치되고 하부 암 유닛(17)에 배치되는 외부 파이프(172)에 설치되는 가이드 커넥터(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Wire guide device of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된 후의 와이어가 배출될 때에 와이어의 진행을 안내하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절연성이 있는 가공액에 주행하는 와이어 전극과 공작물을 넣고 지속적인 아크 방전에 의해 공작물의 일부를 제거하여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서, 와이어와 가공물 사이에 방전(放電)을 일으켜 방전스파크를 마치 톱날처럼 사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한다.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10)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와이어 방전가공기(10)는 베드(11)의 상측 후방에 칼럼(12)이 설치되고, 칼럼(12)의 전방 쪽에는 워크 탱크(16)와 테이블(14)이 설치되고, 테이블(14)의 하측에는 테이블(14)을 X-Y평면에서 이동시키는 테이블 이송계(15)와 새들(13)이 설치되며, 테이블 이송계(15)와 새들(13)은 컴퓨터 제어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칼럼(12)의 전방에는 하부 암 유닛(Arm Unit: 17)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고,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은 워크탱크(16)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술한 칼럼(12)의 상측에는 V슬라이드(31)와 헤드 유닛 이송계(32) 및 U슬라이드(33)가 설치된다.
상술한 U슬라이드(33)의 전방에는 헤드(18)가 설치되고, 헤드(18)의 전방 한쪽에는 와이어 이송유닛(20)과 상부 암 유닛(19)이 설치된다.
상술한, 상부 암 유닛(19)의 하측에는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이 설치되고, 상술한 하부 유닛(17)의 전방에는 상술한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22)이 설치된다.
상술한 헤드(18)는 상술한 U슬라이드(31)와 헤드 유닛 이송계(32) 및 U슬라이드(33)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컴퓨터 제어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와이어 이송유닛(20)은 와이어(W)를 주행시키게 하여 와이어(W)를 계속 공급하는 것이고, 상부 암 유닛(19)과 하부 암 유닛(17)의 사이에서는 상술한 와이어(W)가 팽팽하게 유지되며, 상술한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상술한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22)에는 와이어(W)에 직류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와이어(W)는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22)을 통과하고 이후 하부 암 유닛(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칼럼(12)의 바깥쪽에는 와이어 배출 장치(35)가 설치되고, 이러한 와이어 배출 장치(35)는 와이어(W)를 끌어당길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22)을 통과하여 사용이 완료된 와이어(W)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된 와이어(W)는 와이어 버킷(36)에 수거될 수 있다.
상술한 워크탱크(16)에는 가공액이 채워지는 것이고, 워크탱크(16)의 내부에 공작물이 장착되며, 이 공작물은 상술한 상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1)와 상술한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2)의 사이 높이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방전에 의해 공작물은 가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워크탱크(16)는 움직일 수 있고, 상술한 하부 암 유닛(17)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들 사이에는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 유닛이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22)은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에 설치고,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는 하부 암 유닛(17)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는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면이고, 도 5는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 가이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B부 상세도면이다.
종래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에 설치되고,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의 상측에는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120)이 배치된다.
상술한 하부 암 유닛(17)의 내측에는 가이드 파이프(170)가 배치되고, 가이드 파이프(170)의 내경에는 외부 파이프(172)가 배치되며, 상술한 외부 파이프(172)의 외측 단부는 와이어 배출장치(35)에 연결된다.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테이 블록(110)은 하부 암 유닛(17)의 하부 암 커버(160)의 전방에 고정되고, 스테이 블록(110)과 하부 암 커버(16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6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62)에 의해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의 위치를 가변하여 정렬할 수 있다.
스테이 블록(110)의 한쪽 측면에는 가이드 휠(130)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휠(130)의 한쪽에는 곡률 진행가이드 블록(140)이 배치되며, 하부 암 유닛(17)을 향하는 쪽에는 배출가이드 유닛(150)이 배치된다.
상술한 가이드 휠(13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블록(110)에 샤프트(132)가 고정되고, 상술한 샤프트(1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샤프트(132)는 어느 한쪽이 상술한 스테이 블록(11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 부분은 자유단으로서 마치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곡률 진행가이드 블록(140)에는 가동 조력 유닛(142)이 배치되는데, 가동 조력 유닛(142)은 상술한 가이드 휠(130)의 접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가동 조력 유닛(142)에는 가공액 분류압력이 작용되어 가이드 휠(130)의 회전과 와이어(w)의 주행을 조력한다.
상술한 배출가이드 유닛(15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라믹 가이드(151)에 브래킷(152)이 배치되고, 브래킷(152)의 한쪽에 내측 가이드(153)가 배치되며, 상술한 브래킷(152)에는 상술한 내측 가이드(153)를 내부에 배치되도록 외측 가이드(154)가 체결된다.
또한, 하부 암 커버(160)에는 커넥터 브래킷(155)이 설치되고, 커넥터 브래킷(155)의 일측에는 너트(156)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 브래킷(155)의 내경에는 상술한 외측 가이드(154)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술한 너트(156)를 조절하여 상술한 커넥터 브래킷(155)과 상술한 외측 가이드(154)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 브래킷(155)의 내부에는 외부 파이프(172)가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세라믹 가이드(151)의 한쪽에는 홀(151a)이 형성되어 세라믹 가이드(151)의 내외측이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된 와이어(w)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120)을 통과하여 가이드 휠(130)의 외경 쪽으로 진입되고, 가동 조력 유닛(142)에서 가공액 분류압력이 작용되어 가이드 휠(130)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와이어(w)의 주행을 조력하게 된다.
상술한 와이어(w)는 곡률 진행가이드 블록(140)에 안내되어 배출 가이드 유닛(150)으로 주행되고, 이후 외부 파이프(172)를 경유하여 계속 주행된다.
또한, 상술한 외부 파이프(172)의 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배출장치(35)는 상술한 와이어(w)를 끌어당겨서 와이어(w)가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가이드 휠(130)과 제1 가동 조력 유닛(122) 및 곡률 진행가이드 블록(1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A1)과 세라믹 가이드(151)의 홀(151a)에 형성되는 제2 공간(A2)을 통하여 방전 칩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와이어의 주행을 방해하고, 이로써 관련 부품이 파손 또는 고장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세라믹 가이드(151)의 앞부분은 전기적으로 절연체로서 전기적 신호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자동 결선할 때에 입구에서 배출가이드 유닛(150)의 외측 가이드(154)까지 천천히 안내함으로써 자동결선에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암 커버(160)의 조립이 난해하고, 조립이 난해한 이유로는 조립할 부분의 내부를 보면서 조립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하부 암 커버(160)를 조립하기 전에 외부 파이프(172)를 배출 가이드 유닛(150)에 가조립하고 난후 하부 암 커버(160)를 외부 파이프(170)에 조립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파이프(172)가 배출 가이드 유닛(150)에서 빠질 경우에는 조정, 서비스 등 재조립을 처음부터 다시 시도해야 하는 곤란함이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154)에 의해 와이어(w)가 배출부까지 힘을 받아 안내 되어야 하는데 외측 가이드(154)가 상대적으로 후방 쪽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와이어를 주행시키는데에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 가이드 유닛(150)은 스테이 블록(110)의 뒤쪽에서 조립하도록 되어 있어 청소하거나 A/S를 할 때에 재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가 와이어 방전가공기(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 휠(130)을 단독으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가이드 휠(130)을 A/S하고자 할 때에 가이드 휠(130)을 스테이 블록(110)에서 분해하여야 하지만, 가이드 휠(130)의 분해가 곤란하므로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의 전체를 분해하고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정밀도를 다시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암 커버(160)는 세라믹 재질일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재질은 취성에 취약한 특징이 있는데, 외부의 충격에 의해 하부 암 커버(160)가 파손되었을 때에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100)의 전체를 재조립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금전적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암 커버(160)의 전단에 커넥터 브래킷(155)과 너트(156)가 배치되므로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w)를 자동 결선할 때에 가동 조력 유닛(142)을 통하여 가공액 분류를 제공하게 되는데, 가공액 분류는 가이드 휠(130)의 원통형 표면에 접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휠(130)을 구동시킬 때에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이드 휠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여 이물질로 인한 와이어 주행 경로가 폐쇄되거나 관련 부품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가 가이드 휠을 통과하는 동안에 단자 홀에 설치되는 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술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1 가동 조력 유닛에서 가공액 제트를 작용하여 와이어의 주행을 조력할 수 있도록 하여 이로써 자동 결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암 유닛의 가이드 파이프 외부 파이프의 구멍을 통해 확인하면서 외부 파이프에 곧바로 조립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쉽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주행을 조력하도록 하는 가공액 분류압력을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위치에 배치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곧바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이 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주행을 조력하도록 하는 가공액 분류압력을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후행부분에는 단순한 가이드만을 배치하여 분해/조립을 쉽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휠은 가이드 휠 유닛의 내부에 배치하고 가이드 휠 유닛은 스테이 블록에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부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A/S의 편의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을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세라믹이 파손되었을 때에 좀 더 쉽게 세라믹 블록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쪽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의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휠의 한쪽에 버킷 로터를 배치하고 버킷 로터에 가공액 분류압력을 작용시켜 가이드 휠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하부 암 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체결 홀이 형성된 스테이 블록; 상기 스테이 블록의 상측에 절연을 위해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긴장되게 지지하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 상기 스테이 블록에 체결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에서 진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진입되어 상기 하부 암 유닛 쪽으로 상기 와이어를 배출하는 가이드 휠 유닛; 상기 가이드 휠 유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휠;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에서 상기 와이어가 배출되는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암 유닛에 배치되는 외부 파이프에 설치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휠 유닛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공액 분류 압력을 가이드 휠에 작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주행 또는 상기 가이드 휠의 회전작용을 조력하는 제1 가동 조력 유닛;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는 쪽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주행을 조력하는 제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휠의 한쪽에 배치되고 유체작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 휠의 회전을 조력하는 버킷 로터;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공액 분류 압력을 상기 버킷 로터에 작용하는 제2 가동 조력 유닛;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휠 유닛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입을 검출하여 와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 또는 상기 제트 유닛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휠은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 감싸인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이 최대한 차단되고 이로써 이물질로 인한 와이어의 주행에 방해되는 요인을 최소화하여 와이어가 좀 더 원활하게 주행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휠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속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휠 유닛의 한쪽에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술한 스위치는 와이어의 통과를 검출하여 가동 조력 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와이어의 결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하부 암 유닛의 가이드 파이프 외부 파이프의 구멍을 통해 확인하면서 외부 파이프에 곧바로 조립함으로써 분해/조립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쪽에 제트 유닛을 배치하고, 제트 유닛은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작용함으로써 제트 유닛에서 작용하는 가공액 분류압력은 와이어의 주행속도를 높이고, 이로써 와이어의 결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제1 가동 조력 유닛을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후행부분에는 단순한 가이드 커넥터만을 배치하여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분해/조립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휠은 가이드 휠 유닛의 내부에 배치하고 가이드 휠 유닛은 스테이 블록에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휠을 유지 보수하고자 할 때에 가이드 휠 유닛을 분해함으로써 가이드 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써 가이드 휠에 대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절연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을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세라믹 블록이 파손되었을 때에 좀 더 쉽게 세라믹 블록을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와이어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쪽에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의 위치의 조정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휠의 한쪽에 버킷 로터를 배치하고 버킷 로터에 가공액 분류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가이드 휠의 회전력을 향상시켜 와이어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와이어의 결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면이다,
도 5는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 가이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부 상세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가이드 휠의 설치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가이드 휠 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가이드 휠의 설치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서 가이드 휠 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에 스테이 블록(210)이 설치되고, 스테이 블록(210)의 전방 상측에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이 설치되며, 스테이 블록(210)의 한쪽 측방에는 가이드 휠 유닛(230)이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는 가이드 커넥터(250)가 배치되고, 상술한 가이드 커넥터(250)는 외부 파이프(172)가 연결된다.
상술한 스테이 블록(210)의 상측에는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세라믹 블록(216)이 배치되고, 상술한 세라믹 블록(216)의 한쪽에 상술한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이 설치되고, 이로써 세라믹 블록(216)은 작업자의 접근성이 향상되므로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세라믹 블록(216)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은 높낮이 또는 좌우위치 등 자세를 정교하게 정렬하게 되는데, 이때 세라믹 블록(216)의 하측에 스페이서(218)를 배치함으로써 스페이서(218)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의 위치를 더욱 쉽고 정교하게 정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스테이 블록(21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베이스(212)가 형성되고, 상술한 베이스(212)에는 제1 체결 홀(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에는 상술한 체결 홀(2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239)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1, 제2 체결 홀(214)(239)에 체결요소를 체결하여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을 상술한 스테이 블록(2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아울러 체결요소를 분리함으로써 스테이 블록(210)에서 가이드 휠 유닛(23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체결요소는 볼트와 너트 등 알려진 체결요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은 하우징(231)의 겉에 커버(232)가 씌워져 내외부가 단절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31)과 커버(232)에 각각 양측이 고정되도록 샤프트(242)가 설치되고, 샤프트(242)에는 가이드 휠(2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휠(240)의 한쪽에는 버킷 로터(243)가 설치되고, 버킷 로터(243)는 바람개비 또는 물레방아처럼 유체의 가압작용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일례로,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는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가동 조력 유닛(234)은 상술한 가이드 휠(240)에 접선 방향으로 가공액 분류압력을 작용하여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조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2 가동 조력 유닛(234)은 상술한 버킷 로더(243)에 가공액 분류 압력을 작용하여 가이드 휠(240)의 회전속도를 향상시키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은 가이드 휠(240)이 더욱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와이어(w)를 신속하게 주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휠 유닛(230)에 와이어(w)가 진입되는 쪽에는 제트 유닛(238)이 설치되고, 상술한 제트 유닛(238)은 가공액 분류 압력을 작용하여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조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하우징(231)의 한쪽에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홀(236)이 형성되고, 상술한 단자 홀(236)에는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술한 스위치는 와이어(w)의 진입을 검출하여 와이어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스위치는 와이어(w)의 진입을 검출하는 것이고, 이러한 스위치는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와이어 검출 신호는 상술한 제트 유닛(238)과 연동하여 작용될 수 있고, 일례로서, 와이어(w)가 가이드 휠 유닛(230)에 천천히 진입하며 스위치에서 와이어(w)를 검출하여 와이어 검출 신호가 발생하면 제트 유닛(238)이 작용되어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증속시키는 것이다.
즉, 와이어(w)가 안정된 위치까지 진입될 동안에는 천천이 주행되지만, 와이어(w)가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진입 된 후에는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증속시켜 신속하게 주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와이어 검출 신호에 상술한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이 연동되어 작용될 수도 있고, 일례로, 상술한 와이어 검출 신호가 발생하면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휠 유닛(230)에서 와이어(w)가 배출되는 쪽에는 상술한 가이드 커넥터(250)가 설치되고, 이때 가이드 커넥터(250)에서 와이어(w)가 통과되는 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정교하지 않더라고 그다지 상관없고, 와이어(w)의 직경에 비교하여 넉넉하게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커넥터(250)의 내경은 와이어(w)의 진입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테이퍼 형사의 내경을 갖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제트 유닛(238)을 와이어(w)의 주행을 기준으로 가이드 휠 유닛(230)의 선행부에 배치됨으로써 후행부에는 단순한 형태의 가이드 커넥터(250)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커넥터(250)의 출구쪽은 하부 암 유닛(17)의 외부 파이프(172)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한 외부 파이프(172)는 가이드 파이프(17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고, 가이드 파이프(170)는 하부 암 유닛(17)에 설치되는 것인데,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파이프(172)의 단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하부 암 유닛(17)이 조립되고, 돌출된 외부 파이프(172)에 상술한 가이드 커넥터(250)가 조립되므로 종래에 배출가이드 유닛(150)에 비교하여 부품의 개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유지보수가 편리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 휠(240)이 하우징(231)과 커버(232)에 의해 감싸인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이 최대한 차단되고 이로써 이물질로 인한 와이어(w)의 주행에 방해되는 요인을 최소화하여 와이어(w)가 좀 더 원활하게 주행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휠 유닛(2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속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술한 스위치는 와이어의 통과를 검출하여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 또는 제트 유닛(238)을 작동시킴으로써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와이어(w)의 결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하부 암 유닛(17)의 가이드 파이프(172)를 외부 파이프(170)의 구멍을 통해 확인하면서 외부 파이프(172)에 곧바로 조립함으로써 분해/조립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와이어(w)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쪽에 제트 유닛(238)을 배치하고, 제트 유닛(238)은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작용함으로써 제트 유닛(238)에서 작용하는 가공액 분류압력은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높이고, 이로써 와이어(w)의 결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제트 유닛(238)을 와이어(w)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후행부분에는 단순한 가이드 커넥터(250)만을 배치하여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의 분해/조립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 휠(240)을 가이드 휠 유닛(230)의 내부에 배치하고 가이드 휠 유닛(230)은 스테이 블록(210)에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휠(240)을 유지 보수하고자 할 때에 가이드 휠 유닛(230)을 분해함으로써 가이드 휠(240)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써 가이드 휠(240)에 대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절연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216)을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의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세라믹 블록(216)이 파손되었을 때에 좀 더 쉽게 세라믹 블록(216)을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와이어(w)의 주행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쪽에 스페이서(218)를 배치함으로써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의 위치의 조정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 휠(240)의 한쪽에 버킷 로터(243)를 배치하고 버킷 로터(243)에 가공액 분류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가이드 휠(240)의 회전력을 향상시켜 와이어(w)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와이어(w)의 결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 워크 탱크 내에 설치되어 사용된 와이어를 배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와이어 방전가공기 11: 베드(bed)
12: 칼럼(Column) 13: 새들(saddle)
14: 테이블(table) 15: 테이블 이송계
16: 워크탱크 17: 하부 암(Arm) 유닛(unit)
18: 헤드(Head) 19: 상부 암(Arm) 유닛(unit)
20: 와이어 이송 유닛 21: 상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22: 하부 와이어 가이드 유닛 22a: 커넥터
31: V슬라이드 32: 헤드 유닛 이송계
33: U슬라이드 35: 와이어 배출 장치
36: 와이어 버킷 w: 와이어
100: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110: 스테이 블록
120: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 122: 제1 가동 조력 유닛
130: 가이드 휠 132: 휠 샤프트
140: 곡률 진행가이드 블록 142: 가동 조력 유닛
150: 배출가이드 유닛 151: 세라믹 가이드
152: 브래킷 153: 내측 가이드
154: 외측 가이드 155: 커넥터 브래킷
156: 너트 160: 하부 암 커버
162: 스페이서 170: 가이드 파이프
172: 외부 파이프 A1, A2: 제1, 제2 공간
200: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210: 스테이 블록
212: 베이스 214: 체결 홀
216: 세라믹 블록 220: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
222: 제1 가동 조력 유닛 230: 가이드 휠 유닛
231: 하우징 232: 커버
234, 235: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 236: 단자 홀
238: 제트 유닛 240: 가이드 휠
242: 샤프트 243: 버킷 로터
250: 가이드 커넥터

Claims (4)

  1.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체결 홀(214)이 형성된 스테이 블록(210);
    상기 스테이 블록(210)의 상측에 절연을 위해 설치되는 세라믹 블록(216);
    상기 세라믹 블록(216)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w)가 긴장되게 지지하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
    상기 스테이 블록(210)에 소정의 체결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0)에서 진출되는 상기 와이어(w)가 진입되어 상기 하부 암 유닛(17)쪽으로 상기 와이어(w)를 배출하는 가이드 휠 유닛(230);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휠(240);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에서 상기 와이어(w)가 배출되는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암 유닛(17)에 배치되는 외부 파이프(172)에 설치되는 가이드 커넥터(250);
    를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공액 분류 압력을 가이드 휠(240)에 작용하여 상기 와이어(w)의 주행 또는 상기 가이드 휠(240)의 회전작용을 조력하는 제1 가동 조력 유닛(234);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에 상기 와이어(w)가 진입하는 쪽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의 주행을 조력하는 제트 유닛(238);
    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240)의 한쪽에 배치되고 유체작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 휠(240)의 회전을 조력하는 버킷 로터(243); 및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공액 분류 압력을 상기 버킷 로터(243)에 작용하는 제2 가동 조력 유닛(235);
    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 유닛(230)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의 진입을 검출하여 와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2 가동 조력 유닛(234)(235) 또는 상기 제트 유닛(238)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20100074551A 2010-08-02 2010-08-02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173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51A KR101736255B1 (ko) 2010-08-02 2010-08-02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51A KR101736255B1 (ko) 2010-08-02 2010-08-02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44A true KR20120012544A (ko) 2012-02-10
KR101736255B1 KR101736255B1 (ko) 2017-05-16

Family

ID=458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551A KR101736255B1 (ko) 2010-08-02 2010-08-02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2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788A (ko) * 2012-01-26 2013-08-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이중 노즐 방식의 하부 가이드 어셈블리
CN103920951A (zh) * 2014-03-28 2014-07-16 佛山市大铁数控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线切割机导轮座及其导轮组
CN106735648A (zh) * 2016-12-02 2017-05-31 宁波市江北数控设备厂 导轮调整机构
CN109590558A (zh) * 2019-01-04 2019-04-09 广东工业大学 一种电火花线切割的导电块装置
KR20190062192A (ko) * 2017-11-28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CN112496482A (zh) * 2020-11-16 2021-03-16 靖江市东大电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线切割机聚乙烯导轮座及其导轮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79B1 (ko) 2020-08-12 2022-07-14 전창복 방전가공기의 가이드 걸림 확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227A (ja) 2000-02-10 2001-08-21 Sodick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の下側ワイヤ電極送り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788A (ko) * 2012-01-26 2013-08-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이중 노즐 방식의 하부 가이드 어셈블리
CN103920951A (zh) * 2014-03-28 2014-07-16 佛山市大铁数控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线切割机导轮座及其导轮组
CN106735648A (zh) * 2016-12-02 2017-05-31 宁波市江北数控设备厂 导轮调整机构
KR20190062192A (ko) * 2017-11-28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CN109590558A (zh) * 2019-01-04 2019-04-09 广东工业大学 一种电火花线切割的导电块装置
CN112496482A (zh) * 2020-11-16 2021-03-16 靖江市东大电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线切割机聚乙烯导轮座及其导轮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255B1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544A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가이드 장치
JPS5914428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巻上げ誘導装置
JP5039002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ワイヤガイド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の洗浄方法
US481457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mpletion of automatic wire setting
JPS6244319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のワイヤ自動結線装置
CN110211898B (zh) 一种具有除静电功能的稳定型芯片分拣设备
JPH0521692B2 (ko)
JPS629827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と装置
CN107457560B (zh) 一种导管座圈压装机
CN112518719A (zh) 一种便于维护的四轴机器人
US200300571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wire electrode in a spark-erosion machine
CN109365935B (zh) 一种电火花线切割机床及其紧丝机构
KR20110064758A (ko)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안내장치
KR20230120481A (ko) 차폐선 절단기
CN210985829U (zh) 一种用于固定滚筒电机电机线的固定装置
JPH0259221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CN211638608U (zh) 一种电机线路板焊接装置
KR102183253B1 (ko)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JP2009166240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自動供給装置
KR20070068707A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가이드 블록
CN110757729A (zh) 清理设备
CN109842004B (zh) 电机滑环在线修复装置及方法
CN109514044A (zh) 焊接部件自动穿丝机构
CN219106758U (zh) 一种用于电气柜接线的辅助定位装置
CN218904071U (zh) 一种用于遥控器的双面多层线路板加工的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