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36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363A
KR20120012363A KR1020100091569A KR20100091569A KR20120012363A KR 20120012363 A KR20120012363 A KR 20120012363A KR 1020100091569 A KR1020100091569 A KR 1020100091569A KR 20100091569 A KR20100091569 A KR 20100091569A KR 20120012363 A KR20120012363 A KR 2012001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water
water supply
outle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신경섭
백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363A/ko
Priority to US13/137,106 priority patent/US20120024021A1/en
Priority to EP11175787.8A priority patent/EP2412866A3/en
Priority to CN201110220337XA priority patent/CN102345224A/zh
Publication of KR2012001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2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with liquid-extract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149Back flow prevention by vacuum breaking [e.g., anti-siph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분기관이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정의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급수유닛;과 상기 급수유닛으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출되도록 상기 급수유닛에 마련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조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세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분기관이 마련되는 급수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회전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며, 회전조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세탁, 헹굼 및 탈수와 같은 일련의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기 내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글래스를 구비한다. 그런데, 세탁, 헹금 등의 과정에서 도어글래스에는 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나 세탁물에서 분리된 오염물이 묻을 수 있다. 이 세제나 오염물은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물을 회전조에서 꺼낼 때 세탁물과 접촉하여 세탁물을 다시 오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는 외부의 급수원에서 세탁물의 세탁, 헹굼 등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하여 세탁기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호스를 구비한다.
세탁기가 동작하는 동안 급수호스로 세제나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급수호스로 역류할 수 있다. 역류된 물이 외부의 급수원으로 유입되면 급수원이 오염되어 환경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분기관이 마련되는 급수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정의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급수유닛;과 상기 급수유닛으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출되도록 상기 급수유닛에 마련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본세탁시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예비세탁시 물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제2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2유입관에 고정되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은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관의 길이는 상기 제1유입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세탁수가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역류방지장치일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물의 유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상기 유출구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유출구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 직경을 갖는 구형의 공이고, 상기 공의 직경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물이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역류할 때 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유출구 중 하나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출관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은 유출관의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출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후면으로 물을 안내하는 도어세척호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도어세척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가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유로와, 상기 역류방지부에 배치되고 물이 상기 유입유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유로는 서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출유로와 제2유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출유로는 상기 제1유출유로에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유로는 상기 역류방지부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상기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세탁조;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스켓;과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가스켓에 형성되는 세척수분사구에 연결되는 도어세척호스;와 물이 상기 급수호스를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급수호스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및 유출관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역류차단부재와, 상기 유출관과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도어세척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세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세제용기;와 상기 세제용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고정되어 연통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노즐부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역류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역류차단부재;와 상기 유출구와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 역류방지장치 등의 급수유닛에 마련되는 분기관을 통하여 물을 도어글래스로 안내함으로써 도어글래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별도의 분기 구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품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고, 부품들 사이의 누수 포인트가 줄어들기 때문에 세탁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호스의 역류를 차단하여 세탁기의 동작 과정에서 세제나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외부의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역류로 인하여 급수원이 오염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유입관과 분기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와 세제공급장치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조(20)와, 세탁조(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를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4)가 형성되고, 투입구는 본체(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도어(12)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회전조(30) 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도어글래스(13)가 장착된다.
세탁조(20)의 전면부에는 본체(10)의 투입구(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21)가 형성된다. 본체(10)의 투입구(14)와 세탁조(20)의 개구(21)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투입구(14)와 개구(21)를 연결하는 가스켓(11)이 설치된다. 가스켓(11)은 본체(10) 및 세탁조(20)에 각각 고정된다. 가스켓(11)은 세탁조(20)의 진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조(20)의 상부에는 세탁조(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60)가 설치된다. 급수호스(60)의 일 측은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다. 급수호스(60)의 타 측은 세제공급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고, 세척조(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호스(64)을 통해 세탁조(20)에 연결된다. 급수호스(6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세탁조(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탁조(20)의 하부에는 세탁조(20) 내부의 물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70)와 배수관(72)이 설치된다.
회전조(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2)이 연결된다.
세탁조(20)의 후벽에는 구동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5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5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세탁조(20)를 사출 성형할 때 세탁조(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0)과 구동축(42) 사이에는 구동축(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52)이 설치된다.
회전조(30)과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2)이 배치된다. 구동축(42)의 일 단은 회전조(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2)의 타 단은 세탁조(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2)을 구동하면, 구동축(42)에 연결된 회전조(30)가 구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조(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회전조(30)의 내주면에는 회전조(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세탁 및 헹굼 행정 시에 모터(40)는 회전조(3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된다. 회전조(3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조(30)의 내부의 세탁물이 상승,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이 제거된다.
탈수 행정 시에 모터(40)가 회전조(30)를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된다.
외부의 급수원(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내부를 경유하고 내부에 유로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구조체를 구비하는 장치를 통칭하여 급수유닛으로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즉, 급수유닛은 입구와 출구를 갖고, 내부에 유로 및 유로와 구별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며, 입구와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급수호스(60)에 연결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세제공급장치(1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입구와 출구를 갖고,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와 사이폰장치, 세제용기,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유로와 구별되는 구조체를 구비하며, 입구는 급수호스(60)에 연결되므로 급수유닛이다. 반대로, 급수호스(60)에 장착될 수 있는 "Y"형 또는 "T"형 커넥터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 이외에 유로와 구별되는 별도의 구조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급수유닛이 아니다. 세제공급장치(100)외에 스팀발생장치(미도시), 역류방지장치(미도시), 급수밸브(62) 등이 급수유닛일 수 있다.
세탁 및 헹굼 행정 시에 도어글래스(13)에 세제 또는 세탁물에서 제거된 오염물이 묻을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된 후 회전조(30)에서 세탁물을 꺼낼 때 세탁물이 도어글래스(13)에 접촉하여 세제나 오염물 등에 의하여 다시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는 도어글래스(13)을 세척하기 위하여 급수원(미도시)의 물을 도어글래스(13)로 안내하는 도어세척호스(6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스켓(11)에는 도어글래스(13)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구(11a)가 형성되고 도어세척호스(61)는 분사구(11a)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세척호스(61)는 급수호스(60)에서 분기될 수 있고 급수호스(60)과 별도로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세척호스(61)를 급수호스(60)에서 분기하여 연결하거나 급수호스(60)과 별도로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에 연결하려면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다. 특히, "Y"형 또는 "T"형 커넥터와 같은 별도의 분기 부품을 급수호스(60)에 장착하고 도어세척호스(61)를 연결하면 생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품 간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는 도어세척호스(6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관(150)이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유입관과 분기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100)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용기(140)를 구비한다. 세제용기(140)는 트레이(141)의 전면(141a), 후면(141d) 및 측벽(141b, 141c)과 격벽(142a, 142b, 142c)으로 이루어진 구획벽에 의해 분리된 세제저장부(143, 144, 145, 146)를 구비한다.
하우징(101)은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과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를 덮는 덮개(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는 직방형의 측벽(122) 내부에 다수의 격벽을 이용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제1, 2, 3, 4급수부(123, 124, 125, 126)가 마련된다. 이 제1, 2, 3, 4급수부(123, 124, 125, 126)는 급수밸브(62a, 62b, 62c, 62d) 및 급수호스(60)와 각각 연결되는 유입구(129a, 129b, 129c, 129d)를 구비한다.
상부하우징(120)의 바닥에는 유입구(129a, 129b, 129c, 129d)를 통해 각 급수부(123, 124, 125, 126)로 유입된 물을 세제용기(140)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128)이 마련된다. 통공(128)은 각 급수부(123, 124, 125, 126)에 형성된 유로(123b,124b, 125b, 126b)를 따라 적절히 분리 배치된다.
하부하우징(130)은 상부하우징(120)의 통공(128)을 통과한 물이 도 1에 도시된 세탁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후방에 도 1에 도시된 연결호스(64)과 연결되는 유출구(131)를 구비하며, 물이 유출구(131) 측으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30)의 양 측면에는 세제용기(1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레일(132)이 마련된다.
세제용기(140)는 상부가 개방되는 트레이(141) 구조로 형성되며, 전면(141a), 후면(141d), 측벽(141b, 141c) 및 격벽(142a, 142b, 142c)으로 이루어진 구획벽을 통해 각각 본세탁세제저장부(143), 표백세제저장부(145), 및 헹굼세제저장부(146)로 구획된다. 예비 세탁시 사용되는 예비세탁세제저장부(144)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세탁세제저장부(143)는 공급되는 물이 제1급수부(123) 및 통공(128)을 경유하여 유출구(13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표백세제저장부(145)와 헹굼세제저장부(146)는 공급되는 물을 유출구(131)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폰장치(147)가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세탁세제저장부(143), 예비세탁세제저장부(144), 표백세제저장부(145), 및 헹굼세제저장부(146)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밸브(62) 및 급수호스(6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각 유입구(129a, 129b, 129c, 129d)를 통해 세제공급장치(100) 내부로 공급된다.
세제공급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세탁, 헹굼, 탈수 등의 동작에 따라 제1, 2, 3, 4급수부(123, 124, 125, 126)와 세제저장부(143, 144, 145, 146)를 통과하여 세제와 혼합된 후 유출구(131)와 연결호스(64)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세탁조(20)로 공급된다.
예비 세탁 과정에서는 급수밸브(62b)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제2급수부(124)에 배치된 통공(128)으로 유입된다. 물은 예비세탁세제저장부(144)의 바닥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되어 세탁조(20)로 공급된다.
본 세탁 과정에서는 급수밸브(62a, 62c)를 통해 급수된 물이 제1급수부(123)에 배치된 통공(128)으로 유입되어 본세탁세제저장부(143)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 후 세탁조(20)로 공급된다.
헹굼 과정은 두 번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헹굼에서는 밸브(62d)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제3급수부(125) 및 표백세제저장부(145)를 거치면서 표백제와 혼합된 후 세탁조(20)로 공급되며, 두 번째 헹굼에서는 급수밸브(62a, 62d)로부터 유입된 물이 제4급수부(126) 및 헹굼세제저장부(145)를 통과하면서 헹굼세제와 혼합된 후 세탁조(20)로 공급된다.
세제공급장치(100)은 각각의 유입구(129a, 129b, 129c, 129d)가 급수호스(60)에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2, 3, 4유입관(129a, 129b, 129c, 129d)을 구비한다.
분기관(150)은 도어세척호스(61)와 연결되기 때문에, 세제를 포함하지 않는 물이 분기관(150)으로 유입되도록 분기관(150)을 통하여 도어세척호스(61)로 유입되는 물은 세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기관(150)은 제1, 2, 3, 4유입관(129a, 129b, 129c, 129d)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기될 수 있다.
유입관(129a, 129b, 129c, 129d)의 측벽에는 분기구(151)가 형성되고, 분기관(150)은 분기구(151)와 연통되도록 유입관(129a, 129b, 129c, 129d)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분기관(150)은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입관(129a, 129b, 129c, 129d)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도어세척호스(61)룰 분기관(150)에 결합하는 조립 공정과 전체적인 공간 활용 등을 고려한 것이다.
각각의 급수호스(60)를 통하여 유입관(129a, 129b, 129c, 129d)으로 공급되는 물은 일부는 분기관(150)으로 분기되어 도어세척호스(61)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도 1에 도시된 세탁조(20)로 공급된다. 세탁물의 세탁 또는 헹굼을 할 때 보다 많은 물이 소요되기 때문에 세탁조(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도어세척호스(61)로 유입되는 물의 양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분기관(150)의 단면적은 유입관(129a, 129b, 129c, 129d)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분기관(150)은 제2급수호스(60b)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제2유입관(129b)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비 세탁 과정에서 제2유입관(129b)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관(150)을 통하여 도어세척호스(61)로 공급될 수 있다. 예비 세탁은 본 세탁에 앞서 이루어지고 세탁에서 탈수까지의 전체 과정에서 제2유입관(129b)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제1유입관(129a)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분기관(150)을 제2유입관(129b)에서 분기시킴으로써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탈수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제2급수밸브(62b)를 개방하여 도어세척호스(61)로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60b)의 측벽에 분기관(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급수관(60b)의 길이는 제1, 3, 4급수관(127a, 127c, 127d)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와 세제공급장치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2)는 본체(10)와, 세탁조(20)와, 급수관(60)과, 급수밸브(62)와, 세제공급장치(100)와, 도어세척호스(61) 등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들은 앞서 설명된 도 1에 도시된 구성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세제나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급수호스(60)를 역류하여 급수원(미도시)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탁기(1)는 급수호스(60)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장치(200)를 구비한다.
또한, 역류방지장치(200)는 입구와 출구를 갖고,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와 이동부재(242, 도 5 참조)와 같이 유로와 구별되는 구조체를 구비하며, 입구는 급수호스(60)에 연결되므로 급수유닛에 해당한다. 따라서, 역류방지장치(200)에는 도어세척호스(61)와 연결되도록 분기 구조가 마련된다.
역류방지장치(200)는 제1, 2, 3, 4급수관(60a, 60b, 60c, 60d)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류방지장치(200)가 제4급수호스(60d)에 장착되면 행굼에 사용되는 표백제 또는 헹굼제가 제4급수호스(60d)를 역류하여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류방지장치(200)는 어느 급수호스(60a, 60b, 60c, 60d)에 장착하더라도 급수원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세탁기를 사용할 때 본 세탁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역류방지장치(200)가 제1급수호스(60a)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방지장치(200)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는 역류방지장치(200) 내부에서 분기되어 도어세척호스(61)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세척호스(61)로 유입되는 물은 도어글래스(13)로 안내되어 도어글래스(13)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탈수 과정이 시작되기 전 또는 탈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역류방지장치(200)가 장착된 급수호스(60)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역류방지장치(200)가 제1급수호스(60a)에 장착된 것을 설명한다.
제1급수호스(60a)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1급수밸브(62a)를 개방할 수 있다. 제1급수호스(60a)로 공급되는 물은 역류방지장치(200)의 내부에서 분기되어 일부는 세제공급장치(100)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도어세척호스(61)을 통하여 도어글래스(13)로 안내된다. 세제공급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은 연결호스(64)을 통하여 세탁조(20)로 공급되고 도어글래스(13)로 안내되는 물은 도어글래스(13)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도어세척호스(61)로 분기되는 물의 양은 역류방지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체 물의 양의 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미도시)는 탈수 과정이 종료되기 적어도 5분 전에 제1급수호스(60a)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1급수밸브(62a)를 개방할 수 있다.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10초 정도이고, 이 시간 동안 제1급수호스(60a)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1ℓ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1ℓ의 물은 역류방지장치(200)의 내부에서 분기되어 600㎖의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통하여 세탁조(20)로 공급되고, 400㎖의 물은 도어세척호스(61)을 통하여 도어글래스(13)로 안내되어 도어글래스(13)의 세척에 사용된다. 이 때, 세탁조(20)로 공급되는 물은 탈수 과정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장치(200)는 유입구(261) 및 유출구(262)가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는 역류차단부재(240)를 구비한다.
케이스(210)는 역류방지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유입구(261)와 유출구(262)에 각각 연통되는 역류방지부(260)가 마련된다. 역류차단부재(240)는 역류방지부(260)에 배치된다.
케이스(210)는 유입구(261)가 형성되는 노즐부(220)와 유출구(262)가 형성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20) 및 커넥터부(230)의 내벽에 의하여 역류방지부(260)가 정의된다. 그리고, 노즐부(220)와 커넥터부(230)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어 케이스(210)를 형성할 수 있다. 나사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노즐부(220)와 커넥터부(230)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는 나사산(222;2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부(220)와 커넥터부(230)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부(220)와 커넥터부(230) 사이에 실링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환형의 패킹일 수 있다.
유입구(261)는 노즐부(2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61)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유입구(261)는 급수호스(60)에 연통되고, 급수호스(60)의 물은 유입구(261)를 통하여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다.
노즐부(220)는 유입구(261)와 연통되고, 일 측이 노즐부(220)에 고정되며, 노즐부(22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유입관(221)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관(221)은 노즐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된 후 노즐부(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급수호스(6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입관(221)의 일 측 단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유입관(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급수호스(60)를 유입관(22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63)가 장착될 수 있다.
유입구(261)와 유입관(221)에 의하여 유입유로(270)가 정의된다. 급수호스(6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유입유로(270)를 통과하여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다.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은 유출구(262)를 통하여 유출된다.
유출구(262)는 커넥터부(23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230)는 유출구(262)와 연통되고, 일 측이 커넥터부(230)에 고정되며, 타 측이 커넥터부(23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유출관(231)을 구비할 수 있다. 유출관(231)은 커넥터부(2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커넥터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유출구(262)와 유출관(231)에 의하여 유출유로(280)가 정의된다.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되는 물은 유출유로(280)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유출구(262)는 제1유출구(263)와 제2유출구(264)를 포함한다.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은 제1유출구(263)와 제2유출구(264)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유출구(263)로 유출되는 물은 급수호스(60)를 통하여 세탁조(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2유출구(264)는 분기구이다.
유출관(231)은 제1유출구(263)와 연통되고 커넥터부(23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1유출관(232)과, 제2유출구(264)와 연통되고 커넥터부(23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2유출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출구(262)와 제1유출관(232)에 의하여 제1유출유로(281)가 정의되고, 제2유출구(264)와 제2유출관(233)에 의하여 제2유출유로(282)가 정의된다. 이와 같이, 역류방지장치(200)는 유로의 분기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별도의 분기 부품을 급수호스(60)에 장착하는 것보다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별도의 분기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누수 포인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2유출관(233)이 분기관이다.
제1유출유로(281)와 제2유출유로(282)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은 제1유출구(263) 및 제2유출구(264)의 단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각 유로의 용도에 따라 제1유출구(263) 및 제2유출구(264)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제1유출유로(281)는 급수호스(60)에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호스(60)으로 공급되는 물은 유입유로(270)와 역류방지부(260)와 제1유출유로(281)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탁조(2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호스(60)는 제1유출관(232)의 일 측 단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1유출관(232)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호스(60)를 제1유출관(23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6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출구(264)는 제1유출관(232)의 측벽에 형성되고, 제2유출관(233)은 제1유출관(232)의 측벽에 고정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출관(232)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제2유출구(264)에서 분기되어 제2유출관(233)으로 유입된다.
제2유출유로(282)는 도어세척호스(61)에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호스(60)으로 공급되는 물은 유입유로(270)와 역류방지부(260)와 제2유출유로(282)를 차례로 통과하여 도어글래스(13)로 안내될 수 있다.
도어세척호스(61)는 제2유출관(233)의 일 측 단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2유출관(233)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세척호스(61)를 제2유출관(233)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61a)가 마련될 수 있다.
역류차단부재(240)는 역류방지부(260)에 배치되어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이 역류하여 유입유로(2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역류차단부재(240)는 역류방지부(26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이동부재(242)를 구비한다.
이동부재(242)는 역류방지부(260) 내부의 물의 유동에 따라 역류방지부(260)에 내부에서 이동함으로써 유입구(2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물이 유입유로(270)를 통하여 유입구(261)로 유입될 때 이동부재(242)는 유출구(262)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구(261)를 개방한다. 반대로, 물이 유출유로(280)를 통하여 유출구(262)로 유입될 때 이동부재는 유입구(261)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구(261)를 폐쇄한다.
유입구(26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242)는 유입구(26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 직경을 갖는 구형의 공일 수 있다. 공의 직경은 적어도 유입구(261)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역류차단부재(240)는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262)에서 유입구(26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이동부재(242)가 유입구(261)로 안내되도록 유입구(261)를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부(241)의 일 측은 유입구(26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고, 경사면부(241)의 타 측은 유입구(261)의 테두리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경사면부(241)는 노즐부(220)의 내벽과 커넥터부(23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입구(261)와 달리, 유출구(262)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동부재(242)는 역류방지부(260)에서 물의 유동 방향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물이 유입구(261)에서 유출구(262) 방향으로 유동할 때 이동부재(242)는 유출구(262)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역류차단부재(240)는 이동부재(242)가 유출구(262)를 폐쇄하지 않도록 이동부재(242)와 유출구(262)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부재(2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격부재(243)는 유출구(262)의 주위에 배치되고 역류방지부(26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42)는 이격부재(243)에 의하여 유출구(262)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로는 접근할 수 없다. 이격부재(243)는 노즐부(220)와 커넥터부(2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부재(243)는 돌출리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출구(263) 및 제2유출구(264)는 각각 직접 역류방지부(260)에 연통되고, 제2유출관(233)은 제1유출관(232)과 별개로 형성된다. 제1유출관(232) 및 제2유출관(233)은 소정 거리를 두고 커넥터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이격부재(243)는 제1유출관(232) 및 제2유출관(233) 주위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유로(270)를 통하여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되면 이동부재(242)는 물의 유동에 따라 유출구(262)를 향하여 이동된다. 유출구(262)의 주위에는 이격부재(243)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동부재(242)는 유출구(262)를 폐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은 이동부재(242)와 관계없이 유출유로(28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 때, 물은 제1유출유로(281)와 제2유출유로(282)로 분기된다. 제1유출유로(281)로 유입되는 물은 세탁조(20)로 공급되고, 제2유출유로(282)로 유입되는 물은 도1에 도시된 도어글래스(13)를 향하여 안내되어 도어글래스(13)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은 유출구(262)를 통하여 역류하여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261)를 향하여 유동하는 물과 함께 이동부재(242)가 유입구(261)로 이동된다. 이동부재(242)는 경사면부(241)를 따라서 이동하여 유입구(261)에 밀착되고, 역류방지부(260) 내부의 물은 유입유로(270)로 역류되지 않는다.
이동부재(242)가 유입구(261)를 폐쇄하면 유입구(261)를 중심으로 유입유로(270)와 역류방지부(260)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압력 차이에 의하여 이동부재(242)는 유입유로(270) 방향의 힘을 받고, 이 힘에 의하여 유입구(26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부(260)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262)를 통하여 유출되면 이동부재(242)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고 이동부재(242)는 유입구(261)를 개방한다.
60 : 급수호스 61 : 도어세척호스
100 : 세제공급장치 150 :분기관
200 : 역류방지장치 210 : 케이스
220 : 노즐부 230 : 커넥터부
240 : 역류차단부재 250 : 패킹
260 : 역류방지부 270 : 유입유로
280 : 유출유로

Claims (26)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호스;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정의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급수유닛;
    상기 급수유닛으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출되도록 상기 급수유닛에 마련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본세탁시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예비세탁시 물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돌출되는 제2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2유입관에 고정되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관의 길이는 상기 제1유입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세탁수가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역류방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물의 유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상기 유출구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유출구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차단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 직경을 갖는 구형의 공이고,
    상기 공의 직경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물이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역류할 때 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유출구 중 하나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출관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유출관의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출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후면으로 물을 안내하는 도어세척호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도어세척호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호스;
    상기 급수호스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가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유로와, 상기 역류방지부에 배치되고 물이 상기 유입유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유로는 서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출유로와 제2유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유로는 상기 제1유출유로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유로는 상기 역류방지부와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호스;
    상기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세탁조;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스켓;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
    상기 가스켓에 형성되는 세척수분사구에 연결되는 도어세척호스;
    물이 상기 급수호스를 역류하여 상기 급수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급수호스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및 유출관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역류차단부재와, 상기 유출관과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도어세척호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하우징;
    세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세제용기;
    상기 세제용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고정되어 연통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26. 유입구가 형성되는 노즐부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역류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역류차단부재;
    상기 유출구와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KR1020100091569A 2010-07-30 2010-09-17 세탁기 KR20120012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569A KR20120012363A (ko) 2010-07-30 2010-09-17 세탁기
US13/137,106 US20120024021A1 (en) 2010-07-30 2011-07-20 Washing machine
EP11175787.8A EP2412866A3 (en) 2010-07-30 2011-07-28 Washing machine
CN201110220337XA CN102345224A (zh) 2010-07-30 2011-08-01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68 2010-07-30
KR20100073968 2010-07-30
KR1020100091569A KR20120012363A (ko) 2010-07-30 2010-09-17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63A true KR20120012363A (ko) 2012-02-09

Family

ID=4464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569A KR20120012363A (ko) 2010-07-30 2010-09-17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24021A1 (ko)
EP (1) EP2412866A3 (ko)
KR (1) KR20120012363A (ko)
CN (1) CN102345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494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역류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455A (zh) * 2012-08-23 2014-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控制方法和装置
CN104775281B (zh) * 2014-01-13 2018-11-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供水单元及洗衣机
CN106133232B (zh) * 2014-03-31 2018-01-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洗衣机
KR20160014973A (ko) * 2014-07-30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637835B (zh) * 2017-02-20 2019-08-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投放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KR101932471B1 (ko) * 2017-07-19 2018-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929783B1 (ko) * 2017-07-19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994629B2 (ja) * 2017-09-04 2022-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WO2019049552A1 (ja) * 2017-09-05 2019-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10629466B (zh) * 2018-06-22 2021-12-0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WO2020004907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1974299A (zh) * 2020-07-03 2020-11-24 惠州市银嘉环保科技有限公司 水路投料系统、水路投料控制方法、洗涤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2953C2 (de) * 1976-11-22 1982-05-13 Ulrich A. 6057 Dietzenbach Stoff Einrichtung zum Absperren des Wasserauslaufs bei einem Defekt eines mit einer Haushaltsmaschine verbundenen Schlauchs
JPS60185589A (ja) * 1984-03-06 1985-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水装置
DE9410131U1 (de) * 1994-06-23 1995-06-01 Schmidt Albert Peter Wassereinsparungssystem = Wasserspeicher für Reinigungsgeräte
DE4447160A1 (de) * 1994-12-29 1996-07-04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Einspüleinrichtung
IT1289179B1 (it) * 1997-01-20 1998-09-29 Elettrobar S R L Valvola di ritenuta per fluidi
JP3536576B2 (ja) * 1997-03-27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20040093611A (ko) * 2003-04-30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50118894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50121052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763386B1 (ko) * 2005-02-25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60102926A (ko) * 2005-03-25 2006-09-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도어 세척구조
CN2781121Y (zh) * 2005-04-05 2006-05-17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衣机银离子发生器用排水阀
CN2841731Y (zh) * 2005-09-10 2006-11-29 海尔集团公司 滚筒洗衣机
DE102005055776B4 (de) * 2005-11-21 2009-04-09 Miele & Cie. Kg Stirnseitig 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oder Waschtrockner
KR101184457B1 (ko) * 2007-09-07 201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1521175B1 (ko) * 2008-04-22 2015-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268799Y (zh) * 2008-07-25 2009-07-08 顾年东 洗衣机用防逆流进水管组件
KR20100105074A (ko)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494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역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5224A (zh) 2012-02-08
EP2412866A2 (en) 2012-02-01
US20120024021A1 (en) 2012-02-02
EP2412866A3 (en)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363A (ko) 세탁기
KR1011863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2011002700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20043214A (ko) 세탁기
KR20080098952A (ko) 세탁기용 터브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2565746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세탁기
KR2006010061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60089300A (ko) 드럼세탁기
WO2011093048A1 (ja) 食器洗い機
KR20070027932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 장치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2488736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465498Y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1224390B1 (ko) 드럼세탁기
KR101052965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1095552B1 (ko) 세탁기
KR20130064847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 세탁기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50122360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60036750A (ko)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KR200156027Y1 (ko) 세탁기의 샤워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