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005A -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005A
KR20120012005A KR1020100073815A KR20100073815A KR20120012005A KR 20120012005 A KR20120012005 A KR 20120012005A KR 1020100073815 A KR1020100073815 A KR 1020100073815A KR 20100073815 A KR20100073815 A KR 20100073815A KR 20120012005 A KR20120012005 A KR 20120012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electrode
substrate
touch sens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훈
Original Assignee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10007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005A/ko
Priority to PCT/KR2011/004927 priority patent/WO2012015177A2/ko
Priority to TW100124324A priority patent/TW201207524A/zh
Publication of KR2012001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극 배선 구조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기판에 배치된 투명전극 패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복수의 배선 그룹으로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그룹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배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정전용량 터치 센서가 적용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선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Electrode line structure and Capacitive touch sensor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장비의 입력 장치로 터치패널(touch panel)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주로 평판 디스플레이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 함께 구성되어 사용되며, 터치패널의 특정 지점을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패널의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초음파 방식, 광(적외선)센서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에 의해 유발되는 전압 분포의 변화 또는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패널의 구동을 위해서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기판의 일면에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되고 그 둘레를 따라 투명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실버 전극 배선이 배치된다. 이 같은 실버 전극 배선의 배치를 위해 정전용량 터치패널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화면에 해당되는 부분 이외에 디자인층(또는 인쇄층)을 통해 가려지는 외곽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외곽 영역이 줄어들수록 정전용량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제품은 보다 소형화될 수 있고 외관의 구성에 있어서도 여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실버 전극 배선의 배치 폭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실버 전극 배선의 배치 방식을 살펴보면, 실버 전극 배선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나의 평면상에 단순히 열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면서, 단순한 열거로 인해 넓어지는 실버 전극 배선의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세 배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스크린 인쇄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최소 배선 폭은 약 60um이고, 포토리소그라피 공정과 그라비아옵셋 인쇄기술을 통하여도 약 30~40um 수준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전극 배선 폭을 감소시키는 방식만으로는 외곽 영역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 배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선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기판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복수의 배선 그룹으로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그룹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는 상기 복수의 배선 층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층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최상층의 상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이웃하는 배선 층끼리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전극 패턴,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복수의 배선 그룹으로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그룹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배선 층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층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최상층의 상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이웃하는 배선 층끼리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배선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전극 배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정전용량 터치 센서가 적용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배선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각 전극 배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여유가 생기므로, 각 전극 배선의 폭을 넓게 확보하여 배선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투명전극 패턴과 전극 배선을 포함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점쇄선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가 적용된 부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정전용량 센서 부착 방식 정전용량 터치 센서에 적용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센서에 적용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100)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의 기판(200)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1)을 포함한다. 즉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의 투명전극 패턴(300)에 대해 복수의 전극 배선(1)이 기판(200)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구조가 본 전극 배선 구조(100)이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 배선(1)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 그룹(11)(12)으로 할당되고, 복수의 배선 그룹(11)(12)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기판(1)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111)(121)을 형성한다. 즉 복수의 전극 배선(1)은 여러 개의 배선 그룹(11)(12)으로 나뉘어져서 기판(1) 상에 각 배선 그룹(11)(12) 별로 층(111)(121)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 전극 배선 구조(100)에 따른 적층 방식을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실버(silver) 전극 배선의 인쇄를 1회 실시한 뒤 후술할 절연 층(2)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해 실버 전극 배선을 인쇄함으로써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실버 전극 배선 및 절연 층(2)을 구현은 인쇄,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선 그룹과 이에 대응되는 배선 층의 수가 늘어날수록 한 층에 배치되는 전극 배선의 수는 줄어들 것이므로, 전극 배선의 배치 폭도 줄어들게 된다. 다만 배선 층이 너무 많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의 두께가 늘어남에 따라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여건을 감안하여 복수의 전극 배선(1)의 몇 개의 배선 층에 나누어 배치할 것인지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극 배선(1)이 한 평면상에 모두 배치되도록 하지 않고, 층마다 나누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전극 배선(1)이 차지하는 공간(폭)을 최소화하여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가 적용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소 배선 폭이 포토리스그라피 공정보다 큰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소 배선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수준의 최소 배선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미세 배선 기술에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미세 배선 기술만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배선 영역의 폭보다 더 좁은 배선 영역의 폭을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전극 배선(1)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면, 복수의 전극 배선(1) 각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여유가 생기므로, 각 전극 배선의 폭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배선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배선 그룹(11)(12)은 제1 배선 그룹(11)과 제2 배선 그룹(12)의 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선 층(111)(121)은 제1 배선 그룹(11)과 대응되는 제1 배선 층(111)과 제2 배선 그룹(12)과 대응되고 제1 배선 층(1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배선 층(121)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의 배선 그룹(11)(12)이 제1 배선 그룹(11)과 제2 배선 그룹(12)의 둘로 구성된 경우로 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극 배선(1)은 제1 배선 그룹(11)과 제2 배선 그룹(12)에 동일하게 할당되거나, 제2 배선 그룹(12)보다 제1 배선 그룹(11)에 많이 할당될 수 있다. 상층보다는 하층에 전극 배선을 많이 배치하고자 한 것인데, 반드시 이렇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배선 그룹을 둘(11)(12)로만 나누더라도, 종래의 한 평면상에 복수의 전극 배선(1)을 모두 배치하는 경우보다 전극 배선의 배치 폭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 수 있고, 전극 배선의 배치 높이도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버 전극 배선의 피치(pitch)가 200um(배선 폭 120um, 배선 간격 80um)이고 실버 전극 배선의 수가 10개라고 하면, 이를 종래와 같이 단순히 나란하게 배치하는 경우 배선 영역이 차지하는 폭은 1920um(120um x 10 + 80um x 9)가 된다. 하지만 본 전극 배선 구조(100)를 따라 배선 수가 10개 인 것을 5개 씩 둘로 분할하여 두 개의 배선 층으로 적층시키면, 920um(120um x 5 + 80um x 4)로 배선 영역이 차지하는 폭을 종래에 비하여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배선 그룹이 둘(11)(12)인 경우만이 바람직한 실시예인 것은 아니며, 배선 그룹 및 배선 층이 늘어날수록 배선 영역이 차지하는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가 사용되는 제품의 특성이나 적용되는 미세 배선 기술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배선 그룹의 수, 즉 복수의 전극 배선(1)이 적층되는 층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 배선(1)은 도 3 및 도 4의 (a)와 (b)의 실시예와 같이 각 배선 층마다 평면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의 (c)와 (d)의 실시예와 같이 각 배선 층마다 평면상에서 엇갈리게 놓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전극 배선(1)의 각 배선 층마다의 배치 구조는 복수의 전극 배선(1)의 폭과 복수의 전극 배선(1) 간의 간격에 따라서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의 (a)와 (b)처럼 복수의 전극 배선(1) 자체의 폭은 넓고 복수의 전극 배선(1) 사이의 간격은 좁은 경우에는, 각 배선 층마다 엇갈리게 배치하더라도 평면상에서 보면 서로 오버랩(overlap)되기(겹치기) 쉬우므로 각 배선 층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평면상에서 나타낸 도면이 도 1 및 도 2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배선 그룹(11)과 제2 배선 그룹(12)은 복수의 전극 배선(1) 중 하나가 투명전극 패턴(300)과 연결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평면상에서 서로 오버랩 되어,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배선 층(111)에 배치된 제1 배선 그룹(11)은 제2 배선 층(121)에 배치된 제2 배선 그룹(11)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반대로, 도 3 및 도 4의 (c)와 (d)처럼 복수의 전극 배선(1) 사이의 간격은 넓고 복수의 전극 배선(1) 자체의 폭은 좁은 경우에는, 각 배선 층마다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평면상에서 보아도 서로 오버랩 되지 않아 복수의 전극 배선(1) 간의 거리가 더욱 멀어질 수 있어 절연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전극 배선(1)은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이웃하는 배선 층끼리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전극 배선의 폭과 각 전극 배선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폭이 간격보다 넓을 수도 있고 폭이 간격보다 좁을 수도 있는데, 폭이 넓은 경우에는 각 배선 층마다의 전극 배선을 평면상에서 오버랩 되도록 적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폭이 좁은 경우에는 각 배선 층마다의 전극 배선을 평면상에서 엇갈리게 적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배선 구조(100)는 복수의 배선 층(111)(121)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절연 층(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 배선(1)은 전기적으로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각 배선 층의 사이마다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절연 층(2)을 둘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의 (a)와 (c)를 참조하면, 제1 배선 층(111)과 제2 배선 층(121)의 사이에는 절연 층(2)이 형성되어 각 층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절연 층(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연 층(2)의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각 배선 층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배선 층(111)과 제2 배선 층(121)의 사이에 있는 절연 층(2)은 제1 배선 층(111)에 배치된 전극 배선을 완전히 덮고 상면은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되어 있는 절연 층(2)의 상면에 제2 배선 층(121)의 전극 배선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절연 층(2)의 상면을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평탄하게 하지 않고, 각 배선 층 사이의 전극 배선끼리 절연이 가능한 정도로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복수의 전극 배선(1)의 폭이나 복수의 전극 배선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절연 층(2)은 각 배선 층의 전극 배선끼리 절연될 수 있는 정도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극 배선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에 전체에 걸쳐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 층(2)은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최상층(121)의 상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 층(2) 위에 최종적으로 적층된 배선 층의 경우에는 그 상측에 절연 층(2)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의 (a)와 (c)의 경우에는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최상층인 제2 배선 층(121)의 상측에는 절연 층(2)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도 3 및 도 4의 (b)와 (d)의 경우에는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최상층인 제2 배선 층(121)의 상측에도 절연 층(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동일한 배선 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배선 층 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차단(절연)되어야 하지만, 같은 배선 층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배선 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차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배선 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앞서 살핀 절연 층(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최상층의 상측에도 절연 층(2)을 둘 것인지의 여부나 동일한 배선 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절연 층(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것인지의 여부는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지만, 특히 절연 층(2)이 전극 배선을 덮어 감싸게 되면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극의 산화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선 층(111)(121) 중 동일한 배선 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은 투명전극 패턴(300)과 가까운 전극 배선부터 순차적으로 투명전극 패턴(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배선 그룹(11)에 포함되는 전극 배선 중 가장 좌측에 있는 전극 배선이 투명전극 패턴(300)에 가장 가까우므로 가장 먼저 투명전극 패턴(30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배선 그룹(12)에 포함되는 전극 배선 중 가장 좌측에 있는 전극 배선이 제2 배선 그룹(12) 내에서는 투명전극 패턴(300)에 가장 가까우므로 제2 배선 그룹(12) 내에서는 가장 먼저 투명전극 패턴(300)에 연결된다. 만약 투명전극 패턴(300)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전극 배선부터 투명전극 패턴(300)에 연결하게 되면, 이보다 투명전극 패턴(300)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전극 배선들을 지나가야 하므로 절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투명전극 패턴(300)과 가까운 전극 배선부터 투명전극 패턴(300)에 먼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전극 배선끼리 교차되지 않도록 하여 절연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전극 배선 구조(1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에 관하여 살핀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는 본 전극 배선 구조(100)가 적용된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에 관한 도면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는 기판(200), 기판(200)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전극 패턴(300), 그리고 투명전극 패턴(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1)을 포함하되, 복수의 전극 배선(1)은 복수의 배선 그룹(11)(12)으로 할당되고, 복수의 배선 그룹(11)(12)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기판(2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111)(121)을 형성한다. 이러한 복수의 배선 층(111)(121)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극 배선(1)의 구조는 앞서 살핀 본 전극 배선 구조(100)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므로 이를 참조한다.
여기서, 기판(200)은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센서 기판일 수 있다. 다만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경우라면 기판(200)은 윈도우 기판이 될 수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의 기판(200)은 정전용량 센서 기판일 수 있고, 도 4의 실시예에서의 기판(200)은 윈도우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 기판인 기판(200)의 상면에 투명전극 패턴(300) 및 복수의 전극 배선(1)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점착제(투명접착제) 등을 통해 윈도우 기판이 결합됨으로써 정전용량 터치 패널이 완성되므로, 이 경우에는 본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보호 기판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윈도우 기판인 기판(200)의 하면에 투명전극 패턴(300) 및 복수의 전극 배선(1)이 형성되므로, 그 아래에 이러한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기판이 투명점착제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결합되어야 본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정전용량 터치 센서(1000)는 기판(200)의 아래에 배치되는 보호 기판, 그리고 투명전극 패턴(300)과 보호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보호 기판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인쇄 또는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보호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참고로, 기판(200)이 윈도우 기판인 도 4에서 도면 부호 210은 윈도우 기판의 외곽 영역에 인쇄되는 디자인층(210)(또는 윈도우 인쇄부)을 나타내는 도면 부호일 수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층(210)은 윈도우 기판인 기판(2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보며, 윈도우 기판인 기판(200)의 하면의 외곽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사각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자인층(21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전도성의 불투명 재질을 실크 스크린 등의 방법으로 인쇄하거나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층(210)은 해당 제품의 브랜드가 인쇄되는 영역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 배선(1) 등을 숨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윈도우 인쇄층 또는 장식층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투명전극 패턴(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ume tin oxide), 인듐아연산화물(IZO, indume zinc oxide), 아연산화물(ZnO) 등을 기판(200) 상에 스퍼터링하거나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300)은 기판(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투명전극 패턴(300)이 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이고, 도 4의 실시예는 투명전극 패턴(300)이 기판(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참고로, 투명전극 패턴(30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가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의 형태 및 연장되는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전극 배선 구조
1. 복수의 전극 배선
11. 제1 배선 그룹 111. 제1 배선 층
12. 제2 배선 그룹 121. 제2 배선 층
2. 절연층
200. 기판 210. 디자인층
300. 투명전극 패턴 1000. 정전용량 터치 센서

Claims (8)

  1.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기판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복수의 배선 그룹으로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그룹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을 형성하는 전극 배선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배선 층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하는 전극 배선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절연 층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최상층의 상측에도 형성되는 전극 배선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이웃하는 배선 층끼리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전극 배선 구조.
  5.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전극 패턴,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복수의 배선 그룹으로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그룹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배선 층을 형성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배선 층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7. 제6항에서,
    상기 절연 층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최상층의 상측에도 형성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8.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선 층 중 이웃하는 배선 층끼리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KR1020100073815A 2010-07-30 2010-07-30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KR20120012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815A KR20120012005A (ko) 2010-07-30 2010-07-30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PCT/KR2011/004927 WO2012015177A2 (ko) 2010-07-30 2011-07-06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TW100124324A TW201207524A (en) 2010-07-30 2011-07-08 Electrode line structure and capacitive touch senso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815A KR20120012005A (ko) 2010-07-30 2010-07-30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005A true KR20120012005A (ko) 2012-02-09

Family

ID=4553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815A KR20120012005A (ko) 2010-07-30 2010-07-30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012005A (ko)
TW (1) TW201207524A (ko)
WO (1) WO2012015177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43B1 (ko) * 2013-04-24 2015-01-02 일진디스플레이(주)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EP2722740A3 (en) * 2012-10-19 2015-02-25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WO2015046756A1 (ko) * 2013-09-27 2015-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5297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6901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52479A1 (en) * 2014-03-31 2015-10-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for improving cross structure of sensing pattern
US9335881B2 (en) 2012-07-30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WO2022169316A1 (ko) * 2021-02-08 2022-08-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센서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US11847274B2 (en) 2017-06-01 2023-12-19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96A1 (ko) * 2012-11-08 2014-05-15 (주)인터플렉스 보호층을 갖는 패드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
KR102213461B1 (ko) * 2013-02-15 2021-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수행을 위한 전력 제어 및 다중화 방법 및 장치
CN103208326B (zh) * 2013-03-30 2014-12-17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CN103219069B (zh) * 2013-03-30 2015-04-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CN103198885B (zh) * 2013-03-30 2014-12-17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US9089061B2 (en) 2013-03-30 2015-07-21 Shenzhen O-Film Tech Co., Ltd.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touch screen including the same
US9538654B2 (en) 2013-03-30 2017-01-03 Shenzhen O-Film Tech Co., Ltd.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screen including the same
US9639215B2 (en) 2013-03-30 2017-05-02 Shenzhen O-Film Tech Co., Ltd. Touch screen
CN103164082B (zh) * 2013-03-30 2015-07-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
CN103295671B (zh) * 2013-05-30 2016-08-10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
KR102142855B1 (ko) 2013-08-29 2020-08-31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0384A1 (ko) * 2013-08-29 2015-03-05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3643A1 (ko) * 2013-12-18 2015-06-25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CN105425996B (zh) * 2015-11-11 2018-04-24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边框线路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898A (ja) * 2002-02-20 2003-08-29 Fujikura Ltd タッチパネル
GB0519170D0 (en) * 2005-09-20 2005-10-26 Philipp Harald Capacitive touch sensor
KR20080096977A (ko) * 2007-04-30 2008-11-04 안영수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712B1 (ko) * 2008-11-15 2012-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력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881B2 (en) 2012-07-30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9240297B2 (en) 2012-10-19 2016-01-19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EP2722740A3 (en) * 2012-10-19 2015-02-25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KR101478043B1 (ko) * 2013-04-24 2015-01-02 일진디스플레이(주)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5297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46756A1 (ko) * 2013-09-27 2015-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874410A (zh) * 2013-09-27 2016-08-17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和包含该触摸窗的显示设备
US10437362B2 (en) 2013-09-27 2019-10-08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036901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52479A1 (en) * 2014-03-31 2015-10-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for improving cross structure of sensing pattern
US10055077B2 (en) 2014-03-31 2018-08-21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for improving cross structure of sensing pattern
US11847274B2 (en) 2017-06-01 2023-12-19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WO2022169316A1 (ko) * 2021-02-08 2022-08-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센서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5177A3 (ko) 2012-03-29
WO2012015177A2 (ko) 2012-02-02
TW201207524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005A (ko)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TWI585659B (zh) 電容式觸控面板及降低電容式觸控面板的金屬導體可見度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
CN104635981B (zh) 触控模组及具有该触控模组的触控显示装置
US8982290B2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TWI364579B (ko)
WO2020029372A1 (zh) 一种触摸屏及oled显示面板
US20150085205A1 (en) Touch panel
WO2016039047A1 (ja) 積層構造体、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201145B (zh)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6919290A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2243544A (zh) 触控屏、触控屏的制造方法及触控显示装置
KR10219460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201743179A (zh) 觸控螢幕面板
KR101202552B1 (ko)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CN106155388A (zh) 触控面板以及触控显示面板
TW201407436A (zh) 觸控感測結構及觸控裝置
US20110147192A1 (en)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CN103677406B (zh) 触控面板与触控显示面板
US10496232B2 (en) Capacitive touch panel
US11640213B2 (en) Touch sensing device,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motherboard
CN109032407A (zh) 柔性触控基板和触控装置
KR101191949B1 (ko)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패널
WO2016002461A1 (ja) 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07143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83315A1 (ja) 静電容量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