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589A - 수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589A
KR20120011589A KR1020100073507A KR20100073507A KR20120011589A KR 20120011589 A KR20120011589 A KR 20120011589A KR 1020100073507 A KR1020100073507 A KR 1020100073507A KR 20100073507 A KR20100073507 A KR 20100073507A KR 20120011589 A KR20120011589 A KR 2012001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moisture
tou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940B1 (ko
Inventor
최명휴
권영성
양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7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9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21Arrangements for detecting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보일러 튜브의 파공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부재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 내의 수분을 감지토록 제공된 수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는 적어도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통과되는 관부재; 관부재 내에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토록 제공된 기체의 수분 분리부; 및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연결되어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의해 기체에서 분리된 수분을 감지토록 제공된 수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분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본 발명은 수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보일러 튜브의 파공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부재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 내의 수분을 감지토록 제공된 수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CDQ(COKE DRY QUENCHING)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Q 설비는 적열 코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적열 코크를 냉각시키는 CDQ 챔버(10), CDQ 챔버(10)에 연결된 보일러(20), 보일러(20)와 CDQ 챔버(10) 사이에 위치된 순환팬(30), 순환팬(30)과 CDQ 챔버(10) 사이에 위치된 이코노마이저(40)를 포함한다. CDQ 챔버(10), 보일러(20), 순환팬(30) 및 이코노마이저(40)는 순환 기체가 유동하는 순환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순환기체는 화살표 방향(F)을 따라 CDQ 설비를 순환한다. 순환팬(30)은 보일러(2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순환기체를 흡인한 후, CDQ 챔버(10)를 향해 송풍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코노마이저(40)는 연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보일러(20)와 CDQ 챔버(10) 사이에 설치되어, 폐기(廢氣)의 열을 이용하여 급수(給水)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CDQ 챔버(10)는 980℃ 내지 1050℃의 적열 코크를 수용하고, 적열 코크는 CDQ 챔버(10)로 유입된 순환 기체에 의해 200℃이하로 냉각된다. 순환기체는 고온의 코크를 냉각시키는 기체로서, 질소가 대략 75.6% 정도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순환 기체는 고온 상태가 되고, 고온의 순환기체는 CDQ 챔버(10)와 보일러(20)를 연결하는 순환덕트를 통해 보일러(20)로 유입된다. 보일러(20)로 유입된 고온의 순환 기체는 보일러튜브 내의 물과 열교환되어 대략 160℃ 내지 180℃로 냉각된다. 다만, 반복적인 순환과정을 통해, 고온의 순환기체에는 탄소 성분이 다량 함유된 더스트가 발생된다. 이러한 더스트로 인해 보일러튜브에 마모가 일어나게 되고, 특정부위에서 마모가 장기간 진행됨에 따라 보일러튜브의 파공이 일어난다. 이는, 보일러(2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것이 아니라, 순환기체가 난류식으로 유동하기 때문이다.
보일러튜브가 파공되면, 보일러튜브를 유동하는 스팀이 보일러튜브로부터 누설된다. 이때, 보일러튜브를 나온 스팀의 양이 매우 소량이라도, CDQ 챔버(10)로 유입되어 가열되고, CDQ 챔버(10) 내의 코크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소 가스를 생성하면서 CDQ 챔버(10) 내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CDQ 챔버 커버(11)를 들어올리면서 엄청난 화염이 CDQ 설비를 한순간에 파괴하여 인적 및/또는 물적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CDQ 설비에는 순환기체의 성분을 분석하는 순환기체분석계가 설치되어 있지만, 미량의 수분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수치가 잡히지 않아 CDQ 설비 운전자의 판단이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순환기체 내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이코노마이저(40) 내에 센서(41)를 설치하였다. 센서(41)를 이코노마이저(40)에 설치하는 이유는 순환기체의 압력이 이코노마이저(40)에서 양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순환팬(30) 압력을 기준으로 CDQ 챔버(10) 및 보일러(20) 내의 순환기체의 압력은 음압인 반면, 보일러(2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순환기체는 순환팬(30)을 거치면서 양압으로 전환되고, 순환팬(30)에 인접하게 위치된 이코노마이저(40)에서 완전히 양압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코노마이저(40) 내에 설치된 센서(41)는 순환기체 내의 더스트로 인해 단시간에 손상되어, 센서(41)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순환기체 내의 더스트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순환기체로부터 따로 수분을 분리하여 수분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는 적어도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통과되는 관부재; 관부재 내에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토록 제공된 기체의 수분 분리부; 및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연결되어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의해 기체에서 분리된 수분을 감지토록 제공된 수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의 수분 분리부는 기체의 압력이 저감토록 관부재 내부에 제공된 압력저감부재; 압력저감부재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가 관부재를 통과하는 중에 충돌토록 관부재 내부에 제공된 충돌분리부재; 및 기체가 충돌분리부재에 충돌되어 생성된 수분을 수용토록, 관부재에 제공된 수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력저감부재는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오리피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돌분리부재는 관부재를 통과하는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토록 관부재 내부에서 상호 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 유닛은 관부재와 연통되도록 관부재에 연결되어 충돌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수용하는 수조에서, 수분 위를 떠다니도록 제공된 부표; 및 수조에 연결되어, 수조 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부는 수조 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 고정실린더; 고정실린더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부표와의 접촉시 상향 이동되는 제 1 터치부; 고정실린더에 설치되되, 제 1 터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 1 터치부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공된 제 2 터치부; 및 제 2 터치부에 연결되어 제 1 터치부와 제 2 터치부의 접촉시 작동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터치센서에는 경조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경조등은 터치센서의 작동시 불이 켜져 터치센서의 작동을 외부에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순환기체 내의 더스트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순환기체로부터 따로 수분을 분리하여 수분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Q 챔버 내부로 수소 폭발이 일어날 정도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CDQ 챔버의 수소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CDQ 설비의 보일러 튜브의 파공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여 CDQ 설비를 유지 보수함으로써, CDQ 챔버 폭발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CDQ 설비를 순환하는 기체의 성분을 분석하는 센서가 이코노마이저에 설치된 CDQ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가 이코노마이저에 설치된 CDQ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가 이코노마이저에 설치된 CDQ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CDQ 설비를 순환하는 순환기체의 압력이 음압에서 양압으로 완전히 변환되는 이코노마이저(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DQ 설비는 적열 코크를 냉각시키는 CDQ 챔버(10), CDQ 챔버(10)에 연결된 보일러(20), CDQ 챔버(10)와 보일러(20) 사이에 연결되어 보일러(20)에서 냉각된 순환기체를 상기 CDQ 챔버(10)로 공급하도록 송풍하는 순환팬(30), 및 순환팬(30)과 CDQ 챔버(10) 사이에 위치된 이코노마이저(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DQ 챔버(10)를 통과하면서 적열 코크를 냉각시키는 순환기체는 화살표 방향(F)을 따라 CDQ 챔버(10), 보일러(20), 순환팬(30) 및 이코노마이저(4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다시 CDQ 챔버(10)로 유입되어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CDQ 설비를 순환하는 순환기체는 다량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CDQ 설비를 순환하는 기체는 이코노마이저(40)에서 완전히 양압이 된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튜브에서 누설된 수분은 순환기체에 포함되어 CDQ 챔버(10) 내로 유입되어, CDQ 챔버 커버(11)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된 CDQ 챔버(10) 내의 코크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소 가스를 생성한다. CDQ 챔버(10) 내의 수소의 성분이 대략 4% 내지 75% 정도에 이르면, CDQ 챔버(10) 내부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나고, 폭발의 여파로 CDQ 챔버 커버(11)가 들어 올려지면서 화염이 외부로 토출되어 CDQ 설비를 파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이러한 상황에 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 튜브의 파공시 누설된 수분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관부재(110), 기체의 수분 분리부(120), 및 수분 감지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부재(110)에는 관부재밸브(111)가 연결되고, 관부재(110)는 관부재밸브(111)의 개방시 이코노마이저(40)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부재(110)는 내부에 기체의 수분 분리부(120)가 설치되고, 기체의 수분 분리부(120)를 통과한 기체는 관부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코노마이저(40)에 연결되지 않은 관부재(110)의 타단은 외부와 연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수분 분리부(120)는 관부재(110) 상에 제공되어, 관부재(110)를 통과하는 수분을 함유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수분 분리부(120)는 압력저감부재(130), 충돌분리부재(140) 및 수용 유닛(150)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력저감부재(130)는 관부재(110)의 내면에 고정되고, 관부재(1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저감부재(130)는 수분을 함유한 기체가 통과하는 유동면적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력저감부재(130)로는 오리피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저감부재(130)는 유동면적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관부재(110)를 통과하는 기체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분을 함유한 기체는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하면서 응축이 되어, 충돌분리부재(140)와의 충돌시 수분을 함유한 기체로부터의 수분이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분리부재(140)는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와 충돌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돌분리부재(140)는 수분을 함유한 기체와의 충돌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호 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는 관부재(110)가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분을 함유한 기체는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를 사형(蛇形)으로 통과하면서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와 충돌되어, 수분이 분리된다. 그리고, 충돌분리부재(140)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관부재(110) 내부에 설치된 수용 유닛(150)의 수조(151)로 흘러들어가 수용되고, 수분이 제거된 기체는 관부재(11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 유닛(150)은 수분을 수용하는 수조(151), 수조(151) 내에 수용된 수분 위를 떠다니게 제공된 부표(152), 및 수조(151) 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15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조(151)는 압력저감부재(130)와 충돌분리부재(140) 사이에 위치되고, 관부재(1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충돌분리부재(140)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드레인관(153)은 수조(151) 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수조(151)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관(153)에는 드레인밸브(154)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드레인밸브(154)를 개폐시킬 수 있고, 또는 드레인밸브(154)에 연결된 드레인밸브(154) 개폐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밸브(154)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151)에는 수분 감지부(160)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분 감지부(160)는 수조(151) 내의 수분의 수위를 감지하여 CDQ 설비를 순환하는 기체 내에 수분이 함유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분 감지부(160)는 고정실린더(161), 제 1 터치부(162), 제 2 터치부(164) 및 터치센서(16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실린더(161)는 수조(151)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실린더(161)에는 후술한 제 1 터치부(162)의 터치바(162a)가 승강 가능토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터치부(162)는 고정실린더(161)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터치바(162a) 및 탄성수단(16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바(162a)는 일단이 수조(151) 내에 위치되고 타단이 고정실린더(16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실린더(161)의 내부 공간을 승강가능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터치바(162a)의 타단은 제 2 터치부(164)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치바(162a)에는 탄성수단(162b)이 연결되고, 탄성수단(162b)은 고정실린더(161)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수단(162b)으로는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터치부(164)는 고정실린더(161)에 설치되되, 일단이 터치바(162a)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터치바(162a)의 상향 이동시 터치바(162a)와 접촉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터치부(164)의 타단은 터치센서(165)와 연결되어, 터치바(162a)와의 접촉시 터치센서(16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터치센서(165)는 경조등(16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경조등(166)은 터치센서(165)의 작동시 불이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수분을 함유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과정 및 분리된 수분이 수분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는 수분 감지부(16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관부재(110) 내부를 유동하는 수분을 함유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재밸브(111)의 개방시, 관부재(110) 내부와 이코노마이저(40)는 연통되어, 이코노마이저(40)를 통과하는 기체가 관부재(11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이코노마이저(40)로부터 유입된 기체에는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경우가 정상 상태이다. 그러나, CDQ 설비 중 보일러 튜브가 파공되어 파공된 보일러 튜브에서 스팀이 누설된 경우에, 이코노마이저(40)로부터 유입된 기체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인 수분 감지 장치는 순환 기체 내에 수분이 함유된 경우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CDQ 챔버(10) 내부로 유입되면 CDQ 챔버(10)에서 수소 폭발이 발생할 환경이 마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코노마이저(40)를 통과하는 기체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CDQ 설비의 정상운전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관부재(110) 내로 유입된 기체는 일차적으로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하는데, 압력저감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재(1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기체가 통과되는 유동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한 후의 기체의 압력은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하기 전의 압력보다 저감된다. 기체는 압력저감부재(130)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저감되면서 응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체는 화살표 방향(F)을 따라 충돌분리부재(140)의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관부재(110)를 통과한다. 기체가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기체 내의 수분은 기체로부터 분리되어 압력저감부재(130)와 충돌분리부재(140) 사이에 위치된 수조(151)로 유입된다. 반면, 수분이 제거된 기체는 관부재(11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수조(151)로 유입된 수분은 방울 방울이 모여,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된다. 수조(151) 내의 수분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터치바(162a)와 접촉되도록 수조(151) 내의 위치된 부표(152)가 터치바(162a)와 접촉되고, 일정 수위를 넘으면 터치바(162a)가 상향 이동되도록 터치바(162a)를 밀어 올린다.
터치바(162a)가 상향 이동되면, 터치바(162a)는 터치바(162a)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터치부(164)의 일단과 접촉된다. 제 2 터치부(164)는 터치바(162a)와의 접촉시 터치센서(165)를 작동시키고, 터치센서(165)는 경조등(166)을 작동시킨다. 경조등(166)에 불이 들어오는 것을 통해, 작업자는 터치센서(165)가 작동됨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수조(151) 내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밸브(154)를 개방하면, 수조(151) 내의 수분은 드레인관(1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수조(151) 내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부표(152)의 위치는 하향 이동되어 터치바(162a)와 접촉되지 않는다. 터치바(162a)는 부표(152)와 접촉되지 않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이때, 터치바(162a)는 제 2 터치부(164)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제 2 터치부(164)가 터치바(162a)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터치센서(165)는 작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터치센서(1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조등(166) 또한 점멸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165)는 수조(151) 내에 수분이 존재함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경조등(166)은 점멸을 통해 터치센서(165)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 알린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수분 감지 장치 110: 관부재
120: 기체의 수분 분리부 130: 압력저감부재
140: 충돌분리부재 150: 수용 유닛
160: 수분 감지부

Claims (7)

  1. 적어도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통과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 내에서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토록 제공된 기체의 수분 분리부; 및
    상기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의 수분 분리부에 의해 기체에서 분리된 수분을 감지토록 제공된 수분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수분 분리부는
    기체의 압력이 저감토록 상기 관부재 내부에 제공된 압력저감부재;
    상기 압력저감부재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가 상기 관부재를 통과하는 중에 충돌토록 상기 관부재 내부에 제공된 충돌분리부재; 및
    기체가 상기 충돌분리부재에 충돌되어 생성된 수분을 수용토록, 상기 관부재에 제공된 수용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저감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오리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분리부재는 상기 관부재를 통과하는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토록 상기 관부재 내부에서 상호 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관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충돌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수용하는 수조에서, 수분 위를 떠다니도록 제공된 부표; 및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 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감지부는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부표와의 접촉시 상향 이동되는 제 1 터치부;
    상기 고정실린더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터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터치부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공된 제 2 터치부; 및
    상기 제 2 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터치부와 상기 제 2 터치부의 접촉시 작동되는 터치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에는 경조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조등은 상기 터치센서의 작동시 불이 켜져 상기 터치센서의 작동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감지 장치.
KR1020100073507A 2010-07-29 2010-07-29 Cdq 설비 KR10119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07A KR101197940B1 (ko) 2010-07-29 2010-07-29 Cdq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07A KR101197940B1 (ko) 2010-07-29 2010-07-29 Cdq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89A true KR20120011589A (ko) 2012-02-08
KR101197940B1 KR101197940B1 (ko) 2012-11-05

Family

ID=4583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507A KR101197940B1 (ko) 2010-07-29 2010-07-29 Cdq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9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876A (ja) 2002-08-06 2004-03-04 Jfe Steel Kk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ボイラ漏水検知方法
JP3986983B2 (ja) * 2003-03-10 2007-10-03 友田セーリング株式会社 濃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940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91B1 (ko)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KR100898930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CN106140751B (zh) 密闭节能环保罐车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CN103100528B (zh) 一种清洗除钠的工艺和系统
KR101197940B1 (ko) Cdq 설비
CN104762588B (zh) 一种评估硫铁化合物钝化效果的方法
CN111467886B (zh) 一种火灾监控系统及集装箱式数据中心系统
KR101145860B1 (ko) 습식 기체시료 포집기
KR101586395B1 (ko) 파공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공감지방법
KR101186661B1 (ko)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연속 배출 시스템
KR100503202B1 (ko) 소화탑 상층부의 고열가스 제어장치
KR101433476B1 (ko) 보일러 튜브 누수 및 더스트 퇴적 진단장치
CN211771064U (zh) 上升管蒸发器及焦化系统
KR100784138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결로 방지 장치
CN210512707U (zh) 面料尺寸收缩率熨烫检测蒸汽排放装置
JPH08285210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ボイラ伝熱管異常検知方法
US11808501B2 (en) Determination device
JP2004067876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ボイラ漏水検知方法
CN218381490U (zh) 一种热风炉热风阀漏水检测装置
CN208568583U (zh) 一种固废重金属cu检测装置
JP3214966B2 (ja) コークス冷却塔への蒸気侵入防止方法
KR101530434B1 (ko) 건식소화설비 점검용 환기 감지장치
KR20120054205A (ko) 수직소둔로의 댄스롤 비상정지장치
KR100885960B1 (ko) 배열회수보일러 본체 튜브 누수검출장치
KR100862846B1 (ko) 보일러 하부 더스트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