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237A -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237A
KR20120011237A KR1020100072975A KR20100072975A KR20120011237A KR 20120011237 A KR20120011237 A KR 20120011237A KR 1020100072975 A KR1020100072975 A KR 1020100072975A KR 20100072975 A KR20100072975 A KR 20100072975A KR 20120011237 A KR20120011237 A KR 20120011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power supply
convert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706B1 (ko
Inventor
김범규
스스무 세가와
황의정
심세섭
양종운
윤한석
김진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706B1/ko
Priority to US13/018,343 priority patent/US8810067B2/en
Publication of KR2012001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한 것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로서, 외부 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상 상태일 경우에 외부 전원을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외부 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여 전력 공급 장치의 배터리 제어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력 공급 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여 정전 등이 발생하는 경우, 부하의 손상 또는 부하가 처리하는 데이터의 보존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력 공급 장치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배터리에 저장한 전기 에너지를 부하로 공급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배터리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하며,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 제어부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 측면에 의하면,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로서, 외부 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상 상태일 경우에 외부 전원을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외부 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장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회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정상 상태일 때 제1 직류 전력을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회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회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전력 변환부와 제1 직류 전력을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전력 변환부와 제1 교류 전력을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정상 상태일 때 제2 직류 전력을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회로는, 제1 교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공급 회로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전력 변환부와 제1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비정상 상태일 때 제1 직류 전력을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특징에 의하면, 제1 교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입력 단자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와,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와,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와, 입력 단자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력 변환부와, 배터리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력 변환부와, 출력 단자와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입력 단자와 제1 전력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전력 변환부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입력 단자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와,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와, 입력 단자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력 변환부와, 배터리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력 변환부와, 출력 단자와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제2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입력 단자와 제1 전력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전력 변환부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와, 제1 전력 변환부와 제2 전력 변환부에 일 단자가 연결되고 배터리에 다른 일 단자가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하여 전력 공급 장치의 배터리 제어부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는 전력 공급 회로(10), 배터리 팩(14), 제어부(17)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1)는 입력 단자(in)와 출력 단자(out)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in)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이하, '외부 전력'이라고 함)이 인가된다.
출력 단자(out)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력을 부하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 단자(out)는 외부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전 등이 발생한 경우,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성한 제1 교류 전력을 부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 회로(10)는 부하 및 배터리 제어부(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16)(이하, 'BMS'라고 함)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 회로(10)는 제1 다이오드(D1), 제1 스위칭 소자(SW1-1), 제2 스위칭 소자(SW1-2), 제1 전력 변환부(11), 제2 전력 변환부(12), 제3 전력 변환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입력 단자(in)와 출력 단자(out) 사이에 연결되어 외부 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직접 출력 단자(out)로 전달한다. 제1 다이오드(D1)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애노드 전극이 입력 단자(in)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출력 단자(out)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SW1-1)는 입력 단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전력의 제1 전력 변환부(11)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1 스위칭 소자(SW1-1)는 on 상태일 때 외부 전력을 제1 전력 변환부(11)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소자(SW1-1)는 off 상태일 때 외부 전력이 제1 전력 변환부(11)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스위칭 소자(SW1-1)는 제어부(17)에 의하여 on/off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전력 변환부(11)는 제1 스위칭 소자(SW1-1)와 제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노드(N1)로 출력한다. 즉, 제1 전력 변환부(11)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 및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다. 제1 전력 변환부(11)는 제1 직류 전력으로의 변환시 전압이 배터리 충전에 사용될 수 있는 전압이 되도록 한다.
제2 전력 변환부(12)는 제1 노드(N1)와 제2 스위칭 소자(SW1-2)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전력 변환부(12)는 제1 전력 변환부(11)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 또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제2 전력 변환부(12)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일 수 있다. 제2 전력 변환부(12)는 제1 교류 전력으로의 변환시 전압이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압이 되도록 한다. 또는 제2 전력 변환부(12)는 출력하는 제1 교류 전력의 크기나 위상 등의 특성이 외부 전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스위칭 소자(SW1-2)는 제2 전력 변환부(12)에서 출력된 제1 교류 전력의 출력 단자(out)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2 스위칭 소자(SW1-2)는 on 상태일 때 제1 교류 전력을 출력 단자(out)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2 스위칭 소자(SW1-2)는 off 상태일 때 제1 교류 전력이 출력 단자(out)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 스위칭 소자(SW1-2)는 제어부(17)에 의하여 on/off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3 전력 변환부(13)는 출력 단자(out)와 BMS(16) 사이에 연결된다. 제3 전력 변환부(13)는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전달된 외부 전력 또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교류 전력을 사용하여 BMS(16)가 동작하는데 사용될 동작 전원으로서의 제2 직류 전력을 생성한다. 즉, 제3 전력 변환부(1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 및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다. 제3 전력 변환부(13)는 제2 직류 전력으로의 변환시 전압이 BMS(16)의 전원 전압이 되도록 한다.
배터리 팩(14)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비상시에 부하로 전기 에너지를 부하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 팩(14)은 배터리(15)와 BMS(16)를 포함한다.
배터리(15)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이다. 배터리(15)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혹은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을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배터리(15)는 비상시에 부하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배터리 셀로서 대용량 특성을 갖는 배터리 셀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팩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복수의 배터리 팩을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BMS(16)는 배터리(15)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즉, BMS(16)는 보호회로로서의 동작을 수행한다. BMS(16)는 배터리(15)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센싱하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미도시)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부(17)나 외부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이컴(Micom)을 포함할 수 있다. BMS(16)는 배터리(15)가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할 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센싱 동작 및 통신 동작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BMS(16)의 동작 전력으로 항상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BMS(16)는 항시 동작하고 있으므로 비상시에 사용하려고 충전시킨 배터리(15)의 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록 BMS(16)의 소비 전력이 적다고 하더라도 이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배터리(15)는 배터리 셀의 종류, 배터리 셀이나 배터리 모듈의 직렬/병렬 연결 구성에 따라서 출력 전압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BMS(16)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에서는 평상시에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16)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고, 비상시, 예를 들어 정전시에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BMS(16)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력 변환부(13)는 입력으로서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갖는 외부 전력 또는 제1 교류 전력을 인가받으므로, 배터리(15)의 출력 전압과 무관하게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전력 공급 장치(1)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는 제1 스위칭 소자(SW1-1) 및 제2 스위칭 소자(SW1-2)의 on/off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5)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1 스위칭 소자(SW1-1)를 on 시켜 배터리(15)로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15)를 충전하며, 외부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스위칭 소자(SW1-2)를 on 시켜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부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는 외부 전원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시에는 전력 공급 장치(1)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는 외부 전원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정상 상태에서, 외부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며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전력 공급 회로(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정전이 발생하는 등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하에 공급할 전력 및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전력 공급 회로(10)를 제어한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에서 BMS(16)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즉, 제어부(17)는 외부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로서 외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상태일 경우에는 외부 전력이 입력 단자(in)로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 회로(10)의 제3 전력 변환부(13)에서 외부 전력을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11).
그리고 변환한 제2 직류 전력을 BMS(16)에 공급하여 BMS(16)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도록 한다(S12).
한편,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로서 외부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경우에는 외부 전력이 입력 단자(in)로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공급 회로(10)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13).
그리고 변환된 제1 교류 전력을 다시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S14) BMS(16)에 공급한다(S12).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고,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1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BMS(1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BMS(1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는 도 1의 전력 공급 장치(1)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는 전력 공급 회로(20), 배터리 팩(24), 제어부(27)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2)는 입력 단자(in)와 출력 단자(out)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회로(20)는 부하 및 BMS(26)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 회로(20)는 제1 스위칭 소자(SW2-1), 제2 스위칭 소자(SW2-2), 제3 스위칭 소자(SW2-3), 제1 전력 변환부(21), 제2 전력 변환부(22), 제3 전력 변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추가된 제3 스위칭 소자(SW2-3)는 제1 노드(N1)와 배터리(25)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직류 전력의 배터리(25)로의 공급 또는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제2 전력 변환부(22)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3 스위칭 소자(SW2-3)는 배터리(25)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또는 부하로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 on되며, 배터리(25)가 충전 또는 방전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off된다. 제3 스위칭 소자(SW2-3)는 제어부(27)에 의하여 on/off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7)는 전력 공급 장치(2)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는 제1 스위칭 소자(SW2-1) 내지 제3 스위칭 소자(SW2-3)의 on/off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제1 스위칭 소자(SW2-1)를 on 시킨다. 배터리(25)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3 스위칭 소자(SW1-1)를 on 시켜 배터리(25)로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25)를 충전한다. 그리고 제2 스위칭 소자(SW2-2)를 on 시켜 제1 교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교류 전력을 사용하여 BMS(26)의 동작 전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제1 스위칭 소자(SW2-1)는 off 시킨다. 그리고 제2 스위칭 소자(SW2-2) 및 제3 스위칭 소자(SW2-3)를 on 시켜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또는 BMS(2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제어부(27)는 외부 전원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시에는 전력 공급 장치(2)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7)는 외부 전원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정상 상태에서, 외부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며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2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전력 공급 회로(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하에 공급할 전력 및 BMS(2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전력 공급 회로(20)를 제어한다.
이하, 전력 공급 장치(2)에서 BMS(26)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7)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즉, 제어부(27)는 외부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로서 외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상태일 경우에는 외부 전력이 입력 단자(in)로 인가되므로 제1 전력 변환부(21)에서 외부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S21), 제2 전력 변환부(22)는 제1 직류 전력을 다시 교류인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22). 이때, 제1 교류 전력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일 수 있다.
제3 전력 변환부(23)는 제1 교류 전력을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23). 그리고 변환한 제2 직류 전력을 BMS(26)에 공급하여 BMS(26)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도록 한다(S24).
한편,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로서 외부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경우에는 외부 전력이 입력 단자(in)로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공급 회로(20)의 제2 전력 변환부(22)는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25). 그리고 변환된 제1 교류 전력을 S23 단계 및 S24 단계를 거쳐서 BMS(26)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2)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2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고,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2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BMS(2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BMS(2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3)는 도 1의 전력 공급 장치(1)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3)는 전력 공급 회로(30), 배터리 팩(34), 제어부(37)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3)는 입력 단자(in)와 출력 단자(out)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30)는 제2 다이오드(D3), 제1 전력 변환부(31), 제2 전력 변환부(32), 제3 전력 변환부(33)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30)는 도 1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10)에서 스위칭 소자들이 제거되었다. 제어부(37)는 스위칭 소자들의 on/off를 제어하는 대신 제1 전력 변환부(31) 내지 제3 전력 변환부(33)의 동작을 제어하여 필요한 경우에 각 전력 변환부(31~33)의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력이 교류 또는 직류로 변환되어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 제3 전력 변환부(33)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BMS(37)에 동작 전력을 인가한다. 만약 배터리(35)의 잔존 용량이 적어서 충전이 필요한 경우라면 제어부(37)는 제1 전력 변환부(31)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5)에 제1 직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는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 제2 전력 변환부(32) 및 제3 전력 변환부(33)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하에 공급될 전력 및 BMS(3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3)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3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고,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3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BMS(3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BMS(3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4)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4)는 도 2의 전력 공급 장치(2)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4)는 전력 공급 회로(40), 배터리 팩(44), 제어부(47)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4)는 입력 단자(in)와 출력 단자(out)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40)는 제1 전력 변환부(41), 제2 전력 변환부(42), 제3 전력 변환부(43)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40)는 도 2에 따른 전력 공급 회로(20)에서 스위칭 소자들이 제거되었다. 제어부(47)는 스위칭 소자들의 on/off를 제어하는 대신 제1 전력 변환부(41) 내지 제3 전력 변환부(43)의 동작을 제어하여 필요한 경우에 각 전력 변환부(41~43)의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력이 교류 또는 직류로 변환되어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는 배터리 팩(44) 측으로 제1 직류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BMS(46)를 제어하여 BMS(46)가 필요한 경우에만 배터리(45)가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47)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 제1 전력 변환부(41) 내지 제3 전력 변환부(43)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BMS(47)에 동작 전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만약 배터리(45)의 잔존 용량이 적어서 충전이 필요한 경우라면 제어부(47)는 BMS(46)를 제어하여 배터리(45)에 제1 직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는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 제2 전력 변환부(42) 및 제3 전력 변환부(43)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4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하에 공급될 전력 및 BMS(4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4)는 외부 전원이 정상 상태일 때에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BMS(4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고, 외부 전원이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45)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BMS(46)의 동작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BMS(4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 예들 및 그 변형 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전력 공급 장치(1~4)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반도체 기록매체(예컨대, 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4 전력 공급 장치
10,20,30,40 전력 공급 회로
11,21,31,41 제1 전력 변환부
12,22,32,42 제2 전력 변환부
13,23,33,43 제3 전력 변환부
14,24,34,44 배터리 팩
15,25,35,45 배터리
16,26,36,46 배터리 제어부
17,27,37,47 제어부

Claims (13)

  1.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로서,
    외부 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상 상태일 경우,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외부 전원이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비정상 상태일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상기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전력 변환부,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전력 변환부,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상기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1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전력 변환부,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일 때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상기 배터리 제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10.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입력 단자;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력 변환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전력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전력 변환부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2.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입력 단자;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력 변환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전력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전력 변환부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제2 전력 변환부에 일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에 다른 일 단자가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00072975A 2010-07-28 2010-07-28 전력 공급 장치 KR10111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75A KR101117706B1 (ko) 2010-07-28 2010-07-28 전력 공급 장치
US13/018,343 US8810067B2 (en) 2010-07-28 2011-01-31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75A KR101117706B1 (ko) 2010-07-28 2010-07-28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37A true KR20120011237A (ko) 2012-02-07
KR101117706B1 KR101117706B1 (ko) 2012-03-05

Family

ID=4552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75A KR101117706B1 (ko) 2010-07-28 2010-07-28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10067B2 (ko)
KR (1) KR101117706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889B1 (ko) * 2012-04-18 2014-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20160080908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충전 방지 가능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60004043U (ko) * 2016-11-15 2016-11-23 태형산전 주식회사 Rrh용 전원공급장치
WO2017131436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5645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리셋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026252A1 (ko) * 2016-08-05 2018-02-08 주진관 직류 고전압 대용량 무접점 스위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충방전 전원 장치
KR20180043045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1856628B1 (ko) * 2012-09-10 2018-05-1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비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9279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80099276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80099277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US10148095B2 (en) 2013-03-19 2018-12-04 Merus Power Dynamic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non-active currents in electrical power networks
KR20190105529A (ko) * 2016-08-05 2019-09-17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US11223229B2 (en) 2017-02-28 2022-01-11 Lsis Co., Lt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2432054B1 (ko) * 2022-04-21 2022-08-16 범한산업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102621865B1 (ko) * 2023-09-14 2024-01-0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통합 전원 관제 및 진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9614B2 (ja) * 2012-02-28 2016-11-02 オムロン株式会社 蓄電制御装置、蓄電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蓄電システム
US9236752B2 (en) 2012-09-07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voltage collapse protection
US10015658B1 (en) * 2017-05-18 2018-07-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mission critical functionality in a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641831B2 (en) * 2017-08-25 2020-05-05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Battery current measurement
JP2020150629A (ja) * 2019-03-12 2020-09-17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の直流給電回路
US20210249896A1 (en) * 2020-02-10 2021-08-12 Vertiv Corporation Power suppl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one or multiple different utility proxies
JP2024511382A (ja) * 2021-03-17 2024-03-13 ファーウェイ デジタル パワー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エネルギ貯蔵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の電力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771B1 (ko) 1998-03-05 2002-02-19 구자홍 컴퓨터시스템의전원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615158B1 (ko) 1999-10-25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노트북용 팩전지
KR20000072680A (ko) 2000-09-19 2000-12-05 이호철 유피에스의 축전지 관리 장치
KR20020059543A (ko) 2001-01-08 2002-07-13 구자홍 Lcd 프로젝터의 전원 공급장치
JP2005073362A (ja) * 2003-08-22 2005-03-17 Rikogaku Shinkokai 電力変換装置、モータドライブ装置、btbシステムおよび系統連系インバータシステム
US7406623B2 (en) * 2003-09-29 2008-07-29 Hitachi Computer Peripherals Co., Ltd. DC backup power supply system and disk array using same
KR20060102667A (ko)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5124114B2 (ja) 2006-08-28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蓄電機能を有する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097261B1 (ko) * 2009-12-17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4891B1 (ko) * 2010-06-01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1440B2 (en) 2012-04-18 2016-01-05 Samsung Sdi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440889B1 (ko) * 2012-04-18 2014-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1856628B1 (ko) * 2012-09-10 2018-05-1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비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148095B2 (en) 2013-03-19 2018-12-04 Merus Power Dynamic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non-active currents in electrical power networks
KR20160080908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충전 방지 가능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7131436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05300B2 (en) 2016-01-27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25645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리셋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026252A1 (ko) * 2016-08-05 2018-02-08 주진관 직류 고전압 대용량 무접점 스위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충방전 전원 장치
KR20190105529A (ko) * 2016-08-05 2019-09-17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20180043045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20160004043U (ko) * 2016-11-15 2016-11-23 태형산전 주식회사 Rrh용 전원공급장치
KR20180099277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80099276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80099279A (ko) *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223229B2 (en) 2017-02-28 2022-01-11 Lsis Co., Lt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2432054B1 (ko) * 2022-04-21 2022-08-16 범한산업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102621865B1 (ko) * 2023-09-14 2024-01-0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통합 전원 관제 및 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0067B2 (en) 2014-08-19
US20120025615A1 (en) 2012-02-02
KR101117706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706B1 (ko) 전력 공급 장치
KR101193168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923144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097035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US20120169124A1 (en) Output circuit for power supply system
KR10223429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8922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기동 방법
US9269989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JP2011120456A (ja) 系統連系型電力保存システム及び電力保存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30105616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8957545B2 (en) Prioritization circuit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JP2012130158A (ja) 電源装置
CN107370168B (zh) 电能存储设备
JP2009504118A (ja) 直流電源補償用無停電電源供給装置
US20130278065A1 (en) Battery system
US20230420948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70026695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 시스템
JP2009148110A (ja) 充放電器とこ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5522378B2 (ja) 電源装置
US20170093206A1 (en) Direct current backup system
JP2009225516A (ja) キャパシタ充放電監視制御装置
KR20120073405A (ko) 연료전지 시스템, 그리고 전원 제어 방법
KR101500709B1 (ko) 배터리 수명 향상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70103299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전원 확보 방법
JP6931811B2 (ja) 蓄電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