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787A -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787A
KR20120010787A KR1020100072348A KR20100072348A KR20120010787A KR 20120010787 A KR20120010787 A KR 20120010787A KR 1020100072348 A KR1020100072348 A KR 1020100072348A KR 20100072348 A KR20100072348 A KR 20100072348A KR 20120010787 A KR20120010787 A KR 201200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cessing terminal
terminal
data
cp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787A/ko
Publication of KR2012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CPNS를 지원하는 단말의 컨텐츠를 Wi-Fi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후 FM 송출이 가능하므로, CPNS를 지원하는 다양한 단말의 컨텐츠를 차량에서 손쉽게 들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through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본 발명은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환경에서 FM(frequency modulation)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처리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이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는 소리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저장방식 중의 하나로 "MPEG Player 3" 를 줄여 쓴 것으로서, 동영상 압축기술을 뜻하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Audio 3"가 개발된 이후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 음악파일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MP3 방식의 디지털 음악 데이터는 압축률이 크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고, 일반 컴퓨터 통신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하기 때문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소형의 음악 저장매체를 통하여 쉽게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으로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이동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자가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휴대하고 다니며 음악을 청취하거나 감상할 경우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및 이동하면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에는 휴대폰,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은 하드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록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 후, 고음질의 오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재생되는 음악을 차량에서 듣고자 할 경우 단말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악의 청취 및 감상 시 스피커의 출력이 낮아 양질의 음악을 청취 및 감상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사용하여 단말 내에 저장된 음악을 청취 및 감상할 경우 차량에 동승한 다른 사람들과의 음악을 공유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는데 방해가 되어 차량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차량 내 스테레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운전 중에도 라디오를 통하여 음악을 듣는 것처럼 편리하게 고음질의 컨텐츠를 청취 및 감상할 수 있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실시간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처리 단말간의 컨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FM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CPNS 지원 단말 검색부,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에서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컨텐츠 공유 처리부,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에 의해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전송하는 재생 요청부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재생 요청부는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에 의해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면서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도록 하는 다운로드 처리부,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는 FM 변환부, 상기 FM 변환부에서 변환된 FM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는 FM 송출부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처리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 또는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한다.
상기 FM 변환부는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FM 송출부는 상기 FM 변환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데이터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송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이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이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단계,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CPNS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b)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c)상기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면서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단말이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CPNS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b)상기 공유된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단계, (c)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데이터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주파수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면 차량 내 스테레오 시스템이 주파수 변조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므로, 차량의 운전 중에도 라디오 등의 스테레오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을 듣는 것처럼 편리하게 고음질의 컨텐츠를 청취 및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실시간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처리 단말간의 컨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하므로, 컨텐츠 처리 단말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CPNS를 통해 다양한 장치(Device)간에 컨텐츠를 공유하여 전송 및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는데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PNS를 지원하는 단말의 컨텐츠를 Wi-Fi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후 FM 송출이 가능하므로, CPNS를 지원하는 다양한 단말의 컨텐츠를 차량에서 손쉽게 들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환경은 근거리 무선 통신만 가능할 뿐, 이동 통신망과의 Cellular 통신이 불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PN(Personal Network Service)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Cellular 통신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된 컨텐츠 처리 단말(200),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200)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과 컨텐츠를 공유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PC, 이동통신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은 상기 FM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은 CPNS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MP3 데이터와 같은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디코딩한 후, FM 모듈로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동글(Dongle) 타입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 처리 단말(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처리 단말(200)은 하나의 그룹으로 연계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 통신망과의 통신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 와이브로, 무선랜,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등을 비롯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FM 수신 기능이 탑재된 장치로서,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차량 내 라디오 등과 같은 스테레오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로부터 무선 구간으로 송출된 FM 데이터는 차량에 FM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차량용 안테나를 통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오디오 장치의 라디오에 수신된 후 라디오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오디오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를 튜닝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FM 데이터 신호와 일치시킨다.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FM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무선망 등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오디오 장치를 튜닝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와 일치시켜 차량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 및 동승자가 보다 향상된 양질의 컨텐츠를 청취 및 감상할 수 있으며, 라디오를 통하여 컨텐츠를 청취 및 감상할 때와 동일한 과정으로 차량의 스피커를 통하여 컨텐츠를 들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 출력 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차량 운행 중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 혹은 MP3P 상의 컨텐츠를 차량의 스테레오 시스템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공유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리모콘 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200)과 접속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재생 요청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02), CPNS 지원 단말 검색부(104), 컨텐츠 공유 처리부(106), 컨텐츠 재생 요청부(108),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110), 입력부(112),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02)는 Wi-Fi, 와이브로, 무선랜,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등을 비롯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재생 요청 등의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에 의해 공유 처리된 컨텐츠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14)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104)는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정보는 컨텐츠 처리 단말의 아이디, 제공된 서비스 등을 말한다.
즉,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104)는 CPN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PN(Personal Network) Gateway Device 역할을 수행할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한다.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106)는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104)에서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한다.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부(108)는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106)에 의해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전송한다.
즉,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재생 요청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컨텐츠 재생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106)에 의해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면서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처리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202), 다운로드 처리부(204),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206), 디코딩부(208), FM 변환부(210), FM 송출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204)는 상기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한다.
즉,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204)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 또는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한다.
상기 디코딩부(208)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한다. 즉, 상기 디코딩부(208)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 또는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를 디코딩한다.
상기 FM 변환부(210)는 상기 디코딩부(208)에서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FM 변환부(210)는 상기 디코딩부(208)에서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FM 송출부(212)는 상기 FM 변환부(210)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데이터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FM 송출부(212)는 상기 증폭된 FM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FM 처리부(302), 출력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FM 처리부(302)는 컨텐츠 처리 단말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와 일치되어, 상기 주파수를 통해 수신되는 FM 데이터를 복조한다. 즉, 상기 FM 처리부(302)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FM 데이터를 구비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하여 복조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FM 처리부(302)에서 복조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부는 예를 들면, 차량의 오디오 장치에 부착된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말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FM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S500),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S502).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CPNS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은 CPN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PN(Personal Network) Gateway Device 역할을 수행할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의 CPNS 서비스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CPNS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 CPNS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CPNS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아이디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아이디의 포맷(Format)이 CPNS에서 발급한 아이디 포맷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포맷이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처리 단말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간 CPNS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S504),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컨텐츠 정보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06).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목록 또는 해당 컨텐츠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506의 수행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 다운로드한다(S508). 즉,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 다운로드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컨텐츠 재생 요청 신호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 전송한다(S509).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 신호를 다운로드한 컨텐츠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S509의 수행 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S510),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한다(S512).
이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증폭된 FM 데이터를 무선 안테나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S514).
그러면,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재생 및 출력한다(S51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S600),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S602).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S604),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컨텐츠 정보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606).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목록 또는 해당 컨텐츠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기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하여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S606의 수행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가 선택되면(S608),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요청 신호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 전송한다(S610). 여기서,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 신호는 컨텐츠 목록, 컨텐츠 내용 등을 포함한다.
상기 S610의 수행 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다(S612). 즉,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재생 요청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요청과 함께 스트리밍되고 있는 컨텐츠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다.
상기 S612의 수행 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한다(S614).
이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증폭된 FM 데이터를 무선 안테나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S616).
그러면,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재생 및 출력한다(S618).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주파수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면 차량내 스테레오 시스템이 주파수 변조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므로, 차량의 운전 중에도 라디오 등의 스테레오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을 듣는 것처럼 편리하게 고음질의 컨텐츠를 청취 및 감상할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100 : 사용자 단말 102, 202 : 무선 통신부
104 : CPNS 지원 단말 검색부 106 : 컨텐츠 공유 처리부
108 : 컨텐츠 재생 요청부 110, 206 : 저장부
112 : 입력부 114 : 표시부
200 : 컨텐츠 처리 단말 204 : 다운로드 처리부
208 : 디코딩부 210 : FM 변환부
212 : FM 송출부 300 : 컨텐츠 출력 장치
302 : FM 처리부 304 : 출력부

Claims (13)

  1.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및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은 상기 FM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3.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CPNS 지원 단말 검색부;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에서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컨텐츠 공유 처리부;및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에 의해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전송하는 재생 요청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PNS 지원 단말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요청부는 상기 컨텐츠 공유 처리부에 의해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면서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도록 하는 다운로드 처리부;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는 FM 변환부;및
    상기 FM 변환부에서 변환된 FM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는 FM 송출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 또는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M 변환부는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FM 송출부는 상기 FM 변환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신호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
  9. 사용자 단말이 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이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단계;및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이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단계;및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로부터의 FM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
  10. CPNS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CPNS를 지원하는 컨텐츠 처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b)상기 검색된 컨텐츠 처리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및
    (c)상기 공유된 컨텐츠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면서 재생 요청 또는 상기 컨텐츠 처리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
  12. 컨텐츠 처리 단말이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CPNS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b)상기 공유된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 요청된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단계;및
    (c)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FM 데이터로 변환하여 특정 주파수를 통해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컨텐츠를 변복조하여 FM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변환된 FM 데이터가 라디오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널로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FM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FM 고주파 데이터를 무선송출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증폭시킨 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20100072348A 2010-07-27 2010-07-27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0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348A KR20120010787A (ko) 2010-07-27 2010-07-27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348A KR20120010787A (ko) 2010-07-27 2010-07-27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787A true KR20120010787A (ko) 2012-02-06

Family

ID=4583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348A KR20120010787A (ko) 2010-07-27 2010-07-27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48A1 (ko)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존에 연결된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48A1 (ko)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존에 연결된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8976C (en) A media transfer and control system
US8265617B2 (en) Media transfer and control system
US953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EP2180727B1 (en) A digital media descriptive data transfer system
JP2010521108A (ja) 移動デジタルラジオのプレイリストシステム
JP2011259409A (ja) 音声再生用装置、音声再生用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音声再生用装置利用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電話端末
US84582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in CPNS environment
JPH11313366A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462857B1 (ko) Cpns 프로토콜이 탑재된 컨텐츠 재생 동글 및 그 동글의 컨텐츠 재생 방법
CN114554274A (zh) 一种基于WiFi的车载端投屏系统和方法
KR101769829B1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0787A (ko) Cpns 환경에서 fm 송출을 통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4935386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4603006B2 (ja) 情報処理装置
CN205430514U (zh) 智能音频视频播放器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356032B1 (ko) 차량용 엠피3 플레이어
KR101618457B1 (ko) 인터넷 라디오 청취가 가능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
JP6328489B2 (ja) ステーション情報に基づく音楽再生システム、音楽再生装置およびステーション情報の引き継ぎ方法
JP2009267634A (ja) 端末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KR20050015165A (ko) 주문형 오디오 재생장치
KR100502715B1 (ko) 데이터 저장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JP2015216586A (ja) 電子システム、メディアの出力方法及び出力プログラム
KR101525112B1 (ko)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한 AV 리시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