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447A -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 Google Patents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447A
KR20120010447A KR1020100071993A KR20100071993A KR20120010447A KR 20120010447 A KR20120010447 A KR 20120010447A KR 1020100071993 A KR1020100071993 A KR 1020100071993A KR 20100071993 A KR20100071993 A KR 20100071993A KR 20120010447 A KR20120010447 A KR 2012001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pirulina
rice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214B1 (ko
Inventor
김미리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2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관능적으로 우수한 농도에서 스피루리나와 대두단백 각각을 넣은 쌀발효음료에 비하여 스피루리나와 대두단백을 함께 첨가한 쌀발효음료에서 우수한 항산화능력과 유산균 증식 능력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Superior antioxidant rice fermented drinks containing Spirulina, and soy bea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을 갖는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함유한 쌀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루리나 및 대두 단백의 첨가가 유산균에 미치는 효과 및 스피루리나 첨가량에 따른 스피루리나 함유 쌀발효음료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평가에 의하여 항산화활성 및 관능적 특성이 뛰어난 스피루리나 함유 쌀발효음료에 관한 것이다.
스피루리나(Spirulina)는 열대 지역의 알칼리성이 높고 염분이 많은 호수의 표면에서 광합성을 하면서 자생하는 미세조류인데, 미생물학자들은 세균과 같은 세포 구조를 하고 있으면서 세균에는 없는 엽록소가 있기 때문에 사이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로 분류하고 있다(스피루리나연구회, 2005). 1940년 이래 영양학적 연구결과, 그 함유 성분이 우리의 건강을 위하여 매우 이상적인 영양소 조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그 생김새가 현미경으로 보면 나선형(spiral)이어서 '스피루리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스피루리나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미생물로서의 스피루리나에 대해서는 1940년 프랑스 식물학자 Dangeard가 최초로 보고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스피루리나연구회, 2005). 1960년대에 와서 스피루리나의 영양학적 연구와 각종 성인병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1967년에는 Heden 박사에 의하여 양질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미래 식량으로 제안되었고 일본인 Nakamura Hiroshi를 주축으로 한 인공 배양 생산을 위한 연구가 성공하여 공업 생산이 시작되었다. 1970년에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건강식품으로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1996년에는 FDA의 품질 기준 시험에 합격하여 현재 약 70여 국가에서 건강식품으로 허가되어 판매되고 있다(한병훈, 스피루리나의 기능성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7).
스피루리나는 양질의 단백질이 65중량부 이상으로 높고 지방질을 적게 함유하지만 감마리놀렌산과 같은 필수 지방산은 비교적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소화흡수율이 95중량부나 되어 체내 흡수가 뛰어나며, 베타카로틴, 피코시아닌(phycocyanin) 등 각종 항산화 활성 성분을 그 어떤 식품보다 다량 함유하고 있고 각종 비타민과 미량 금속 원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다. 이처럼 스피루리나는 식품으로서 영양적 우수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매일 먹어도 인체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중금속, 화학적 오염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점에서 완전식품이라 할 수 있다(문종철, "내 몸을 바꾸는 스피루리나", 2006).
스피루리나는 건강기능식품, 사료, 화장품, 환경 분야 등에 많이 이용 되고 있는데(Kim YM et al., J. Korean Ind. Eng. Chem., 2009), 기능성 식품에 관한 연구로는 마들렌(Kim MH et al., J. Korean Ind. Eng. Chem., 2008), 요구르트(Shin YM et a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Cho H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05), 다식(Son CW et al., Korean J. Food Culture., 2008), 떡볶이떡(Kim MY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09), 국수(Lee YJ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09), 쌀엿강정(Sim EK,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등에 스피루리나를 첨가하여 그 품질특성 및 기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스피루리나에 베타카로틴, Vitamin E와 같은 항산화성분이 함유되어 항산화능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Shin YM et a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스피루리나의 기능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Son MH 등(Son MH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은 스피루리나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한 연구에서 자궁경부암세포에 대해 증식 저해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 항혈전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Kim HM 등(Kim HM, Hakhak Hoeji, 1997)은 스피루리나가 즉시형 과민반응을 억제하는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Kim MY(Kim MY, Thesis for Master's degree., 2008)은 동물실험을 통해 스피루리나 급여가 아테롬성동맥경화와 심혈관계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보고하였고, Lee EH(Lee EH, Thesis for Master's degree, 2008)은 당뇨병환자들에 대한 스피루리나의 중재는 혈액성상, 혈압과 면역능이 개선되어 당뇨병 환자들의 관리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스피루리나는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당뇨, 비만 등 질병예방, 면역기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쌀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주식으로 이용되어 식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09년 쌀 생산량은 491만 6천톤으로 전년도 484만 3천톤보다 7만 3천톤 증가하였고, 단위면적(10a)당 생산량은 534 kg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통계청, 2009). 그러나 가계 소득 증가에 의한 국내 소비자들의 생활양식의 변화는 곡물 소비에 영향을 주었고, 특히 쌀 소비의 감소로 나타나고 있다. 1999년 연간 1인당 소비량이 96.9 kg에서 2004년 82.0 kg, 2009년에는 74.0 kg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쌀 소비량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는 육류와 곡물 가공품 등 식생활이 다양화, 편의화되고 1인 가구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대체식품(육류, 식빵, 떡, 국수, 라면, 즉석밥, 씨리얼 식품 등) 소비의 증가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통계청, 2010). 쌀 생산량은 유지 상태를 보이는데 반해 소비량은 감소하여 쌀의 재고량을 증가시키며 쌀의 이러한 과잉 상태는 쌀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쌀로 만든 음식에는 밥, 죽, 떡, 한과, 술 등이 있는데, 쌀 생산량의 95중량부는 밥으로 소비되었다. 2004년도 기준으로 가공용 쌀의 소비 형태는 떡국 떡, 떡볶이 떡이 중심이 되는 떡류 제품이 전체 소비량의 56중량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쌀 막걸리, 청주 등의 주류가 약 25중량부로 떡류 및 주류제품에서 전체 가공용 쌀의 약 80 중량부 정도를 소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품이 다양하지 못한 것은 쌀을 밥으로 먹는 주식이라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다른 곡물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식품원료로서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쌀 관련 제품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Korea Rice Foodstuffs Association., http://www.krfa.or.kr/05data04_process01.html., 2010). 국내 쌀 가공식품의 종류로는 즉석건조쌀밥, 즉석쌀죽, 즉석고기덮밥, 쌀라면, 쌀국수, 증숙면, 즉석비빔우동, 압출면, 현미플레이크, 쌀발효음료, 즉석식혜, 쌀고기, 즉석미숫가루, 청결미 등이 있으며(김일성, 주동식, 김동수, 김종대, 식품과 건강, 2004), 쌀을 이용한 가공제품을 생산할 때 다양한 가공기술을 도입해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쌀 가공식품 중 하나인 쌀발효음료는 쌀을 이용해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요구르트 형태의 발효음료로(Shin DH, Korean J. Food Sci. Technol, 1989) 곡류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starter로 이용하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쌀을 이용한 발효음료에 관한 연구로 Shin DH(Shin DH, Korean J. Food Sci. Technol, 1989)는 쌀을 액화 혹은 당화시켜 젖산균을 증식시킴으로서 기호성 있는 젖산 발효제품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In MJ(In MJ et al, J. appl. Biol. Chem., 2009)는 현미당화물에 유산균 Ln . mesenteroides KC51를 배양한 현미배양액에서 유산균의 증식에 따라 항영양인자인 Phytate의 농도가 감소되어 영양성과 품질적 가치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Mok CK(Mok CK et al,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1)은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젖산발효물 각각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이들을 혼합한 라이소거트를 개발하였으며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젖산발효물을 75:25로 혼합했을 때 적절하였고, 쌀젖산발효물 또는 대두단백젖산발효물보다 관능적, 유변학적 특성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현재까지 쌀을 주재로 하는 식품으로는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2-0016109에 '백미 및 현미를 별도로 가공하는 공정을 채택하여, 백미 가공시 볶음공정을 생략하고 엿류 제조공정의 온도, 시간 및 효소함량을 조절하여 열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현미 가공시 볶음공정은 실시하되 분쇄 및 엿류 제조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충분한 미생물 살균을 위해레토르트 살균을 하면서도 열에 의한 갈변을 방지하여 백미 고유의 흰 빛깔을 유지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풍미가 우수한 쌀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고, 또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0-0006601에 '볶은 현미와 백미를 효소분해시킨 후 맑은 액을 얻어 쌀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미와 백미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살려 맛이 잘 조화되고, 미 산성 음료이면서도 저온살균과 PET용기에 충전이 가능한 쌀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쌀을 소재로 하는 식품은 주로 쌀 당화액을 얻어 여기에 보조 첨가물 등을 단순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인체에 각종 이로운 성분을 제공하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식품은 보고된 바 없다. 또한, 현재 상기 공개된 특허에서와 같은 단순 쌀당화액을 소재로 하는 음료는 새로운 관능성을 창출하여 초기에 선풍적인 인기를 끈 바 있으나, 다양한 맛을 선호하고 단조로운 맛에 쉽게 흥미를 잃어가는 수요자 층의 기호도를 반영할 수 없어 현재는 매출액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발효음료는 유가공품 또는 식물성원료를 유산균, 효모 등 미생물로 발효시켜 가공한 것으로 이러한 발효식품은 식품소재의 저장성 부여와 영양성 증진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으며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유기산은 인체를 알칼리성으로 유지시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또한,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필수지방산 및 비타민들이 풍부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식품의 발효과정을 통한 독성물질의 파괴, 소화성 증진, 식품의 요리시간 단축 및 에너지 소비 감소의 역할을 한다(Kim ML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08; 이삼빈 et al, 발효식품학, 200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리적 활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스피루리나를 함유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작하고자, 쌀당화액에 대두단백 또는 대두단백과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후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쌀발효음료를 제조한 결과, 쌀당화액에 대두단백을 첨가한 발효음료에서 유산균의 생장이 촉진되었으며, 대두단백이 첨가된 발효음료에 스피루리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산균의 생장이 더욱 촉진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스피루리나연구회. 2005. 완전식품 스피루리나. 한가람서원. 서울. p 14, 24 한병훈. 2007. 스피루리나의 기능성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53~61 문종철. 2006. 내 몸을 바꾸는 스피루리나. 도서출판 가라뫼. 경기도. pp 45-47, 53, 109-113 Kim YM, Kim MR, Kwon TH, Ha JM, Lee JH. 2009.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NIES 39. J. Korean Ind. Eng. Chem. 20(3):285-289 Kim MH, Kim HJ, Kim MY, Kim MR. 2008. Optimization of Spirulina madelein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ulture. 23(6):761-770 Shin YM, Son CW, Sim HJ, Kim MH, Kim MY, Kwon OY, Kim MR.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added yogur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68-75 Cho H, Yang YH, Lee KJ, Cho YS, Chun HK, Son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itics of low fat salad dressing with Spirulin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4):329-335 Son CW, Kim HJ, Lee YJ, Kim MR.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itioxidant activity of black sesame dasik added Spirulina. Korean J. Food Culture. 23(6):755-760 Kim MY, Jeong YK, Son CW, Jhon ES,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Korean Rice Cake(Garaedu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1):8-16 Lee YJ. Son CW, Kim HJ, Lee JH,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and cooked Spirulina added nood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1):23-32 Sim EK.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yeotgangjung added Spirulina powder. Thesis for Master's degree.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on MH, Park KH, Choi AR, Yoo GJ, In MJ, Kim DH, Chae HJ. 2009. Investig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nzymatic hydrolysate of Spiruli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2):136-141 Kim HM, Son HJ, Shin MK, Shin TY. 1997. Inhibitory effect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by Spirulina platensis. Hakhak Hoeji. 41(5):647-651 Kim MY. 2008. Spirulina supplementation prevents atherosclerosis by reducing hypercholesterolemia and oxidative stress in rabbits fed high-cholesterol diet. Thesis for Master's degree.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Lee EH. 2008. A randomized study to establish the effects of Spirulina in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sis for Master's degree. The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통계청. 2009. 2009년 쌀 생산량 조사결과 통계청. 2010. 2009 양곡년도 가구부문 1인당 양곡 소비량 조사결과 Korea Rice Foodstuffs Association. 쌀가공식품-국내쌀가공식품현황. Available from: http://www.krfa.or.kr/05data04_process01.ht㎖. Accessed March 31, 2010 김일성, 주동식, 김동수, 김종대. 2004. 식품과 건강. 신광문화사. p 130 Shin DH. 1989. A yogurt like product development from rice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5):686-690 In MJ, Choi SY, Kim HR, Park DB, Oh NS, Kim DC. 2009. Acid production and phytate degradation using a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stain in saccharified-rice suspension. J. appl. Biol. Chem. 52(1):33-37 Mok CK, Han IS, Kim YJ, Kim NS. 1991. Risogurt, a mixture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and soybean protein: development and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6):745-749 Kim ㎖, Choi MA, Jeong JS. 2008.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 using the sea tangle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J. Food Preserv. 15(1):21-29 이삼빈, 고경희, 양지영, 오성훈. 2001. 발효식품학.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12 Lee JY, Mok CK, Park JH, Chang HG, Koo DJ. 1998. Optimal prepar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for Bifidobacterium fermentation.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7):527-532 Kang HN, Kim CJ. 2009. Lactobacillus bulgaricus fermentation characterisitics of yogurt with added buckwheat sprout. Korean J. Food Culture 24(1):90-95 Cho IS, Bae HC, Nam MS. 2003.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3):250-261 Park JH, Song HK, Ahn JB, Ji GE, Mok CK. 1997. Rice fermentation by Korean amylolytic Bifidobacterium spp..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81-587 Cho YS, Kim SI, Han YS. 2008. Effect of slander glasswort extract yogurt on qualit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212-221 Suh HJ, Kim YS, Kim JM, Lee H. 200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1):144-147 Kim JI, Park SI. 1997.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J. Fd Hyg. Safety 14(4):352-357 Sung YM, Cho JR, Oh NS, Kim DC, In MJ. 2005.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curd yogurt added with chlorell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1):60-64 Jung HA, Kim SH, Lee MA. 2009.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6(4):506-511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180-188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2):120-127 Lee EH, Nam ES, Park SI. 2002.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Maesil(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3):419-424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in KFDA web site. Chapter 5-18-4 Blois, MS. 1958. Antioxidants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1199-1200 Pae MJ, Kim SJ, Ye EJ, Nam HS, Park EM. 200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otus root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ermented lotus rood drink. Korean J. Food Culture 23(2):222-227 Kim ㎖.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pine polle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717-724 Choi SY, Lin SH,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anl pl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49-556 Lee, J. H, Lee SR. 1994. Analysis of 페놀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s foods. Korean J. Food Sci. Thechnol. 26:310-316 Son MJ, Son SJ,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extract and beet extract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798-804 Park MJ, Jeon YS, Han JS. 2001. Antioxidative actib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6):1053-1059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Spirulina),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 및 8 내지 10 중량부의 쌀당화액을 함유하는 쌀발효음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대두단백, 및 쌀당화액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도 1의 공정으로 쌀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쌀당화액 8 내지 10 중량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 또는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 및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멸균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멸균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쌀발효음료는 쌀당화액에 대두단백과 스피루리나를 각각 첨가하였을 때보다,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또는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제조한 쌀발효음료는 항산화성 및 유산균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능성 쌀발효음료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쌀당화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 그림이다.
도 3은 쌀발효음료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중량부)의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 대조군;
□: 대두단백 1 중량부 첨가;
△: 대두단백 2 중량부 첨가; 및
×: 대두단백 3 중량부 첨가.
도 5는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산도(titratable activity)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 대조군;
□: 대두단백 1 중량부 첨가;
△: 대두단백 2 중량부 첨가; 및
×: 대두단백 3 중량부 첨가.
도 6은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유산균의 증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Spirulina)의 비율에 따른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군;
□: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
△: 스피루리나 2 중량부 첨가; 및
×: 스피루리나 3 중량부 첨가.
도 8은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에 따른 산도(titratable activity)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군;
□: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
△: 스피루리나 2 중량부 첨가; 및
×: 스피루리나 3 중량부 첨가.
도 9는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유산균의 증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pH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산도(titratable activity)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12는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당도(°Brix)를 나타낸 표이다.
도 13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L: 명도;
a: 적색도; 및
b: 황색도.
도 14는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유산균 수(CFU/㎖)를 나타낸 표이다.
도 15는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대장균(Escherichia coli) 수(CFU/㎖)를 나타낸 표이다.
도 16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DPPH 라디칼 제거 능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control: 대조군;
0.5 중량부: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첨가군;
1 중량부: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 및
1.5 중량부: 스피루리나 1.5 중량부 첨가군.
도 17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 대조군;
0.5 중량부: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첨가군;
1 중량부: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 및
1.5 중량부: 스피루리나 1.5 중량부 첨가군.
도 18은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쌀발효음료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A: 대조군;
B: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첨가군;
C: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 및
D: 스피루리나 1.5 중량부 첨가군.
도 19는 쌀발효음료에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비율(중량부)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20은 쌀당화액에 대두단백 또는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의 유산균 증식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Con: 대조군;
SP1: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1% 첨가한 쌀발효음료;
SP2: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2% 첨가한 쌀발효음료;
Soy1: 쌀당화액에 대두단백 1% 첨가한 쌀발효음료;
Soy2: 쌀당화액에 대두단백 2% 첨가한 쌀발효음료;및
SP1+Soy2: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1% 및 대두단백 2%를 첨가한 쌀발효음료.
도 21은 쌀호화액 및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첨가하였을때, 젖산균의 생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 쌀호화액;
2: 쌀호화액에 스피루리나 1%를 첨가한 군;
3: 쌀호화액에 스피루리나 1% 및 대두단백 5%를 첨가한 군;
4: 쌀당화액;
5: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1%를 첨가한 군;
6: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1% 및 대두단백 5%를 첨가한 군; 및
7: 물에 스피루리나 5%를 첨가한 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Spirulina),및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함유하는 쌀발효음료를 제공한다.
상기 쌀발효음료에 있어서, 스피루리나는 1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두단백은 2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자들은 우선 쌀당화액을 제조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화된 밥을 분쇄, 젤라틴화, 액화 및 당화의 과정을 통해서 당화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쌀 당화액에 대두단백, 스피루리나 파우더를 첨가한 뒤, 균주를 첨가하여 쌀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비율에 따라 pH, 산도, 및 유산균의 성장 변화를 관찰한 결과, 0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및 3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첨가하였을 때,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H가 감소하며, 적정산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당화액에서는 배양시간 0시간에 비하여, 3시간에서 유산균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두단백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배양시간이 증가하여도 유산균 생성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즉 쌀당화액만으로는 영향이 부족하여 유산균 생육이 촉진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대두는 양질의 단백질과 높은 함량의 필수지방산을 함유함에 따라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소재가 될 수 있다는 재평가되고 있으며(Park, Y. W. J. Korean Soc. Food Nutr. 1993, 22, 643-649), 항암작용, 동맥경화, 뇌졸증, 알츠하이머병, 노화방지, 골다공증의 예방, 신장기능 이상증상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그 식품학적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하다(Kim, J. S. Korea Soybean Digest. 1996, 13, 17-24; Sung, M. K. Korea Soybean Digest. 1996, 13, 19-31). 그러나, 조직이 견고하여 소화 흡수가 매우 어렵고, 독특한 풋내, 불소화성(不逍化性) 탄순화물, 트립신 저해제(trypsin inhibitor)등의 생리적인 저해물질을 가지고 있어 가공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스피루리나를 포함하는 쌀당화액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루리나 0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및 3 중량부를 쌀당화액에 첨가하였을 때, 첨가되는 스피루리나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H가 감소하며, 적정산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스피루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쌀당화액이 유산균의 생장속도를 촉진하는 것을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후, 배양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산균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스피루리나 2 중량부를 첨가한 쌀당화액을 9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유산균이 생성되었다(도 9 참조). 그 외에도, 스피루리나는 면역을 조절하여, 알레르기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항산화활성이 있는 베타카로틴이나 피코시아닌 등과 같은 식용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그 이용효율도 높아 인류의 중요한 식량자원이 되며 건강식품으로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스피루리나는 면역을 조절하여, 알레르기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쌀발효음료 역시, 우유 알레르기 환자에게 유용하다. 현재는 인공적인 배양기술이 확립되어 있어서 식품 규격의 제품이 공급되고 있어서 건강식품으로서의 평가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스피루리나는 고알칼리로 인체의 체질 개선에도 놀라운 효과가 있으며, 특히 소화흡수율, 소화촉진작용이 우수하며, 배양수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지들은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의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산도변화 및 유산균 생성을 측정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중량부의 대두단백이 포함되어 있는 쌀발효음료에 0 중량부, 0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의 스피루리나를 첨가하였을 때, pH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스피루리나 첨가한 양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10 참조). 또한, 적정산도의 변화는 스피루리나 첨가군에서 이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정산도가 증가하였다(도 11 참조). 또한, 스피루리나, 대두단백, 및 쌀당화액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 변화에 따른 당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쌀발효음료 제조시 첨가된 시럽으로 인하여 당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도 12 참조). 또한,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색도는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및 적색도가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도 13 참조). 이러한 결과는 스피루리나의 색소성분인 청록색의 클로필과 청색의 피코시아닌과, 등황색의 카로티노이드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함유하고 있는 쌀발효음료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유산균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두단백 2 중량부 및 스피루리나 1 중량부를 쌀당화액에 첨가한 후 발효시킨 쌀발효음료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참조).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 대두단백 각각을 첨가한 발효음료와 스피루리나와 대두단백을 함께 첨가한 쌀발효음료의 유산균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 각각을 쌀당화액에 첨가한 음료에 비하여, 스피루리나와 대두단백을 함께 첨가한 음료에서 유산균 증식 효과가 뛰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0 참조). 또한, 쌀당화액에 첨가되는 대두단백의 중량부를 변화시켜 제조한 쌀발효음료에서 스피루리나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대두단백 5 중량부를 스피루리나 1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을 때, 유산균 증식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1 참조).
또한,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대장균을 검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 대하여 대장균균이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쌀발효음료의 항산화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가 0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로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50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쌀발효음료의 항산화능력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피루리나의 첨가 농도가 쌀발효음료에 포함되는 당화액,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의 함량에 대하여 0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로 증가할수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7 참조).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쌀발효음료의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0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로 스피루리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외관상 녹색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8 참조). 또한, 스피루리나의 맛의 강도, 냄새, 및 적응도를 평가하는 관능검사를 통해서 스피루리나의 맛은 1.5 중량부의 농도에서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관상으로는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낮은 농도의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이 높은 값을 받았다. 또한, 냄새와 맛의 기호도는 대조군과 첨가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수용도 및 구매 의사에 관한 항목에서, 스피루리나의 농도 1 중량부가 첨가된 쌀발효음료가 높은 값을 받았다(도 19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다양한 농도의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유산균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쌀발효액에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에서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 각각을 첨가한 쌀발효음료보다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밝혔으며, 관능적으로 우수성을 갖는 최적의 성분함량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대두단백, 및 쌀당화액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도 1의 공정으로 쌀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쌀당화액 8 내지 10 중량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 또는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 및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멸균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멸균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스피루리나는 1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계 2)의 대두단백은 2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계 4)에 접종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끼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bulgaricu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리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백설탕 0.05 내지 0.5 중량부, 고과당 옥수수 시럽 10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 0.1 내지 0.8 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0.1 내지 0.3 중량부, 아스파르탐 0.001 내지 0.15 중량부, 공정된 소금 0.001 내지 0.15 중량부, 키위 맛 0.05 내지 0.5 중량부, 및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부로 구성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다양한 농도의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에서 유산균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쌀발효액에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에서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 각각을 첨가한 쌀발효음료보다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밝혔으며, 관능적으로 우수성을 갖는 최적의 성분함량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쌀당화액의 제조
쌀발효음료 제조를 위해 쌀당화액을 제조하였으며 Lee JY 등(Lee JY et al, 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1998)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조하였다. 쌀당화액의 제조 방법은 도 1과 같으며, 쌀(2009년산, 2010년 도정 일반미, 충남 예산군 예산읍)과 물을 1 : 1의 비율로 전기보온밥솥(RJ-3091, LG전자)을 이용하여 밥을 지은 뒤, 쌀의 6배의 물을 첨가하여 넣고, 후드믹서(FM-909T, 한일전기(주), Korea)로 1분 동안 분쇄하였다(도 1).
< 실시예 2>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쌀당화액에 대두단백(SUPROPLUS 651 IP, Protein 81 중량부, The Solae Company, U.S.A) 및 스피루리나 파우더((주)이에스바이오텍)를 첨가하여, 쌀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 쌀의 영양적 균형을 위하여 대두단백을 총 쌀발효음료의 2 중량부 및 스피루리나를 농도별(0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를 쌀당화액에 첨가하여 멸균(100℃, 20 min)한 후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끼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bulgaricu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리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를 1:1:1의 비율로 0.005중량부 접종하여,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냉각시킨 후,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도 2).
대두단백 및 스피루리나, 대두단백, 및 쌀당화액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의 구성성분
구성성분 대조군 SP 0.5 중량부 SP 1 중량부 SP 1.5 중량부
쌀당화액(중량부) 9.800 9.750 9.700 9.650
대두단백(중량부) 0.200 0.200 0.200 0.200
스피루리나(중량부) 0.000 0.050 0.100 0.150
백설탕(중량부) 0.135 0.135 0.135 0.135
HFCS(중량부) 12.465 12.465 12.465 12.465
시트르산 (중량부)
(citric acid)
0.405 0.405 0.405 0.405
CMC-Na 0.225 0.225 0.225 0.225
아스파르탐 (중량부)
(aspartame)
0.009 0.009 0.009 0.009
공정된 소금 (중량부)
(processed salt)
0.009 0.009 0.009 0.009
키위 맛 (중량부) 0.144 0.144 0.144 0.144
정제수 (중량부) 76.608 76.608 76.608 76.608
HFCS: 고과당 옥수수 시럽 (High fructose corn syrup)
CMC-Na: 카복시메틸셀룰로스 (carboxymethylcellulose)
< 실험예 1> 대두단백 첨가량에 따른 쌀당화액의 발효 특성
<1-1> pH 및 산도의 변화 측정
대두단백을 함유한 쌀당화액의 pH 및 산도(titratble activity)을 측정하였다. pH는 pH meter(Orion 420A, Orion Research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산도는 시료 1 ㎖에 증류수 9 ㎖을 첨가하여 pH meter 전극을 담그고 0.1N-NaOH로 pH가 8.3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하여 중화시키는데 소요된 NaOH량(㎖)을 젖산(lactic acid) 함량(중량부)으로 환산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0시간에는 대조군과 대두단백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의 pH가 각각 7.15, 6.95, 6.93, 6.93으로 대두단백을 첨가할수록 pH가 낮게 나타났다. 배양 6시간까지는 대두단백 첨가군의 pH가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배양 12시간에는 대조군의 pH(4.01)가 대두단백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4.01, 4.14, 4.22)보다 낮게 나타났고 배양 24시간까지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도 4).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대두단백 첨가군에서 배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정산도가 높아졌으며, 배양 24시간에 대조군과 대두단백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의 적정산도가 각각 0.10 중량부, 0.24중량부, 0.28중량부 0.29중량부로 나타나 대두단백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가 비슷한 수준의 적정산도를 나타내었고 대두단백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적정산도가 높아져 산 생성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메밀싹(Kang HN et al, Korean J. Food Culture, 2009),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Cho IS et al,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03)의 첨가가 pH의 저하와 산 생성에 영향을 주어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정 산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도 5).
<1-2> 유산균수의 변화 측정
유산균수는 표준평판 배양법으로 유산균수 측정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고, 검체의 희석액은 멸균생리식염수(0.85중량부 NaCl)를 사용하였다. 배지는 BCP 첨가 평판측정용 배지(Eiken Chemical Co., Ltd., Japan)를 사용하여 35 ~ 37℃에서 72±3시간 배양한 다음 콜로니 수가 30~300개 사이의 평판을 선택하여 유산균수를 산출하였으며, 발생한 황색의 집락을 유산균의 집락으로 계측하고, 미생물수는 시료 1 ㎖당 colony forming unit(CFU)로 나타냈다.
대두단백의 첨가 농도(0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3시간에는 대조군의 유산균수가 1.0×106 CFU/㎖으로 0시간(1.9×106)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두단백 첨가군의 유산균수는 5.1×107~1.8×108 CFU/㎖로 0시간(4.1×106~1.1×107 CFU/㎖)보다 증가해 급격한 균수의 증식을 보였다. 배양 24시간에는 대조군의 유산균수가 1.6×106 CFU/㎖로 배양 초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쌀당화액만으로는 영양이 부족해 유산균 생육이 촉진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대두단백 첨가군의 유산균수는 24시간까지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대두단백이 미생물의 질소원으로 공급되어(Park JH et al,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7) 유산균의 생육에 영향을 미쳐 생균수가 증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 실험예 2> 스피루리나 첨가에 따른 쌀당화액의 발효 특성
<2-1> pH 및 산도의 변화 측정
쌀당화액에 스피루리나를 각각 0, 1, 2, 3 중량부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3시간까지 스피루리나 첨가군의 pH가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6시간 이후 스피루리나 1 중량부, 2 중량부 첨가군의 pH는 대조군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나 스피루리나 3 중량부 첨가군의 pH는 대조군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스피루리나가 알칼리성 식품이기 때문에 첨가 농도가 높은 3 중량부 첨가군의 pH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도 7).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정산도는 배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적정산도가 높아져 산 생성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배양 24시간까지 스피루리나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적정산도가 높게 나타났다. 배양 12시간까지 스피루리나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의 적정산도가 각각 0.19중량부, 0.21 중량부, 0.20 중량부으로 스피루리나 첨가군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에 스피루리나 2 중량부, 3 중량부 첨가군의 적정산도가 0.35중량부로 동일하였고, 1 중량부 첨가군(0.23 중량부) 보다 급격한 산 생성으로 적정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도 8).
<2-2> 유산균수의 변화 측정
스피루리나의 첨가 농도(0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보다 스피루리나 첨가군에서 높은 유산균수가 관찰되었으며, 스피루리나 첨가군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은 배양 3시간에 3.1×107 CFU/㎖로 균수 증식이 빠르게 나타났으나, 6시간 이후로는 스피루리나 2 중량부 첨가군가 균수의 증식을 빠르게 나타내어 배양 9시간에 1.6×108 CFU/㎖로 최대 균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스피루리나는 유산균의 생육을 촉진시켜 산 생성과 생균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에 발효기질의 일부로 함초(Cho YS et a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및 오디 추출물(Suh HJ,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06) 등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했을 때 함유된 성분들이 유산균 생육에 영양소로 사용되어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킨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스피루리나는 양질의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 등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스피루리나 첨가에 의해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된 것으로 사료된다.
< 실험예 3>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품질 특성
<3-1> pH 및 산도 변화 측정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pH와 산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첨가에 따른 pH 변화를 보면 대조군의 pH가 3.37,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가 각각 pH 3.33, 3.32, 3.32로 스피루리나 첨가군의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스피루리나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피루리나 첨가량에 따른 산도의 변화는 대조군이 0.50 중량부,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이 각각 0.53, 0.53, 0.52로 나타나 스피루리나 첨가군의 산도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스피루리나 첨가가 유산균 증식에 효과가 있어 산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m JI와 Park SI(Kim JI et al, J. Fd Hyg. Safety, 1997)는 우유에 쑥 추출물 첨가가 쑥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무기질, 비타민과 올리고당 등과 같은 발육 촉진 물질에 의하여 젖산균의 산 생성을 촉진시켜 대조군보다 산 생성이 높았다고 보고하였고, Sung YM 등(Sung YM et a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5)은 클로렐라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정산도가 높아졌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나타난 pH와 산도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당도의 측정
당도는 당도계(Hand refractometer, Atago, Japan, 0~32 중량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당도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첨가량에 따른 대조군과 스피루리나 첨가군 모두 11.8 °Brix의 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스피루리나 첨가군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 제조시 배양액과 혼합한 시럽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3-3> 색도의 측정
색도는 시료 10 g을 페트리디쉬(50 × 12 ㎜)에 담아 색차계(Digital color measuring/difference calculation meter, Model ND-1001 DP, Nippon Denshoku Co. Ltd.,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L value(명도), a value(적색도), b value(황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백판의 L값은 111.51, a값은 0.70, b값은 1.97이었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색도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스피루리나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황색도는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스피루리나의 색소 성분인 청록색의 클로로필과 청색의 피코시아닌의 영향으로 스피루리나 첨가군의 녹색도가 높아졌으며, 등황색의 카로티노이드에 의해 황색도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도 13).
Jung HA 등(Jung HA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09)은 솔잎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 적색도 값이 감소되었고, 황색도 값은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솔잎가루 자체가 지니는 색소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다. 또한 매생이 가루(Jung BM, et a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9), 황녹색을 띠는 클로렐라 추출물(Park SI et al, Korean J. Food & Nutr., 2004)을 첨가했을 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값과 적색도 값이 감소되었고, 황색도 값은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색도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3-4> 유산균수 변화 측정
유산균수는 표준평판 배양법으로 유산균수 측정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고, 검체의 희석액은 멸균생리식염수(0.85중량부 NaCl)를 사용하였다. 배지는 BCP 첨가 평판측정용 배지(Eiken Chemical Co., Ltd., Japan)를 사용하여 35~37℃에서 72±3시간 배양한 다음 콜로니 수가 30~300개 사이의 평판을 선택하여 유산균수를 산출하였으며, 발생한 황색의 집락을 유산균의 집락으로 계측하고, 미생물수는 시료 1 ㎖당 콜로니 forming unit(CFU)로 나타냈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유산균수는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1.9×105 CFU/㎖의 유산균 수가 관찰되었으며,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에서는 각각 4.7×105 CFU/㎖, 1.6×106 CFU/㎖, 1.8×106 CFU/㎖가 관찰되었다. 즉,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산균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스피루리나가 유산균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이는 스피루리나가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스피루리나 첨가에 의해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된 것으로 사료되며, Lee EH 등(Lee EH,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2)이 매실의 첨가가 매실의 citric acid와 malic acid를 포함한 유기산과 다량의 무기질, 아미노산, 유리당과 같은 물질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었다고 보고한 바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 식품공전(37)에 의하면 발효음료의 유산균수는 106 CFU/㎖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스피루리나 1 중량부와 1.5 중량부 첨가군가 각각 1.6×106 CFU/㎖, 1.8×106 CFU/㎖로 이에 해당되어 배양액에 스피루리나를 1 중량부 이상 첨가했을 때 유산균음료 제품으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3-5> 대장균수 변화 측정
대장균군은 EMB 아가(agar)(Difco Co., USA) 배지를 사용하였고 시료 원액을 분주하여 35 ~ 37℃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나타난 콜로니 중 흑녹색의 집락을 계수하였다. 또한, 미생물 수는 시료 1 ㎖ 당 colony forming unit(CFU)로 나타냈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대장균을 검사한 결과,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 대해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아 우리나라의 식품공전(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의 대장균군 성분규격에 적합하였으며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제조시 살균이 적절하고 모든 실험 과정이 무균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항산화력
<4-1> DPPH 라디칼 소거능
스피루리나 첨가에 따른 쌀발효음료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법으로 측정하였다.
배양액 3 g에 메탄올 50 ㎖을 넣어 1분간 잘 교반한 후, 3,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징액을 증발기로 용매를 휘발하여 추출물만 얻었다. 추출물 100 ㎎당 1 ㎖ 메탄올을 첨가하여 100 ㎎/㎖ 농도의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여 시료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용액 50 ㎕에 1.5×10-4 m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 150 ㎕을 가한 후, 30분 후에 분광광도계(352, Pharmacia Co.)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라디칼 소거능(중량부)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 후 각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 중량부가 되는 농도인 IC50을 구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50값은 대조군이 218.48 ㎎/g,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에서 각각 186.42 ㎎/g, 173.24 ㎎/g, 159.42 ㎎/g으로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50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피루리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쌀발효음료의 항산화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피루리나가 항산화 효과가 있는 피코시아닌, 베타카로틴, 비타민 E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조군보다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Pae MJ 등(Pae MJ, Korean J. Food Culture, 2008)은 연근발효음료가 농도에 비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고, Kim ㎖(Kim M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5)은 송화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여 높은 전자공여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도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4-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페놀성 물질이 인몰리브덴산(phosphomolybdic acid)과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방법인 Folin-Denis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료 3 g에 메탄올을 50 ㎖을 넣어 1분간 잘 교반한 후, 3,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징액을 증발기로 용매를 휘발하여 추출물만 얻었다. 추출물 100 mg 당 1 mL PBS Buffer를 첨가하여 100 mg/mL 농도의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여 시료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에 Folin-Denis 시약과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30분간 반응시킨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1.5 중량부 첨가군이 0.83 ㎎/g으로 페놀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다음으로 스피루리나 1 중량부, 0.5 중량부 첨가군과 대조군이 각각 0.73 ㎎/g, 0.60 ㎎/g, 0.34 ㎎/g으로 나타나, 대조군이 가장 낮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Son MJ 등(Son MJ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은 비트즙 함량이 증가할수록 당근 젖산 발효 음료의 폴리페놀 함량이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Park MJ 등(Park MJ,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은 갓김치에 녹차분말과 늙은호박분말을 첨가했을 때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녹차잎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보고한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 실험예 5>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의 관능평가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쌀발효음료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및 학부생 10명을 관능검사 패널로 선정하여 실험 목적을 설명하고 각 측정치에 대해 교육시킨 뒤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특성차이검사, 수용도 검사와 소비자 수요도 조사에 관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스피루리나 냄새(Spirulina odor)와 맛(Spirulina taste)에 대하여 특성차이검사를 실시하였고, 외관(appearance), 냄새(odor), 맛(taste), 전체적인 수용도(overall acceptability)에 대한 수용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입의향(buying intention)을 묻는 소비자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피루리나 첨가 쌀발효음료의 외관 사진은 도 18에 나타냈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도 19에 나타냈다.
도 19의 관능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스피루리나 맛의 강도는 스피루리나 1.5 중량부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다른 첨가군에 비해 스피루리나 맛이 감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호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관능검사 중 외관은 대조군이 4.5점,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이 각각 4.6, 4.4, 3.4점으로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냄새와 맛의 기호도는 대조군과 첨가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시럽에 첨가된 키위향에 의해 스피루리나 냄새가 마스킹(masking)되어 대조군과 첨가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전체적인 수용도는 대조군이 3.9점 스피루리나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첨가군이 각각 4.4점, 5.6점, 4.2점으로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수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사에 관한 항목에서도 스피루리나 1 중량부 첨가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함유하는 쌀발효음료는 우수한 항산화능력 및 유산균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에서 관능적으로 우수하므로, 쌀발효음료에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첨가한 음료를 건강기능 음료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Spirulina),및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함유하는 쌀발효음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루리나는 1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단백은 2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
  4. 1) 도 1의 공정으로 쌀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쌀당화액 8 내지 10 중량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 또는 0.5 내지 3 중량부의 스피루리나 및 0.5 내지 5 중량부의 대두단백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멸균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멸균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2)의 스피루리나는 1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2)의 대두단백은 2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4)에 접종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끼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bulgaricu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리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백설탕 0.05 내지 0.5 중량부, 고과당 옥수수 시럽 10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 0.1 내지 0.8 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0.1 내지 0.3 중량부, 아스파르탐 0.001 내지 0.15 중량부, 공정된 소금 0.001 내지 0.15 중량부, 키위 맛 0.05 내지 0.5 중량부, 및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부로 구성된 성분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071993A 2010-07-26 2010-07-26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KR10128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93A KR101286214B1 (ko) 2010-07-26 2010-07-26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93A KR101286214B1 (ko) 2010-07-26 2010-07-26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447A true KR20120010447A (ko) 2012-02-03
KR101286214B1 KR101286214B1 (ko) 2013-07-15

Family

ID=4583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93A KR101286214B1 (ko) 2010-07-26 2010-07-26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17A (ko) 2019-06-21 2020-12-30 정영석 미세조류(스피루리나, 클로렐라)를 이용한 음료 상용화
CN113729135A (zh) * 2021-08-07 2021-12-03 蜡笔小新(福建)食品工业有限公司 一种螺旋藻杂粮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295B (zh) * 2013-10-11 2015-05-20 江南大学 一种可溶大米蛋白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04449A (ko) 2019-02-26 2020-09-04 (주) 나우코스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20009516A (ko) 2020-07-15 2022-01-25 주식회사 킥더허들 스피루리나 및 락토바실러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20052224A (ko) 2020-10-20 2022-04-27 우효경 유색미 발효 음료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95A (ko) * 1997-01-15 1998-10-15 남승우 과채발효엑기스가 함유된 분리대두단백 유산균발효제품 제조방법
JP2003116502A (ja) 2001-09-27 2003-04-22 Taiwan Tobacco & Liquor Corp 植物性発酵乳酸飲料の製造方法及び非アルコール飲料に使用する甘味料
KR100910655B1 (ko) * 2007-10-16 2009-08-05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를 이용한 식초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1608B1 (ko) * 2008-08-29 2009-04-02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식용식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식물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17A (ko) 2019-06-21 2020-12-30 정영석 미세조류(스피루리나, 클로렐라)를 이용한 음료 상용화
CN113729135A (zh) * 2021-08-07 2021-12-03 蜡笔小新(福建)食品工业有限公司 一种螺旋藻杂粮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214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886B1 (ko) 과채발효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과채발효물 및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JP2003259835A (ja) 発酵製品の製造とその利用
KR101286214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KR101215298B1 (ko) 발효균이 살아있는 발효곡식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곡식
KR101386879B1 (ko) 현미 및 모링가를 주재로 하여 복합유산균 발효에 의해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유산균 발효식품
Bille et al. Value addition and processed products of three indigenous fruits in Namibia
Mashau et al. Evaluation of the shelf-life extens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mahewu–A non-alcoholic fermented beverage by adding Aloe vera (Aloe barbadensis) powder
Karovičová et al. Utilisation of quinoa for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s.
CN104450413A (zh) 一种保健型黑米低醇饮料的制作方法
CN109349479A (zh) 一种发酵大枣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65497A (ko) 복합 발효를 이용한 gaba 증진된 대추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0122812A (zh) 一种快速发酵食品的复合乳酸菌剂及其应用
Chaudhary et al. Prospects of Indi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s functional foods
KR100851289B1 (ko) 유용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잡곡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잡곡
Gok Functional potential of several turkish fermented traditional foods: biotic properties, bioactive compounds, and health benefits
KR101921475B1 (ko) 젖산 발효 또는 효모 발효를 통한 기능성 스피루리나 발효물 제조방법
KR20200145127A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2017012026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0851290B1 (ko) 유용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발효쌀
Thorat et al. Studies on effect of ferment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and preparation of sauce
CN109497516A (zh) 一种综合果粮蔬酵素的制备方法
KR101582728B1 (ko) Gaba 생산 젖산균 및 젖산발효 사과박을 이용한 산수유 잼 제조방법
KR20180047197A (ko) 유산균 블루베리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KR101334926B1 (ko) 쿼세틴이 함유된 발효유 제조방법
Coşansu et al. Growth kinetics and survival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black rice mi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