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616A -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616A
KR20120009616A KR1020100069658A KR20100069658A KR20120009616A KR 20120009616 A KR20120009616 A KR 20120009616A KR 1020100069658 A KR1020100069658 A KR 1020100069658A KR 20100069658 A KR20100069658 A KR 20100069658A KR 20120009616 A KR20120009616 A KR 2012000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signal
display device
strength
predetermined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윤현규
양근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616A/ko
Priority to US13/109,412 priority patent/US8688050B2/en
Priority to EP11168307.4A priority patent/EP24105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0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며,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통신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기기간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연결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무선기기들이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데, WiFi 기술은 각 무선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WiFi의 연결 방법은 암호 입력방법 및 WPS(PBC/PIN)이 있다. 암호 입력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무선기기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채널(Channel), 암호화 방식 및 암호를 알아야 연결이 가능하며, WPS PBC 방식은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무선기기에 존재하는 버튼(button)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이고, WPS PIN 방식은 서버가 보유하고 있거나, 생성한 고유 번호를 연결을 원하는 무선기기에서 직접 입력하여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WiFi의 연결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각 단계마다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AP(Access Point)나 무선기기에서 일방적으로 연결을 시도하므로,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기기 상호간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며,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AP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는 상기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연결 가능한 무선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AP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로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에서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결 가능한 무선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무선기기 상호간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기기 상호간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연결가능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해킹당한 무선기기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는등 통신상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단말기(11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AP 기능을 수행하여 무선단말기(110)와 통신하거나, AP 기능 없이 에드-호크(Ad-Hoc)모드에서 무선단말기(1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110)는 모바일 폰, 리모컨, 키보드, 블루투스 및 프린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할 수 있는 무선기기가 해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단말기(110)의 통신은 WPS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WPS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쉽고 안전한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서 PBC방식, PIN 방식, USB 방식, NFC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WPS PIN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비컨신호(Beacon Signal)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자동연결이 가능한 무선기기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에 포함하여 출력한다. 무선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는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프로브 요청신호(Probe Request)를 출력한다. 프로브 요청신호에는 무선단말기(110)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프로브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는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프로브 응답신호(Probe Respose)를 출력하고, 프로브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무선단말기(110)의 연결정보를 기초로 무선단말기와 연결한다.
한편, 무선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무선단말기(11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단말기(110)로 프로브 요청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무선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단말기(110)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무선단말기(110)의 연결정보를 수신하면, 연결정보를 기초로 무선단말기(110)와 연결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무선단말기(110)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무선단말기(110)는 통신을 원하는 상대 무선기기를 선택한 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통신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대 무선기기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무선기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수신부(200), 신호처리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2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방송신호는 DTV신호, 케이블방송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수신부(20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DVD, BD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송수신부(200)는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신호, 데이터정보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는 하나의 방송신호를 통해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21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2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처리는, 방송신호에 관한 디코딩, 이미지 인핸싱, 스케일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10)는 방송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싱 등을 비롯하여,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대한 디코딩 처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신호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부(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신호처리부(210)에 의해 처리된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은, 예컨대 LCD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LCD 패널, 패널구동부, 백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는 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신호처리부(2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단말기(110)와 통신하는데, 통신부(230)와 무선단말기(110) 사이의 통신은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WPS 방식에 의한다. 통신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AP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AP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신호처리부(210)를 제어하는 등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무선단말기(110)와 통신함에 있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AP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단말기(110)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출력되는 프로브 요청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무선단말기(110)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 프로브 요청신호에 포함된 무선단말기(110)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무선단말기(110)에 연결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40)는 통신부(230)에서 무선단말기(110)로부터 무선단말기(11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 프로브 요청신호를 무선단말기(110)에 출력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한다. 이후, 무선단말기(110)로부터 무선단말기(110)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가 출력되면,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무선단말기(110)와 연결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300), 무선단말기(110)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310의 YES), 무선단말기(110)는 프로브 요청신호를 출력하고(320),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310의 NO),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약함을 표시한다(330).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340의 YES), 프로브 요청신호에 포함된 연결정보를 기초로 무선단말기(110)와 연결하고(350),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340의 NO),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약함을 표시한다(36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출력된 무선단말기(110)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40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410의 YES),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브 요청신호를 출력하고(420),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410의 NO),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약함을 표시한다(430). 이후, 무선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440의 YES), 무선단말기(110)의 연결정보를 출력하고(450),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440의 NO),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약함을 표시한다(460). 무선단말기(110)에서 연결정보를 출력하면(45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연결정보를 기초로 무선단말기(110)에 연결한다(4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신부(230)에서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출력된 프로브 요청신호를 수신하면(500), 제어부(240)는 무선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무선단말기(110)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510의 YES), 프로브 요청신호에 포함된 무선단말기(110)의 WPS PIN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무선단말기(110)와 연결하고(520),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510의 NO), 신호의 강도가 약함을 표시한다(530).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디스플레이시스템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무선단말기 200: 방송수신부
210: 신호처리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Claims (24)

  1.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며,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AP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7.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연결 가능한 무선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AP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로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9.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결 가능한 무선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WPS PIN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에 자동연결 가능한 AP라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연결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기의 WPS PIN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연결응답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69658A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9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58A KR20120009616A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109,412 US8688050B2 (en) 2010-07-19 2011-05-17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168307.4A EP2410512B1 (en) 2010-07-19 2011-05-31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58A KR20120009616A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70A Division KR101766248B1 (ko) 2016-11-15 2016-11-15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616A true KR20120009616A (ko) 2012-02-02

Family

ID=4411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58A KR20120009616A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8050B2 (ko)
EP (1) EP2410512B1 (ko)
KR (1) KR201200096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9817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Sensor-based touch inquiry control
US8929816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Multiple apparatus selection via touch
US8965285B2 (en)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JP5853478B2 (ja) * 2011-08-04 2016-02-09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および通信設定提供方法
KR20130025749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신호 세기에 기초한 보안 관리 방법
KR101760349B1 (ko) 2011-09-02 2017-07-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KR101760350B1 (ko) 2011-09-02 2017-07-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작업 권한 제어 방법
KR101840723B1 (ko)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840725B1 (ko)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US10356640B2 (en) 2012-11-01 2019-07-1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s corresponding to a non-cellular network
US9414392B2 (en) 2012-12-03 2016-08-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r-equipment (UE) centric access network selection
WO2014113103A1 (en) 2013-01-17 2014-07-24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non-cellular access network information over a cellular network
US10372396B2 (en) * 2013-02-21 2019-08-06 Lenovo ( Singapore) Pte. Ltd. Discovery and connection to wireless displays
US9160515B2 (en) * 2013-04-04 2015-10-13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handover enhancement using scaled time-to-trigger and time-of-stay
US20150278803A1 (en) * 2014-03-28 2015-10-01 Google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field detection
US9860297B2 (en) 2014-06-02 2018-01-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dia selection for moving user
US9635690B2 (en) 2014-06-24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338635B2 (en) 2014-07-01 2016-05-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ice tracking
CN104202829B (zh) * 2014-08-01 2018-03-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显示的连接方法和移动设备
US9265080B1 (en) 2014-10-01 2016-02-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device output mode configuration
CN106162689A (zh) * 2015-04-01 2016-11-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控制系统、方法及具有通信功能的充电器
US20160350058A1 (en) * 2015-06-01 2016-12-01 Intel Corporation Wireless display adapter device
KR102381369B1 (ko) * 2015-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 방법
CN107682890B (zh) * 2017-09-19 2021-02-26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接入控制方法及装置
CN109067481B (zh) * 2018-08-10 2021-07-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号强度指示方法及终端
US11540199B2 (en) * 2020-06-30 2022-12-27 Arris Enterprises Llc Discovery of a network topology from a client perspectiv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0089B2 (ja) * 2004-03-10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伝送システム
US8467784B2 (en) * 2006-07-14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WLAN system scanning and selection
JP4840230B2 (ja) 2007-03-30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ための無線機器
KR101421164B1 (ko) * 2007-12-18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방법
KR20090113033A (ko) * 2008-04-25 2009-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의 무선 랜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10068021A (ja) * 2008-09-08 2010-03-25 Olympus Corp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0512B1 (en) 2019-09-04
US8688050B2 (en) 2014-04-01
EP2410512A1 (en) 2012-01-25
US20120017257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9616A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06337B2 (en) Terminal apparatus for auto pairing,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93917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57659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355563A1 (en)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JP6710037B2 (ja) 通信装置
CN105490893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EP33589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11997731B2 (en)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60054883A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393290B1 (ko)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들의 페어링 방법
KR101799311B1 (ko)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27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67687B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608996B1 (ko) 탐색 대상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5144402A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CN104247484A (zh) 终端装置、通信方法、程序以及通信系统
KR102449232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66248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1957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122515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US201500555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etup method therefor
EP2658334A2 (en) Wireless connection system, wireless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nnection control program
KR202200521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